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turn to Video

Doris Salcedo in "Compassion" - Season 5 - "Art in the Twenty-First Century" | Art21

  • 0:47 - 0:48
    카를로스 안드레스 그라나다 조수:
  • 0:48 - 0:50
    우리가 제조 중인 가구 조각들을 이곳에서 만듭니다.
  • 0:51 - 0:54
    이것은 골동품처럼 보여야 합니다. 독창적으로 보여야 하지요.
  • 0:55 - 0:57
    작품은 도리스가 그림을 그리는 데서부터 시작됩니다.
  • 0:57 - 0:59
    가구 조각이 준비되면,
  • 0:59 - 1:01
    저는 컴퓨터에서 모델을 제작합니다.
  • 1:01 - 1:05
    우리는 이 가구 작업의 모든 요소를 시뮬레이션합니다.
  • 1:05 - 1:07
    그 후, 그들은 설계도를 만들고
  • 1:07 - 1:10
    저는 여기로 내려와 라몬과 대화하며
  • 1:10 - 1:13
    각도와 모든 것을 설명합니다.
  • 1:13 - 1:16
    그리고 우리는 금속 구조를 만드는 것으로 시작합니다.
  • 1:20 - 1:21
    조수 라몬 비야마린:
    저는 도리스를 위한 엔지니어 같은
  • 1:21 - 1:23
    존재라고 느낍니다.
  • 1:24 - 1:28
    저는 그녀가 특정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돕습니다.
  • 1:28 - 1:30
    저는 엔지니어가 아니지만,
  • 1:30 - 1:34
    기술적이고 창의적인 두 분야를
  • 1:34 - 1:37
    모두 이해하고 다룰 수 있습니다.
  • 1:40 - 1:43
    저의 주된 역할은 항상 그 조각들을
  • 1:43 - 1:45
    연결하는 방법을 찾는 것이었습니다.
  • 1:45 - 1:47
    그것은 매우 어려운 작업입니다.
  • 1:47 - 1:50
    도리스는 항상 거의 불가능한 것을 만들려고 합니다.
  • 1:53 - 1:55
    호아퀸 사나브리아 조수:
    카를로스는 모델링을 하고
  • 1:55 - 1:57
    그 단계에서 도리스와 함께 작업했습니다.
  • 1:57 - 2:01
    라몬과 함께 결국 그들은 서로 연결되어야 합니다.
  • 2:01 - 2:03
    즉, 가상에서 현실로 변환됩니다.
  • 2:04 - 2:07
    그 작품은 내부에서 외부로 작동합니다.
  • 2:07 - 2:10
    모든 것이 설정되어 있어 작품의 표면이 구조적으로
  • 2:10 - 2:13
    1mm 단위까지 정확해야 합니다.
  • 2:13 - 2:17
    그래서 내부부터 시작하여, 우리는 매우 견고한 금속 구조를 만들고,
  • 2:17 - 2:20
    그것이 모든 방향에서 지탱할 수 있도록 합니다.
  • 2:22 - 2:24
    내부 구조는 겉으로 보이지 않습니다. 절대 그것을 볼 수 없어요.
  • 2:24 - 2:28
    마지막으로 이 구조는 콘크리트를 제자리에 고정하여
  • 2:28 - 2:29
    튀어나오지 않도록 합니다.
  • 2:29 - 2:30
    그렇게 하면 균열이 생기지 않고,
  • 2:31 - 2:33
    주조될 때 안정적으로 유지됩니다.
  • 2:35 - 2:38
    표면이 무엇보다 중요하지만, 물론 그 표면에는
  • 2:38 - 2:40
    시적인 의미가 담겨 있으며,
  • 2:40 - 2:43
    작품 자체가 완전히 시적인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 2:45 - 2:48
    도리스 살세도: 저의 작업은
  • 2:48 - 2:50
    저의 경험이 아니라
  • 2:50 - 2:52
    다른 사람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합니다.
  • 2:54 - 2:57
    '경험'이라는 단어는 라틴어 experiri에서 유래했으며,
  • 2:57 - 2:59
    '시험하다, 증명하다'라는 의미를 갖습니다.
