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turn to Video

다가오는 항생제의 위기

  • 0:01 - 0:06
    최초로 항생제 치료를 받은 사람은
    옥스퍼드의 한 경찰이었습니다.
  • 0:06 - 0:11
    어느 휴일, 그는 정원에서
    일하다가 장미 가시에 긁혔죠.
  • 0:11 - 0:15
    그런데 그 작은 긁힌 상처는
    감염되었어요..
  • 0:15 - 0:19
    그 후 며칠에 걸쳐 그의 머리는
    부풀어 올랐고 종기가 났습니다.
  • 0:19 - 0:23
    그의 눈은 감염이 너무 심해서
    의사들이 제거해야 했죠.
  • 0:23 - 0:28
    그리고 1941년 2월이 됐을 무렵
    이 불쌍한 남자는 거의 죽을 상태였죠.
  • 0:28 - 0:34
    그는 옥스퍼드의 래드클리프
    병원에서 치료받았고, 운이 좋게도
  • 0:34 - 0:37
    하워드 플러리 박사가 이끄는
    의사들로 이루어진 소규모의 팀이
  • 0:37 - 0:42
    아주 적은 양의 페니실린을
    합성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 0:42 - 0:46
    그것은 알렉산더 플레밍이
    약물을 발견하기 12년 전이었어요.
  • 0:46 - 0:50
    하지만, 당시 이 약은
    임상 시험도 거치지 않았었고,
  • 0:50 - 0:53
    이 약이 실제로 효과가 있을지도
    누구도 확신하지 못했고,
  • 0:53 - 0:56
    불순물이 많으면,
    환자가 죽을 수도 있었습니다.
  • 0:56 - 1:00
    그래서 플러리 박사와 그의 팀원들은
    만약 이 약을 꼭 사용해봐야 한다면,
  • 1:00 - 1:02
    어차피 죽게 될 사람에게
    시험해야겠다고 생각했고,
  • 1:02 - 1:09
    그 옥스퍼드의 경찰관인 앨버트
    알렉산더에게 약을 투여했습니다.
  • 1:09 - 1:13
    그리고 24시간도 안 돼서
    그는 회복되기 시작했습니다.
  • 1:13 - 1:20
    열이 내렸고, 식욕도 돌아왔죠.
    이튿날에는 회복세가 더욱 두드러졌어요.
  • 1:20 - 1:24
    하지만 페니실린이 바닥나기 시작해서
    의사들은 그의 소변을 받아다가
  • 1:24 - 1:29
    거기서 페니실린을 재합성해서
    다시 그에게 투여해야 했습니다.
  • 1:29 - 1:30
    다행히 효과가 있었어요.
  • 1:30 - 1:34
    나흘째 되던 날에는 완쾌가 멀지 않아
    보였습니다. 기적이었죠.
  • 1:34 - 1:41
    하지만 닷새째 페니실린이 바닥났고
    안타깝게도 그는 죽고 말았습니다.
  • 1:41 - 1:48
    이 사람의 이야기는 안 좋게 끝났지만
    운좋게도, 다른 수 백만명의 사람들은,
  • 1:48 - 1:51
    여기 1940년대 초반에
    치료를 받은 이 아이처럼,
  • 1:51 - 1:54
    패혈증으로 죽어가고 있었지만,
  • 1:54 - 2:00
    페니실린이라는 기적의 약 덕에
    고작 6일 만에 회복되었습니다.
  • 2:00 - 2:06
    수백만 명이 목숨을 건졌고
    전세계의 의료는 혁신되었습니다.
  • 2:06 - 2:14
    한편, 항생제의 투여는 이런 환자들에게도
    이루어졌지만 남용되기도 했죠.
  • 2:14 - 2:20
    예를 들어, 항생제의 반응도 확실히
    모르면서 겨우 감기나 독감에 사용되거나
  • 2:20 - 2:28
    대량으로 치료제가 아닌 것으로,
    아주 적은 농축량을
  • 2:28 - 2:31
    닭이나 돼지에게 주어
    빨리 자라게 한 것입니다.
  • 2:31 - 2:37
    고기 가격을 몇 푼 아끼겠다고
    동물들에게 항생제를 남용한 거죠.
