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turn to Video

치아는 어떻게 진화했을까요? - 피터 S. 엉거(Peter S. Ungar)

  • 0:07 - 0:11
    여러분이 당연하게 여길 지 몰라도,
    치아는 경이로운 물건입니다.
  • 0:11 - 0:14
    삶 전반에서 여러분이
    먹는 음식을 분해하면서도
  • 0:14 - 0:18
    부러지지 않을만큼 강합니다.
  • 0:18 - 0:24
    그리고 치아는 자신이 잘게 부순
    음식을 재료로만 형성됩니다.
  • 0:24 - 0:27
    이것의 인상적인 힘의
    비결은 무엇일까요?
  • 0:27 - 0:31
    치아는 기발하고도 튼튼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0:31 - 0:36
    균열을 견디는 것은
    단단하기 때문이고,
  • 0:36 - 0:39
    주위에 균열이 퍼지는 것을
    막는 것은 튼튼함입니다.
  • 0:39 - 0:42
    두 특성을 모두 가진
    물체는 거의 없습니다.
  • 0:42 - 0:46
    예를 들면, 유리는 단단하지만
    튼튼하지 않죠.
  • 0:46 - 0:49
    가죽은 튼튼하지만 단단하지 않습니다.
  • 0:49 - 0:52
    치아는 두 개의 층으로
    그 일을 해냅니다.
  • 0:52 - 0:57
    칼슘으로 이루어진
    단단한 외부 애나멜 층이 있고
  • 0:57 - 1:01
    튼튼한 상아질의 층을
    아래에 가지고 있는데,
  • 1:01 - 1:04
    이는 친환경의 섬유조직으로
    일부 이루어져 있어 유연하게 만듭니다.
  • 1:04 - 1:08
    이 어마어마한 구조는
    두 가지 종류의 세포로 이루어집니다.
  • 1:08 - 1:11
    에나멜모세포는 에나멜을 분비하고
  • 1:11 - 1:14
    치아모세포는 상아질을 분비합니다.
  • 1:14 - 1:17
    이들이 치아를 만들면
    치아모세포는 안으로 움직이고
  • 1:17 - 1:22
    에나멜모세포는 밖으로 이동하면서
    표면을 마주칠 때 벗어납니다.
  • 1:22 - 1:26
    에나멜은 이 과정에서
    길고 얇은 가닥을 만듭니다.
  • 1:26 - 1:29
    직경이 60나노미터 정도 되는데,
  • 1:29 - 1:32
    이는 인간 머리카락 두께의
    1/1000정도 됩니다.
  • 1:32 - 1:36
    이것은 다시 간상체로 묶여져 함께
  • 1:36 - 1:38
    수많은 평방밀리미터로 나뉘어
  • 1:38 - 1:42
    방패같은 에나멜 층을 형성합니다.
  • 1:42 - 1:45
    일단 이 과정이 끝나면 다시
    에나멜은 스스로 고치지 못합니다.
  • 1:45 - 1:49
    왜냐하면 그것을 만든
    세포들이 사라졌기 때문이죠.
  • 1:49 - 1:52
    그래도 에나멜은 쉽게
    파괴되지 않으니 다행입니다.
  • 1:52 - 1:55
    치아모세포는
    더 복잡한 과정을 거칩니다.
  • 1:55 - 2:02
    에나멜 모세포와 달리
    삶 전반에 걸쳐 상아질을 분비합니다.
  • 2:02 - 2:05
    포유류 계층은 각자 다른
    치아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 2:05 - 2:10
    치아가 자라는 과정은 비슷합니다.
  • 2:10 - 2:11
    캥거루
  • 2:11 - 2:12
    코끼리
  • 2:12 - 2:14
    아니면 우리든
  • 2:14 - 2:17
    자연이 치아의 모양을 만듭니다.
  • 2:17 - 2:19
    접힌 것을 바꾸고 성장 패턴 등
  • 2:19 - 2:23
    다른 종마다 특정한
    식단에 맞추기 위해서죠.
  • 2:23 - 2:29
    질긴 풀을 잘 갈기 위해서
    소는 평평한 치아를 가지고 있습니다.
  • 2:29 - 2:34
    고양이는 고기를 찢기 위해 칼날처럼
    날카로운 어금니를 가지고 있습니다.
