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노 기술의 다음 단계
-
0:01 - 0:04조각가가 조각상 하나를
만들고 있다고 상상해볼까요. -
0:04 - 0:06정으로 조금씩 돌을 깎아내겠죠.
-
0:06 - 0:09미켈란젤로는 그 과정을
이렇게 멋지게 표현했습니다. -
0:09 - 0:12"모든 돌덩이 속에는 이미
조각상이 들어있습니다. -
0:12 - 0:15그걸 발견하는 것이
조각가의 몫입니다." -
0:15 - 0:18하지만 작업 순서가
반대였다면 어땠을까요? -
0:18 - 0:20단단한 돌덩어리에서
시작하는 것이 아니라 -
0:20 - 0:21무수한 먼지로 시작했다면요.
-
0:22 - 0:25어떻게든 그 작은 입자들을
붙여서 조각상을 만들어야 했겠죠. -
0:26 - 0:27어림도 없는 얘기죠.
-
0:27 - 0:29아마 불가능할 것입니다.
-
0:29 - 0:32먼지로 조각상을 만드는 유일한 방법은
-
0:32 - 0:34조각상이 저절로
만들어지는 것 밖엔 없죠. -
0:34 - 0:38그런데 우리가 어떻게든
먼지들을 하나로 합쳐서 -
0:38 - 0:40조각상을 만든다면요?
-
0:40 - 0:42이상한 소리처럼 들리겠지만
-
0:42 - 0:46저희 연구소에서는 바로
이런 문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
0:46 - 0:47물론 저는 돌을 깎지 않아요.
-
0:47 - 0:49나노물질을 가지고 일하죠.
-
0:49 - 0:53믿을 수 없을 정도로 작고
흥미로운 물질입니다. -
0:53 - 0:57얼마나 작냐면, 이 장치를
나노입자라고 했을 때 -
0:57 - 1:00인간의 머리카락은
이 공간만 하다고 보면 됩니다. -
1:00 - 1:02이것들이 나노기술 분야의 핵심이죠.
-
1:02 - 1:04다들 나노기술에 대해
들어보셨을 거예요. -
1:04 - 1:08또 이것이 세상을 어떻게
바꿀 건지도 들어보셨겠죠. -
1:08 - 1:09제가 대학원에서 공부할 때
-
1:09 - 1:13나노기술을 공부하는 것이
가장 재미있었습니다. -
1:13 - 1:16과학적 발전이 계속 일어났죠.
-
1:16 - 1:17학회들은 술렁거렸고
-
1:17 - 1:20연구비 지원 기관들은
엄청난 돈을 쏟아부었습니다. -
1:21 - 1:22그 이유는
-
1:22 - 1:24어떤 물체가 아주 작아지면
-
1:24 - 1:27우리가 상호작용하는 일반적인
사물에 대한 물리법칙과는 -
1:28 - 1:29전혀 다른 물리학의 지배를 받습니다.
-
1:29 - 1:31이걸 양자역학이라고 하죠.
-
1:31 - 1:34이 이론에 따르면 여러분은 물질의
움직임을 정확히 조종할 수 있습니다. -
1:34 - 1:36겉보기에 아주 작은
변화를 줌으로써 말이죠. -
1:37 - 1:39예를 들면, 적은 양의
원자들을 더하거나 빼고 -
1:39 - 1:41물질을 비트는 겁니다.
-
1:41 - 1:43이건 마치 최고의 공구세트 같습니다.
-
1:43 - 1:46무엇이든 만들 수 있는 능력을
얻었다는 느낌이 들 정도죠. -
1:46 - 1:47그리고 우리는
-
1:47 - 1:50그러니까, 저와 함께
공부했던 대학원생들은 -
1:50 - 1:54나노물질로 아주 빠른 컴퓨터를
만들고자 노력했습니다. -
1:54 - 1:55저희는 양자 입자의 구성을
연구하고 있었고 -
1:55 - 1:59언젠가는 그것으로 우리 몸 속의
질병과 싸울 수 있을거라 생각했죠. -
1:59 - 2:02심지어 탄소 나노뷰트를 이용해서
우주로 가는 엘리베이터를 만들려는 -
2:02 - 2:03연구팀도 있었습니다.
