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기 어느 영상 장면이 있습니다
-
스포츠 역사상
가장 흥미진진한 순간 중 하나이죠
-
더욱 더 흥미진진하게 하는 것은
해설자가 독일어로 말하고 있다는 것이죠
-
교육용으로 이용하는 것이니
괜찮다고 생각해요
-
이것에 관련된
수학 문제를 풀거거든요
-
이제 같이 이 동영상을 본 후
질문을 하겠습니다
-
..
-
자 이제 이 영상은 어떤 언어로
보든 재밌죠?
-
여기서 질문은 우사인 볼트는 얼마나
빠르게 가고 있었나요?
-
우사인 볼트가 100m 달렸을 때
평균 속력는 얼마인가요?
-
방금 영상을 충분히 본 후
생각해보세요
-
그리고 잠시 영상을 멈추고
각자 식을 먼저 세워본 후
-
함께 풀어봅시다
멈추고 풀어보세요
-
멈추고 풀어보세요
-
일단 우사인 볼트가 100m 갈 때
평균 속력을 알아야겠죠?
-
생각해봐야 할 것은
-
평균 속력,
혹은 평균 속력 비율이죠
-
이 개념에 대해
이미 알고있을 수도 있어요
-
거리가 속력이나 속도 곱하기
-
거리가 그냥 속도 x 시간이라고 쓸게요
-
곱하기를 저렇게 쓸수도 있겠지만
더 어려운 수학을 풀게되면
-
전통적으로 쓰는 곱하기 부호는
매우 헷갈릴 수 있어요
-
왜냐면 그게 변수 x와
똑같이 생겼거든요
-
그래서 대신,
곱하기를 이렇게 쓸게요
-
즉 거리는 속도 ∙ 시간이죠
-
다행히 무슨말인지
알 수 있죠?
-
예를들어 속력이 1초당 10m라면
-
문제랑은 상관 없지만
만약 누가 1초에 10m를 가는데
-
이렇게 2초 동안 가죠?
-
그러면 총 20m 간다는 것을
알 수 있죠
-
2초동안 1초당 10m 갔어요
-
계산이 맞죠?
10 x 2는 20이니까요
-
살펴보면 분모에 초가 있고
-
위의 분자에도 초가 있어요
-
위에도 있고
아래도 있으므로
-
그럼 약분되서 없어지고
미터만 남게 되요
-
그러니 20m만 남아있죠
-
이 내용이
이해가 되었으면 하네요
-
간단한 예를 봤으니
-
실제 문제에 대해서
생각해 봅시다
-
무슨 정보가 있죠?
-
여기 거리가 있나요?
-
동영상에서 거리가 얼마죠?
-
생각할 시간 좀 드릴게요
-
...
-
이 경기는 100m 였어요
-
그래서 거리는 100이죠
-
100m요
-
또 무엇을 알고 있나요?
-
속력를 찾아야하니
그걸 알아낼 거에요
-
여기서 다른 것들은
아는 것이 뭐가 있나요?
-
시간을 알 수 있나요?
-
시간 알아요?
-
우사인 볼트가 100m 뛰는데
걸린 시간이 얼마죠?
-
생각해볼 수 있게
몇 초 드릴게요
-
모든 과정을
재고 있진 않았어요
-
대신 세계 기록이라는 것을
보여줬고요
-
여기 시간이 초로 나타나있고
-
우사인 볼트가 100m 뛰는데
걸린 시간이죠
-
9.58초였어요.
그러면 초 대신 s를 쓰도록 하죠
-
그러니 주어진 정보에서
구하고자 하는 것은
-
속력를 초당 몇 미터를 갔는지
형태로 알려주는 것이죠
-
속력를 초당 미터 형태로
계산할 수 있는지 생각해보세요
-
거리도 알고, 시간도 알아요
-
공식 안에 이 값들을
대입해보도록 하죠
-
거리가 100m이고
-
100m 에요
-
속력은 모르기 때문에,
속력을 구하니까 바로 여기에 쓸게요
-
똑같은 색깔로 쓸거에요
-
속력 곱하기 시간인데요,
시간이 얼마라고요?
-
시간은 알죠?
-
9.58초이죠
-
9.58초요
-
그리고 속력을
알고싶습니다
-
속력을 구하고자 하는 거죠
-
그래서 우린 이걸 어떻게 하죠?