  • 2:37 - 2:43
    아픈 동물들을 치료하려는 게 아니라,
    그저 성장 촉진용으로 말입니다.
  • 2:43 - 2:46
    자, 그래서 제가 그걸
    언급하는 이유는 뭘까요?
  • 2:46 - 2:50
    간단히 말해, 전 세계적으로
    이루어 지는 항생제 오남용은
  • 2:50 - 2:57
    박테리아에 엄청난 선택압으로 작용해서
    이제는 저항력이 문제가 생깁니다.
  • 2:57 - 3:00
    우리는 이제 내성있는 박테리아를
    선택했기 때문입니다.
  • 3:00 - 3:04
    물론 여러분 모두 이런 이야기를
    신문에서도 읽었을 것이고,
  • 3:04 - 3:07
    보게 되는 온갖 잡지에서도
    이런 내용을 접하셨겠죠.
  • 3:07 - 3:11
    하지만 여러분 모두 이 문제의 중대성에
    대해 고심해 주셨으면 합니다.
  • 3:11 - 3:12
    이건 심각한 문제에요.
  • 3:12 - 3:17
    다음 슬라이드는 아시네토박터의
    카르바페넴의 내성에 관한 겁니다.
  • 3:17 - 3:21
    아시네토박터는 아주 지독한 병원균이고,
    카르바페넴은 쉽게 말해
  • 3:21 - 3:25
    우리가 이 병균에 사용할 수 있는
    가장 강력한 등급의 항생제입니다.
  • 3:25 - 3:30
    보시다시피,
    1999년의 내성균의 분포입니다.
  • 3:30 - 3:33
    미국의 전지역에서 10%도 안됩니다.
  • 3:33 - 3:37
    이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 비디오를 보시죠.
  • 3:46 - 3:52
    여러분이 어디 사시는지는 모르겠지만,
    어디든 간에 현재는
  • 3:52 - 3:54
    1999년 당시와 비교하면
    훨씬 악화됐을 겁니다.
  • 3:54 - 3:58
    이게 바로 항생제 내성이 가진
    문제점입니다.
  • 3:58 - 4:02
    부국과 빈국을 가리지 않고
    영향을 미치는 전 세계적인 문제이죠.
  • 4:02 - 4:06
    문제의 핵심은, 여러분은 그저 의학적인
    문제에 불과하다고 하실지 모르죠.
  • 4:06 - 4:09
    의사들에게 항생제 사용을 줄이라고 하고,
  • 4:09 - 4:14
    환자들에게 항생제를 요구하지 말라고
    하면 쉽게 해결될 문제라고요.
  • 4:14 - 4:19
    또 제약 회사들이 더욱 열심히 노력해서
    새로운 항생제를 개발하면 된다고요.
  • 4:19 - 4:24
    하지만 항생제는 근본적으로
    다른 약들과는 다른 점이 있습니다.
  • 4:24 - 4:27
    제가 항생제를 남용하거나,
    심지어 사용하기만 해도
  • 4:27 - 4:31
    저뿐만이 아니라
    모두가 영향을 받는다는 겁니다.
  • 4:31 - 4:36
    제가 자가용으로 출근하거나
    비행기로 여행하게 되면
  • 4:36 - 4:41
    지구 온난화를 통해 모두에게 피해를
    주게 되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 4:41 - 4:43
    하지만 저는 이런 피해를
    진지하게 고려하지 않겠죠.
  • 4:43 - 4:46
    경제학자들은 이런 것을
    공유지의 비극이라고 부릅니다.
  • 4:46 - 4:51
    그리고 지금 항생제 사용에서 나타나는
    현상도 공유지의 비극이죠.
  • 4:51 - 4:59
    개인, 환자, 병원과
    전체 의료 체계를 포함한
  • 4:59 - 5:04
    우리 모두가 항생제의 사용으로 인한
    피해를 고려하지 않고 있습니다.
  • 5:04 - 5:08
    이와 비슷한 문제 양상을 보이는
    친숙한 다른 분야가 있습니다.
  • 5:08 - 5:10
    바로 연료 소비와 에너지입니다.
  • 5:10 - 5:14
    물로 에너지의 소비는
    에너지를 고갈시키는 동시에
  • 5:14 - 5:18
    일대를 오염시키고
    기후 변화를 일으킵니다.
