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떠한 조건이나 대가를 바라지 않고 상대를 사랑하는 것을
-
조건 없는 사랑이라고 말합니다.
-
철학자들은 인간은 모든 행동이 어느 정도는 자기 이익을 위하기에
-
진정한 의미에서 조건 없는 사랑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주장합니다.
-
하지만 심리학자들은 부모 자식 관계에서는 조건 없는 사랑이 존재할 수 있다고 말합니다.
-
종교에서도 위대한 성인은 조건 없는 사랑을 실천했음을 주장합니다.
-
과연 인간은 조건 없는 사랑을 할 수 있는 존재인지요?
-
아, 이거 서양의 철학으로 묻는 소리네?
-
바칼로레아에 이런 게 있죠!
-
조건 없이 사랑할 수 없는 겁니다.
-
사랑은 네가 하려고 해서 되는 것도 아니다.
-
"그럼 우리가 지금 사랑하고 있는 건 뭡니까?"
-
네가 잘못 풀어서 사랑하고 있다는 단어를 쓴다.
-
이게 뭐냐?
-
사랑이라는 것은 너희들이 하고 싶다고 되는 게 아니고, 저절로 이루어지게 되어 있다.
-
내가 만난 사람에게 바르게 행위를 하면서 바르게 살면
-
저절로 사랑이 싹트고 사랑하게 돼 있다.
-
그럼 우리가 지금 이야기하고 있는 사랑은 뭐를 이야기하는 거냐?
-
좋아하는 걸 갖고 지금 사랑을 갖다 붙였다.
-
좋아하는 거. 좋아할 때 어떻게 좋아했는지 잘 보십시오.
-
우리가 만났어. 만났는데, 내가 이렇게 막 말을 하니까 잘 받아줘.
-
네가 말하는 거 내가 잘 받아줘. 그러니까 좋아했죠.
-
좋으니까 이게 싹터서 좋아서 내가 자꾸 이제 주고받는 것이
-
전부 다 내가 말하는 걸 티 없이 받아주니까 너무 좋은 거라.
-
그러면 어떻게 이야기하냐? 그거를 사랑하는 거라 그래요.
-
서로가 내주니까, 내주는 걸 받으니까
-
이때 경험을 하는 게 사랑처럼 느껴지는 경험을 해요.
-
그렇게 되면 어떻게 돼냐? 좋아 죽지요.
-
이러니까 어떻게 돼? 인생을 걸고 결혼까지 했어.
-
그 결혼 딱 하고 나서 어떻게 되대요?
-
네 말 잘 안 들어줘요.
-
그러면 상대도 상대가 하는 말 잘 안 들어 주면서 내 고집을 부리고, 내 방법으로 이야기하고
-
또 나한테 듣고 싶은 소리를 해 주기를 바라고, 자꾸 욕심을 내.
-
그러니까 멀어져.
-
이러면 너희가 사랑했던 거냐? 이게, 사랑
-
좋아했다가 식었다가 또 좋아졌다가 식었다가
-
요게 3차원의 기본 질서가 나오는 겁니다. 이게
-
3차원은 뭐가 있냐면, 주파수가 요렇게 돌아가요. 3차원은
-
좋았다가 식었다가 좋았다가 말았다가. 이게 3차원이에요.
-
인간이 사는 세상, 기본 주파수입니다. 이게
-
그렇게 해서 우리는 좋은 거를 사랑이라고 이야기했던 거예요.
-
그러니까 사랑했던 게 몇 개월 있다가 왜 싸우냐?
-
사랑이 이루어지는데, 사랑이 이루어지고 나면 싸움을 하냐? 절대 없습니다.
-
내가 진정 당신을 사랑한다! 싸움이라는 자체가 없어지는 겁니다.
-
당신이 나를 사랑한다! 절대 다툼이 없다.
-
당신 아픔을 내가 받아들이게 되어 있고,
-
내 아픔을 당신이 받아들이게 되어 있지 절대 안 싸운다.
-
욕심을 내지 않는다.
-
"달링, 나 사랑해?" 확인도 안 해.
-
지금 만지고 있는 거는 사랑을 잘못 만지는 데서 그런 것들을 지금 묻고 있는 것이다.
