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르시시즘의 심리학 |W. 키스 캠벨( W. Keith Campbell)
-
0:07 - 0:09첫 셀카가 있기 훨씬 이전에
-
0:09 - 0:11고대 그리스인과 로마인들에게는
-
0:11 - 0:15스스로의 모습에 사로잡힌
사람에 대한 신화가 있었습니다. -
0:15 - 0:16한 이야기를 보면
-
0:16 - 0:18나르시소스는 자신이
사랑할 사람을 찾기 위해 -
0:18 - 0:21전 세계를 돌아다니던
잘생긴 청년이었습니다. -
0:21 - 0:23그는 에코라는 이름의
정령을 거절한 후 -
0:23 - 0:27강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우연히 보고
-
0:27 - 0:29그의 모습과 사랑에 빠지게 되었습니다.
-
0:29 - 0:30나르시소스는 그의
모습에서 떨어질 수 없어 -
0:30 - 0:32결국 물에 빠져 죽고 말았습니다.
-
0:32 - 0:34그가 죽은 자리에 꽃 한송이가 피었고
-
0:34 - 0:37우리는 그 꽃을
나르시소스(수선화)라고 부릅니다. -
0:37 - 0:40이 신화는 스스로를 우선시하고,
때때로 자신에게 해로운 자아 집착이라는 -
0:40 - 0:44나르시시즘(자기애)의 기본적인
개념에 대해 말해주고 있습니다. -
0:44 - 0:48하지만 이것은 상담란에서 볼 수 있는
단순한 성격유형이 아닙니다. -
0:48 - 0:53심리학자들에 의해 연구되고
분류되는 특성들입니다. -
0:53 - 0:56나르시시즘의 정신분석학적 정의는
-
0:56 - 0:59자기 자신을 실제보다 과장되고
거창하게 생각하는 것입니다. -
0:59 - 1:02정도는 다르지만, 나르시시스트들은
자신이 더 나은 외모를 가졌고 -
1:02 - 1:03더 똑똑하며
-
1:03 - 1:05다른 사람들보다 더 중요한
인물이라고 생각합니다. -
1:05 - 1:08그리고 그들은 특별한
치료를 받아야 하죠. -
1:08 - 1:09심리학자들은 성격 특성으로서
-
1:09 - 1:13나르시시즘의 두 가지
유형을 알아냈습니다. -
1:13 - 1:16과장성 나르시시즘과
취약성 나르시시즘 입니다. -
1:16 - 1:18또한 더욱 극한의 형태인
자기애성 인격장애도 있는데 -
1:18 - 1:22이것은 잠시 뒤에
설명하기로 하겠습니다. -
1:22 - 1:26과장성 나르시시즘은
가장 접하기 쉬운 형태로 -
1:26 - 1:28외향적이고
-
1:28 - 1:29지배적이며
-
1:29 - 1:31관심 받기를 원합니다.
-
1:31 - 1:34과장성 나르시시스트들은
관심과 권력을 추구합니다. -
1:34 - 1:35정치인이나
-
1:35 - 1:36유명인
-
1:36 - 1:38또는 문화적 지도자들처럼 말이죠.
-
1:38 - 1:41물론, 이러한 권력을 갖는 자리를
추구하는 모든 사람들이 -
1:41 - 1:43자기애적 성향을 갖는 것은 아닙니다.
-
1:43 - 1:44많은 사람들은 매우 긍정적인
이유로 권력을 추구합니다. -
1:44 - 1:46그들의 잠재력을 모두
발현하기 위해서라든가 -
1:46 - 1:48또는 사람들의
더 나은 삶을 위해서 말이죠. -
1:48 - 1:51하지만 자기애적 성향을 가진 사람들은
-
1:51 - 1:54그 지위 자체와 그것에 수반되는
관심을 위해 권력을 원합니다. -
1:54 - 1:58반면, 취약성 나스시시스트들은
조용하고 내성적일 수 있습니다. -
1:58 - 2:00권리를 이해하는 감각을 지녔지만
-
2:00 - 2:03쉽게 위협받거나 소외됩니다.
-
2:03 - 2:07두 가지 유형 모두, 오랜 기간에 걸쳐
나르시시즘의 부정적인 면이 나타납니다. -
2:07 - 2:10나르시시스트들은 이기적이게
행동하는 경향이 있어서 -
2:10 - 2:14나르시시스트인 지도자는 위험하거나
비윤리적인 결정을 내릴 수 있고 -
2:14 - 2:19자기애적 성향을 가진 동료는 정직하지
못하거나 불성실할 수 있습니다. -
2:19 - 2:22그들은 자신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접하게 되면 -
2:22 - 2:24심하게 화를 내거나
공격적이어 질 수도 있습니다. -
2:24 - 2:27나르시시즘은 자기 자신은
꽤 괜찮다고 느끼지만 -
2:27 - 2:30주변 사람들이 고통받는 질병입니다.
-
2:30 - 2:31이것이 극도로 지나치게 되면
-
2:31 - 2:34이러한 행동은
정신분석학적 장애로 분류되는데 -
2:34 - 2:37이는 자기애성 인격장애라고 불립니다.
-
2:37 - 2:40전세계 인구의 1~2% 정도가
이 장애를 갖고 있으며 -
2:40 - 2:42남자에게서 더 많이 발견됩니다.
