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포퓰리즘의 역사 - 타키스 S. 파파스 (Takis S. Pappas)
-
0:07 - 0:111970대 중반, 몇 십년동안
정치적 혼란을 겪었던 그리스는 -
0:11 - 0:15드디어 안정을 되찾아가는 것 같았죠.
-
0:15 - 0:17새 헌법이 도입되고
-
0:17 - 0:21유럽의 기관에 가입하기 위한
협상이 이뤄지는 동안 -
0:21 - 0:24많은 분석학자들은 그리스의 정치권이
-
0:24 - 0:27서구권의 패턴을 따를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
0:27 - 0:32그러던 1981년, PASOK이라는
정당이 권력을 잡았습니다. -
0:32 - 0:36카리스마 있는 당대표
안드레아스 파판드레우는 -
0:36 - 0:38새 헌법에 반대했고
-
0:38 - 0:42당시 권력을 잡고 있던 자들을
"국가의 배신자"라며 비난했습니다. -
0:42 - 0:47그리스가 NATO와 유럽 경제 공동체에
가입하는 것을 반대하며 -
0:47 - 0:49파판드레우는 무엇보다도
-
0:49 - 0:53"서민"들을 위한 정치를
할 것을 약속했습니다. -
0:53 - 0:59"기관이 아닌 오직 국민만이 존재할
뿐이다"라는 유명한 연설을 남겼죠. -
0:59 - 1:02파판드레우가 권력을 잡게 된 이야기는
독특한 사례가 아닙니다. -
1:02 - 1:05전세계의 많은 민주국가에서
-
1:05 - 1:08카리스마 있는 리더들은
정적들을 비방하고 -
1:08 - 1:13기관들을 폄하하며
국민의 힘을 주장합니다. -
1:13 - 1:17어떤 비평가들은 이런 행위를
권위주의적이나 파시스트라 부르며 -
1:17 - 1:20이 리더들이 유권자들을
속이고 조종하기 위해 -
1:20 - 1:23감정에 호소하는 것이라고 이야기합니다.
-
1:23 - 1:28하지만 이런 식의 정치가
윤리적이든 아니든 -
1:28 - 1:32확실히 민주적인 것이며 포퓰리즘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고 있습니다. -
1:32 - 1:35포퓰리즘이라는 단어는
고대 로마시절부터 있던 단어인데 -
1:35 - 1:40"민중"을 뜻하는 라틴어
"포퓰러스"로부터 나왔죠. -
1:40 - 1:45하지만 그 이후로 포퓰리즘은 여러가지
정치적 전략을 묘사하는데 사용되었는데 -
1:45 - 1:49종종 반직관적이고 때로는
모순된 목표를 가지고요. -
1:49 - 1:53포퓰리즘 운동은 군주제, 독점제,
-
1:53 - 1:56그리고 다양한 권력기관들에
맞서 싸워왔습니다. -
1:56 - 2:00이 단어에 관련된 역사를 여기서
다 얘기할 수는 없을 것 같네요. -
2:00 - 2:04대신 포퓰리즘의 한 가지 유형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
2:04 - 2:06파판드레우의 정권을 비롯한
-
2:06 - 2:10지난 70년 간의
여러 정권을 묘사하는 유형이 -
2:10 - 2:12바로 현대 포퓰리즘입니다.
-
2:12 - 2:17하지만 정치 이론가들이 이 현상을
어떻게 정의하는지 이해하기 위해서 -
2:17 - 2:21우리는 먼저 그것이 무엇에 대한
응답인지 탐구할 필요가 있습니다. -
2:21 - 2:22세계 2차대전의 폐해 속,
-
2:22 - 2:27많은 국가들이 전체주의 이념에서
벗어나고 싶어했습니다. -
2:27 - 2:29그래서 새로운 정치체제를 모색했죠.
-
2:29 - 2:32개인과 사회권을 우선시하고
-
2:32 - 2:36정치적 합의를 지향하며
법치를 존중하는 체제요. -
2:36 - 2:41결과적으로 대부분 서구 국가들은
오래된 정치 체제인 -
2:41 - 2:43자유 민주주의를 도입하게 됩니다.
-
2:43 - 2:47이 맥락에서 "자유"란 어느 정당을
지칭하는 말이 아니라 -
2:47 - 2:51세 가지 필수 요소를 지닌
민주주의를 일컫는 말입니다. -
2:51 - 2:55첫째, 자유민주주의는
사회가 갈등을 일으키는 -
2:55 - 2:59분열로 가득 차 있다는 것을
받아들입니다. -
2:59 - 3:02둘째, 자유민주주의는
사회의 많은 파벌들이 -
3:02 - 3:06이러한 분열에 걸쳐
공통점을 찾도록 요구합니다. -
3:06 - 3:09마지막으로 자유민주주의는
-
3:09 - 3:12헌법과 법률에 명시된
-
3:12 - 3:15법치주의와 소수자 권리의
보호에 의존합니다. -
3:15 - 3:18종합해보면, 이러한 이상적인 아이디어는
-
3:18 - 3:22관용과 편협함으로부터
우리를 보호하는 제도들이 -
3:22 - 3:27기능적이고 다양한 민주주의 사회의
기반임을 제안하고 있습니다. -
3:27 - 3:31자유 민주주의는 도입된 국가가
안정을 찾을 수 있도록 도왔습니다. -
3:31 - 3:35하지만 어느 정부 체제가 그렇듯이
모든 문제를 해결하진 못했죠. -
3:35 - 3:39여러 문제 중에서도 전례없는 빈부격차가
-
3:39 - 3:41소외되는 공동체를 만들어냈습니다.