  • 2:59 - 3:03
    또한 라틴어 periri에서 유래하여 '위험, 위험한 상태'를 의미하고,
  • 3:03 - 3:06
    인도유럽어 어근 per에서 유래하여
  • 3:06 - 3:07
    '건너가다'라는 뜻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 3:07 - 3:10
    즉, '경험'은 '위험을 넘어가는 것'을 의미합니다.
  • 3:10 - 3:13
    그래서 제 작업은 문자 그대로 다른 사람들의 경험을
  • 3:13 - 3:15
    다루고 있습니다.
  • 3:16 - 3:17
    저는 폐허 외에 아무것도 남지 않은
  • 3:17 - 3:20
    나라, 콜롬비아 출신입니다.
  • 3:20 - 3:24
    전쟁, 제국주의, 식민주의가 우리에게 남긴 것이 그것입니다.
  • 3:24 - 3:28
    그것이 저의 시각을 형성하며, 그것이 핵심입니다.
  • 3:28 - 3:29
    저는 제3세계의 예술가입니다.
  • 3:30 - 3:33
    저는 피해자의 시각,
  • 3:33 - 3:36
    패배한 사람들의 시각에서
  • 3:36 - 3:37
    세상을 바라보고 있습니다.
  • 3:37 - 3:38
    저는 세상을 바라보고 있습니다.
  • 3:39 - 3:43
    그래서 저는 그 기억을 구현해내려고 노력합니다. 그것이 가능하다면요.
  • 3:43 - 3:46
    하지만 물론, 저는 성공하지 못합니다.
  • 3:47 - 3:51
    그래서 저의 작품은 특정한 것을 대표하지 않습니다.
  • 3:51 - 3:54
    그것은 단순히 어떤 것의 암시일 뿐입니다.
  • 3:54 - 4:00
    그것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것을 우리 앞에 불러오려는 시도입니다.
  • 4:00 - 4:01
    그래서 그것은 미묘합니다.
  • 4:03 - 4:07
    저는 매우 너그러운 방식으로 저를 도와 작품을 만드는 사람들과
  • 4:07 - 4:09
    함께 작업합니다.
  • 4:09 - 4:10
    이것은 공동 작업입니다.
  • 4:11 - 4:15
    저는 건축가들과 함께 작업하며, 이 건축가 팀은
  • 4:15 - 4:21
    지속적으로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함께
  • 4:21 - 4:23
    작품 제작 방식에 대한 의견을 제공합니다.
  • 4:23 - 4:27
    원하는 것에 대한 매우 구체적인 아이디어는 제가 가지고 있지만,
  • 4:28 - 4:31
    그것을 실현하는 사람들은 그들입니다.
  • 4:31 - 4:33
    그들은 그것을 실제적인 무언가로 만들어냅니다.
  • 4:37 - 4:39
    작품을 만드는 과정은
  • 4:39 - 4:44
    마치 정신분열적인 게임과 같아서,
  • 4:44 - 4:48
    인터뷰하는 사람, 즉 증인의 중심에
  • 4:48 - 4:49
    나의 중심을 맞추려고 합니다.
  • 4:49 - 4:52
    그리고 나서 그 관점에서 자신을 바라보려고 합니다.
  • 4:54 - 4:56
    오랜 세월 동안 저는 끔찍한 사건을 경험한
  • 4:56 - 5:00
    폭력 피해자들과 이야기를 나누어 왔습니다.
  • 5:00 - 5:03
    저는 현장에 가서 사람들을 인터뷰하고
  • 5:03 - 5:04
    물건을 수집하며,
  • 5:04 - 5:08
    제 작업은 증인들이 저에게 들려준
  • 5:08 - 5:09
    이야기들을 바탕으로 만들어졌습니다.
  • 5:09 - 5:13
    그래서 저는 제 자신을 2차적 증인이라고 생각하곤 했습니다.
  • 5:14 - 5:17
    예술가로서 저에게는 책임이 있으며,
  • 5:17 - 5:19
    역사적 증거를 살펴보고,
  • 5:19 - 5:24
    주어진 자료로 작업을 해야 합니다.
  • 5:24 - 5:28
    저는 상상이나 허구를 바탕으로 작업하지 않습니다.
  • 5:35 - 5:40
    Unland를 만드는 과정에서 저는 나무에 머리카락을 자수 놓으며
  • 5:40 - 5:44
    바늘로 나무를 뚫고 지나갔습니다.
