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turn to Video

Nucleophilicity vs. Basicity

  • 0:00 - 0:01
  • 0:01 - 0:03
    영상에서 하고 싶은 것은
  • 0:03 - 0:14
    친핵성도의 개념 또는
    얼마나 친핵체가 강한지와
  • 0:14 - 0:15
    염기도를 구별하는 것입니다
  • 0:15 - 0:20
    염기도를 구별하는 것입니다
  • 0:20 - 0:25
    차이는 미묘하지만
  • 0:25 - 0:26
    실제로는 큰 차이입니다
  • 0:26 - 0:28
    왜 처음 배울 때 혼란을 겪는지
  • 0:28 - 0:29
    보여주겠습니다
  • 0:29 - 0:33
    Sn2 반응을 배울 때, 추가의 전자를 가진
  • 0:33 - 0:35
    친핵체가 있었습니다
  • 0:35 - 0:37
    그것은 음전하를 띠고 있습니다
  • 0:37 - 0:40
    메틸 탄소도 있었을 겁니다
  • 0:40 - 0:43
    메틸 탄소도 있었을 겁니다
  • 0:43 - 0:44
    그려보도록 하죠
  • 0:44 - 0:46
    앞으로 나온 수소가 있고
  • 0:46 - 0:49
    뒤에 있는 수소가 있고
  • 0:49 - 0:51
    위쪽에 있는 수소가 있습니다
  • 0:51 - 0:57
    이쪽에 이탈기가 있습니다
  • 0:57 - 1:01
    Sn2 반응에서 친핵체가 탄소에게
  • 1:01 - 1:02
    전자를 줍니다
  • 1:02 - 1:04
    탄소는 부분적 양전하를 띱니다
  • 1:04 - 1:06
    그려보도록 하죠
  • 1:06 - 1:09
    이탈기는 부분적 음전하를 띱니다
  • 1:09 - 1:13
    전기음성도가 높은 경향 때문입니다
  • 1:13 - 1:16
    이 전자는 탄소에게 주어지고
  • 1:16 - 1:19
    탄소가 이것을 얻으면 동시에
  • 1:19 - 1:24
    전기음성의 이탈기는 탄소로부터
  • 1:24 - 1:28
    완전히 전자를 얻을 수 있습니다
  • 1:28 - 1:31
    이것이 끝난 후에
    다음과 같이 볼 수 있습니다
  • 1:31 - 1:36
    메틸 탄소가 있습니다
    뒤에 수소가 있고
  • 1:36 - 1:39
    앞에 수소가 있고
    위에 수소가 있습니다
  • 1:39 - 1:43
    이탈기는 떠났습니다
  • 1:43 - 1:46
    이 전자를 얻었고
  • 1:46 - 1:53
    분홍색 전자도 얻었습니다
    이제 음전하를 띠고 있으며
  • 1:53 - 2:01
    친핵체는 전자를 주게 돼서
  • 2:01 - 2:04
    탄소와 결합을 형성합니다
  • 2:04 - 2:06
    이것을 한 이유는
    이것이 친핵체처럼
  • 2:06 - 2:07
    작용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 2:07 - 2:08
    이것을 핵을 좋아합니다
  • 2:08 - 2:11
    추가의 전자를 나누어 주지만
  • 2:11 - 2:13
    루이스 염기와 비슷하게도 작용합니다
  • 2:13 - 2:17
    루이스 염기와 비슷하게도 작용합니다
  • 2:17 - 2:19
    초점을 조금 옮겨봅시다
  • 2:19 - 2:22
    굉장히 일반적인 루이스 염기 또는
  • 2:22 - 2:26
    염기를 설명하기 위해
    많이 사용될 것으로 추측합니다
  • 2:26 - 2:28
    루이스 염기는 전자를 주는 것을 의미합니다
  • 2:28 - 2:32
    루이스 염기는 전자를 주는 것을 의미합니다
  • 2:32 - 2:34
    여기서 일어나는 것과 동일합니다
  • 2:34 - 2:37
    친핵체가 탄소에게 전자를 줍니다
  • 2:37 - 2:39
    이것은 루이스 염기처럼 작용합니다
  • 2:39 - 2:41
    처음 봤을 때, 아마
  • 2:41 - 2:45
    왜 화학자는 친핵체와 같은 것을
    정의하는 고통을
  • 2:45 - 2:46
    살펴보지 않았을까?