-
2:04 - 2:06찾아보셔도 됩니다. 사실이니까요.
-
2:07 - 2:08어쨌든, 우리는 이것이
-
2:08 - 2:12컴퓨터에서 의학까지, 과학과 기술
전분야에 영향을 줄거라고 생각했죠. -
2:12 - 2:13그리고서 깨달았습니다.
-
2:13 - 2:15제가 맹목적으로 빠져있었다는 걸요.
-
2:15 - 2:18완전히 빠져있었죠.
-
2:19 - 2:20하지만 그건 15년 전입니다.
-
2:21 - 2:22그리고
-
2:22 - 2:25과학이 놀랍도록 발전했습니다.
-
2:25 - 2:26많은 것들을 배웠죠.
-
2:26 - 2:30우린 그 과학 지식을 새로운 기술에
접목시킬 수 없었습니다. -
2:30 - 2:33사람들에게 실제로 영향을
줄 수 있는 기술들 말이죠. -
2:33 - 2:35왜냐하면, 이 나노물질들은
-
2:36 - 2:37양날의 검과 같기 때문입니다
-
2:37 - 2:39이것들이 흥미로운 이유 중 하나인
-
2:39 - 2:41작은 크기 때문에
-
2:41 - 2:43그 물질을 다루는 것이 불가능했습니다.
-
2:43 - 2:47말 그대로 먼지 더미로
조각상을 만드는 것과 같았죠. -
2:47 - 2:51게다가 그것들을 다룰 수 있을 만큼
세밀한 도구도 없었습니다. -
2:51 - 2:53있었다고 해도 힘들었을 거예요.
-
2:53 - 2:57왜냐하면 기술에 적용하려면 그 수 백만의
입자들을 하나하나 모아야 하는데 -
2:57 - 2:58그럴 수 없었기 때문이죠.
-
2:59 - 3:00바로 그 문제로
-
3:00 - 3:03모든 가능성과 모든 기대감이
그대로 멈췄습니다. -
3:03 - 3:05가능성과 기대감 모두 말이죠.
-
3:05 - 3:07질병과 싸우는 나노봇도 없고
-
3:07 - 3:09우주로 가는 엘리베이터도 없으며
-
3:09 - 3:13제가 가장 관심있었던
새로운 컴퓨터도 사라졌죠. -
3:13 - 3:16여기서 마지막이 제일 중요합니다.
-
3:16 - 3:17우리가 예상컨대
-
3:17 - 3:21컴퓨터의 발전 속도는
무한대로 증가할 것입니다. -
3:21 - 3:23이 개념을 토대로 모든
경제 기반이 세워졌죠. -
3:23 - 3:25그 발전 속도는
-
3:25 - 3:29더욱 많은 장치들을 컴퓨터 칩에
넣을 수 있는 능력에 달려있습니다. -
3:29 - 3:31그리고 그 장치들이 작아질수록
-
3:31 - 3:33속도는 빨라지고,
에너지 소비도 줄어들며 -
3:34 - 3:35가격은 저렴해집니다.
-
3:35 - 3:40이들이 통합되어 놀라운
속도로 발전하는 것이죠. -
3:40 - 3:41한 가지 예를 들죠.
-
3:41 - 3:46우주인 세 명을 달에 보낼 때
이 방만한 크기의 컴퓨터를 사용했는데 -
3:46 - 3:48어떻게든 그걸 압축시키는 겁니다.
-
3:48 - 3:52당시 최고 성능이었던
그 컴퓨터를 압축시켜 -
3:52 - 3:54스마트폰 크기만 하게 만들었다해도
-
3:54 - 3:56실제 여러분이 쓰는 스마트폰
-
3:56 - 3:59300달러에 사서 2년마다
바꾸는 그 스마트폰이 -
3:59 - 4:01이 컴퓨터보다 한참 앞설 것입니다.
-
4:01 - 4:03놀랄 일도 아니죠.