  • 5:44 - 5:46
    물론, 그것은 미친 짓입니다.
  • 5:46 - 5:48
    터무니없는 행동이기도 하죠.
  • 5:48 - 5:53
    그리고 이런 작업은 엄청난 에너지의 낭비입니다.
  • 5:54 - 5:56
    우리는 15명의 팀원들과 함께 3년 동안 쉬지 않고
  • 5:56 - 5:59
    그 작품을 작업했습니다.
  • 5:59 - 6:01
    그래서 이 작업이 시인 폴 첼란을 떠올리게 했습니다.
  • 6:01 - 6:03
    폴 첼란은
  • 6:03 - 6:08
    "오직 터무니없음만이 인간의 존재를 보여준다"라고 말했습니다.
  • 6:10 - 6:12
    그러한 의미에서, 그리고 또한 이것은
  • 6:12 - 6:14
    이곳에서 낭비된 생명들과 관련이 있었습니다.
  • 6:14 - 6:18
    그것은 콜롬비아에서 준군사 조직의 학살이 절정에 달했던 시기였습니다.
  • 6:18 - 6:21
    그것은 생명이 어떻게 낭비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저만의 방식이었습니다.
  • 6:21 - 6:22
    하지만 동시에,
  • 6:22 - 6:24
    우리는 시적인 것을 만들 수 있으며,
  • 6:24 - 6:28
    그것이 인간의 존재와 피해자들의 인간성,
  • 6:28 - 6:33
    생명의 나약함과 권력의 잔혹함에 대한
  • 6:33 - 6:34
    증언이 될 수 있습니다.
  • 6:34 - 6:40
    저는 나무를 꿰메는 그 행위 속에 모든 것이 담겨있다고 생각합니다.
  • 6:42 - 6:43
    라몬 비야마린:
    테이블들이 있었습니다.
  • 6:43 - 6:48
    테이블들이 함께 있었고, 도리스의 많은 작품처럼
  • 6:48 - 6:52
    오래된 가구들과 매우 흥미로운 결합을 이루고 있었습니다.
  • 6:52 - 6:56
    저의 역할은 그것들을 연결하는 것이었습니다.
  • 6:58 - 7:01
    저는 그 일을 돕기 위해 구멍을 뚫었습니다.
  • 7:01 - 7:04
    저는 수백만 개의 구멍을 뚫고 또 뚫었습니다.
  • 7:04 - 7:07
    그런데 어느 순간 어떤 일이 갑자기 일어났습니다.
  • 7:07 - 7:09
    거리에서 총성이 울렸고
  • 7:09 - 7:10
    "펑펑펑펑펑" 하는 소리가 들렸습니다.
  • 7:10 - 7:15
    무슨 일이 있었는지 정확히 기억나지 않지만, 거리에는 피가 흘렀습니다.
  • 7:15 - 7:18
    무슨 일이 일어났습니다. 그리고 갑자기, 왜 우리가
  • 7:18 - 7:21
    수백만 개의 구멍을 뚫어야 하는지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 7:21 - 7:25
    그것은 이성적이지 않았지만, 의미가 있었습니다.
  • 7:25 - 7:32
    그 순간, 수도승처럼 계속해서 수백만 개의 구멍을 뚫는 일이
  • 7:32 - 7:36
    의미를 가졌습니다.
  • 7:39 - 7:42
    도리스 살세도: 저는 실종된 사람들의 여러 사례를
  • 7:42 - 7:44
    조사하고 있었습니다.
  • 7:45 - 7:49
    결국 저는 한 사례에 집중하게 되었고
  • 7:49 - 7:52
    예술에서는 모든 것이 더 구체적이어야 하며, 더 구체적이고 더 친밀할수록
  • 7:52 - 7:56
    작품에서 더 많은 것을 전달할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 7:59 - 8:01
    제가 가난한 사람들, 아주 가난한 사람들과 함께 작업할 때,
  • 8:01 - 8:03
    사용할 수 있는 자원은 극히 제한적입니다.
  • 8:03 - 8:09
    그래서 저는 제가 작업하고 있는 증언에 따라 자원을 제한합니다.
