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turn to Video

Cell theory | Structure of a cell | Biology | Khan Academy

  • 0:00 - 0:04
    우리 현대인들은 세포의 존재와
  • 0:04 - 0:06
    모든 생명이 세포로 만들어져 있다는 사실,
  • 0:07 - 0:11
    우리 인간들도 하나의 생명체로서
  • 0:11 - 0:19
    무려 37조개의 세포로 되어 있다는 사실을
    너무나도 당연하게 느낍니다!
  • 0:19 - 0:23
    하지만 우리가 시간을 단지 400년 전으로만 돌려도
  • 0:23 - 0:25
    이것은 그리 당연하지 않았습니다
  • 0:25 - 0:27
    그것은 당시 사람들이 세포를 관측할 만한
  • 0:27 - 0:31
    적절한 도구가 없었기 때문입니다.
    세포가 그들 주위에 있었다는 것을 몰랐죠
  • 0:31 - 0:34
    그들은 단세포 동물이란게 존재하는지도 몰랐습니다!
  • 0:35 - 0:37
    하지만 이 모든 것은 로버트 훅과 함께 바뀌었습니다.
  • 0:39 - 0:44
    그는 가장 기초적인 현미경을 발명하였고,
  • 0:44 - 0:45
    이게 그의 현미경입니다만,
  • 0:45 - 0:47
    이걸 보시면 우리가 지금 사용하는 것에 비해
  • 0:47 - 0:49
    얼마나 단순했는지 알 수 있습니다.
  • 0:49 - 0:52
    상을 확대하는 렌즈들을 여기에 두고,
  • 0:52 - 0:56
    보시다시피 촛불을 사용해서 빛이
  • 0:56 - 0:59
    그가 관찰하는 물체에 반사되도록 했죠.
  • 0:59 - 1:04
    그리고 1665년에 그는 "Micrographia"를 출판하여
    (주: "작은 그림들", "작은 도면들"로 번역)
  • 1:04 - 1:07
    제가 발음을 제대로 하고 있는지 모르겠네요.
  • 1:07 - 1:12
    그래서 1665년에 출간된 이 책 속에
  • 1:12 - 1:15
    훅은 그가 현미경을 통해 관찰한 것들을
  • 1:15 - 1:19
    그림으로 그려 넣었습니다.
  • 1:19 - 1:21
    훅의 그림 실력은 꽤 출중한데,
    사실 훅은 꽤 뛰어난 예술가였죠,
  • 1:21 - 1:24
    이 덕분에 그는 이나 벼룩같은
  • 1:24 - 1:27
    그림을 자세히 그려넣을 수 있었습니다.
  • 1:27 - 1:31
    하지만 그가 이와 벼룩만 관찰할 수
    있었던 것은 아닙니다.
  • 1:31 - 1:37
    그는 현미경을 통해 코르크도 관찰했는데,
    이것을 보며 그는
  • 1:37 - 1:49
    "이 조그만 사각형들 좀 봐봐,
    마치 이 코르크의 기본 단위처럼 보이지 않니?"
  • 1:49 - 1:56
    "마치 수도승들이 생활하고 명상하는
    작은 방(cell) 같은걸?"
  • 1:56 - 1:58
    그래서 그는 이걸 세포(cell)라고 불렀습니다.
  • 1:58 - 2:00
    이게 세포의 어원이죠.
  • 2:00 - 2:02
    그는 '마이크로그라피아'에서 이것들을 세포라고 부릅니다.
  • 2:03 - 2:04
    이게 세포죠.
  • 2:04 - 2:07
    하지만 불행하게도, 지금 우리에게는
  • 2:07 - 2:10
    정말 훌륭한 그림들을 남긴 훅이
  • 2:10 - 2:14
    직접 그린 그림은 남아있지 않습니다.
  • 2:14 - 2:17
    매우 재미있는 이야기죠. 대부분의 가설들은
  • 2:17 - 2:23
    훅의 초안을 불태운 사람으로
    아이작 뉴턴을 지목하고 있습니다.
  • 2:23 - 2:26
    그리고 이 이야기는 언젠가 다시 만나게 될겁니다.
  • 2:26 - 2:32
    어쨌든, 훅이 '세포'라고 부른 것들은
    사실 죽은 조직의 죽은 세포들입니다.
  • 2:32 - 2:37
    엄밀히 말해, 그가 본 것은 세포벽의 잔해에 불과하죠.