  • 2:46 - 2:48
    왜 염기라고 부를까?
  • 2:48 - 2:51
    왜 친핵성도와 염기도 개념이 다를까?
  • 2:51 - 2:53
    하고 의문이 들 것입니다
  • 2:53 - 2:57
    차이점은 친핵성도는 운동적
    개념인 점입니다
  • 2:57 - 3:02
    반응에서 얼마나 반응이 잘 일어나며
  • 3:02 - 3:04
    얼마나 빠르게 일어나며
  • 3:04 - 3:07
    얼마나 에너지가 더 필요한 지를 의미합니다
  • 3:07 - 3:09
    좋은 친핵성도를 가질 때
  • 3:09 - 3:10
    반응을 잘 합니다
  • 3:10 - 3:15
    반응을 잘 합니다
  • 3:15 - 3:18
    전후에 반응물이 얼마나 안정적이고
  • 3:18 - 3:21
    불안정적인지 알려주지 않습니다
  • 3:21 - 3:23
    단지 서로 반응을
    잘하는지만 알려줍니다
  • 3:23 - 3:26
    염기도는 열역학적 개념입니다
  • 3:26 - 3:30
    염기도는 열역학적 개념입니다
  • 3:30 - 3:35
    이것은 반응물이나 결과물이
  • 3:35 - 3:36
    얼마나 안정적인지 알려줍니다
  • 3:36 - 3:45
    이것은 얼마나 반응을
    잘 안 할지를 알려줍니다
  • 3:45 - 3:53
    이것은 얼마나 반응을
    잘 안 할지를 알려줍니다
  • 3:53 - 3:58
    예를 들어, 플루오린의 상황을 봅시다
  • 3:58 - 3:59
    이것을 생각해 봅시다
  • 3:59 - 4:01
    상황을 보면 사실
  • 4:01 - 4:03
    플루오린화 이온이고
    풀루오린화 이온은 다음과 같습니다
  • 4:03 - 4:07
    플루오린에 7개 원자가 전자가 있고
  • 4:07 - 4:09
    하나의 전자를 훔쳐와서
  • 4:09 - 4:11
    플루오린화 이온이 됩니다
  • 4:11 - 4:14
    플루오린화 이온은
    마땅하게 염기입니다
  • 4:14 - 4:17
    아이온딘화 이온보다
    염기성이 강합니다
  • 4:17 - 4:29
    아이온딘화 이온보다
    염기성이 강합니다
  • 4:29 - 4:33
    하지만 양자성 용액에서는
    여기에 써보죠
  • 4:33 - 4:46
    양자성 용액에서는
    친핵성도가 낮습니다
  • 4:46 - 4:48
    양자성 용액은 다시 말하지만
  • 4:48 - 4:50
    주위에 수소 양성자가 있습니다
  • 4:50 - 4:55
    그 이유는 플루오린화 이온이
  • 4:55 - 4:59
    탄소 또는 다른 것, 심지어는 수소 양성자와도
  • 4:59 - 5:00
    결합하려는 경향이 낮습니다
  • 5:00 - 5:04
    이것은 아이오딘화 이온보다
    덜 결합을 형성하려 합니다
  • 5:04 - 5:07
    만약 그런다면
    이것은 아이오딘화 이온보다
  • 5:07 - 5:11
    강력한 결합일 것이고
    플루오린화 이온은
  • 5:11 - 5:14
    아이오딘화 이온보다
    덜 안정적으로 형성합니다
  • 5:14 - 5:18
    이것이 양성자를 가질 수 있거나
    전자를 줄 수 있다면
  • 5:18 - 5:21
    더 행복했겠지만
    친핵성도가 낮습니다
  • 5:21 - 5:25
    양자성 용액에서
    반응을 잘 하지 않습니다
  • 5:25 - 5:28
    친핵성도가 낮은 이유는
  • 5:28 - 5:30
    반응을 막으려는 다른 것들이
    있기 때문입니다
  • 5:30 - 5:33
    무엇이 좋은 친핵체를 만드는지
    영상에서 봤고