  • 8:10 - 8:13
    Atrabiliarios라는 작품을 만들 때, 저는 우리가 본능적으로
  • 8:13 - 8:15
    혐오감을 느끼는 가장 비천한 재료를
  • 8:15 - 8:22
    사용했습니다. 예를 들면
  • 8:22 - 8:25
    한쪽에서는 소 방광을, 다른 한쪽에서는 낡은 신발을 사용했습니다.
  • 8:25 - 8:26
    우리는 낡은 신발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 8:29 - 8:32
    하지만 거리에서 신발 한 짝을 보면,
  • 8:32 - 8:36
    우리는 그것이 왜 거기에 있는지 궁금해합니다.
  • 8:43 - 8:49
    저는 그 개인적인 고통을 공적인 것으로 만들고 싶었습니다.
  • 8:49 - 8:53
    왜냐하면 그것은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적 문제이기 때문입니다.
  • 8:54 - 8:58
    그래서 저는 한 공간에 여러 개의 벽감을 만들었습니다.
  • 9:04 - 9:06
    호아퀸 사나브리아:
    콜롬비아의 정치적 역사에서
  • 9:06 - 9:07
    1948년 이후로
  • 9:07 - 9:12
    라 비올렌시아라고 불리는 폭력의 시대가 있었습니다.
  • 9:12 - 9:15
    전쟁, 파괴, 강제 이주, 극심한 가난으로 인해
  • 9:15 - 9:18
    마약 밀매에 연루될 수 밖에 없는
  • 9:18 - 9:23
    현실 등, 수많은 비극적인 일이 있었습니다.
  • 9:24 - 9:26
    도리스 살세도:
    저는 법원 점거 사건을
  • 9:26 - 9:28
    직접 목격했습니다.
  • 9:28 - 9:30
    그곳에서 수많은 사람들이 목숨을 잃었습니다.
  • 9:30 - 9:32
    저는 사건 현장에서 두 블록 떨어진 곳에서 일하고 있었습니다.
  • 9:32 - 9:38
    당시 콜롬비아에서는 폭력의 한계가 사라진 듯했습니다.
  • 9:39 - 9:47
    저의 작업 전체 개념은 그 점거전의 속도를 따르는 것이었습니다.
  • 9:47 - 9:51
    우리는 오전 11시 35분에 정확히 작업을 시작했습니다.
  • 9:51 - 9:55
    왜냐하면 그 시간이 첫 번째 희생자가 사망한 시간이었기 때문입니다.
  • 9:56 - 10:02
    우리는 건물 정면에서 다양한 속도로 물체들이 흘러내리도록 했습니다.
  • 10:02 - 10:03
    그것은 그 사건의 시간과 관련된 것이었습니다.
  • 10:03 - 10:05
    그것은 매우, 매우 중요한 요소였습니다.
  • 10:05 - 10:08
    그것은 시간의 흐름 속에서 일어나는 일이었습니다.
  • 10:08 - 10:11
    그리고 이 작품은 단 53시간 동안 지속되었으며
  • 10:11 - 10:17
    이는 점거전이 지속된 시간과 동일했습니다.
  • 10:17 - 10:18
    조수 호아킨 사나브리아:
    설계 도면은
  • 10:18 - 10:21
    약 300~400페이지에 달했습니다.
  • 10:21 - 10:25
    각 페이지는 특정 패턴의 지속 시간을 나타내고 있었습니다.
  • 10:25 - 10:29
    그날 우리는 도리스의 지휘 아래 마치 공연을 하듯 작업했습니다.
  • 10:29 - 10:37
    그녀는 거리에서 우리와 이야기하고 있었고, 우리는 위층에서 작업을 진행하고 있었습니다.
  • 10:37 - 10:38
    모든 것이 라벨링되어 있었고,
  • 10:38 - 10:41
    우리가 따라야 할 번호가 있었습니다.
  • 10:41 - 10:44
    마치 음악 작품처럼, 악보를 읽고 연주하는 것과 같았습니다.
  • 10:46 - 10:50
    1985년에 이 사건이 발생했을 때 저는 어린아이였습니다.
  • 10:50 - 10:54
    그 사건에 대한 제 기억은 희미하지만, 이작품을 통해
  • 10:54 - 11:00
    그것이 제 삶의 일부 또는 자서전적인 기억이 되었습니다.
