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민이 된다는 것은 무슨 뜻일까요? -베네데타 버티, 에브리앙 보그만(Benedetta Berti and Evelien Borgman)
-
0:07 - 0:09전 세계적으로
-
0:09 - 0:13약 6000만 명의 사람들이 전쟁,
폭력, 그리고 억압을 피하기 위해 -
0:13 - 0:17강제로 집을 떠나야만 했습니다.
-
0:17 - 0:21대부분은 국내 유민이 되었죠.
-
0:21 - 0:26이들은 집을 떠났지만 아직 자신의
국가 내에 있는 사람들을 뜻합니다. -
0:26 - 0:31다른 이들은 국경을 넘어 다른
나라들에서 피난처를 찾았죠. -
0:31 - 0:34이들이 우리가 흔히 '난민'이라
부르는 사람들입니다 -
0:34 - 0:37그런데 난민의 정확한 의미는 무엇일까요?
-
0:37 - 0:40이 세상에는 수천 년간
난민이 있어 왔지만 -
0:40 - 0:45현대의 의미는 1951년
UN 협약에서 채택되었습니다. -
0:45 - 0:47이 협약은 2차 세계대전 동안의
-
0:47 - 0:52대규모 억압과 이주에 따른
난민들의 상황을 다루고 있었죠. -
0:52 - 0:57이 협약에서 난민이란 자신 국적의
나라를 떠난 사람으로 정의되고 -
0:57 - 0:59억압받는 것에 대한 두려움으로
-
0:59 - 1:04자국으로 돌아가지 못하는
사람을 의미합니다. -
1:04 - 1:09억압 받는 이유는 인종, 종교, 국적
-
1:09 - 1:13특정 사회 단체의 가입이나
정치적 의견 때문일 수도 있고 -
1:13 - 1:17주로 전쟁과 폭력과 관련이 있습니다.
-
1:17 - 1:21오늘날, 세계적으로 난민의
약 절반은 아이들이고 -
1:21 - 1:23그 중 보호자가 없는 일부 아이들은
-
1:23 - 1:27아동 노동이나 성착취의 위험에
-
1:27 - 1:30쉽게 노출되어 있습니다.
-
1:30 - 1:32각 난민들은 그들만의 사연이 있고
-
1:32 - 1:37불확실한 미래를 가진 위험한
여정들을 견뎌야 합니다. -
1:37 - 1:39그런데 그들의 여정에
대해 살펴보기 전에, -
1:39 - 1:41한 가지 알아 둘 것이 있습니다.
-
1:41 - 1:44"이민자"와 "난민"의 차이점에 대해
-
1:44 - 1:47많은 혼란이 있습니다.
-
1:47 - 1:50"이민자"는 주로 억압과 무관한 이유로
-
1:50 - 1:53자국을 떠나는 사람을 일컫는 말입니다.
-
1:53 - 1:55예를 들면 더 나은 경제적 기회를 찾거나
-
1:55 - 2:00가뭄에 시달리는 지역을 떠나
더 좋은 환경을 찾아가는 경우죠. -
2:00 - 2:03이 세상의 많은 사람들이
집을 떠나는 이유는 -
2:03 - 2:05자연 재해
-
2:05 - 2:07식량 문제
-
2:07 - 2:08그리고 다른 문제들이 있지만
-
2:08 - 2:11국제법은 여하간
-
2:11 - 2:17대립과 폭력으로부터 도망치는
사람들만 난민으로 인정합니다. -
2:17 - 2:21그러면 자신의 나라를 떠난
사람은 어떻게 될까요? -
2:21 - 2:24대부분 난민들의 여정은
매우 길고 험난하며 -
2:24 - 2:28주거지, 물, 그리고 음식에
제한을 받습니다. -
2:28 - 2:31급작스럽게 떠날 수도 있기 때문에
-
2:31 - 2:33재산을 버리고 떠날 수도 있고
-
2:33 - 2:38대립을 피해 떠난 사람들은 흔히
비자와 같이 필요한 문서들이 없어서 -
2:38 - 2:43비행기를 타거나 합법적으로
다른 나라로 들어갈 수 없습니다. -
2:43 - 2:45경제적, 정치적 요인 때문인 경우는
-
2:45 - 2:48정상적인 경로로 이동할 수도 없죠.
-
2:48 - 2:52그때는 육상이나 바다를
통해서만 이동할 수 밖에 없고 -
2:52 - 2:55자신들의 목숨을 밀수업자들에게 맡긴 채
-
2:55 - 2:57국경을 넘어야 할 수도 있습니다.
-
2:57 - 3:00어떤 이들은 가족들과
함께 피신하기도 하지만 -
3:00 - 3:04다른 이들은 혼자 이동을 시도하며
사랑하는 이들을 뒤에 남겨두고 -
3:04 - 3:07나중에 재회하기를
바라는 희망을 가집니다. -
3:07 - 3:10이 헤어짐은 매우 충격적이고 견디지
못할 정도로 길 수도 있습니다. -
3:10 - 3:14세계적으로 난민의 절반
이상이 도시에 있지만 -
3:14 - 3:18때로는 난민촌이 전쟁 난민의
첫 도착지가 되기도 합니다. -
3:18 - 3:23이 난민촌은 유엔 난민기구나
지자체가 주로 운영합니다. -
3:23 - 3:28난민촌은 임시 건물로 되어 있고
단기적인 주거지를 제공해줍니다. -
3:28 - 3:31거주자들이 안전하게 집에 돌아가거나
-
3:31 - 3:33현지 국가에 통합되거나
-
3:33 - 3:35다른 나라에 정착할 때까지 말이죠.