-
4:03 - 4:05이 컴퓨터로는 스마트폰으로 하는
어떤 일도 할 수 없을 거예요. -
4:05 - 4:07속도도 느리고
-
4:07 - 4:09그 어떤 정보도 넣을 수 없죠.
-
4:09 - 4:13"워킹 데드"의 처음 2분을 보면
배터리가 다 떨어질 걸요. -
4:13 - 4:14그나마 운이 좋다면요.
-
4:14 - 4:15(웃음)
-
4:15 - 4:17중요한 것은 발전이 서서히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
4:17 - 4:19멈추지도 않고
-
4:19 - 4:20기하급수적으로
-
4:20 - 4:22해가 거듭될수록 발전 속도가
가중된다는 것입니다. -
4:22 - 4:24어느 정도냐면 어떤 기술을 가지고
-
4:25 - 4:26한 세대와 다음 세대를 비교해보면
-
4:26 - 4:28구분이 안될 정도의 발전 속도입니다.
-
4:28 - 4:31그리고 우리는 이 발전이
계속 유지되도록 해야 합니다. -
4:31 - 4:3410년, 20년, 30년 후에도
지난 30년 간 해낸 걸 평가하며 -
4:35 - 4:37같은 이야기를 하게 되겠죠.
-
4:37 - 4:40하지만 이 발전이
영원하진 않을 것입니다. -
4:40 - 4:42사실, 이제 파티가 끝나는
시간이 가까워지고 있어요. -
4:42 - 4:44마치 이번이 마지막
건배인 것처럼 말이죠. -
4:44 - 4:46이면을 들여다 보면
-
4:46 - 4:49속도나 성능 측면에서 보자면
-
4:49 - 4:51발전은 이미 느려져서
멈추기 직전입니다. -
4:52 - 4:54그래서 이 파티가 계속되길 원한다면
-
4:54 - 4:56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을 해야 하는데
-
4:56 - 4:58그게 바로 혁신이라는 것입니다.
-
4:58 - 5:00우리 연구진의 역할과 임무는
-
5:00 - 5:03탄소 나노튜브를 이용해서
혁신하는 것이죠. -
5:03 - 5:07그것이 기술발전의 속도를 계속해서
유지해 줄 거라고 믿기 때문입니다. -
5:07 - 5:08탄소 나노튜브는 말 그대로
-
5:08 - 5:11탄소 원자로 이루어진
속이 빈, 작은 튜브입니다. -
5:11 - 5:14이 나노 단위의 작은 크기로 인해
-
5:14 - 5:17놀라운 전자적 특성이 일어납니다.
-
5:17 - 5:21이 특성을 컴퓨터 개발에 적용하면
-
5:21 - 5:24성능을 10배까지 향상시킬 수 있죠.
-
5:24 - 5:28몇 세대에 걸쳐 일어날 기술 발전을
한번에 건너뛰는 것과 같습니다. -
5:29 - 5:30이제 보세요.
-
5:30 - 5:32우리에겐 아주 중요한 문제가 있고
-
5:32 - 5:35그걸 해결할 수 있는
아주 이상적인 방법도 있죠. -
5:35 - 5:36과학은 우리에게 이렇게 외칩니다.
-
5:36 - 5:39"문제를 해결하려면
이 방법뿐이야."라고 말이죠. -
5:41 - 5:43좋아요, 시작해봅시다.
-
5:43 - 5:44해보자고요.
-
5:44 - 5:47앞서 말한 '양날의 검'으로
다시 돌아가볼까요. -
5:47 - 5:51그 "이상적인 해결법"은 우리가
다룰 수 없는 물질을 의미합니다. -
5:51 - 5:55컴퓨터 칩 하나를 만들려면 그 물질을
수십억 개를 배열해야만 했죠. -
5:55 - 5:59아주 어려운 일이었고
끝이 보이지 않는 듯 했습니다. -
5:59 - 6:01그래서 이쯤에서 멈추자고 했죠.