  • 2:37 - 2:42
    그는 애초에 '살아있는 세포'를 관측할 수 없었고,
    더 나아가서
  • 2:42 - 2:46
    "이것이 모든 생명체를 이루는 단위이고
    이것들은 스스로 분열할거야!"
  • 2:46 - 2:53
    "모든 세포들은 다른 세포들로부터 만들어지는거지".
    와 같은 생각은 할 수도 없었습니다.
  • 2:53 - 2:57
    여기서 시계를 몇년 뒤로 돌리면, 우리는
    안토니 레벤후크를 만나게 됩니다.
  • 2:57 - 2:59
    이번에도 발음을 제대로 했는지 모르겠네요.
  • 3:00 - 3:04
    그는 네덜란드의 안경 제작자였는데,
    그는 훅에게 영감을 받고
  • 3:04 - 3:10
    "이봐, 나는 안경을 만드니까 내가 직접 렌즈를 깎으면
    더 훌륭한 현미경으로 보다 잘 관찰할 수 있지 않을까?"
  • 3:10 - 3:13
    그는 능력이 충분했고, 그가 직접 만든 현미경으로
  • 3:13 - 3:17
    그는 살아있는 세포와 단세포 생명체들을
    관찰할 수 있었습니다.
  • 3:17 - 3:20
    인간의 정자도 직접 볼 수 있었습니다.
  • 3:20 - 3:23
    그는 "야, 이거 살아있는 거 같아!"고 말했다죠.
  • 3:23 - 3:31
    그는 세포벽이 있는 단세포 진핵생물들,
    마치 단세포 동물들같은
  • 3:31 - 3:35
    원생생물들도 관찰했습니다.
  • 3:35 - 3:38
    그는 이것들을 "극미동물"들이라고 불렀지요.
    *animal(동물)+cule(작다)
  • 3:41 - 3:47
    "마치 꿈틀대는 작은 동물들같다"고 말하면서 말이죠.
  • 3:47 - 3:51
    그래서 그는 세포가 어쩌면 생명의 근간이 되며,
  • 3:51 - 3:54
    이 작은 것들도 '살아있는 생명'이라고 여겼습니다.
  • 3:55 - 4:03
    하지만 세포에 대한 완전한 이론은 여기에서
    100-150년이 더 흐르고서야 나왔습니다.
  • 4:03 - 4:05
    1800년대 초반에 말이죠.
  • 4:06 - 4:14
    우리가 도착한 1830년대에서 우리는 두 명의 신사,
    마티아스 슐라이덴과 테오도르 슈반을 만나게 됩니다.
  • 4:14 - 4:16
    이 분들이 우리가 '현대 세포 이론'이라고 부르는 것의
  • 4:16 - 4:19
    초석을 다진 사람들이죠.
  • 4:19 - 4:22
    현대 세포 이론.
  • 4:22 - 4:27
    이 둘은 그들의 관찰 결과와
    그들이 추론한 것을 바탕으로
  • 4:27 - 4:30
    "우리가 봤을 때 이 세상의 모든 생명체는"
  • 4:30 - 4:42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세포로 이루어져 있어!"
    라고 주장했죠.
  • 4:42 - 4:46
    우리는 지금 이를 당연하게 받아들이지만,
    사실 그렇게 당연하지는 않았습니다.
  • 4:46 - 4:52
    이 작은 세포가 모이고 모여 모든 생명체가 되었다는 사실은 자명하지 않았습니다.
  • 4:52 - 4:54
    하지만 어쨌든 만약 모든 생명이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세포로만 이루어져 있다면
  • 4:54 - 4:59
    우리는 세포가 생물의 기본 단위라고 말할 수 있을 것입니다.
  • 4:59 - 5:07
    "세포는 생물의 기본 단위이다."
  • 5:07 - 5:10
    이것은 꽤 강력한 문장으로,
  • 5:10 - 5:15
    만약 모든 생명체를 충분히 확대한다면
    결국 세포를 만나게 될 것이라는 말이지요.
  • 5:15 - 5:21
    그런데 이게 전부가 아닙니다. 이 두 사람은
    세포가 다른 세포로부터 생겨난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 5:21 - 5:25
    그들은 세포가 분열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지만,
