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turn to Video

DNA에서부터 실리 푸티까지, 중합체의 다양한 세계 - 쟝 마팅리

  • 0:07 - 0:08
    비단,
  • 0:08 - 0:09
    DNA,
  • 0:09 - 0:09
    나무,
  • 0:09 - 0:10
    풍선,
  • 0:10 - 0:13
    그리고 '실리 푸티'의 공통점은
  • 0:13 - 0:15
    이들 모두 중합체(폴리머)라는 것입니다
  • 0:15 - 0:17
    중합체는 우리 삶에서
    너무나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 0:17 - 0:19
    중합체없는 세상은
  • 0:19 - 0:21
    상상할 수도 없습니다
  • 0:21 - 0:22
    중합체가 과연 무엇일까요?
  • 0:22 - 0:24
    중합체는 작은 단위체(모노머)가 모여 만들어진
  • 0:24 - 0:27
    큰 분자 덩어리로서
  • 0:27 - 0:30
    마치 객차들이 연결되어
    열차가 되는 것과 같습니다.
  • 0:30 - 0:31
    중합(폴리,poly)은 다수라는 뜻이고
  • 0:31 - 0:33
    단위(모노,mono)는 하나라는 뜻이며
  • 0:33 - 0:36
    체(머;mers 또는 머로;mero)는 부분이라는 뜻입니다
  • 0:36 - 0:38
    많은 중합체들은 아주 작은 한개의 단위체가 수 없이
  • 0:38 - 0:41
    반복 연결 됨으로써 만들어지는 반면
  • 0:41 - 0:42
    또 다른 중합체들은 두개의 단위체가
  • 0:42 - 0:44
    특정한 패턴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 0:44 - 0:47
    모든 생명체는 중합체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0:47 - 0:49
    유기체속의 어떤 유기 분자들은
  • 0:49 - 0:51
    작고 단순하며
  • 0:51 - 0:54
    여러 기능 중 한가지 기능만 하는 반면
  • 0:54 - 0:57
    또 다른 분자들, 특히 구조적 역할을 하거나
  • 0:57 - 0:59
    유전적 정보를 담고 있는 분자들은
  • 0:59 - 1:01
    고분자(=거대분자) 입니다
  • 1:01 - 1:04
    대부분의 고분자(=거대분자) 는 중합체입니다
  • 1:04 - 1:07
    예를 들어 복합 탄수화물은
  • 1:07 - 1:09
    단당류의 중합체이며
  • 1:09 - 1:11
    단백질은 아미노산의 중합체
  • 1:11 - 1:14
    그리고 핵산과
    우리의 유전적 정보를 가지고 있는
  • 1:14 - 1:16
    DNA와 RNA는
  • 1:16 - 1:18
    뉴클레오타이드의 중합체죠
  • 1:18 - 1:20
    나무나 식물들은
  • 1:20 - 1:22
    섬유소 중합체로 이루어져 있는데
  • 1:22 - 1:24
    나무 껍질이나 줄기에서 볼 수있는
    질긴 물질이 그것입니다.
  • 1:24 - 1:25
    깃털이나
  • 1:25 - 1:26
    동물의 털
  • 1:26 - 1:26
    머리카락
  • 1:26 - 1:27
    손톱 역시
  • 1:27 - 1:29
    중합체인 케라틴 단백질로
  • 1:29 - 1:31
    이루어져 있습니다
  • 1:31 - 1:32
    여기서 끝이 아닙니다
  • 1:32 - 1:34
    동물왕국에서
  • 1:34 - 1:36
    가장 큰 문(생물 분류단위)인 절지동물의
  • 1:36 - 1:37
    외골격 또한
  • 1:37 - 1:39
    키틴 중합체란 걸 아시나요?
  • 1:40 - 1:42
    또한 중합체는
  • 1:42 - 1:45
    합성섬유, 고무, 플라스틱등의
    기본구조입니다.
  • 1:45 - 1:48
    모든 합성 중합체는 석유에서 뽑아내며
  • 1:48 - 1:51
    화학반응을 거쳐 만들어집니다.
  • 1:51 - 1:53
    복합체를 만드는 가장 일반적인
  • 1:53 - 1:55
    두 가지 화학반응은
  • 1:55 - 1:56
    첨가 반응과
  • 1:56 - 1:58
    축합 반응입니다.
  • 1:58 - 1:59
    이런 반응 외에도
  • 1:59 - 2:03
    단위체들이 그냥 모여
    복합체를 형성하기도합니다.
  • 2:03 - 2:05
    이 과정은 짝 지어지지 않은 전자인
  • 2:05 - 2:08
    유리기(:자유 라디칼) 에서부터 시작합니다.
  • 2:08 - 2:09
    유리기(;자유 라디칼)는
  • 2:09 - 2:12
    결합체를 공격하겨 결합을 깨서
    새로운 결합을 만듭니다
  • 2:12 - 2:14
    이 과정이 수 없이 반복되면서
  • 2:14 - 2:16
    길게 연결된 중합체가 만들어집니다.
  • 2:16 - 2:17
    축합 반응에서는
  • 2:17 - 2:19
    물과 같은 작은 분자가
  • 2:19 - 2:22
    각각의 연결을 확장하는 반응에서 만들어집니다.
  • 2:22 - 2:24
    최초의 합성 중합체는
  • 2:24 - 2:25
    우연히 만들어졌는데
  • 2:25 - 2:28
    다양한 화학반응의 부산물이었죠.
  • 2:28 - 2:29