-
사랑은 우리가 서로를 위해서 노력을 해서,
-
인연이 만나 노력하는 것이 70% 될 때, 30% 갖고는 사랑이 안 나와요.
-
항상 의심하게 되어 있고, 항상 내가 욕심 내게 돼 있어.
-
70%가 딱 되면 어떻게 되냐? 사랑이라는 이 에너지가 나와요.
-
70%! 70% 완성이에요
-
70% 되면 그다음부터는 1%씩 우리가 인생 끝날 때까지 사는 거예요.
-
길을 우리가 알았고 여기까지 왔기 때문에,
-
1%씩 인생이 끝날 때까지 서로한테 도움이 되면서 살아가는 것, 마무리하는 것.
-
이걸 보고 사랑을 하는 사람들이라고 이야기해요.
-
항상 나는 너를 아끼고, 너는 나를 아끼고 있어.
-
이거는 하느님도 갈라놓지를 못해.
-
이 사랑은 영혼이 돼서도, 신이 돼서도, 이건 너희들이 이룬 결체이기 때문에
-
신도 못 갈라놓고, 너희는 신이 돼서도 파트너로 가는 거야.
-
이게 그렇게 되게 하려고 부부를 만들어 준 겁니다.
-
부부는 인연을 준 거예요.
-
인연을 주기 위해서는, 처음에 인연이 되려고 그 사람 말을 잘 들어 주죠.
-
내 말을 또 잘 저 사람이 들어 줘. 그러니까 인연이 딱 걸린 거예요.
-
결혼이라고 딱 하고 나니까 그다음부터 귀찮아하는 거야. 말을 자꾸 하면
-
이제부터 너희들은 다시 멀어져야 돼.
-
사랑이 싹트는 방법을 처음에 가르쳐준 거다.
-
사랑이 싹트는 방법을 가르쳐 줬는데, 결혼을 딱 하고 나니까
-
목적을 딱 내가 차지하고 나니까, 사랑하는 방법이고 지랄이고 다 때려치우고
-
이제 내 말을 듣기를 바라고, 욕심으로 우리가 같이 사니까 멀어지고
-
이래서 전부 다 나중에 시간이 지나니까, 같이 살아도 사는 게 아니야.
-
서로를 위해서 살 때 같이 사는 거예요.
-
이거를 지금 우리 홍익인간 지도자들이 이런 공부를 해서 깨달아가지고
-
우리가 그런 거를 하면서 보니까, 너무 살기가 좋아가지고
-
이거를 국제 사회에 나누어야 되는,
-
국제 사회에 사랑을 나누려고 하면 나부터 사랑을 알아야 되고, 사랑해야 되고
-
내 주위 사람하고 사랑을 해야 되고,
-
이런 거를 하는 게 우리가 연구하게끔 만들어 놓은 겁니다.
-
부부 생활도 우리는 연구하게끔 만들어 놓은 거예요
-
"왜 내가 당신을 쳐다보면 요새 기분이 나쁘지?" 이걸 연구해 보라고
-
요새는 당신이 좀 좋아져. 이것도 연구해. 왜 이렇게 됐지?
-
이걸 따지고 들어가면 우리가 연애할 때 이랬잖아. 그래서 좋아서 결혼까지 했잖아.
-
딱 나온다니까 이게. 따지고 들어가면서 연구를 해보면
-
이제 이런 식으로, 철학으로 우리가 물어오는 거는 일반 사회에 사는 방법으로 가지고
-
이것이 진짜 행복할 수 있느냐고 이때까지 묻기만 했지, 답이 나온 적이 없어요.
-
사랑은 우리가 노력을 해서 이루어내는 게 사랑이에요.
-
노력 없이는 절대 사랑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왜?
-
만나는 이 자체가 원수끼리 만나는 것이기 때문에
-
욕심을 낼 수밖에 없는 삶을 살고 있다. 모르고 살면.
-
인연은 원수가 아니면 인연이 안 돼요.
-
서로가 빚을 갚으라고 인연을 주는 거야.
-
그러면 내가 너를 위해서 노력을 한 게 있어야 빚이 갚아져.
