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 숫자를 추정해보는 똑똑한 방법 -마이클 미첼( Michael Mitchell)
-
0:16 - 0:19여러분들이 좋든 싫든, 우리는
매일 숫자를 사용합니다. -
0:19 - 0:22예를들어 소리의 속도와 같은 숫자들은
작고 처리하기 쉽습니다. -
0:22 - 0:27빛의 속도와 같은 숫자들은
훨씬 크고 다루기 까다롭습니다. -
0:27 - 0:32사람들은 이렇게 큰 숫자들을 다루기 쉬운 형식으로
표현하기 위해서 과학적 표기법을 사용합니다. -
0:32 - 0:41그래서 299,792,458 미터는
초당 3.0 곱하기 10의 8제곱 미터라고 씁니다. -
0:41 - 0:47올바른 과학적 표기법에서는 첫번째 항의 숫자가
1보다는 크고 10 보다 작은 숫자를 쓰도록 합니다, -
0:47 - 0:53그리고 두번째 항은 10의 제곱수, 즉 크기의 정도인데,
이것을 첫번째 항에 곱해 자리수로 표현합니다. -
0:53 - 0:59정확한 값이나 숫자가 필요하지 않을 때는
10의 제곱수를 통해 크기를 빠르게 가늠해 볼 수 있습니다. -
0:59 - 1:04예를 들어, 원자의 지름은 대략
10의 마이너스 12제곱 미터입니다. -
1:04 - 1:08나무의 높이는 약 10의 1제곱 미터 정도입니다.
-
1:08 - 1:11그리고 지구의 지름은 약
10의 7제곱 미터정도입니다. -
1:11 - 1:15숫자를 측정해보는 도구로써
10의 제곱수는 언제나 편리합니다, -
1:15 - 1:18마치 여러분들이 병속에 들어있는
초콜렛 갯수를 가늠해 볼 때 처럼 말이죠. -
1:18 - 1:22이것은 수학과 과학에서 필요로 하는 방법이고, 특히
페르미(Fermi)의 문제를 다룰 때는 더욱 그렇습니다. -
1:22 - 1:29페르미의 문제는 크기 추정을 빠르게 하기로 유명한
이태리 물리학자 엔리코 페르미(Enrico Fermi)의
이름을 따서 만들었습니다, -
1:29 - 1:32즉, 대략 적은 데이터를 가지고
빨리 추정해보는 방법이라고 합니다. -
1:32 - 1:36페르미는 원자폭탄을 개발한 맨하탄
프로젝트(Manhattan Project)에서 연구했습니다. -
1:36 - 1:41그리고 1945년에 트리니티(Trinity)에서 실험을 할 때,
페르미는 폭발 동안 몇 장의 종이를 떨어뜨렸습니다, -
1:41 - 1:45그리고 그 종이들이 날아가는
거리를 통해서 폭발의 강도를 -
1:45 - 1:52TNT 폭탄 10킬로톤으로 추정하였습니다.
실제로는 20킬로톤 정도의 크기였지요. -
1:52 - 1:59페르미 추정의 대표적인 예는 미국 시카고에 얼마나
많은 피아노 조율사가 있는지 계산해보는 것입니다. -
1:59 - 2:03우선, 풀리지 않은 너무나도 많은
미지수가 있을 것 같습니다. -
2:03 - 2:08그 문제는 정확한 답을 알 필요는 없을 때,
10의 제곱수를 응용한 좋은 예입니다. -
2:08 - 2:09추정은 잘 맞습니다.
-
2:09 - 2:13먼저 시카고의 인구수를
조사해 봅니다. -
2:13 - 2:18우리는 시카고가 대도시라는 것을 알고 있지만,
정확하게 몇 명이 살고 있는지는 명확하게 모릅니다. -
2:18 - 2:203백만명 일까요?