-
6:01 - 6:03똑같은 짓을 계속할 게 아니라
-
6:03 - 6:06우리가 놓친 것이 무엇인지
찾아보자고 했습니다. -
6:06 - 6:07우리가 간과한 것이 무엇인지
-
6:07 - 6:09어떤 중요한 것을
놓친 건 아닌지 생각했죠. -
6:09 - 6:11영화 "대부"의 한 장면 같죠?
-
6:11 - 6:14영화에서 프레도가
동생 마이클을 배신했을 때 -
6:14 - 6:15그 다음으로 그가 했어야
할 일을 우리는 알고 있죠. -
6:15 - 6:17프레도는 떠났어야 했어요.
-
6:17 - 6:18(웃음)
-
6:18 - 6:20그러나 마이클은 보복을
나중으로 미뤘습니다. -
6:20 - 6:21좋아요.
-
6:21 - 6:23어머니가 살아 계셨기 때문에
어머니를 생각해서 그랬던 거죠. -
6:23 - 6:25우리는 물었습니다.
-
6:25 - 6:27"우리 문제에서 프레도는 무엇일까?"
-
6:27 - 6:29"생각지 못한 게 무엇일까?"
-
6:29 - 6:30"우리가 놓친 것 중에
-
6:30 - 6:33성공을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
6:33 - 6:37그 대답은 조각상은 스스로
만들어져야 한다는 것이었습니다. -
6:37 - 6:39어떻게든 방법을 찾아내야 했죠.
-
6:39 - 6:43그 수십억개의 입자들을 어르고 달래서
-
6:43 - 6:46스스로 뭉쳐서 기술로
완성될 수 있도록 말이죠. -
6:46 - 6:50우리가 그렇게 만들 수는 없고
입자 스스로 만들어내야 합니다. -
6:50 - 6:53아주 어렵고 중요한 일이죠.
-
6:53 - 6:56하지만 그것이 유일한 방법입니다.
-
6:56 - 6:59이제와서 결과를 놓고 보면
말도 안되는 문제는 아니에요. -
7:00 - 7:01우리는 뭔가 그렇게 만들지는 않죠.
-
7:01 - 7:03그렇게 스스로 만들어지도록
하는 것은 하나도 없습니다. -
7:03 - 7:07그런데 주위를 둘러보면
사방에 그렇게 만들어진 게 있죠. -
7:07 - 7:10대자연은 모든 것이 스스로
창조되게끔 합니다. -
7:10 - 7:12모든 것이 새롭게 생겨납니다.
-
7:12 - 7:13해변에 가보면
-
7:14 - 7:17이런 단순한 유기체들이
단백질을 이용해서 -
7:17 - 7:18기본적으로는 단백질 분자로
-
7:18 - 7:22바닷속에서 고른 모래의 형상을 본떠서
-
7:22 - 7:25정말 다양하고 독특한
형태를 만들어냅니다. -
7:25 - 7:28그리고 자연은 인간처럼
대충하지 않고 아주 정교합니다. -
7:28 - 7:29자연은 우아하고 영리해서
-
7:29 - 7:32분자 하나하나를 이용해서
-
7:32 - 7:34아주 복잡한 구조를 만들어내죠.
-
7:34 - 7:37그리고 인간이 범접할 수 없을
정도의 다양성을 가집니다. -
7:37 - 7:39자연은 이미 나노 단위로
일하고 있습니다. -
7:39 - 7:42수억 년 동안이나 그렇게 해왔죠.
-
7:42 - 7:44오히려 우리가 늦은 것입니다.
-
7:44 - 7:48그래서 우린 자연이 일하는
방식을 그대로 따라 하기로 했죠. -
7:48 - 7:50바로 화학입니다.
-
7:50 - 7:51화학을 놓친 거였어요.
-
7:51 - 7:54화학이 효과적인 이유는
-
7:54 - 7:57나노 단위의 물질은 분자와
거의 같은 크기이기 때문입니다. -
7:57 - 7:59그것들을 조종하기 위해서
-
7:59 - 8:01화학을 도구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8:02 - 8:04그게 저희 연구실의 성과였습니다.