  • 5:18 - 5:22
    에너지 문제에 있어서는 보통
    두 가지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합니다.
  • 5:22 - 5:26
    하나는 우리가 가지고 있는 석유를
    좀 더 현명하게 쓰는 것이고,
  • 5:26 - 5:29
    이건 지금 우리에게 있는 항생제를
    더 지혜롭게 쓰는 것과 유사하죠.
  • 5:29 - 5:33
    자세한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건 잠시 후에 얘기하기로 하죠.
  • 5:33 - 5:37
    두 번째 방법은
    그냥 신 나게 파대는 겁니다.
  • 5:37 - 5:41
    항생제 문제에서는새 항생제를
    찾아 나서는 방법에 해당하겠네요.
  • 5:41 - 5:43
    이 두 방법은 별개가 아닙니다.
  • 5:43 - 5:45
    자 이것들은 연관되어 있습니다.
  • 5:45 - 5:52
    우리가 새로운 유정에 투자를 집중하면
    석유 보존에 쓰일 돈이 줄어드니까요.
  • 5:52 - 5:54
    이건 항생제의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
  • 5:54 - 5:59
    반대의 경우도 일어날텐데, 우리가
    항생제를 좀 더 적절하게 사용한다면
  • 5:59 - 6:04
    새로운 약을 개발하는 데
    투자할 필요가 없어지게 되는 것이죠.
  • 6:04 - 6:08
    이 두 방법이 서로 완벽하게 균형을
    이루고 있다고 생각하신다면,
  • 6:08 - 6:13
    이건 우리가 하는 일종의 게임이라는
    점을 고려하셔야 합니다.
  • 6:13 - 6:15
    공진화라는 이름의 게임입니다.
  • 6:15 - 6:20
    공진화는, 이 사진을 예로 들면,
    치타와 가젤 사이에서 나타납니다.
  • 6:20 - 6:26
    치타는 빨리 달릴 수 있게 진화했죠.
    빨리 못달리면 끼니를 거를 테니까요.
  • 6:26 - 6:32
    가젤도 빨리 달릴 수 있게 진화했는데,
    못달리면 먹이거리가 되기 때문입니다.
  • 6:32 - 6:35
    이것은 우리가 박테리아에 대항해서
    벌이는 게임입니다.
  • 6:35 - 6:38
    하지만 여기서 우리는 치타가 아니고
    가젤이라는 점이 다르죠.
  • 6:38 - 6:44
    또, 박테리아는 오늘 제가 이 강연을
    하는 동안 자식 손자까지 봤을 겁니다.
  • 6:44 - 6:49
    그렇게 자연 선택과 시행착오로
    내성을 기르는 거죠.
  • 6:49 - 6:51
    반복해서 여러 방법을
    시도해 보면서 말이죠.
  • 6:51 - 6:55
    반면 우리는 어떻게 박테리아보다
    더 진보하는 걸까요?
  • 6:55 - 6:58
    우리는 새로운 약의 발견 과정이 있고,
    분자 검사를 하고,
  • 6:58 - 7:02
    임상 시험을 거쳐서,
    새로운 후보 약을 만들어내면
  • 7:02 - 7:06
    FDA 규정에 따라
    승인과정을 받아야 합니다.
  • 7:06 - 7:13
    이 모든 과정을 거쳐야 박테리아로부터
    겨우 한발 앞설까 말까 합니다.
  • 7:13 - 7:15
    이건 절대 지속 가능한
    게임이 아닙니다.
  • 7:15 - 7:18
    단순히 혁신을 통해
    이길 수 있는 것도 아니고요.
  • 7:18 - 7:22
    우리는 공진화의 속도를 늦춰야 합니다.
  • 7:22 - 7:25
    또한 에너지에서 아이디어를
    빌려올 수도 있어요.
  • 7:25 - 7:30
    항상제의 문제에 관해 어떻게 대처할
    지를 생각하는 데 유용하도록 말이죠.
  • 7:30 - 7:34
    자, 에너지의 가격 결정 정책을
    한번 살펴보자면,
  • 7:34 - 7:36
    일단 공해배출세를 고려해 봅니다.
