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독증이란? - 켈리 샌드맨-헐리(Kelli Sandman-Hurley)
-
0:13 - 0:15잠깐만 다음을 읽어보세요.
-
0:22 - 0:23어땠나요?
-
0:23 - 0:24답답했나요?
-
0:24 - 0:25느렸나요?
-
0:25 - 0:26이 문장들이 무슨 말을 하는 거죠?
-
0:26 - 0:28이 문장들은 실제로
-
0:28 - 0:30사람들이 단어를
하나 하나씩 해독하게 만든 -
0:30 - 0:33난독증 체험에 대한
시뮬레이션입니다. -
0:33 - 0:36난독증을 가진 사람들은
이 힘든 과정을 -
0:36 - 0:38읽기를 할 때마다 경험합니다.
-
0:38 - 0:40대부분의 사람들이 난독증하면,
-
0:40 - 0:43글자와 단어들의 좌우가
반전되어 보이는 것으로 생각합니다. -
0:43 - 0:45b를 d로 본다거나
d를 b로 보거나 말이지요. -
0:45 - 0:47또는 난독증을 가진 사람들은
-
0:47 - 0:49saw를 was로 볼 수도 있습니다.
-
0:49 - 0:52사실 난독증을 가진 사람들은
-
0:52 - 0:55다른 모든 사람들과
같은 방법으로 사물을 봅니다. -
0:55 - 0:59난독증은 음운 체계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합니다. -
0:59 - 1:01말하자면 난독증을 가진 사람들은
-
1:01 - 1:03언어를 보는데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니라 -
1:03 - 1:05언어를 처리(조작)하는데
문제가 있는 것입니다. -
1:05 - 1:08예를 들어, cat이라는 단어를 듣고
-
1:08 - 1:11누군가 여러분에게
cat의 "c를 빼세요"라 하면 -
1:11 - 1:12어떤 단어가 남을까요?
-
1:12 - 1:14At 이죠.
-
1:14 - 1:16이것은 난독증을 가진 사람들을
더 어렵게 합니다. -
1:16 - 1:18fantastic처럼
-
1:18 - 1:19단어 하나만 주어진다면,
-
1:19 - 1:21난독증을 가진 학생들은
단어를 읽기 위해 -
1:21 - 1:23부분 부분으로 쪼개야 합니다:
-
1:23 - 1:24fan,
-
1:24 - 1:25tas,
-
1:25 - 1:26tic.
-
1:26 - 1:28해독하는데 걸리는 시간 때문에
-
1:28 - 1:30같이 읽는 사람과 따라가기 어렵고
-
1:30 - 1:32충분하게 이해하는데 방해가 됩니다.
-
1:32 - 1:34단어들을 소리나는대로 표기하는 것
-
1:34 - 1:35예를 들면 stick을
-
1:35 - 1:36stik이라 표기하든지
-
1:36 - 1:38friends를
-
1:38 - 1:39frens라고 하는 것
-
1:39 - 1:41또한 흔합니다.
-
1:41 - 1:44이런 문제점들은
보통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 보다 -
1:44 - 1:45더욱 흔하고 다양하게 존재합니다.
-
1:45 - 1:49난독증은 대개
5명중 1명에게 나타납니다. -
1:49 - 1:50난독증은 연속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
1:50 - 1:52어떤 사람은 가벼운 난독증을 가졌는데
-
1:52 - 1:56그 옆사람은
심각한 난독증을 가지고 있을 수도 있습니다. -
1:56 - 1:58난독증은 집안 내력이기도 합니다.
-
1:58 - 2:00가족 중 한 명이
-
2:00 - 2:02철자법에 문제가 있는 경우
-
2:02 - 2:03다른 가족이
-
2:03 - 2:07catch 같은
-
2:07 - 2:09한 음절 단어를 해독하는 것도
매우 힘들어하는 경우가 흔합니다. -
2:09 - 2:12난독증의 연속성과 분포도는
-
2:12 - 2:15난독증을 가진 사람들의 뇌가
-
2:15 - 2:17어떻게 언어를 처리하는지를 볼 때
-
2:17 - 2:19우리가 명심해야할
폭 넓은 원칙을 제시합니다. -
2:19 - 2:21신경학적 다양성이란
-
2:21 - 2:24우리 개개인의 뇌는
-
2:24 - 2:26구조와 기능이 다르기 때문에
-
2:26 - 2:28'표준'에서 벗어난 모든 편차들을
-
2:28 - 2:30곧바로 병리학적 장애로
-
2:30 - 2:32이름 붙이거나
-
2:32 - 2:35이런 차이점을 지닌 사람들을
-
2:35 - 2:37'결함이 있다'고
무시하면 안된다는 생각입니다. -
2:37 - 2:40난독증 같은 신경생물학적
차이점을 지닌 사람들 중에는 -
2:40 - 2:43매우 창조적이고
창의성이 풍부한 사람들이 있습니다. -
2:43 - 2:44피카소나,
-
2:44 - 2:45모하매드 알리,
-
2:45 - 2:46우피 골드버그,
-
2:46 - 2:47스티븐 스필버그,
-
2:47 - 2:48셰어,
-
2:48 - 2:50이들은 분명히 훌륭하고
성공적인 삶을 살 수 있는 -
2:50 - 2:53모든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
2:53 - 2:55자, 여기 난독증을 가진
사람들의 뇌가 작용하는 -
2:55 - 2:57특수한 방식이 있습니다.