    화학자들은 그들을 쓸모없게 여겨
  • 2:29 - 2:32
    무시했었지만
  • 2:32 - 2:34
    결국 ,레오 메커랜드라는 화학자가
  • 2:34 - 2:36
    이 쓸모없어 보이는 부산물이 어쩌면
  • 2:36 - 2:38
    유용할 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 2:38 - 2:40
    그의 연구로 플라스틱이 탄생되었고
  • 2:40 - 2:42
    플라스틱은 압력과 온도를 이용해
  • 2:42 - 2:45
    영구적인 형태를 갖출 수 있게 됐습니다
  • 2:45 - 2:46
    이 플라스틱의 이름인
  • 2:46 - 2:50
    '폴리옥시벤자일메틸렌글리콜란하이드리드' 는
  • 2:50 - 2:51
    기억하기 너무 어려워
  • 2:51 - 2:54
    광고주들은 '베이클라이트' 라고 명명했습니다.
  • 2:55 - 2:56
    '베이클라이트'는 전화,
  • 2:56 - 2:57
    어린이용 장난감
  • 2:57 - 3:00
    그리고 전기부품의 절연체 제작에 사용되었습니다
  • 3:00 - 3:02
    플라스틱 산업은 계속 발전해 1907년에는
  • 3:02 - 3:05
    폭발적 성장을 이루었습니다.
  • 3:05 - 3:07
    비슷한 종류의 복합체인 실리 푸티 또한
  • 3:07 - 3:09
    우연히 발명되었죠.
  • 3:09 - 3:10
    2차 세계 대전 중
  • 3:10 - 3:12
    미국은 군대를 지원하기 위해
  • 3:12 - 3:14
    합성 고무가 절실히 필요했습니다
  • 3:14 - 3:16
    제너럴 일렉트릭사의 화학팀이
  • 3:16 - 3:18
    발명을 시도했으나
  • 3:18 - 3:20
    결과는 부드럽고 끈적한 퍼티
    (유리를 창틀에 끼울 때 바르는 접합제)였습니다
  • 3:20 - 3:22
    퍼티는 비록 고무로는 적합하지 않았지만
  • 3:22 - 3:24
    특별한 성질이 있었는데
  • 3:24 - 3:27
    튕겨오르는 성질이 그것이었습니다
  • 3:27 - 3:29
    바로 실리 퍼티의 탄생이었죠!
  • 3:29 - 3:31
    합성 복합체는 세상을 바꾸어 놓았습니다
  • 3:31 - 3:32
    생각해 보세요.
  • 3:32 - 3:34
    플라스틱을 사용하지 않고
  • 3:34 - 3:36
    단 하루라도 보낼 수 있을까요?
  • 3:36 - 3:38
    그러나 복합체가 장점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 3:38 - 3:41
    예를 들면 스티로폼은 주로 스타이렌
    (합성수지/고무 원료) 으로 만들어지는데
  • 3:41 - 3:43
    이것은 환경보호청에서
  • 3:43 - 3:46
    발암물질로 구분합니다.
  • 3:46 - 3:48
    스티로폼이 만들어지거나
  • 3:48 - 3:51
    쓰레기 매립지나 바다에 버려질 때
  • 3:51 - 3:53
    스타이렌이라는 독성물질이
  • 3:53 - 3:54
    주변환경으로 방출됩니다
  • 3:54 - 3:56
    또한 중합반응을 거쳐
  • 3:56 - 3:58
    만들어진 플라스틱
  • 3:58 - 3:59
    즉 스티로폼이나
  • 3:59 - 4:00
    비닐봉지나
  • 4:00 - 4:01
    PVC같은 물질은
  • 4:01 - 4:03
    내구성이 있고, 음식저장용으로도 만들어졌지만
  • 4:03 - 4:05
    즉, 그 말은 생태계에서 분해되지않는다 는
  • 4:05 - 4:06
    뜻이기도 합니다
  • 4:06 - 4:08
    매년 수백만 톤의 플라스틱이
  • 4:08 - 4:10
    쓰레기 매립지에 버려집니다
  • 4:10 - 4:12
    플라스틱은 생분해 되지않으며
  • 4:12 - 4:14
    단지 작은 조각으로
  • 4:14 - 4:16
    부서지기만 하면서
  • 4:16 - 4:17
    해양 생태계에 악영향을 주는데
  • 4:17 - 4:20
    그 악영향은 결과적으로
    인간에게 돌아옵니다.
  • 4:20 - 4:22
    중합체는 부드러울 수도, 딱딱할 수도 있고
  • 4:22 - 4:23
    끈적거릴 수도, 굳어 있을 수도 있으며
  • 4:23 - 4:25
    부숴지기 쉬울수도, 강할 수도 있습니다.
  • 4:25 - 4:27
    이러한 엄청난 다양성이
  • 4:27 - 4:28
    뜻하는 것은
  • 4:28 - 4:31
    엄청나게 다양한 물질들이
    만들어 질 수 있다는 것입니다
  • 4:31 - 4:31
    DNA에서 부터
  • 4:31 - 4:33
    나이론 스타킹에 이르기까지요
  • 4:33 - 4:35
    중합체는 너무나 유용해서
  • 4:35 - 4:37
    우리의 일상은
    이미 중합체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 4:37 - 4:39
    그러나 그들의 일부는
  • 4:39 - 4:41
    바다와 도시, 수로를 오염시켜
  • 4:41 - 4:42
    인간의 건강에 해를 끼치기도 하는데
  • 4:42 - 4:45
    지금에서야 우리는
    이러한 사실을 깨달아 가고 있는 것입니다
Title:
DNA에서부터 실리 푸티까지, 중합체의 다양한 세계 - 쟝 마팅리
Description:

당신은 중합체로 만들어져있습니다. 나무나 전화나 장난감도 마찬가지죠. 중합체는 동일한 분자들 (또는 단위체들)이 연결되어있는 것이며 딱딱하거나 유연한 성질을 갖게됩니다. 중합체없는 우리의 일상은 이미 상상할 수 없습니다. 중합체는 DNA처럼 자연히. 만들어지기도 하고 플라스틱, 실리 푸티, 스티로폼처럼 합성 될 수 도 있습니다 쟝 마팅리는 Ted-Ed 에서 중합체가 어떻게 우리의 세상을 바꾸어 놓았는지 설명합니다.

강연: 쟝 마팅리 (Jan Mattingly)
애니메이션 : TED-Ed

more » « less
Video Language:
English
Team:
closed TED
Project:
TED-Ed
Duration:
05:00
  • 수고하셨습니다. polymer란 단어를 일관성있게 하기 위해 중합체로 통일했습니다. 괄호로 된 부분은 더 많이 사용되는 단어나 부연설명을 위해 적어놨습니다.
    축합반응을 설명하는 부분이 어색해서 다시 했지만, 더 좋은 표현이 있다면 고쳐주세요. 감사합니다.

  • 번역 및 감수에 수고하셨습니다. 오타를 수정하고 그대로 승인합니다. 감사합니다.

Korean subtitles

Revisions Compare revis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