  • 7:36 - 7:41
    실제로 에너지를 소비하는 사람들에게
    공해 발생 비용을 부담시키는 거죠.
  • 7:41 - 7:44
    항생제에도 이런 걸 적용하는 것을
    생각해 보게 되는데
  • 7:44 - 7:49
    그것은 항생제가 올바른 방향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해 줄 겁니다.
  • 7:49 - 7:54
    청정에너지 보조금은
    공해를 덜 발생시키거나
  • 7:54 - 7:57
    아예 발생시키지 않는 연료를
    사용하도록 장려하는 거죠.
  • 7:57 - 8:00
    이와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고자 한다면
  • 8:00 - 8:03
    항생제를 사용하지 않을
    방법을 찾아야 할 겁니다.
  • 8:03 - 8:06
    그러면 항생제의 대안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 8:06 - 8:10
    항생제의 필요성을 줄이는 것이라면,
    어떤 것이든 가능합니다.
  • 8:10 - 8:19
    병원 감염 관리나 백신 접종을 포함하여
    특히 계절성 독감 백신이 가장 큽니다.
  • 8:19 - 8:27
    계절성 독감백신은 국내외를 막론하고
    항생제 사용을 부추기는 큰 요인이죠.
  • 8:27 - 8:29
    그러니 백신을 맞지 않으면
    큰 도움이 되겠죠.
  • 8:29 - 8:33
    세 번째 방법은 허가증 거래와
    같은 것을 도입하는 것입니다.
  • 8:33 - 8:38
    아직은 먼 미래의
    얘기인 것처럼 여겨지지만,
  • 8:38 - 8:44
    감염으로 항생제가 필요한 모두에게
    그것을 줄 여유가 안 된다면
  • 8:44 - 8:50
    다른 사람보다 우선 항생제를 지급 받을
    사람들을 선택할 기준을 고려 해야겠죠.
  • 8:50 - 8:54
    그 기준은 임상적 필요도가
    될 수도 있겠지만,
  • 8:54 - 8:56
    비용에 따른 필요도 또한 될 수 있겠죠.
  • 8:56 - 8:58
    소비자 교육은 확실히 효과가 있죠.
  • 8:58 - 9:04
    사람들은 흔히 무의식중에 항생제를
    과용하거나 과도하게 처방합니다.
  • 9:04 - 9:08
    그리고 피드백은 이럴 때 유용한데,
  • 9:08 - 9:11
    에너지의 경우에도 그렇고,
    누군가에게 과다소모 시간대에
  • 9:11 - 9:14
    많은 에너지를 쓰고 있다고 얘기해주면
    대부분 소비를 줄입니다.
  • 9:14 - 9:18
    이와 비슷한 사례가 항생제의
    경우에도 적용된 바 있습니다.
  • 9:18 - 9:24
    세인트루이스의 한 병원에서 이전 달의
    항생제 사용량을 기준으로
  • 9:24 - 9:28
    외과의들의 순위를 매겨 공개한 것이죠.
  • 9:28 - 9:32
    창피를 주려는 것도 아니고 단순한
    정보 제공일 뿐이지만, 본질적으로
  • 9:32 - 9:38
    외과의들에게 항생제의 사용 습관을
    재고해볼 만한 정보를 제공한 셈입니다.
  • 9:38 - 9:42
    공급의 측면에서도
    변화의 여지는 많습니다.
  • 9:42 - 9:48
    페니실린의 가격을 보시면 하루치의
    값은 약 10센트로 꽤 저렴한 약이죠.
  • 9:48 - 9:52
    하지만 리네졸리드나 뎁토마이신 같은
    페니실린 이후로 도입된 약들을 보면
  • 9:52 - 9:55
    가격이 상당히 더 비쌉니다.
  • 9:55 - 10:00
    하루 치 항생제 가격으로
    10센트가 익숙한 세상에서
  • 10:00 - 10:04
    하루에 180달러라는 금액은
    매우 비싸게 느껴지죠.
  • 10:04 - 10:10
    이것이 의미하는 바가 뭘까요?
    그 가격표는, 우리가 머지않아
  • 10:10 - 10:15
    싸고 효과적인 항생제를 당연시 하면
    안 되는 때가 올 것이며,
  • 10:15 - 10:22
    그 가격은 우리가 보존에 더 큰 관심을
    기울여야 할것을 알려주는 거죠.