5백만명 정도 있을까요? -
2:20 - 2:25많은 사람들이 이런 불확실성에
불편해하는 것이 이 문제의 요점입니다, -
2:25 - 2:28하지만 우리는 10의 제곱수를
통해서 쉽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
2:28 - 2:32시카고의 인구 크기를 10의 6제곱
크기로 추정해 볼 수 있습니다. -
2:32 - 2:35이 숫자가 정확한 인구수는 아니지만,
-
2:35 - 2:41실제 인구가 대략 3백만명이 조금 안되는
실제 인구에 대한 추정치는 됩니다. -
2:41 - 2:45그래서 시카고에 10의 6제곱 정도의
인구가 있다면 피아노는 몇 대가 있을까요? -
2:45 - 2:49우리가 계속해서 크기로 이야기를 한다면,
-
2:49 - 2:5210명중에 1명 또는 100명중에 1명이
피아노를 가지고 있다고 말할 수 있겠죠. -
2:52 - 2:57인구수에 어린이와 성인이 포함되었다면,
-
2:57 - 3:02시카고에 약 10의 4제곱개, 즉 10,000대
정도의 피아노가 있다고 추정해 볼 수 있습니다. -
3:02 - 3:05이렇게 많은 피아노가 있다면,
피아노 조율사는 몇 명이나 있을까요? -
3:05 - 3:09피아노를 얼마나 자주
조율하는지부터 생각해보거나, -
3:09 - 3:13하루에 얼마나 많은 피아노가 조율되는지,
또는 조율사가 몇 일을 일하는지 생각해보죠, -
3:13 - 3:16하지만 그것이 빠른 추정의 요점은 아닙니다.
-
3:16 - 3:21크기를 생각하지 말고, 조율사가 1년에
10의 2제곱개 정도의 피아노를 조율한다고 생각하면, -
3:21 - 3:24그 숫자는 약 몇 백개정도 입니다.
-
3:24 - 3:27앞의 추정에서 10의 4제곱개의
피아노가 시카고에 있다고 했습니다, -
3:27 - 3:31그리고 조율사가 매년 10의 2제곱번
피아노를 조율한다고 했죠, -
3:31 - 3:35그럼 시카고에는 약 10의 2제곱명의
피아노 조율사가 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
3:35 - 3:37자, 저는 지금 여러분들에게
무슨 생각이 드는지 알고 있습니다: -
3:37 - 3:39어떻게 이 모든 추정들이
타당한 답을 줄 수 있을까요? -
3:39 - 3:46사실 상당히 간단합니다: 페르미의 문제에서,
과대 추정과 과소 추정이 서로 균형을 이룬다고 가정합니다, -
3:46 - 3:50그리고 보통 실제 해답에서 1자리수
이내 크기로 추정을 하게 됩니다. -
3:50 - 3:55피아노 조율사의 예는 시카고의 전화번호부에서
조율사의 숫자를 통해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
3:55 - 3:57몇명일까요? 81명입니다.
-
3:57 - 4:00우리가 해본 크기 추정이
상당히 정확하죠. -
4:00 - 4:03하지만, 그것은 10의 제곱입니다.
- Title:
- 큰 숫자를 추정해보는 똑똑한 방법 -마이클 미첼( Michael Mitchell)
- Description:
-
전체 강의보기: http://ed.ted.com/lessons/michael-mitchell-a-clever-way-to-estimate-enormous-numbers
병속에 얼마나 많은 사탕이 들어있는지 세보려고 한 적있나요? 또는 시카고에 얼마나 많은 피아노 조율사가 있을까요?. 물리학자인 엔리코 페르미는 이런 문제를 잘 풀었습니다. 큰 숫자들을 빨리 추정해보기 위해서 10의 제곱을 사용하는 방법을 배워보세요.
- Video Language:
- English
- Team:
closed TED
- Project:
- TED-Ed
- Duration:
- 04:15
![]() |
TED Translators admin edited Korean subtitles for A clever way to estimate enormous numbers - Michael Mitchell | |
![]() |
K Bang approved Korean subtitles for A clever way to estimate enormous numbers - Michael Mitchell | |
![]() |
K Bang accepted Korean subtitles for A clever way to estimate enormous numbers - Michael Mitchell | |
![]() |
K Bang commented on Korean subtitles for A clever way to estimate enormous numbers - Michael Mitchell | |
![]() |
K Bang edited Korean subtitles for A clever way to estimate enormous numbers - Michael Mitchell | |
![]() |
K Bang edited Korean subtitles for A clever way to estimate enormous numbers - Michael Mitchell | |
![]() |
Retired user added a transl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