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이 사슬의 상단에서 아래로: 우리의 세계를 재 야생화하기|조지 몬비옷 (George Monbiot)
-
0:07 - 0:09우리는 모두 공룡에 대해
알고 있습니다. -
0:09 - 0:11공룡은 한 때 이 지구를 활보했지만,
-
0:11 - 0:13멸종된 된 오랜시간 후에
-
0:13 - 0:15우리가 거대동물이라고
부르는 거대한 동물들이 -
0:15 - 0:18모든 대륙에 살았습니다.
-
0:18 - 0:22미대륙에서는,
코끼리 크기만한 나무늘보들이 -
0:22 - 0:24그들의 발톱으로
나무를 당겨 쓰러뜨렸습니다. -
0:24 - 0:27갈색 곰 정도 크기의
검치호랑이들은 -
0:27 - 0:28떼를 지어 사냥을 했지만,
-
0:28 - 0:30그들은 작은 얼굴 곰들보다는
힘이 약했습니다. -
0:30 - 0:33그 작은 얼굴 곰들은
뒷다리로 서면 13피트나 되었고, -
0:33 - 0:35그들의 먹잇감으로부터
검치호랑이들을 -
0:35 - 0:37떼어놓으려 할 가능성이 많았죠.
-
0:37 - 0:40그 때는 소형차만한 아마딜로와
-
0:40 - 0:418인치 크기의 비버,
-
0:41 - 0:44그리고 날개를 펴면
26피트 크기인 새도 있었습니다. -
0:44 - 0:47대부분 모든 곳에서,
이 거대동물들은 -
0:47 - 0:50대개 인간 사냥꾼들에 의해
멸종으로 이어졌습니다. -
0:50 - 0:54어떤 종들은 아프리카와 아시아
지역에서 아직도 살고 있습니다. -
0:54 - 0:59다른 지역에서도 이 거대한
짐승들의 유적이 남아있습니다. -
0:59 - 1:01대부분의 나무들은
줄기가 부러진 곳에서 -
1:01 - 1:03새싹을 다시피울 수 있고
-
1:03 - 1:05나무껍질이
대량 없어져도 견딜 수 있고 -
1:05 - 1:08갈라지고 구부러지고 밟혀도
살아날 수 있는데요, -
1:08 - 1:12이것은 아마도 코끼리의 공격을
이겨내며 진화했기 때문일 겁니다. -
1:12 - 1:15미국 가지뿔영양은
매우 빠르게 띌 수 있는데, -
1:15 - 1:18이는 미국 치타로부터
도망치며 진화해왔기 때문입니다. -
1:18 - 1:21이 유령 생태계에서
살아남은 동물들은 -
1:21 - 1:25더이상 존재하지 않는 동물들의
위협에 적응해 살고 있습니다. -
1:25 - 1:28오늘날, 그것은 과거의 유령생태계를
되살릴 수 있을 지도 모릅니다. -
1:28 - 1:31유전자 물질을 이용해
사라져버린 종들을 되돌려서 말이죠. -
1:31 - 1:33예를 들어, 잔존하는 얼음속에서
-
1:33 - 1:37털이 많은 매머드를 복제하는
연구가 진행 중입니다. -
1:37 - 1:38그런데 만약 불가능하다고 하더라도
-
1:38 - 1:41세계가 잃어버린 생태계 여러부분을
-
1:41 - 1:43여전히 재건할 수 있습니다.
-
1:43 - 1:47방법이요? 버려진 농장들을
이용함으로써 가능합니다. -
1:47 - 1:49식량시장이 세계화되면서
-
1:49 - 1:52비옥하지 않은 땅들은
경쟁력이 떨어져갑니다. -
1:52 - 1:54이런 척박한 곳의 농부들은
다른 곳의 더 나은 땅에서 -
1:54 - 1:57곡물을 키우는
농부들과 경쟁할 수가 없습니다. -
1:57 - 2:01그 결과로, 농업은 많은 지역으로부터
다시 다루어지기 시작했고 -
2:01 - 2:04나무들도 되돌려지기 시작했습니다.