-
2:42 - 2:45또한 이것은 어른들에게만
내려지는 진단입니다. -
2:45 - 2:48나이가 어린 사람들, 특히 어린이들은
매우 자기중심적일 수 있지만 -
2:48 - 2:51이것은 정상적인
발달 과정에 포함될 수 있습니다. -
2:51 - 2:55미국 정신 의학 협회에서 발간하는
-
2:55 - 2:57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DSM) 5판은 -
2:57 - 3:02자기애성 인격장애와 관련된 몇
가지 특성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
3:02 - 3:05그 특성들은
자기 자신에 대한 확대해석, -
3:05 - 3:06공감능력의 부족
-
3:06 - 3:08권리 의식
-
3:08 - 3:11그리고 존경이나 관심의
필요 등을 포함합니다. -
3:11 - 3:14이러한 특성들을 진정한
인격장애로 만드는 것은 -
3:14 - 3:18그들이 다른 사람의 생활을 장악하고
큰 문제를 일으킨다는 점입니다. -
3:18 - 3:21당신이 당신의 배우자나
아이들을 돌보는 대신 -
3:21 - 3:24그들을 관심이나 존경의 수단으로
삼는다고 생각해보세요. -
3:24 - 3:26또는 당신의 행동에 대한
-
3:26 - 3:28건설적인 피드백을 받는 대신
-
3:28 - 3:31당신을 도우려고 했던 모든 사람들에게
-
3:31 - 3:33그들이 틀렸었다고
말한다고 생각해보세요. -
3:33 - 3:35그렇다면, 무엇이 나르시시즘을
유발하는 것일까요? -
3:35 - 3:38쌍둥이 실험은 강한
유전적 요인을 밝혀냈습니다. -
3:38 - 3:41어떤 유전자가 관련돼 있는지는
모르지만 말이죠. -
3:41 - 3:43또한 환경적인 요인도 있습니다.
-
3:43 - 3:45부모가 자녀들을 너무
떠받들며 키우게 되면 -
3:45 - 3:48과장성 나르시시즘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3:48 - 3:52그리고 이성적이고 통제적인 부모는
취약성 나르시시즘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3:52 - 3:55나르시시즘은 또한
-
3:55 - 3:59개성과 자기 홍보를 중요시하는 국가에서
더욱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입니다. -
3:59 - 4:03예를 들어, 미국에서는
성격 특성으로서의 나르시시즘은 -
4:03 - 4:061970년대 이후로
계속해서 증가해왔습니다. -
4:06 - 4:091970년대는 60년대의
공동체적 가치가 -
4:09 - 4:10자존감 회복 운동과
-
4:10 - 4:13물질주의의 확산에 밀려나는 시대였죠.
-
4:13 - 4:17가장 최근에는, 소셜미디어가 자기
홍보의 가능성을 크게 증가시켰습니다. -
4:17 - 4:19하지만 소셜 미디어가
-
4:19 - 4:22나르시시즘을 유발한다는
명확한 증거는 없습니다. -
4:22 - 4:28오히려, 소셜미디어는 나르시시스트들이
사회적 지위와 관심을 얻는 수단입니다. -
4:28 - 4:31그렇다면, 나르시시스트들은 이러한
부정적인 특성을 개선할 수 있을까요? -
4:31 - 4:33할 수 있습니다!
-
4:33 - 4:37자신의 행동을 올바르게 바라보고
다른 사람을 보살피는 모든 것들, -
4:37 - 4:42예를 들어 정신 치료나, 타인에 대한
연민을 연습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
4:42 - 4:45문제는 자기애적 인격장애를
갖고 있는 사람들이 -
4:45 - 4:49자기 발전을 위해 노력하는 것이
어려울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
4:49 - 4:54나르시시스트들에게 노골적인
자아 반영은 어려운 일입니다.
- Title:
- 나르시시즘의 심리학 |W. 키스 캠벨( W. Keith Campbell)
- Speaker:
- W. Keith Campbell
- Description:
-
전체 영상 보기: http://ed.ted.com/lessons/the-psychology-of-narcissism-w-keith-campbell
나르시시즘은 단순히 상담란에서 볼 수 있는 성격유형이 아닙니다. 그것은 심리학자들에 의해 연구되고 분류되는 특성입니다. 하지만 무엇이 그것을 유발할까요? 그리고 나르시시트들은 그들의 부정적인 특성을 개선할 수 있을까요? W. Keith Campbell은 나르시시트들의 스스로의 우선시 됨과 때때로 해로운 자아 집착 뒤의 심리학을 보여줍니다.
W. Keith Campbell 강의, TOGETHER 애니매이션
- Video Language:
- English
- Team:
closed TED
- Project:
- TED-Ed
- Duration:
- 05:10
![]() |
Michelle Mehrtens edited Korean subtitles for The psychology of narcissism | |
![]() |
Jihyeon J. Kim approved Korean subtitles for The psychology of narcissism | |
![]() |
Jihyeon J. Ki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The psychology of narcissism | |
![]() |
Jihyeon J. Ki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The psychology of narcissism | |
![]() |
Jihyeon J. Ki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The psychology of narcissism | |
![]() |
Katherine Cho accepted Korean subtitles for The psychology of narcissism | |
![]() |
Katherine Cho edited Korean subtitles for The psychology of narcissism | |
![]() |
Sun Choi edited Korean subtitles for The psychology of narcissis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