왜 북극이 석탄광산에서 기후 변화의 카나리아일까? - 윌리엄 체프만(William Chapman)
-
0:07 - 0:09북극 주변의 지역은
-
0:09 - 0:14얼음으로 뒤덮히고 황량하며, 아무것도
변하지 않는 것처럼 보입니다. -
0:14 - 0:19하지만 실제의 북극의 환경은
복잡하고 섬세한 균형을 이루고 있으며 -
0:19 - 0:23이 지역의 극한의 위치 때문에
대기중의 아주 작은 변화를 통해 -
0:23 - 0:27큰 변화를 유발시키는
피드백과정에 취약합니다. -
0:27 - 0:30사실 과학자들은 종종
기후변화의 영향을 예측할 때 -
0:30 - 0:36북극을 ‘탄광의 카나리아’라고
묘사합니다. -
0:36 - 0:40북극의 주요 기후변화 피드백 중
하나는 반사율과 관계가 있습니다. -
0:40 - 0:42눈과 얼음과 같은 하얀 표면은
-
0:42 - 0:46매우 효율적으로 햇빛을
우주로 반사시킵니다. -
0:46 - 0:51반면 어두운 육지나 물 표면은
햇빛을 더 많이 흡수하지요. -
0:51 - 0:55북극이 약간 더워지면,
눈과 얼음이 일부 녹고, -
0:55 - 0:58아래에 있는 땅과 바다가 노출됩니다.
-
0:58 - 1:04이들 표면이 흡수한 열이 많아질수록
얼음은 더 많이 녹게 됩니다. -
1:04 - 1:07현재의 북극은
점점 더 따뜻해지고 있지만, -
1:07 - 1:09그 반대의 경우도 생길 수 있습니다.
-
1:09 - 1:13약간의 기온 하락 때문에
얼음이 더 많이 얼면 -
1:13 - 1:16이것이 눈과 얼음에 의한
반사량을 증가시킵니다. -
1:16 - 1:18따라서 햇빛의 흡수량이 줄어들고
-
1:18 - 1:23온도는 계속해서 떨어지게 됩니다.
마치 예전의 빙하기처럼요. -
1:23 - 1:27북극의 바다 얼음은 또 다른 피드백도
발생시키는데, -
1:27 - 1:28이는 단열효과 때문입니다.
-
1:28 - 1:30얼음들은 해양 표면층을 덮음으로써
-
1:30 - 1:36차가운 북극 공기와 상대적으로 따뜻한 물 사이의
완충제 역할을 합니다. -
1:36 - 1:39하지만 어떤 곳에서 그것이 얇아지고,
깨지거나, 녹으면 -
1:39 - 1:42열이 바다로부터 빠져나가,
-
1:42 - 1:46대기의 온도가 올라가서
더 많은 얼음이 녹게 됩니다. -
1:46 - 1:49이와 같은 예들을
양성피드백이라고 불리는데 -
1:49 - 1:52양성이라고 부르는 이유는
뭔가 좋은 일을 해서가 아니라 -
1:52 - 1:55최초의 변화가 같은 방향으로
증폭되기 때문입니다. -
1:55 - 1:57반면에 음성피드백은 그 영향이
-
1:57 - 2:02최초 변화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 이지요. -
2:02 - 2:05얼음이 녹는 것은
음성피드백도 발생시킵니다. -
2:05 - 2:08대기 중으로 수분이
방출되기 때문이지요. -
2:08 - 2:12방출된 수분은 구름의
두께와 양을 증가시키고 -
2:12 - 2:16더 많은 햇빛을 차단함으로써
대기를 식힐 수 있습니다. -
2:16 - 2:18하지만 북극의 여름은 짧기 때문에
-
2:18 - 2:20음성피드백의 순환은 단기적입니다.