-
여기 식의 우변을 보면
-
9.58초 곱하기 속력이라고 썼어요
-
만약 우변을 9.58초로
나눌 수 있다면
-
우변에는 그냥 속력이 있을거고,
이게 알고싶은 것이죠
-
그럼 왜 그냥
-
우변을 9.58초로 나누지 않죠?
하고 말하겠죠?
-
그 이유는 만약 9를 했으면 단위가
다 약분되어 없어지는데
-
차원 해석법을 하고 있다는 가정하에 그래요
(이 말이 이해 안 가도 그다지 걱정하진 마세요)
-
단위가 약분되고
9.58또한 약분돼요
-
그러나 방정식의 한 변을
숫자로 나눌 수는 없어요
-
처음 시작할 때, 이것은 바로 여기 위에
있는 얘와 같았어요
-
만약 우변을 9.58로 나누면,
-
이 등식이 성립하기 위해서는 좌변
또한 9.58로 나누어야 해요
-
그러니 그냥 우변만을 나누면 안돼요
-
이 등식이 성립하기 위해서는
좌변도 나누어야 해요
-
만약 어떤 것과
다른 것이 같다고 하면,
-
그리고 그 다른 것을
또 다른 것으로 나누었으면,
-
그 둘이 같기 위해서는
-
처음 것을 또 다른 것으로
나누어야겠죠?
-
그래서 9.58초로 나누어요
-
그래서 우변에는
-
이 둘은 상쇄되고
-
좌변에 100을 9.58로
나누는 것이 남아 있어요
-
단위는 초당 미터인데
-
구하고자 하는 속력의
단위입니다
-
100을 9.58로 나누기 위해 계
산기를 꺼내요
-
9.58초로 나누어진 100m가 있어요
-
이것은 결과적으로
-
세 개의 유효 숫자가 있네요
-
그러니 10.4라고 하도록 하죠
-
10.4 라고 값을 구했고
-
10.4의 단위는 초당 미터인데
-
초당 미터는
구하려는 속력과 같죠
-
그 다음 문제는
답을 초당 미터로 구했는데
-
이 단위는 운전할 때 쓰지 않아요
-
속도계를 초당 미터가 아니고
-
시간당 킬로미터 아니면
시간당 마일입니다
-
그 다음에 할 것은
이 속력을 주어진 단위로 바꾸는 것입니다
-
100m당 평균 속력,
혹은 속력이에요
-
그러나 시간당 킬로미터로
생각해봅시다
-
한 번 먼저 계산해보세요
-
그럼 단계별로 같이 해보죠
-
아래에 그냥 다시 쓸게요
-
10.4로 시작했고,
미터를 파란색으로 쓰고
-
초를 자주색으로 쓸게요
-
시간당 킬로미터를 알고싶은데
초당 미터를 알고 있으니
-
차근차근 바꿔봅시다
-
우선 초당 킬로미터로
생각해봅시다
-
어떻게 계산 해야할지
잠깐 생각해보세요
-
초당 킬로미터로 바꾸려면
무엇을 해야하는지요
-
만약 초당 10.4m를 가면
-
10.4m가 몇 킬로미터죠?
-
킬로미터는 미터보다
1000배 더 크므로
-
그러므로 10.4m는
훨씬 적은 킬로미터겠죠?
-
1000으로 나눠봅시다
-
다른 방법으로 생각해보면
-
단위를 바꾸려면 미터 단위를
킬로미터 단위로 바꿔야해요
-
킬로미터를 원했으니까
미터 단위를 없애야겠죠?
-
그러므로 미터가 분자에 있으면
-
미터로 나누어야 하고,
그러면 미터는 약분이 되어 없어질 거에요
-
그러나 단순한 방법은
-
작은 단위인 미터에서 큰 단위인
킬로미터로 가는 것이므로
-
10.4m는
훨씬 작은 숫자의 킬로미터겠죠?
-
이렇게 생각하면
1 킬로미터당 몇 미터죠?
-
1km는 1000m와 같아요
-
얘는 바로 여기 있어요, 1000m 분의 1km
-
이것은 1 분의 1 이고,
원래 값은 변하지 않아요
-
결국은 1을
곱하고 있는 것이죠
-
이렇게 하면
무슨 값을 갖게 되나요?