-
2:57 - 3:00뇌는 두개의 반구로 나누어집니다.
-
3:00 - 3:03좌뇌는 일반적로 언어와,
-
3:03 - 3:04궁극적으로는 읽기를 담당하고 있고
-
3:04 - 3:08우뇌는 대개 공간적 기능을 담당합니다.
-
3:08 - 3:10fMRI 연구에 의하면
-
3:10 - 3:12난독증을 가진 사람들의 뇌는
-
3:12 - 3:15그렇지 않은 사람들의 뇌보다
-
3:15 - 3:18좀 더 우뇌와 전두엽에 의존한다는 것이
밝혀쟜습니다. -
3:18 - 3:20다시 말하자면 그들이 단어를 읽을 때
-
3:20 - 3:22뇌까지 도달하는 것이 더 오래 걸리고
-
3:22 - 3:25전두엽에서 지연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
3:25 - 3:27이런 사소한 신경 생물학적 결함으로
-
3:27 - 3:29그들은 읽는 것을 더 어려워합니다.
-
3:29 - 3:31하지만 난독증을 가진 사람들은
-
3:31 - 3:32언어를 분해하고
-
3:32 - 3:35독자로 하여금
-
3:35 - 3:38음절의 형태와 철자법에 근거해서
해독하게 하는 -
3:38 - 3:39집중적이고 다감각적인 도움을 받아
-
3:39 - 3:41뇌(가 작용하는 방식)를 실제로 바꾸고
-
3:41 - 3:44읽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
3:44 - 3:46난독증을 가진 사람들의 뇌가
-
3:46 - 3:48읽는 동안
-
3:48 - 3:50좌뇌를 좀더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하면
-
3:50 - 3:52그들의 읽기 실력이 나아집니다.
-
3:52 - 3:53이런 도움은
-
3:53 - 3:56난독증을 뇌의 기능적 변수를
-
3:56 - 3:58적절하게 파악하기 때문에
가능한 것입니다. -
3:58 - 4:01그리고 뇌는 자연적으로
사람에 따라 다른 -
4:01 - 4:03온갖 변수를 보여주지요.
-
4:03 - 4:06신경학적 다양성은
모든 인류의 뇌기능에서의 -
4:06 - 4:08이러한 다양성을 강조하고
-
4:08 - 4:11우리 주변에 난독증을 가진 사람들의 관점을
-
4:11 - 4:13좀 더 잘 이해하기 위해서
-
4:13 - 4:16그들의 눈을 통해서만 세상를 볼 것이 아니라
-
4:16 - 4:18그들의 뇌를 통해서
세상을 이해해야 한다고 제안합니다.
- Title:
- 난독증이란? - 켈리 샌드맨-헐리(Kelli Sandman-Hurley)
- Speaker:
- Kelli Sandman-Hurley
- Description:
-
전체 강연 보기: http://ed.ted.com/lessons/what-is-dyslexia-kelli-sandman-hurley
인구 5명중 1명이하 정도가 난독증에 영향을 받습니다.
그러나 난독증에 의한 증상은 사람마다 똑같지 않습니다.
이 언어를 처리의 어려움에 있어 다양한 상황이 존재합니다. -- "정상" 은 아니지만 "장애"도 아닌 경우처럼이요.
켈리 샌드맨-헐리는 우리에게 난독증을 가진 뇌의 기능에 대해서 다시 생각해보고, 뇌의 신경 다양성에 감사하자고 강력히 권고합니다.강연: 켈리 샌드맨-헐리(Kelli Sandman-Hurley),
동영상: 마크 크리스토포리더스(Marc Christoforidis) - Video Language:
- English
- Team:
closed TED
- Project:
- TED-Ed
- Duration:
- 04:35
![]() |
TED Translators admin edited Korean subtitles for What is dyslexia? | |
![]() |
K Bang approved Korean subtitles for What is dyslexia? | |
![]() |
K Bang edited Korean subtitles for What is dyslexia? | |
![]() |
K Bang commented on Korean subtitles for What is dyslexia? | |
![]() |
K Bang edited Korean subtitles for What is dyslexia? | |
![]() |
Jeong-hwa Seo accepted Korean subtitles for What is dyslexia? | |
![]() |
Jeong-hwa Seo edited Korean subtitles for What is dyslexia? | |
![]() |
Moonjung Kyung edited Korean subtitles for What is dyslexia? |
K Bang
수소 하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