-
2:04 - 2:07조사에 따르면
경작되었다가 농업을 포기한 -
2:07 - 2:10미국 땅의 2/3 정도의 땅이
-
2:10 - 2:12다시 경작되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
2:12 - 2:14다른 조사에 따르면 2030년까지
-
2:14 - 2:16폴란드 크기의 유럽 지역 한 지역이
-
2:16 - 2:18농부들에 의해 비워질 거라고 합니다.
-
2:18 - 2:21따라서 우리가 나무늘보와
거대한 아마딜로를 -
2:21 - 2:23되살리기 위해 DNA를
이용할 수 없다고 해도 -
2:23 - 2:26우리는 곰, 늑대, 퓨마, 스라소니,
-
2:26 - 2:27무스, 그리고 바이손을 되살려
-
2:27 - 2:29그들이 살았던
그 장소로 보낼 수 있습니다. -
2:29 - 2:32이 동물 중 몇몇은
주변환경을 새 형태로 만들어 -
2:32 - 2:36다른 종들이 살아나갈 수 있도록
좋은 조건을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
2:36 - 2:37늑대들이 1995년
옐로우스톤 국립공원에 -
2:37 - 2:40되돌려져 다시 살게 되었을 때
-
2:40 - 2:42그들은 생태계를
재빨리 변화시켰습니다. -
2:42 - 2:45넘쳐나던 사슴들의 수가 줄어들어
-
2:45 - 2:47식물들이 되살아나기 시작했습니다.
-
2:47 - 2:51불과 6년 만에 몇몇 나무들은
키가 5배로 자랐습니다. -
2:51 - 2:55숲이 재건되면서
새들의 노랫소리도 살아났습니다. -
2:55 - 2:58나무를 먹는
비버들의 수도 2배가 되었고 -
2:58 - 3:00그들이 강가에 지은 댐은
수달, 머스크랫, 오리, 개구리와 -
3:00 - 3:04물고기들에게 집이 되었습니다.
-
3:04 - 3:07늑대들이 코요테들을 없앰으로 인해
-
3:07 - 3:08토끼와 쥐의 수가 늘어났고
-
3:08 - 3:11독수리, 족제비, 여우와 오소리들의
-
3:11 - 3:13먹이가 늘어나게 되었습니다.
-
3:13 - 3:16대머리독수리들과
레이븐(큰 까마귀)들에게 -
3:16 - 3:18늑대가 남긴 썩은 고기는
먹이가 됩니다. -
3:18 - 3:20곰들 역시 돌아온 덤불에서
-
3:20 - 3:22자라난 산딸기들을 먹습니다.
-
3:22 - 3:24바이손들도 활력을 찾은 숲을 누비며
-
3:24 - 3:26그 숫자가 증가했습니다.
-
3:26 - 3:30늑대들이 모든 것을 변화시켰습니다.
-
3:30 - 3:32이것이 영양 폭포의
대표적인 예입니다. -
3:32 - 3:34먹이사슬의 꼭대기층에서 변화가 생겨
-
3:34 - 3:37먹이사슬 제일 하단까지 떨어져
-
3:37 - 3:38모든 단계에 영향을 끼치게 되는 거죠.
-
3:38 - 3:41광범위한 영양 폭포의 발견은
-
3:41 - 3:44지난 반세기를 통틀어 가장 흥미로운
-
3:44 - 3:46과학적 발견이라 할 수 있습니다.
-
3:46 - 3:48이 영양 폭포는 우리에게
한 종 또는 두 종의 거대동물을 -
3:48 - 3:51잃어버린 우리의 생태계가
-
3:51 - 3:53그들을 유지시키기 위해 즉각적으로
-
3:53 - 3:55다른 방향으로
행동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
3:55 - 3:57전 세계적으로
재야생화라는 이름으로 -
3:57 - 3:59자연을 재건을 촉진시키기 위한
-
3:59 - 4:02새로운 움직임이 시도되고 있습니다.
-
4:02 - 4:05이는 우리가 초래한 위험 중
일부를 하지 않음으로써 -
4:05 - 4:07축출된 종들을 되살려
-
4:07 - 4:09그들이 다시
돌아올 수 있게 하는 것입니다. -
4:09 - 4:12건강한 열대다우림과
산호초들을 만들어내는 -
4:12 - 4:15이상적인 생테계를 만들려는
시도는 없습니다만 -
4:15 - 4:18재야생화는
그러한 종들을 불러들여 -
4:18 - 4:20그들이 역동적인 역할을 하면서
-
4:20 - 4:22자연스럽게 살게 하는 것입니다.