-
8:04 - 8:07먼지 구덩이 속을 볼 수 있는
화학적 도구를 개발한 것이죠. -
8:07 - 8:09나노 입자들로부터
-
8:09 - 8:11우리가 원하는 것을 정확히
끄집어 낼 수 있었습니다. -
8:11 - 8:15화학을 이용해서 말 그대로
수십억 개의 나노 입자를 배열하고 -
8:15 - 8:17회로를 구성하기 위한
패턴을 만들 수 있습니다. -
8:17 - 8:19그것이 가능해진 덕분에
-
8:19 - 8:21과거에 나노 물질을 다룰 때보다
-
8:21 - 8:24몇 배 더 빠른 회로를
구성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
8:24 - 8:26우리가 놓쳤던 화학이란 도구는
-
8:26 - 8:30날이 갈수록 정교하고
정확해지고 있습니다. -
8:30 - 8:31그리고 결국에는
-
8:31 - 8:33바라건대 수 년 내에
-
8:33 - 8:37처음 약속했던 결과를
내놓을 수 있을 거라 기대합니다. -
8:37 - 8:39이제 컴퓨터는 단지
하나의 사례에 불과합니다. -
8:39 - 8:42제가 관심을 갖고, 저희 팀이
연구하고 있는 것들 중 하나죠. -
8:42 - 8:46다른 분야도 있습니다.
재생 에너지, 의학 -
8:46 - 8:48신소재
-
8:48 - 8:51이들 과학 분야에 나노 기술이
접목되어야 합니다. -
8:51 - 8:53모두 가장 많은 잇점을
얻을 수 있는 분야입니다. -
8:54 - 8:55그런데 그러기 위해서는
-
8:55 - 8:58현재와 미래의 과학자들에게는
새로운 도구가 필요할 것입니다. -
8:58 - 9:01제가 설명한 그런 도구들 말이죠.
-
9:01 - 9:05그리고 화학도 필요할 거예요.
그게 핵심이죠. -
9:05 - 9:08과학이 아름다운 이유는
일단 새로운 도구를 개발해내면 -
9:08 - 9:10세상에 공개됩니다.
-
9:10 - 9:11영원히 공개되죠.
-
9:11 - 9:14그래서 어디서든 누구나
그걸 골라서 쓸 수 있고 -
9:14 - 9:17나노기술의 목표 실현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
9:17 - 9:20경청해 주셔서 고맙습니다.
-
9:20 - 9:22(박수)
- Title:
- 나노 기술의 다음 단계
- Speaker:
- 조지 투렙스키 (George Tulevski)
- Description:
-
실리콘 기반의 컴퓨터 칩은 매년마다 크기가 반으로 줄고, 성능은 두 배로 증가하고 있으며, 그 덕에 우리가 사용하는 장치들은 더욱 들고 다니니 쉽고 사용하기 쉬워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그 컴퓨터 칩의 크기를 더이상 줄일 수 없다면 어떻게 될까요?
본 적도 만져본 적도 없는 나노 물질의 세계를 연구하는 조지 투렙스키 박사는 수십억 개의 카본 나노튜브가 스스로 패턴을 이루어 전자 회로를 구성하도록 하는 화학적 처리 방법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자연의 유기체가 복잡하고 다양하고 아름다운 구조를 만들어내는 것과 같은 방법이죠. 이 방법으로 차세대 컴퓨터의 비밀을 풀 수 있게 될까요? - Video Language:
- English
- Team:
closed TED
- Project:
- TEDTalks
- Duration:
- 09:35
![]() |
Jihyeon J. Kim approved Korean subtitles for The next step in nanotechnology | |
![]() |
Jihyeon J. Ki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The next step in nanotechnology | |
![]() |
Jihyeon J. Ki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The next step in nanotechnology | |
![]() |
Seo-Ho Cho accepted Korean subtitles for The next step in nanotechnology | |
![]() |
Seo-Ho Cho edited Korean subtitles for The next step in nanotechnology | |
![]() |
Seo-Ho Cho edited Korean subtitles for The next step in nanotechnology | |
![]() |
Seo-Ho Cho edited Korean subtitles for The next step in nanotechnology | |
![]() |
JY Kang edited Korean subtitles for The next step in nanotechnolog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