  • 5:33 - 5:36
    플루오린화 이온의 경우에서는
  • 5:36 - 5:38
    굉장히 작은 원자이기 때문입니다
  • 5:38 - 5:43
    실제 매우 작은 이온이어서
    가까이서 잡아집니다
  • 5:43 - 5:47
    전자 구름이 매우 조여 있어서
  • 5:47 - 5:51
    물로 부터의 수소는 주위에
    매우 조이는
  • 5:51 - 5:54
    껍질을 형성합니다
  • 5:54 - 5:57
    이것은 부분적 양전하를 띠고
  • 5:57 - 6:00
    음이온을 끌어 당깁니다
  • 6:00 - 6:05
    그것들이 플루오린화 이온을 보호하는
    껍질을 형성하며
  • 6:05 - 6:10
    그것이 양자성 이온에서
    반응하기 어렵게 만듭니다
  • 6:10 - 6:12
    이것은 잘 반응하지 않습니다
  • 6:12 - 6:17
    이것은 잘 반응하지 않습니다
  • 6:17 - 6:21
    반응을 할 수 있으려면
    아이오딘화 이온보다
  • 6:21 - 6:25
    강력한 결합을 형성해야 합니다
  • 6:25 - 6:27
    이것은 큰 차이인데
  • 6:27 - 6:28
    동향에서 차이를 볼 수 있습니다
  • 6:28 - 6:31
    염기도는 어떤 용액인지
  • 6:31 - 6:32
    중요하지 않습니다
  • 6:32 - 6:35
    음이온의 분자나 원자의
  • 6:35 - 6:37
    열역학적 속성입니다
  • 6:37 - 6:44
    순수한 염기도를 보면, 강한 염기는
  • 6:44 - 6:46
    볼 수 있듯이
    수산화 이온을 쓰겠습니다
  • 6:46 - 6:50
    보통 수산화 나트륨이나
    수산화 칼륨 같지만
  • 6:50 - 6:53
    물 같은 것에 용해 되면
  • 6:53 - 6:57
    나트륨과 수산화 이온이 분리됩니다
  • 6:57 - 7:00
    실제 수산화 이온이 염기로
    작용하게 되고
  • 7:00 - 7:02
    전자를 주려고 합니다
  • 7:02 - 7:06
    수산화 이온은 플루오린화 이온보다
    훨씬 강한 염기이고
  • 7:06 - 7:09
    염화 이온보다 강한 염기이며
  • 7:09 - 7:16
    브로민 이온보다 강한 염기이고
    아이오딘화 이온보다 강한 염기입니다
  • 7:16 - 7:21
    차이를 보기 위해 친핵성도를 본다면
  • 7:21 - 7:27
    어떤 용액인지 보는 것은
    중요하다는 것을 알 것입니다
  • 7:27 - 7:31
    용액이 얼마나 반응을 잘 하는지에
  • 7:31 - 7:32
    영향을 주기 때문이죠
  • 7:32 - 7:35
    친핵성도에서 양자성 용액과
  • 7:35 - 7:40
    반 양자성 용액에는 차이가 있습니다
  • 7:40 - 7:44
    양자성 용액에서는
    가장 친핵성도가 높은 물질이
  • 7:44 - 7:47
    아이오딘화 이온입니다
  • 7:47 - 7:50
    수소 결합에 의해 숨지 않기 때문입니다
  • 7:50 - 7:51
    조이는 껍질을 가지지 않습니다
  • 7:51 - 7:54
    큰 분자 구름을 가지고
  • 7:54 - 7:55
    부드러운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 7:55 - 7:58
    이것은 유극 능력을 지니는데
  • 7:58 - 8:00
    구름이 탄소쪽으로 당겨지고
    필요한 것을 하는 것입니다
  • 8:00 - 8:05
    이 상황에서 아이오딘화 이온은
    수산화 이온보다 친핵성이 높고
  • 8:05 - 8:10
    수산화 이온은 플루오린화 이온보다
