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turn to Video

최초의 지하철은 어떻게 만들어졌을까요? ㅣ 크리스찬 월머(Christian Wolmar)

  • 0:06 - 0:09
    1863년 초
  • 0:09 - 0:12
    전 세계에서 처음으로 시도되었던
    런던의 지하철 시스템이
  • 0:12 - 0:16
    개통도 하기전에 이 도시를
    뒤집어 놓았습니다.
  • 0:16 - 0:20
    도시의 아래에 구멍을 뚫고
    그 위로 철도를 놓는다는 생각은
  • 0:20 - 0:22
    허튼소리처럼 들렸지요.
  • 0:22 - 0:25
    술집의 사람들은 이 아이디어를 비웃었고
  • 0:25 - 0:30
    한 목사는 지옥의 문을 열려고 한다는
    죄명으로 철도회사를 고발했습니다.
  • 0:30 - 0:36
    대부분의 사람들이 오늘날의 가치로
    1억 달러의 비용이 드는 이 프로젝트가
  • 0:36 - 0:37
    실패할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 0:37 - 0:39
    하지만 성공했지요.
  • 0:39 - 0:41
    1863년 1월 10일,
  • 0:41 - 0:46
    3만 명의 사람들이 세계 최초의
    지하철을 타려고 모여들었습니다.
  • 0:46 - 0:50
    이 런던의 노선은
    4마일을 가로질렀지요.
  • 0:50 - 0:53
    몇 번의 지연과 3년간의 공사 끝에
  • 0:53 - 0:56
    런던지하철이 영업할
    준비를 갖추었습니다.
  • 0:56 - 0:59
    런던의 공무원들을
    한 시름 놓게 되었지요.
  • 0:59 - 1:04
    그들은 도로 위의 심각한 교통 체증을
    줄일 방법을 찾으려고 노력했었습니다.
  • 1:04 - 1:08
    런던은 그 때 당시 세계에서 가장 크고
    가장 번영한 도시였습니다.
  • 1:08 - 1:11
    때문에 항상 교통체증에 시달렸지요.
  • 1:11 - 1:12
    수레들
  • 1:12 - 1:13
    행상인들,
  • 1:13 - 1:13
    소들,
  • 1:13 - 1:16
    그리고 출퇴근자들이
    도로를 가득 메웠습니다.
  • 1:16 - 1:20
    빅토리아의 선지자인 찰스 피어슨이
  • 1:20 - 1:23
    지하로 철도를 놓는다는 아이디어를
    처음으로 제시했습니다.
  • 1:23 - 1:27
    그는 1840년대에 지하철에 대해서
    꾸준히 로비를 했습니다.
  • 1:27 - 1:30
    하지만 반대파들은 그 아이디어가
    비실용적이라고 생각했지요.
  • 1:30 - 1:34
    그 때 당시의 철도들은 언덕을 지나는
    짧은 터널 정도만 있을 뿐이었기 때문입니다.
  • 1:34 - 1:38
    그런데 도시 한가운데를 가로지르는
    철도를 만든다니요?
  • 1:38 - 1:42
    이에 대한 해답은 "절삭식 공법"이라고
    불리는 간단한 방법이었습니다.
  • 1:42 - 1:45
    먼저 일꾼들은 아주 큰 땅굴을 팝니다.
  • 1:45 - 1:47
    그리고 벽돌로 아치형 터널을 만든 후에
  • 1:47 - 1:51
    이렇게 지어진 터널 위로
    다시 흙을 채우는 것이지요.
  • 1:51 - 1:53
    이 방법은 주변 지반을 붕괴시키고
  • 1:53 - 1:56
    터널 위에 있는 건물들을
    파괴해야 하기 때문에
  • 1:56 - 1:58
    대부분의 노선들은
    기존의 도로 아래로 지어졌습니다.
  • 1:58 - 2:01
    물론 사고들도 있었지요.
  • 2:01 - 2:05
    한 번은 강한 폭풍우 때문에
    근처에 있던 하수도가 넘쳐흘러서
  • 2:05 - 2:07
    공사장으로 뿜어져나온 적도 있습니다.
  • 2:07 - 2:10
    때문에 공사가 몇 달이나 지연되었지요.
  • 2:10 - 2:13
    하지만 런던 지하철이 개통되자 마자
  • 2:13 - 2:16
    런던 사람들은 새로운 기차에
    탑승하려고 몰려들었습니다.
  • 2:16 - 2:20
    지하철은 금방 런던 교통 시스템의
    핵심으로 자리잡게 되었지요.
  • 2:20 - 2:22
    이어서 노선이 계속 확장 되었고,
  • 2:22 - 2:26
    지하철역 주변으로
    교외지역들이 형성되었습니다.
  • 2:26 - 2:28
    철도를 따라서 큰 백화점들이 생겨나고,
  • 2:28 - 2:31
    철도 회사는 심지어
    관련 관광상품까지 만들었습니다.
  • 2:31 - 2:37
    얼스 코트에는 지하철로 관광객들을 불러오는
    30칸 짜리의 관람차 같은 것도 있지요.
  • 2:37 - 2:39
    30년 만에
  • 2:39 - 2:41
    런던의 지하철 시스템은
    80km로 넓어졌습니다.
  • 2:41 - 2:44
    열차는 도시 중심부에서는
    터널아래로 지나가고
  • 2:44 - 2:49
    교외로 나왔을 때는 주로 강을 따라서
    지상에서 움직였습니다.
  • 2:49 - 2:51
    하지만 런던은 계속 성장했고
  • 2:51 - 2:54
    더 많은 사람들이 지하철을
    이용하고 싶어했습니다.
  • 2:54 - 2:55
    1880년대 말에는
  • 2:55 - 3:00
    도시내의 건물과 하수도와
    전기선들이 너무 많아져서
  • 3:00 - 3:02
    "절삭식 공법"을 사용하기가
    힘들어졌습니다.
  • 3:02 - 3:04
    새로운 방법이 고안되어야 했지요.
  • 3:04 - 3:07
    그레이트헤드 쉴드라고 불리는
    기계를 사용하면
  • 3:07 - 3:11
    12명의 일꾼으로 구성된 팀이
    땅을 뚫을 수 있었습니다.
  • 3:11 - 3:15
    런던의 점토층을 지나서
    깊은 지하터널을 만들 수 있었지요.
  • 3:15 - 3:19
    이 새 노선들은 튜브라고 불러졌고
    그 깊이가 다양했습니다.
  • 3:19 - 3:23
    보통은 기존의 "절삭식 공법"보다
    대략 25m 더 깊어졌지요.
  • 3:23 - 3:26
    덕분에 이 건설 과정은
    지표면에 영향을 주지 않았고
  • 3:26 - 3:29
    건물 아래로 땅을 파는 것도
    가능해졌습니다.
  • 3:29 - 3:32
    첫 번째 지하철 라인인
    시내와 런던남부 노선은
  • 3:32 - 3:36
    1980년대에 개통되었고
    매우 성공적이었습니다.
  • 3:36 - 3:40
    덕분에 이후 20년 동안
    6개의 노선이 더 만들어졌지요.
  • 3:40 - 3:45
    이 기발한 신기술 덕분에
    이후에 지어진 여러 노선들은
  • 3:45 - 3:47
    런던의 템즈강 아래로도 만들어졌습니다.
  • 3:47 - 3:50
    20세기 초에 들어서는
  • 3:50 - 3:51
    부다페스트
  • 3:51 - 3:51
    베를린
  • 3:51 - 3:52
    파리
  • 3:52 - 3:53
    그리고 뉴욕까지
  • 3:53 - 3:56
    자기들만의 지하철을 만들었습니다.
  • 3:56 - 4:00
    그리고 오늘날에는 55개국의
    160개가 넘는 도시들이
  • 4:00 - 4:03
    교통체증을 해결하기 위해
    지하철을 이용하고 있지요.
  • 4:03 - 4:07
    우리는 찰스 피어슨과 런던 지하철에게
    감사해야 할지도 모르겠네요.
  • 4:07 - 4:09
    이들 덕분에 우리가 올바른 노선으로
    갈 수 있게 되었으니까요.
Title:
최초의 지하철은 어떻게 만들어졌을까요? ㅣ 크리스찬 월머(Christian Wolmar)
Description:

학생들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는 프로그램들을, TED-Ed Clubs에서 확인하세요: http://bit.ly/2J5g4eS

전체 강의 보기: https://ed.ted.com/lessons/how-the-world-s-first-subway-system-was-built-christian-wolmar

1863년 초, 런던의 아직 개통되지 않은 세계 최초의 지하철 시스템이 온 도시를 뒤집어 엎었습니다. 현재의 가치로 1억 달러의 비용이 들어가는 이 프로젝트가 성공할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거의 없었지요. 그렇다면 어떻게 이것이 가능해졌을까요? 크리스찬 월머가 도시 아래로 한 번 도 철도를 놓아보지 않은 시대에 처음 런던 지하철이 생기게 된 과정을 설명해줍니다.

강의: 크리스찬 월머, 영상: TED-Ed
이 영상을 위해 후원해주신 모든 후원자들께 감사드립니다. 당신들의 도움 없이는 이 비디오를 만들 수 없었을 것입니다! Kyanta Yap, Shawar Khan, Elizabeth Cruz, Rohan Gupta, Sarah Lundegaard, Michael Braun-Boghos, Yujing Jiang, Aubrie Groesbeck, Kathryn J Hammond, sammie goh, Delene McCoy, Mayank Kaul, Ruth Fang, Scott Gass, Mary Sawyer, Jason A Saslow, Joanne Luce, Rishi Pasham, Bruno Pinho, and Javier Aldavaz.

more » « less
Video Language:
English
Team:
closed TED
Project:
TED-Ed
Duration:
04:58

Korean subtitles

Revis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