  • 10:22 - 10:28
    또한 우리가 이제 대안 기술을
    찾아 나서야 한다는 신호이기도 합니다.
  • 10:28 - 10:35
    마치 휘발유 가격이 전기 자동차의
    개발을 촉진하는 것처럼 말이죠.
  • 10:35 - 10:38
    비록 가격은 우리가 주목해야 할
    중요한 신호지만
  • 10:38 - 10:45
    항생제 치고는 이례적으로
    느껴지는 이 비싼 가격도
  • 10:45 - 10:49
    일부 항암제의 하루 치 가격과는
    비교할 수 없이 싸다는 겁니다.
  • 10:49 - 10:52
    항암제는 환자의 죽음을 몇 달,
    혹은 1년 정도 미룰 뿐이지만
  • 10:52 - 10:56
    항생제는 잠재적으로 환자의 생명을
    완전히 구할 수 있으니까요.
  • 10:56 - 11:01
    결국 이건 인식의 전체적 전환이고
    무서운 방향으로의 전환이기도 합니다.
  • 11:01 - 11:05
    이 나라의 많은 지역에서도 그렇고,
    세계의 여러 지역에서도
  • 11:05 - 11:12
    항생제 치료를 위해 하루 200달러를
    낸다는 것은 상상조차 할 수 없거든요.
  • 11:12 - 11:14
    우리가 고민해야할 문제이죠.
  • 11:14 - 11:20
    항생제가 무력화될 경우 대안으로
    사용할만한 기술들도 연구되고 있는데,
  • 11:20 - 11:26
    박테리오파지, 생균제,정족수 감지,
    신바이오틱 등을 포함합니다.
  • 11:26 - 11:29
    이 모두가 연구해볼 가치가 있는 분야들이고,
  • 11:29 - 11:35
    새로운 항생제들의 가격이 비싸질수록
    더욱 시장 이윤 가치는 높아질 것입니다.
  • 11:35 - 11:38
    그리고 사실 시장은 반응을 보이고 있고,
  • 11:38 - 11:44
    정부는 새로운 항생제 개발에 보조금을
    지급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 11:44 - 11:47
    하지만 쉽지는 않겠죠. 문제를 그냥
    돈으로 해결하려고 해서는 안 됩니다.
  • 11:47 - 11:57
    대신, 항생제의 올바른 사용 판매가
    장려되는 식으로 투자를 진행해야죠.
  • 11:57 - 11:59
    여기서는 그것이 난제입니다.
  • 11:59 - 12:04
    다시 기술의 문제로 돌아가서, 여러분
    모두 그 유명한 공룡 영화의 대사,
  • 12:04 - 12:06
    "자연은 방법을 찾아낼 것이다."
    를 아실 겁니다.
  • 12:06 - 12:10
    결국, 이것들도
    영구적인 해결책은 아닙니다.
  • 12:10 - 12:14
    우리는 기억해야 합니다.
    어떤 기술이든지
  • 12:14 - 12:17
    자연은 이것에 대해 해결할
    방법을 찾을것이라는 것입니다.
  • 12:17 - 12:21
    여러분은 이것이 항생제와 박테리아에
    국한된 문제라고 생각하실지 모르겠지만,
  • 12:21 - 12:26
    우리는 이것과 똑같은 문제를 다른
    여러 분야에서도 직면하고 있습니다.
  • 12:26 - 12:29
    다체내성 결핵이 한 예입니다.
  • 12:29 - 12:32
    현재 이것은 인도와 남아프리카에서
    심각한 문제입니다.
  • 12:32 - 12:36
    2차 계열 약제가 너무 비싸
    수천 명이 사망하고 있으며,
  • 12:36 - 12:40
    광범위 약제내성 결핵인 경우엔,
    심지어 그마저도 듣지 않기도 하죠.
  • 12:40 - 12:45
    바이러스도 내성이 생기고 있습니다.
    농해충이나 말라리아 기생충도요.
  • 12:45 - 12:53
    현재 세계의 대부분 지역에서 말라리아
    치료제인 아르테미시닌 약에만 의존하죠.