-
2:20 - 2:23나머지 기간 동안 햇빛은 매우 적고,
-
2:23 - 2:25증가된 수분과 구름은 오히려
-
2:25 - 2:28지구의 열을 가둠으로써
표면을 따뜻하게하기 때문에, -
2:28 - 2:32한 두 달을 제외하고는
항상 양성 피드백이 작용합니다. -
2:32 - 2:38음성피드백이 시스템의 균형을 맞춰서
기후의 안정성을 증가시키는 반면에, -
2:38 - 2:44양성피드백은 변화량을 계속 증폭시켜서
기후의 불안정성을 증가시킵니다. -
2:44 - 2:47최근 증가된 양성피드백의 영향력은
-
2:47 - 2:50북극을 훨씬 넘어선 결과를
초래시킬 수 있습니다. -
2:50 - 2:52지구가 점점 따뜻해짐에 따라
-
2:52 - 2:57이런 양성 피드백은 북극의 온도를
적도보다 훨씬 더 빠르게 올립니다. -
2:57 - 3:00두 지역 사이의 감소된 기온 차이는
-
3:00 - 3:03제트 기류의 바람을 느리게 하고
-
3:03 - 3:07중위도의 대기 순환을 약하게 만듭니다.
-
3:07 - 3:09그리고 이 지역에
대부분의 인구가 살고 있지요. -
3:09 - 3:15많은 과학자들은 날씨 변화가
더 오래 지속되고 더 격해져서 -
3:15 - 3:17원래는 일시적이고 단기적이었던 현상들이
-
3:17 - 3:23지속적인 한파, 혹서, 가뭄, 홍수로
변할 것을 걱정하고 있습니다. -
3:23 - 3:28북극의 기상변화는 지구 전체의
기후에 대한 신호인것만은 아닙니다. -
3:28 - 3:33이것은 우리에게 훨씬 직접적이고
즉각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3:33 - 3:35기후 과학자들이 항상 경고하듯이
-
3:35 - 3:39북극에 발생하는 일이 언제까지나
북극에 머물러 있지만은 않을 것입니다.
- Title:
- 왜 북극이 석탄광산에서 기후 변화의 카나리아일까? - 윌리엄 체프만(William Chapman)
- Description:
-
전체 강의 보기: http://ed.ted.com/lessons/why-the-arctic-is-climate-change-s-canary-in-the-coal-mine-william-chapman
황량하고 얼음으로 덮여있는 북극 주변의 지역은 아무것도 바뀌지 않는 환경처럼 보입니다. 하지만 이 특별하고 외딴 지역의 기후는 지구의 나머지 지역의 기후변화에 대한 초기 지표이자 전세계의 기후의 패턴을 바꾸는 원인이 될 수 도 있습니다. 윌리엄 체프만씨는 과학자들이 왜 북극을 '탄광에 있는 카나리아'라고 묘사하는지 설명해 줍니다.
강의: 윌리엄 체프만 (William Chapman)
영상: 산드로 카타마쉬빌 (Sandro Katamashvili) - Video Language:
- English
- Team:
closed TED
- Project:
- TED-Ed
- Duration:
- 03:59
![]() |
Gemma Lee commented on Korean subtitles for Why the Arctic is climate change's canary in the coal mine - William Chapman | |
![]() |
Gemma Lee edited Korean subtitles for Why the Arctic is climate change's canary in the coal mine - William Chapman | |
![]() |
Gemma Lee approved Korean subtitles for Why the Arctic is climate change's canary in the coal mine - William Chapman | |
![]() |
Gemma Lee accepted Korean subtitles for Why the Arctic is climate change's canary in the coal mine - William Chapman | |
![]() |
Gemma Lee edited Korean subtitles for Why the Arctic is climate change's canary in the coal mine - William Chapman | |
![]() |
Gemma Lee edited Korean subtitles for Why the Arctic is climate change's canary in the coal mine - William Chapman | |
![]() |
Gemma Lee edited Korean subtitles for Why the Arctic is climate change's canary in the coal mine - William Chapman | |
![]() |
Won Jang edited Korean subtitles for Why the Arctic is climate change's canary in the coal mine - William Chapman |
Gemma Lee
번역 수고하셨습니다. 조금 수정한 곳이 있으니 다른 의견이 있다면 알려주세요. 승인 후라도 수정할 수 있으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