-
3:41 - 3:46그들은 부유한 이웃들과
정치인들에 대한 신뢰를 잃게 됐죠. -
3:46 - 3:51다른 경우엔 부패한 정치가
민심을 더 잃게 만들기도 했습니다. -
3:51 - 3:55이 정치인들을 둘러싼 의심과 원망이
-
3:55 - 3:58국민들로 하여금 새로운 리더,
-
3:58 - 4:00기존의 체제에 도전하고
-
4:00 - 4:03국민의 필요를 우선시하는
리더를 찾도록 만들었죠. -
4:03 - 4:07이 반응은 여러 의미에서 실행중인
민주주의의 요점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
4:07 - 4:12다수의 사람이 필요를 충족받지
못하는 것 같다고 느끼면 -
4:12 - 4:17기존의 민주주의 체제를 이용해
변화를 가져올 리더를 선출할 수 있죠. -
4:17 - 4:23하지만 독단적이고 현대적인 포퓰리즘
후보자들에게 악용될 수도 있습니다. -
4:23 - 4:29현대 포퓰리스트들은 스스로를
"국민의 의지"를 구현한다고 칭하며 -
4:29 - 4:31개인과 사회적 권리를 보호하는 제도보다
-
4:31 - 4:35국민의 의지를 우선시합니다.
-
4:35 - 4:38현대판 포퓰리스트들은 이 제도가
-
4:38 - 4:42스스로의 이익만 추구하고
-
4:42 - 4:46도덕적인 서민 위에 군림하는 소수에
의해 지배당하고 있다고 주장합니다. -
4:46 - 4:51그 결과로 정치는 더 이상
관대한 민주적 제도를 통한 -
4:51 - 4:54타협과 합의를 추구하는 것이
아니게 됩니다. -
4:54 - 5:00대신 이 지도자들은 망가졌다고 생각하는
제도를 뒤집어 엎을 생각을 하죠. -
5:00 - 5:04이건 자유민주주의가 법정이나
자유 언론, 국가 헌법에 대한 제도에 -
5:04 - 5:08최고의 존경을 표하는 경우와 달리
-
5:08 - 5:13현대 포퓰리스트는 소위
"공동의지"에 동의하지 않는 -
5:13 - 5:16기득권을 폄하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5:16 - 5:19현대판 포퓰리스트 정당은
여러곳에서 생겨났는데 -
5:19 - 5:22이들 지도자는 눈에 띄게 비슷합니다.
-
5:22 - 5:25보통 카리스마 있는 인물로,
-
5:25 - 5:29스스로를 "국민의 의지"를
구현한다고 자처하죠. -
5:29 - 5:32그들은 자신들의 지지자들에게
터무니없는 약속을 하는 한편 -
5:32 - 5:37상대방을 나라를 망치는
반역자라며 몰아붙입니다. -
5:37 - 5:42하지만 이 정치인들이 정말 신념을 가진
사람들이건 교활한 기회주의자이건 -
5:42 - 5:43그들이 발산하는 역학관계는
-
5:43 - 5:47자유민주주의를 심각하게
불안정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
5:47 - 5:50현대판 포퓰리스트 리더들이
-
5:50 - 5:53그들이 내건 극단적인 공약을
지키지 않는다해도 -
5:53 - 5:58그들이 정치적 담론, 법치주의,
그리고 대중의 신뢰에 미치는 영향은 -
5:58 - 6:01재임기간 이후로도
지속될 수 있으니까요.
- Title:
- 현대 포퓰리즘의 역사 - 타키스 S. 파파스 (Takis S. Pappas)
- Speaker:
- 타키스 S. 파파스 (Takis S. Pappas)
- Description:
-
전체 강의 보기: https://ed.ted.com/lessons/the-rise-of-modern-populism-takis-s-pappas
많은 민주주의 국가에서 카리스마 있는 지도자들은 정적들을 비방하고 제도를 폄하하며 국민을 위한 것이라고 주장합니다. 일부 비평가들은 이 접근법을 권위주의적이거나 파시스트라고 부르는 반면, 다른 비평가들은 이 지도자들이 유권자들을 조종하고 있다고 주장합니다. 이런 스타일의 정치는 포퓰리즘이라는 이름으로 불립니다. 타키스 파파스 (Takis S. Pappas) 가 포퓰리즘이 한 나라에 미칠 수 있는 현상과 지속적인 영향을 탐구합니다.
강의: 타키스 S. 파파스 (Takis S. Pappas) 레슨, 감독: 패트릭 스미스 (Patrick Smith).
- Video Language:
- English
- Team:
closed TED
- Project:
- TED-Ed
- Duration:
- 06:02
![]() |
Yunjung Nam approved Korean subtitles for The rise of modern populism | |
![]() |
Yunjung Na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The rise of modern populism | |
![]() |
Yunjung Nam accepted Korean subtitles for The rise of modern populism | |
![]() |
Yunjung Na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The rise of modern populism | |
![]() |
Yunjung Na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The rise of modern populism | |
![]() |
Yunjung Na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The rise of modern populism | |
![]() |
Yunjung Na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The rise of modern populism | |
![]() |
Yunjung Na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The rise of modern populis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