  • 11:02 - 11:04
    카를로스 안드레스 그라나다 조수:
    테이트 미술관 바닥에
  • 11:04 - 11:05
    작은 균열이 있었고
  • 11:05 - 11:08
    도리스는 첫 방문 때 그것을 발견하고
  • 11:08 - 11:12
    그것을 이 작품의 출발점으로 삼기로 했습니다.
  • 11:12 - 11:18
    이것은 도리스가 160미터 길이로 직접 그린 완전한 도면입니다.
  • 11:18 - 11:22
    도리스가 손으로 1cm 단위까지 직접 그렸습니다.
  • 11:22 - 11:25
    우리는 균열에 대한 연구를 했고, 균열이 어떻게 형성되는지 조사했습니다.
  • 11:25 - 11:27
    우리는 지면, 콘크리트, 건물에서
  • 11:27 - 11:30
    균열의 가장자리와 내부가 어떻게 형성되는지
  • 11:30 - 11:32
    연구했습니다.
  • 11:32 - 11:34
    처음에 우리가 작업을 시작했을 때 우리는 마치 길거리에서 바닥이나 벽의 균열을
  • 11:34 - 11:39
    유심히 바라보는 미친 사람들처럼 보였습니다.
  • 11:39 - 11:45
    다음 단계는 사전에 제작된 균열을 어떻게 만들고
  • 11:45 - 11:47
    그것을 런던으로 운반할지를 고민하는 것이었습니다.
  • 11:47 - 11:51
    그래서 우리는 일반적인 콘크리스 슬래브를 만드는 방식과 유사하게
  • 11:51 - 11:54
    암석 형태를 가진 금속구조를 제작하는
  • 11:54 - 11:56
    아이디어를 떠올렸습니다.
  • 11:56 - 12:02
    여기 있는 사람들이 돌의 정확한 형태를 따라 강철을 성형하고 있습니다.
  • 12:03 - 12:05
    그 후 우리는 콘크리트를 부었습니다.
  • 12:05 - 12:12
    최종 결과물은 철망이 내장된 상태로, 쌍을 이루는 반대편 부분과
  • 12:12 - 12:13
    함께 주조된 형태였습니다.
  • 12:13 - 12:15
    우리는 320미터 길이의 콘크리트를 제작했습니다.
  • 12:15 - 12:19
    왜냐하면 균열의 양쪽 면을 모두 제작해야 했기 때문입니다.
  • 12:19 - 12:21
    작업은 대체로 우리가 계획한 대로 진행되었지만,
  • 12:21 - 12:24
    그 이미지와 최종 결과물은
  • 12:24 - 12:27
    실제로 보기 전까지는 상상할 수 없는 것이었습니다.
  • 12:27 - 12:29
    도리스 살세도:
    제가 이 작품을 구상하기 전에
  • 12:29 - 12:31
    그 공간에 방문했을 때,
  • 12:31 - 12:36
    저를 가장 놀라게 한 것은 그곳을 걷는 사람들의 태도였습니다.
  • 12:36 - 12:39
    모두가 위를 쳐다보며, 그 공간이 놀라운 장소라고
  • 12:39 - 12:40
    느끼고 있더군요.
  • 12:41 - 12:44
    그리고 저는 생각했습니다. "이곳이 그렇게 특별한 곳은 아닌데."
  • 12:44 - 12:47
    이곳은 산업적인 모더니즘 공간일 뿐입니다. 이런 공간은 많이 있습니다.
  • 12:47 - 12:50
    여기는 하기아 소피아에 들어서는 것도 아니고,
  • 12:50 - 12:53
    이집트의 피라미드 앞에 서 있는 것도 아닙니다.
  • 12:53 - 12:55
    하지만 사람들은 그렇게 느꼈고,
  • 12:55 - 12:58
    저는 그것이 믿을 수 없을 정도로 자기중심적이라고 생각했습니다.
  • 12:58 - 13:02
    그래서 저는 그 관점을 완전히 뒤집고 싶었습니다.
  • 13:02 - 13:10
    위를 보는 대신, 아래를 보도록 함으로써 현실을 바라보게 만들고 싶었습니다.
  • 13:10 - 13:14
    그래서 저는 이 모더니즘적이고 합리주적인 건물에 혼란스러우면서도
  • 13:14 - 13:21
    부정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이미지를 새기고 싶었습니다.