  • 8:10 - 8:11
    친핵성이 높습니다
  • 8:11 - 8:18
    반양자성 용액에서는 용액에서
  • 8:18 - 8:21
    모든 갑작스런 반응이
    중요하지 않게 이루어지고
  • 8:21 - 8:24
    물체가 변화합니다
  • 8:24 - 8:27
    이 상황에서 염기도가 중요합니다
  • 8:27 - 8:36
    반양자성 용액에서 염기도와
  • 8:36 - 8:42
    친핵성도는 일치합니다
  • 8:42 - 8:49
    여기에 별표를 치겠습니다
  • 8:49 - 8:51
    아직 말하지 않은 다른 측면의
    친핵성도가 있기 때문이죠
  • 8:51 - 8:53
    곧 이것에 대해 말하겠습니다
  • 8:53 - 8:58
    이런 형식의 상황에서는
    수산화 이온이 플루오린화 이온보다
  • 8:58 - 9:03
    반응을 잘하고
    이것은 아이오딘화 이온보다
  • 9:03 - 9:04
    반응을 더 잘합니다
  • 9:04 - 9:11
    두 상황에서 수산화 이온이
  • 9:11 - 9:14
    즉, 용액과 상호작용할 때
  • 9:14 - 9:16
    친핵성도가 꽤 높은 이유는
  • 9:16 - 9:21
    수산화 이온이나
    다른 것을 보았을 때
  • 9:21 - 9:24
    많은 추가의 전자가 있기 때문입니다
  • 9:24 - 9:26
    이것에 대해 생각해보면
  • 9:26 - 9:29
    가지고 간 물을 상상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 그려보죠
  • 9:29 - 9:33
    양성자 남겨지거나 양성자로 부터
  • 9:33 - 9:36
    빼앗긴 전자를 생각할 수 있습니다
  • 9:36 - 9:39
    보통 전자쌍이 2개이나
    3번째 전자쌍이 있습니다
  • 9:39 - 9:43
    산소는 1,2,3,4,5,6
  • 9:43 - 9:46
    7개의 원자가 전자가 있습니다
    자연계의 산소보다 한개 더 많습니다
  • 9:46 - 9:47
    이것은 음전하를 띠게 됩니다
  • 9:47 - 9:51
    이것은 음전하를 띠게하는
  • 9:51 - 9:55
    추가의 전자가 있지만
    산소는 수소보다 전기 음성도가
  • 9:55 - 9:58
    높아서 이쪽으로 조금 더
  • 9:58 - 10:01
    포함되게 됩니다
  • 10:01 - 10:07
    이것은 매우 기본적인 분자입니다
  • 10:07 - 10:10
    물같은 양자적 환경에 의해
  • 10:10 - 10:13
    간섭을 받게 된다면
  • 10:13 - 10:17
    플루오린화 이온보다
    친핵성도가 높아집니다
  • 10:17 - 10:20
    그림에서 용액을 가져온다면
  • 10:20 - 10:21
    매우 강한 염기일 것입니다
  • 10:21 - 10:25
    또한 매우 강한 친핵체일 것입니다
  • 10:25 - 10:28
    친핵성도의 마지막 측면은
  • 10:28 - 10:31
    친핵성도는 얼마나 반응을
    잘하는지를 의미합니다
  • 10:31 - 10:35
    여기 무언가 있다 해봅시다
  • 10:35 - 10:40
    여기 무언가 있다 해봅시다
  • 10:40 - 10:43
    여기 무언가 있다 해봅시다
  • 10:43 - 10:48
    이것이 정확히 수산화 이온이
    있다고 합시다
  • 10:48 - 10:50
    여기 있는 모든것이
  • 10:50 - 10:51
    있다고 합시다
  • 10:51 - 10:56
    이것은 큰 사슬이 있다고 해봅시다
  • 10:56 - 10:57