  • 12:53 - 12:56
    하지만 아르테미시닌약에 내성이
    나타나고 있고, 이게 확산된다면
  • 12:56 - 13:05
    현재는 안전하고 효과적이고 유일한
    말라리아 치료제를 잃게 될지도 모르죠.
  • 13:05 - 13:09
    모기도 내성이 생기고 있죠. 아이가
    있으시다면 머릿니에 대해 아실 것이고,
  • 13:09 - 13:14
    뉴욕에서 오셨다면 그곳은 지독한
    빈대가 유명하다고 알고 있습니다.
  • 13:14 - 13:16
    이것들도 내성이 생기고 있어요.
  • 13:16 - 13:21
    또, 대서양 너머 영국의 예를 보면,
    쥐들도 독에 내성이 생겼다고 합니다.
  • 13:21 - 13:27
    여기서 공통적으로 볼 수 있는 것은
    우리가 기술을 가지고서
  • 13:27 - 13:34
    단 70, 80, 100년간 자연동안만
    지배하다가 눈 깜짝할 사이에
  • 13:34 - 13:37
    우리의 통제력을 낭비했다는 개념인데,
  • 13:37 - 13:42
    그것은 우리가
    자연의 자연 선택과 진화를 통한
  • 13:42 - 13:43
    대항방법을 찾을 것을 간과했거든요.
  • 13:43 - 13:51
    우리는 생물학적 유기체를 통제할 수단을
    사용하는 방식을 재정립 해야 합니다.
  • 13:51 - 13:59
    또, 이 귀중한 수단들의 개발과 도입,
    항생제의 경우는 처방이겠죠.
  • 13:59 - 14:03
    또, 사용법을 장려하는 방식도
    재정립 할 필요가 있습니다.
  • 14:03 - 14:07
    이제는 정말로 이런 수단들을
    천연자원으로 봐야 합니다.
  • 14:07 - 14:09
    지금 우리는
    선택의 갈림길에 서 있습니다.
  • 14:09 - 14:13
    한 가지 방법은
    이 재정립의 과정을 거치고
  • 14:13 - 14:17
    장려책들을 신중히 적용하여
    사업하는 방식을 바꾸는 것이죠.
  • 14:17 - 14:24
    그게 아니라면 풀잎에 베인 상처조차
    치명상이 되는 세상이 될 것입니다.
  • 14:24 - 14:27
    감사합니다.
  • 14:27 - 14:29
    (박수)
Title:
다가오는 항생제의 위기
Speaker:
라마난 락스미나라얀 (Ramanan Laxminarayan)
Description:

항생제는 생명을 살립니다. 하지만 우리는 이를 과다하게 사용하고 있습니다 - 독감을 치료하거나 닭을 좀 더 싸게 키우는 것과 같은, 생명을 살리는 것과 무관한 용도로 사용하는 일도 허다합니다. 연구원 라마난 락스미나라얀에 의하면, 결과적으로 모두에게 약이 듣지 않게 될 것이라고 합니다. 항생제가 목표로 하는 박테리아가 점점 더 내성이 강해지기 때문입니다. 그는 (환자와 의사를 포함한) 우리 모두에게 항생제와 그 효과를 한정된 자원으로 보고, 사용하기 전에 한 번 더 생각해달라고 얘기합니다. 이는 국제적인 의료 추세가 어떻게 일반 가정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한 충격적인 관점입니다.

more » « less
Video Language:
English
Team:
closed TED
Project:
TEDTalks
Duration:
14:42
Jeong-Lan Kinser edited Korean subtitles for The coming crisis in antibiotics
Jeong-Lan Kinser edited Korean subtitles for The coming crisis in antibiotics
Jeong-Lan Kinser edited Korean subtitles for The coming crisis in antibiotics
Jeong-Lan Kinser approved Korean subtitles for The coming crisis in antibiotics
Jeong-Lan Kinser accepted Korean subtitles for The coming crisis in antibiotics
Jeong-Lan Kinser edited Korean subtitles for The coming crisis in antibiotics
Jeong-Lan Kinser edited Korean subtitles for The coming crisis in antibiotics
Jeong-Lan Kinser edited Korean subtitles for The coming crisis in antibiotics
Show all

Korean subtitles

Revis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