  • 13:21 - 13:26
    왜냐하면 저는 인간성과 비인간성,
  • 13:26 - 13:30
    또는 백인과 비백인을 나누는 끝없는 격차가 존재한다고 믿기 때문입니다.
  • 13:30 - 13:33
    그래서 저는 그 격차를 다루고 싶었습니다.
  • 13:33 - 13:37
    그리고 저는 그 격차가 주로 근대의 역사에서 감지된다고 생각했습니다.
  • 13:39 - 13:48
    근대의 역사를 읽어보면, 그것은 오직 유럽인들의 사건으로만 서술됩니다.
  • 13:48 - 13:50
    다른 누구도 그 역사에 참여한 것으로 다뤄지지 않습니다.
  • 13:50 - 13:54
    그리고 식민주의와 제국주의의 개념은
  • 13:54 - 13:56
    최소한으로만 언급되거나 아예 주변부로 밀려나 있습니다.
  • 13:56 - 14:02
    그래서 저는 인종차별의 역사가 드러나기를 원했습니다. 왜냐하면
  • 14:02 - 14:04
    저는 인종차별의 역사가 근대사의 이야기되지 않은
  • 14:04 - 14:08
    어두운 면이라고 믿기 때문입니다.
  • 14:10 - 14:15
    그래서 저는 이 균열이 건물을 부수고 침투하도록 만들고 싶었습니다.
  • 14:15 - 14:19
    마치 유색인 이민자가 백인 사회의 동질성과 합의 속으로
  • 14:19 - 14:28
    침투하는 방식과 비슷하게 말입니다.
  • 14:30 - 14:34
    "십볼렛(Shibboleth)"이라는 단어는 제가 성경의 사사기에서 가져온 단어입니다.
  • 14:34 - 14:39
    이 단어는 두 이스라엘 부족 사이의 전쟁을 묘사하고 있습니다.
  • 14:39 - 14:41
    전쟁에서 패배한 부족이 요르단 강을 건너 도망치려 했습니다.
  • 14:41 - 14:46
    강을 건너는 과정에서 그들에게 shibboleth(십볼렛)이라는
  • 14:46 - 14:49
    단어를 발음하도록 요청했습니다.
  • 14:49 - 14:53
    하지만 그들은 그 단어를 정확히 발음할 수없었고 see-boleth(시볼레스)라고 발음했습니다.
  • 14:53 - 14:57
    그 순간, 성경은 엄청난 학살이 벌어졌다고 서술합니다.
  • 14:57 - 15:00
    그 자리에서 42,000명이 학살되었습니다.
  • 15:00 - 15:05
    그래서 저는 이 단어를 사용했습니다. 왜냐하면 그것이 인종차별의 경험,
  • 15:05 - 15:09
    국경을 넘는 경험, 이민자의 경험을 상징하기 때문입니다.
  • 15:09 - 15:13
    즉, 국경을 넘으려는 시도 속에서 목숨을 잃는다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 말하고 싶었습니다.
  • 15:15 - 15:18
    제 작업을 정의하는 단어는 무력감(impotence)입니다.
  • 15:19 - 15:21
    저는 완전히 무력감을 느낍니다.
  • 15:21 - 15:25
    저는 일어나는 모든 일에 책임을 느끼지만,
  • 15:25 - 15:27
    단지 너무 늦게 도착한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요.
  • 15:28 - 15:33
    저는 전쟁에서 가족을 잃은 그 누구에게도 아버지나 아들을 돌려줄 수 없습니다.
  • 15:33 - 15:36
    저는 어떤 문제도 해결할 수 없습니다. 저는 아무것도 할 수 없습니다.
  • 15:36 - 15:38
    그것은 힘의 부재입니다.
  • 15:38 - 15:41
    하지만 힘이 없는 사람으로서,
  • 15:42 - 15:47
    저는 권력을 가지고 생명을 조종하는 사람들과 맞섭니다.
  • 15:48 - 15:52
    힘이 없는 사람들의 관점에서
  • 15:52 - 15:55
    저는 권력자들과 그들의 행동을 바라봅니다.
Title:
Doris Salcedo in "Compassion" - Season 5 - "Art in the Twenty-First Century" | Art21
Description:

more » « less
Video Language:
English
Team:
Art21
Project:
"Art in the Twenty-First Century" broadcast series
Duration:
17:04

Korean subtitles

Revisions Compare revis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