    아직 의문은 남아 있었습니다.
  • 5:25 - 5:31
    "어떤 세포들은 분열을 통해 생기는 것은 알겠어.
    그런데 어떤 세포들은 자연적으로 생길 수도 있지 않나?"
  • 5:31 - 5:37
    "적절한 환경과 물질들만 넣어준다면 말이지.
    아니면 그냥 무에서 갑자기 생겼을 수도 있고."
  • 5:37 - 5:47
    우리는 이 의문을 1800년대 중반에 가서야 해결하고
    현대 세포 이론의 3번째 명제를 받아들이게 됩니다.
  • 5:47 - 5:51
    모든 세포는 다른 세포로부터 생겨난다는 것 말이죠.
  • 5:51 - 5:56
    모든 세포가, 다른 세포로부터.
  • 5:56 - 6:00
    이것을 해결해낸 장본인은 바로
  • 6:00 - 6:03
    여기에 나와있는 이 로버트 레막입니다.
  • 6:03 - 6:09
    가끔씩 이 공로를 루돌프 피르호한테 돌리기도 하는데,
    밝혀진 바에 의하면
  • 6:09 - 6:18
    사실 피르호는 레막의 연구를 표절한 것이었습니다.
    따라서 모든 세포는 다른 세포로부터 생긴다는 것을
  • 6:18 - 6:20
    입증한 공로는 레막에게 돌아가야 맞는 것이죠.
  • 6:20 - 6:24
    여기서 짚고 넘어가야 할 것은, 이 사실을 주장한 것이
    그가 최초는 아니라는 점입니다. 하지만 그는
  • 6:24 - 6:32
    "모든 세포가 자연적으로 생기지 않고
    다른 세포로부터 생기는 것은 근본적인 원리이다."는 것을 입증했습니다.
  • 6:32 - 6:35
    현대의 사람들마저도 이 명제를 읽고는
  • 6:35 - 6:37
    "세포가 다른 세포에서 생긴다면,
  • 6:37 - 6:43
    가장 처음에 존재했던 세포는 어떻게 생겼는가?"
    라고 의문을 던지지요.
  • 6:43 - 6:47
    사람들은, 물론 100% 확실하지는 않지만,
  • 6:47 - 6:53
    지구의 진화사를 되돌아봤을 때 최초의 세포는
    약 35억 년 전에 출현했을 것으로 추정합니다.
  • 6:53 - 6:57
    우리는 이 세포들이 어떻게 생겨났는지에 대해
    여러 가설들을 가지고 있습니다.
  • 6:58 - 7:01
    우리는 세포막을 구성하는 인지질들이
  • 7:01 - 7:09
    자연적으로 이중층을 형성하고,
  • 7:10 - 7:16
    심지어 그 이중층이 둥글게 말려
    구형 막이 될 수도 있다는 것을 압니다.
  • 7:16 - 7:19
    이런 구조가 자연적으로 생기고,
    여기서부터 세포가 출발한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 7:19 - 7:25
    그리고 어쩌면 세포의 조직 중
    RNA 분자나 단백질이
  • 7:25 - 7:29
    아주 오랜 시간 전에 우연히 등장해서
  • 7:29 - 7:35
    스스로를 복제하는 능력을 갖추고,
  • 7:35 - 7:40
    억겁에 가까운 시간동안
  • 7:40 - 7:45
    자신의 복제에 필요한 장치들을 인지질
    방울 안에 갖춰 나가며
  • 7:45 - 7:50
    더 에너지와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방향으로 진화해
  • 7:50 - 7:54
    현대 세포의 모습에 가까워졌을 것입니다.
  • 7:54 - 8:01
    하지만 자세한 과정은 아직도 미궁 속에 놓여있고,
    해답을 찾기 위해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Title:
Cell theory | Structure of a cell | Biology | Khan Academy
Description:

more » « less
Video Language:
English
Team:
Khan Academy
Duration:
08:03

Korean subtitles

Revis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