-
너는 나를 위해서 노력을 해야 빚이 갚아지고
-
그래서 인연법을 그렇게 우리한테 중요하게 준 겁니다.
-
서로를 위해서 그래서 결국은 홍익사행도를 내가 내 준 거예요.
-
작게 생각을 하고 살아도 이웃을 위해서 살려고 노력을 해라.
-
조금 더 크게 살면, 우리가 이 사회를 위해서 살려고 노력을 하는 사람.
-
이것이 한 사람을 만나는 건 내가 연구하고 있는 거고,
-
이 사회를 위해서 우리가 살 때, 사회를 사랑하면 우리 이 자체를 지금 사랑하는 거예요.
-
우리를 사랑하는 거야.
-
그러면 나라를 위해서, 인류를 위해서, 이게 홍익인간 지도자들 교육을 시키고 있는 겁니다.
-
인류를 아끼고 사랑하지 못하면 인류 평화는 이루어낼 수가 없어.
-
나라를 아끼는 자가 아니면 나라 주인이 될 자격이 없어.
-
사회를 아끼지 못하면 사회를 위해서 내가 사는 공인이 될 수가 없고,
-
이웃을 아낄 때 우리는 서로가 평화가 일어나는 거예요.
-
홍익사행도
-
우리가 태어나면 사주를 갖고 태어나듯이
-
사주를 갖고 태어난 것이 우리가 태어날 때 오는 자연에서 주는 숙제고,
-
그다음에 우리가 성장기에 태어났기 때문에 너한테 한 개를 더 줬어.
-
너희들은 민족의 역사적 사명을 띠고 태어난 것이라고 한 개를 더 주고,
-
여기에 네 기둥을 세워 줬어.
-
너희들이 민족의 역사적 사명을 띠고 이 땅에 태어났기 때문에
-
그 역사를 일으키기 위해서는 인류가 가지고 있는 에너지를 너희한테 다 주려고
-
그게 지식과 문화가 이 대한민국으로 다 온 거예요.
-
5천 년 동안 가꾸고 보존해 갖고 마무리를 해서 우리한테 다 들어왔다.
-
그렇게 해서 조상들이 희생하면서 이때까지 마지막에 5천 년 산 것을 그 희생을 빛내라. 너희들이
-
그렇게 해서 너희들 소질을 전부 다 성장시켜서
-
이런 걸 전부 다 풀어 가지고 안으로 자주독립해라.
-
바른 답을 찾아라 이 말이야. 바른 답을
-
복지도 바른 답, 사랑도 바른 답, 모든 가정도 바른 답,
-
바르게 사는 답을 찾아라. 이 말이야.
-
이 나라의 주인이 되는 것도 바른 답을 찾아서 주인이 돼야지.
-
인류의 주인이 되려면 인류를 아끼고 사랑해야만 그렇게 되느니라.
-
이 소리를 하는 거예요.
-
그렇게 해서 바른 답을 찾아서 인류 공영에 이바지할 때다.
-
이 네 기둥을 딱 세워 준 것이 홍익인간 지도자들한테 하늘의 숙제가 내려온 거예요. 이게.
-
그게 홍익인간 훈시라.
-
그렇게 살아야만 우리는 천상을 갈 수 있고, 우리한테 숙제를 준 거예요
-
그렇게 했는데 우리가 성장기가 딱 끝나고 나니까 내가 무엇을 주냐?
-
또 네 기둥을 세워 준다. 우리는 활동을 하고 떠나야 되니까.
-
활동을 어떻게 하냐?
-
작게 생각해도 이웃을 위해서 살고,
-
조금 더 크게 생각하면 사회를 위해서 살고,
-
조금 더 크게 생각을 하면 나라를 위해서
-
더 크게 생각하면 인류를 위해서 우리가 내 삶을 불태우고 마무리해라.
-
요거 네 기둥을 세워 주는 거예요. 지금.
-
이렇게 안 살면 홍익인간 지도자들이 사는 방법이 아니기 때문에
-
우리는 성과를 못 본다.
-
이제 그런 것들을 내가 이끌어 주려고 나온 사람이니까
-
우리는 모르기는 해도 우리가 진짜로 가기 편하게끔 만들어 줄 테니까
-
그때 동참해서 같이 가자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