-
미터는 약분으로 없어지고
킬로미터와 초만 남는데,
-
10.4를 1000으로
나눈 것이죠
-
10.4를 1000으로 나누려면
우선 10으로 나누어 보면
-
1.04라는 답을 얻게 될 것이고,
100으로 나누면 0.104가 되죠
-
1000으로 나누면 0.0104가 나오니까
10.4를 1000으로 나눈 것과 같습니다
-
단위는 초당 킬로미터가 되네요
-
킬로미터고 초는
바로 여기 있어요
-
등호 기호를 쓸게요
-
자 이제 이것을 시간당 킬로미터로 환산해봐요
-
그리고 이것도 생각해볼
시간을 좀 드릴게요
-
한 시간에는 3600초가 있으니까
1초당 몇 킬로미터를 가든
-
한 시간에는
3600배를 하면 되겠죠
-
그리고 단위도
맞출 수 있구요
-
지금 하고 있어요
-
이만큼 많이 하면
3600을 곱해야겠죠
-
한 시간에는 3600초가 있어요
-
1시간은 3600초
-
다른 방법으로 생각해보면
-
분모에 시간을 두고
초를 생각해봅시다
-
만약 시간당 초를 곱하면
-
한 시간에는
3600초가 있어요
-
초는 약분되어
사라질 것이고
-
분모에 시간만
남겨져 있을 거에요
-
초는 약분되어 사라지고
시간당 킬로미터만 남았고
-
이 숫자에 3600을 곱해야 해요
-
이걸 위해 계산기를 꺼내죠
-
계산기 꺼낼게요
-
0.0104 x 3600을 해야하고
이것은 37. ...가 나오네요
-
그냥 37.4라고 할게요
-
그니까 37.4
-
37.4 킬로미터네요
-
시간당 킬로미터요
-
37.4 시간당 킬로미터
-
바로 이것이 우리가 구한
평균 속력이에요
-
그리고 마지막으로 하고 싶은 것은,
미국에 살고 있는 우리들
-
이것을 야드파운드법,
영국 단위로 바꿔보아요.
-
그런데 웃기게도
-
영국에서는 쓰이지 않고,
오히려 미국에서 쓰이죠
-
구한 값을 시간당 마일로 바꿔보죠
-
모를까봐 말씀드리는데
-
1.61km는 = 1 mile과 같아요
-
이것을 시간당 마일로 환산할 수 있게
시간 좀 드릴게요
-
...
-
여기에서도 볼 수 있듯이 마일은
-
킬로미터보다 조금 커요
-
그러니까 특정 길이의 시간에
37.4km를 가면
-
여러분은 특정 길의의 시간에
조금 적은 길이의 마일을 가게 될 거에요
-
아니면 특별히
1.61로 나누어도 되고요
-
다시 써봐요
-
만약 시간당 37.4km가 있으면
-
더 큰 단위를 쓸 거에요
-
마일로 바꿔 쓸 거에요
-
그러니까 1보다 큰 것으로
나눌 거에요
-
1, 파란색으로 쓸게요
-
1 마일, 1마일은
1.61km와 같으니
-
아니면 1km당 1.61마일이
있다고 해도 되죠
-
그리고 다시 단위를
맞추는 작업을 해봐요
-
분자에 있는 킬로미터 단위를
마일로 바꾸고 싶기에
-
킬로미터가 분모에 있었으면 좋겠고
분자에 마일이 있었으면 하는 거죠
-
그게 분자에 마일이 있는 이유에요
-
다시 곱하거나
이 경우에는
-
1.61로 나누면
-
앞의 값을 그냥
1.61로 나누어 봅시다
-
그러면 23 정도가 나오니까
반올림하면 23.3이네요
-
값은 23.3이 나오죠
-
시간당 23.3km가 나오네요
-
시간당 20마일,
매우 빠르네요
-
우사인 볼트는 역시 가장 빠른 사람이네요
하지만 다르게 생각해보세요
-
차가 시간당 23.3마일 가는 것은
그다지 빨라 보이지 않네요
-
특히 동물 세계와 비교해서는
-
그다지 놀랍지 않아요
-
사실 돌진하는 코끼리에
비해서는 느려요
-
돌진하는 코끼리는
시간당 25마일이라고 하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