    어떤 것인지는 모르겠습니다
  • 10:57 - 10:59
    두 분자를 보면
  • 10:59 - 11:02
    어떤 것이 더 친핵성도가 높을 지
    추측한다면
  • 11:02 - 11:06
    단지 기억하시면 됩니다
  • 11:06 - 11:09
    친핵성도는 얼마나 반응을 잘하는 정도이고
  • 11:09 - 11:12
    반응을 잘 일으키는 정도이다
  • 11:12 - 11:15
    이것은 주위에 큰 분자가 있습니다
  • 11:15 - 11:18
    아마 매우 힘들게 만들 것이고
  • 11:18 - 11:21
    이 상황으로 돌아오면
  • 11:21 - 11:22
    여기로 들어오기가 힘들 것입니다
  • 11:22 - 11:24
    탄소의 관점에서 입체적 방해물에 대해
  • 11:24 - 11:26
    말했지만 친핵체의 관점에서
  • 11:26 - 11:28
    말한 적은 없습니다
  • 11:28 - 11:32
    여기 친핵체에서, 여기의 추가의 전자가
  • 11:32 - 11:39
    목표의 핵에
  • 11:39 - 11:40
    들아가기 힘들 것입니다
  • 11:40 - 11:41
    이것은 숨겨질 겁니다
  • 11:41 - 11:46
    이 상황에서, 그룹이 반응을 하고 있어도
  • 11:46 - 11:48
    매우 쉬울 것이며
    음전하를 띤 산소와
  • 11:48 - 11:52
    그 추가의 전자는
  • 11:52 - 11:53
    동등해질 것입니다
  • 11:53 - 11:56
    하지만 여기 있는 것은
    더 작은 분자 입니다
  • 11:56 - 11:58
    덜 숨겨지고 쉽게 들어옵니다
  • 11:58 - 11:59
    이것은 친핵성도가 높을 것입니다
  • 11:59 - 12:03
    이것은 친핵성도가 높을 것입니다
  • 12:03 - 12:08
    강하게 말하지 않은 이유는
  • 12:08 - 12:11
    반양자성 용액에서
    염기도와 친핵성도는
  • 12:11 - 12:14
    완전히 연관되어 있고
  • 12:14 - 12:17
    친핵성도가 얼마나 숨겨져 있는지의
    요소가 되기 때문입니다
  • 12:17 - 12:20
    이것이 환경에 있거나
    강한 염기임에도
  • 12:20 - 12:23
    그것이 반응을 못하게 하는
  • 12:23 - 12:23
    분자입니까?
  • 12:23 - 12:26
    실제 결합을 형성한다면
    매우 강할 것입니다
  • 12:26 - 12:29
    기억해야될 것은 두개는
  • 12:29 - 12:31
    기억해야될 것은 두개는
  • 12:31 - 12:33
    다른 용어로 쓰는 까닭입니다
  • 12:33 - 12:36
    얼마나 반응을 잘하는지라는 친핵성도는
  • 12:36 - 12:38
    결합을 얼마나 잘 형성하는지를
    의미하지 않습니다
  • 12:38 - 12:41
    염기도는
    얼마나 결합을 잘하는지와
  • 12:41 - 12:44
    얼마나 반응을 잘 하지 않는지이며
  • 12:44 - 12:47
    얼마나 반응을 잘하는지에 대한 것은 아닙니다
  • 12:47 - 12:47
    얼마나 반응을 잘하는지에 대한 것은 아닙니다
Title:
Nucleophilicity vs. Basicity
Description:

more » « less
Video Language:
English
Team:
Khan Academy
Duration:
12:48

Korean subtitles

Revis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