  • 2:34 - 2:39
    거친 뿌리와 씨를 잘 부수기 위해
    돼지는 무디고 두꺼운 어금니가 있죠.
  • 2:39 - 2:42
    현대 포유류의 무수한 어금니들은
  • 2:42 - 2:45
    "트라이보스페닉"이라는
    공룡 시대에 첫 등장한
  • 2:45 - 2:48
    공통의 조상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 2:48 - 2:52
    19세기에 고생물학자
    에드워드 드링커 코프는
  • 2:52 - 2:55
    이 형태가 진화한
    기본 모델을 발견했습니다.
  • 2:55 - 2:59
    그는 우리의 치아는 우리가
    물고기, 양서류, 파충서 볼 수 있는
  • 2:59 - 3:02
    콘 모양의 치아에서 시작해서
  • 3:02 - 3:07
    그리고 작은 끝이 추가되어 치아는
    세 개를 일렬로 가지게 되었으며,
  • 3:07 - 3:11
    앞에서 뒤로 정렬되며
    돌기로 연결되었다는 가설을 세웠습니다.
  • 3:11 - 3:16
    시간이 지날 수록
    끝은 삼각형을 만들었고
  • 3:16 - 3:21
    적절한 이가 잘라지면서
    돌기들의 끊임없는 지그재그를 형성합니다.
  • 3:21 - 3:25
    각각의 치아 뒤에 형성된 것이
  • 3:25 - 3:28
    부서지는 플랫폼을 형성합니다.
  • 3:28 - 3:33
    코프가 발견한 것에 따르면
    트라이보스페닉 어금니는 출발점 역할을 하고
  • 3:33 - 3:36
    이어지는 전문화된 형태의 방사에 있어
  • 3:36 - 3:38
    진화적인 욕구로 형성되었습니다.
  • 3:38 - 3:41
    돌기들이 나란해지면서
    선반 모양은 사라지고
  • 3:41 - 3:45
    고양이와 개의 전통적인 날과 같은
    치아를 가지게 되었습니다.
  • 3:45 - 3:50
    앞에 있던 끝이 사라지고 선반을 들어올려
    인간의 치아를 가지게 되었습니다.
  • 3:50 - 3:54
    약간 다르게 하면
    말과 소의 치아를 갖게 되죠.
  • 3:54 - 3:58
    코프의 가설의 자세한 부분은
    잘못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 3:58 - 3:59
    하지만 화석 기록에 따르면
  • 3:59 - 4:03
    그가 예측했던 대로
    치아의 예들이 등장합니다.
  • 4:03 - 4:08
    우리는 원시의 포유류들의
    어금니를 추적했습니다.
  • 4:08 - 4:12
    오늘날, 다양한 형태의
    음식을 소비하는 능력은
  • 4:12 - 4:14
    포유류가 각각의 거주지에서,
  • 4:14 - 4:17
    산 꼭대기부터 깊은 바다 속까지
  • 4:17 - 4:19
    밀림부터 사막까지
    살 수 있게 했습니다.
  • 4:19 - 4:24
    우리의 생물학적 계층의 성공은
    작은 차이로 나타납니다.
  • 4:24 - 4:26
    두드러진 힘과 적응성 뿐만 아니라
  • 4:26 - 4:29
    겸손한 포유류의 어금니에 의해서죠.
Title:
치아는 어떻게 진화했을까요? - 피터 S. 엉거(Peter S. Ungar)
Description:

전체 강의 보기 : https://ed.ted.com/lessons/how-did-teeth-evolve-peter-s-ungar

여러분은 당연하게 여기겠지만 치아는 놀라운 것입니다. 여러분이 먹는 모든 음식을 평생 부숴주면서도 치아는 부서지지 않을 정도로 강합니다. 어떻게 그럴 수 있을까요? 피터 S. 엉거가 치아의 진화과정을, 원시적 형태부터 현대적 복잡한 형태까지 설명해 드립니다.

강의: 피터 S. 엉거
애니메이션: 카봉 스튜디오

more » « less
Video Language:
English
Team:
closed TED
Project:
TED-Ed
Duration:
04:45

Korean subtitles

Revis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