-
4:22 - 4:25그렇지만 재야생화가
되려면 필수적으로 -
4:25 - 4:28사람들이 그 땅을 비워주어야 합니다.
-
4:28 - 4:30그건 그곳에서
-
4:30 - 4:33일하던 사람들의 동의와 열정에
의해서만 생겨야 하죠. -
4:33 - 4:35영국의 한 절벽에 서서
-
4:35 - 4:38청어의 돌맛조개를 공격하는
향유고래를 바라보는 상상을 해보세요 -
4:38 - 4:40그건 18세기 전까지는
그 해변에서 는볼 수 있는 -
4:40 - 4:42흔한 풍경이었습니다.
-
4:42 - 4:44아무런 상업 낚시가
이루어지지 않는 곳인 -
4:44 - 4:45해양 보호구를 만드는 것으로
-
4:45 - 4:47그것은 다시 발생할 수 있습니다.
-
4:47 - 4:49유럽의 세렝게티
(야생 동물 보호구)를, -
4:49 - 4:51거기에 살곤 했던 동물들로
가득찬 곳을 상상해보세요: -
4:51 - 4:55하마, 코뿔소, 코끼리,
하이에나와 사자. -
4:55 - 4:57재야생화가
다시소개하는 것은, -
4:57 - 5:00누락된 동물과 식물과 함께,
-
5:00 - 5:03희망이라고 부르는 희귀종입니다.
-
5:03 - 5:05그것은 우리에게 그 생태변화가
-
5:05 - 5:08항상 같은 방향으로 진행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알려줍니다. -
5:08 - 5:12이 침묵하는 봄은 야생적인
여름이 이어지게 할 수 있습니다.
- Title:
- 먹이 사슬의 상단에서 아래로: 우리의 세계를 재 야생화하기|조지 몬비옷 (George Monbiot)
- Description:
-
전체강의 보기: http://ed.ted.com/lessons/from-the-top-of-the-food-chain-down-rewilding-our-world-george-monbiot
우리의 생태계에서 균형을 잡는 그들 분야의 역할을 했던 거대한 먹이사슬의 상단의, 거대동물들에 의해 우리의 행성은 한때 채워졌었다, 그 거대동물들이 사라졌을 때, 그 결과는, "영양의 폭포,"였는데, 생태계의 모든 부분이 손실에 반응 하는 곳이었다. 우리가 어떻게 균형을 유지할 수 있을까? 조지 몬비옷은 재야생화를 제안한다: 늑대, 사자와 다른 포식자들을 다시 먹이사슬의 상단으로 놓는 것이다--뜻밖의 결과와 함께.
강의: 조지 몬비옷 (George Monbiot)
에니메이션: 아비 오퍼 (Avi Ofer) - Video Language:
- English
- Team:
closed TED
- Project:
- TED-Ed
- Duration:
- 05:28
![]() |
Jeong-Lan Kinser approved Korean subtitles for From the top of the food chain down: Rewilding our world - George Monbiot | |
![]() |
Stella Kang accepted Korean subtitles for From the top of the food chain down: Rewilding our world - George Monbiot | |
![]() |
Jeong-Lan Kinser edited Korean subtitles for From the top of the food chain down: Rewilding our world - George Monbiot | |
![]() |
Jeong-Lan Kinser edited Korean subtitles for From the top of the food chain down: Rewilding our world - George Monbiot | |
![]() |
Jeong-Lan Kinser edited Korean subtitles for From the top of the food chain down: Rewilding our world - George Monbiot | |
![]() |
Stella Kang edited Korean subtitles for From the top of the food chain down: Rewilding our world - George Monbiot | |
![]() |
Stella Kang edited Korean subtitles for From the top of the food chain down: Rewilding our world - George Monbiot | |
![]() |
Jeong-Lan Kinser edited Korean subtitles for From the top of the food chain down: Rewilding our world - George Monbio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