-
3:35 - 3:40그러나 재정착과 장기적 통합의
선택은 주로 제한적입니다. -
3:40 - 3:44그래서 난민들은 어쩔 수 없이
수 년 동안 난민촌에서 지내야 하고 -
3:44 - 3:47때로는 수십 년이 될 수도 있습니다.
-
3:47 - 3:51새로운 나라에 오면
난민의 첫 합법적 단계는 -
3:51 - 3:53망명 신청을 하는 것입니다.
-
3:53 - 3:56그 시점부터 그들은 망명 신청자이며
-
3:56 - 4:01신청이 수락이 될 때까지 공식적으로
난민으로 인정되지 않습니다. -
4:01 - 4:05대부분 나라들이 대체로
난민을 인정하기는 하지만 -
4:05 - 4:10망명 수용 국가들은 모든
망명 신청을 심사하고 -
4:10 - 4:14신청자들에게 난민 신분을
부여할지의 결정을 관할합니다. -
4:14 - 4:17이에 대한 각국의 기준은
상당히 다를 수 있죠. -
4:17 - 4:20망명 수용국은 난민으로
인정한 사람들에 대해 -
4:20 - 4:23몇 가지 의무사항이 있습니다.
-
4:23 - 4:28예를 들면 처우와 무차별의
최소 기준을 보장해야 하죠. -
4:28 - 4:32난민들에 대한 가장 기본적인
의무는 강제송환 금지이며, -
4:32 - 4:35이는 어느 국가가 한 개인에 대해서
-
4:35 - 4:39그의 목숨과 자유가 위협되는 나라로
보내는 것을 금지하는 것입니다. -
4:39 - 4:42그러나 현실에서 난민들은 흔히
-
4:42 - 4:45일관성이 없고 차별적인
대우의 피해자들입니다. -
4:45 - 4:49그들은 자신의 삶을 다시 일구며
이민족 혐오와 인종 차별에 -
4:49 - 4:51대항해야 하죠.
-
4:51 - 4:54그리고 대부분의 경우에
그들은 직업을 가질 수 없고 -
4:54 - 4:57오로지 인도주의적
지원에 의존해야 합니다. -
4:57 - 5:02게다가 수많은 난민 아이들은
교육 프로그램 지원이 부족해서 -
5:02 - 5:05학교를 다닐 수 없습니다.
-
5:05 - 5:07여러분의 가족사를 뒤돌아보면
-
5:07 - 5:10아마 어느 시점에
-
5:10 - 5:14여러분의 조상들이 전쟁 혹은
차별과 억압을 피하기 위해 -
5:14 - 5:19집을 떠나야 했었다는
사실을 발견할 것입니다. -
5:19 - 5:23현재 새로운 집을 찾아 떠나는
난민들의 이야기를 접할 때 -
5:23 - 5:28우리 조상의 이야기들을
떠올려 보는 것도 좋을 것입니다.
- Title:
- 난민이 된다는 것은 무슨 뜻일까요? -베네데타 버티, 에브리앙 보그만(Benedetta Berti and Evelien Borgman)
- Speaker:
- Benedetta Berti and Evelien Borgman
- Description:
-
전체 강의 보기: http://ed.ted.com/lessons/what-does-it-mean-to-be-a-refugee-benedetta-berti-and-evelien-borgman
세계의 약 6000만 명의 사람들이 전쟁, 폭력, 그리고 억압을 피해 강제로 집을 떠나야만 했습니다. 대부분은 국내 실향민이 되었으며, 이들은 집을 떠났지만 아직도 자신의 나라에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난민이라고 불리는 다른 이들은 자신의 나라 밖으로 피신했습니다. 그런데 그 단어가 정말로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요? Benedetta Berti와 Evelien Borgman이 설명합니다
강의: Benedetta Berti와 Evelien Borgman
애니메이션: TED-Ed - Video Language:
- English
- Team:
closed TED
- Project:
- TED-Ed
- Duration:
- 05:43
![]() |
JY Kang approved Korean subtitles for What does it mean to be a refugee? | Oct 31, 2016, 7:19 AM |
![]() |
JY Kang edited Korean subtitles for What does it mean to be a refugee? | Oct 31, 2016, 7:19 AM |
![]() |
JY Kang edited Korean subtitles for What does it mean to be a refugee? | Oct 31, 2016, 7:11 AM |
![]() |
JY Kang edited Korean subtitles for What does it mean to be a refugee? | Oct 31, 2016, 4:00 AM |
![]() |
JY Kang edited Korean subtitles for What does it mean to be a refugee? | Oct 28, 2016, 2:51 PM |
![]() |
JY Kang edited Korean subtitles for What does it mean to be a refugee? | Oct 28, 2016, 2:45 PM |
![]() |
Minseo Jeong accepted Korean subtitles for What does it mean to be a refugee? | Aug 7, 2016, 3:08 AM |
![]() |
Minseo Jeong edited Korean subtitles for What does it mean to be a refugee? | Aug 7, 2016, 3:08 A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