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음악이 흐름)
-
안녕하세요 저는 Paola에요
-
Microsoft의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지요.
-
지금부터 인터넷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이야기 해볼까요?
-
저는 어떠한 네트워크가 다른 네트워크와
-
대화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일을 해요
-
하지만 1970년대후반에는
-
이러한 방법의 표준이 없었어요.
-
Vint Cerf와 Bob Kahn은
-
서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하는
-
Internetworking Protocol을
발명했어요
-
이러한 발명은 우리가 지금
-
인터넷이라 부르는 것의
기반이 되었어요
-
인터넷은 네트워크의 네트워크입니다
-
전세계의 수많은 전자기기들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
여러분은 와이파이를 이용하는
-
휴대폰이나 노트북을
사용하고 있을 것입니다
-
이러한 와이파이 연결은
-
인터넷 서비스 사업자(ISP)에
연결됩니다
-
이러한 ISP는 여러분을
-
서로 연결된
수많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
전세계의
수없이 많은 전자기기들과
-
연결시켜줍니다
-
대부분의 사람들이 착각하는 것은
-
인터넷은 실제로는 디자인 철학이고
-
그 구조는 일련의 프로토콜로
표현된다는 것입니다
-
프로토콜은 각각의 부분들이
잘 알려진 규칙들과 표준들을 말하고
-
서로가 이를 사용하도록 동의한다면
-
문제 없이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합니다
-
물리적으로 이것이
어떻게 동작하는지 보다는
-
이러한 디자인 철학이 인터넷이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기술들을
-
적용하고 받아들이는 것을
-
허용하고 있다는 사실이
더 중요합니다.
-
이는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한 여러가지
-
새로운 기술들을 적용하기 위해서
-
프로토콜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알 필요가 있습니다
-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전자기기들은
-
고유한 주소를 가집니다.
-
인터넷에서의 주소는 전화번호나
-
도로명 주소처럼
네트워크의 각 끝부분인
-
각각의 컴퓨터나 기기들을 표현하는
-
고유하지만 단순한 숫자입니다.
-
이는 대부분의 집이나 직장에서
우편물을 받기위해 사용하는
-
주소와 매우 유사합니다.
-
여러분이 편지를 보내려면
-
그 사람을 직접 알고 있을 필요 없이
-
단지 그들의 주소와 그 주소를
-
제대로 쓰는 법을 알면 됩니다.
-
그러면 그 편지는 우편 시스템에 의해서
-
목적지까지 운반되죠.
-
인터넷에서 컴퓨터의
-
주소체계도 이와 비슷합니다
-
그리고 이는
인터넷 커뮤니케이션에서 사용하는
-
프로토콜중 하나의 형태이고
-
간단히 Internet Protocol(IP)라
부릅니다
-
컴퓨터의 주소를
이제부터 IP 주소라고 부를게요
-
웹 사이트를 방문하는 것은
실제로는 여러분의 컴퓨터가
-
다른 컴퓨터에게
정보를 요청하는 것입니다
-
여러분의 컴퓨터에서 다른 컴퓨터의
IP 주소로 메시지를 보냅니다
-
그리고 다른 컴퓨터가
어디에서 정보를 요구하고
-
어디로 답변을 보내야 하는지 알리려고
보내는쪽의 주소도 함께 보냅니다
-
여러분은 아마도
IP주소를 보았을 것입니다
-
이는 숫자들의 묶음입니다
-
이 숫자들은
계층구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나라, 도시, 도로 그리고 건물번호로
-
구성된 집 주소와 같이
-
IP 주소도 여러 부분으로
나뉘어 있습니다.
-
모든 디지털 정보와 같이
-
각가의 숫자는 비트로 표현됩니다.
-
전통적으로 IP 주소는
32비트의 길이를 가지고
-
주소의 각 부분은
8비트의 길이를 가집니다
-
처음 두 부분은 일반적으로 디바이스의
-
네트워크가 어느 나라와
지역의 것인지 확인합니다
-
그 다음은 하위 네트워크부분입니다
-
마지막으로는
특정한 전자기기의 주소가 옵니다
-
이러한 형의 IP 주소를
IPv4라고 부릅니다
-
1973년에 만들어 졌고
-
80년대 초반에 널리 적용 되었으며
-
전자기기가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한 40억개 이상의
-
고유한 주소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
하지만 인터넷은
Vint Cerf가 상상한것 이상으로
-
매우 대중적인 기술이 되어버렸고
-
40억개의 고유한 주소도
부족해졌습니다.
-
우리는 수년에 걸쳐서 이를
-
하나의 주소가 128비트를 사용하는
-
IPv6라는 보다
긴 주소로 바꾸고 있습니다
-
이는 320언디실리언(10^36)만큼의
고유한 주소를 제공합니다
-
이는 지구 전체의 모래알 하나하나마다
-
IP 주소를 부여해도
될만큼 충분합니다
-
대부분의 인터넷 사용자들은
IP 주소를 본적도 없거나 신경쓰지 않습니다.
-
Domain Name System(DNS)라
부르는 시스템이
-
IP주소를 www.example.com와 같이
-
대응되는 인터넷 주소와 연결해줍니다
-
여러분의 컴퓨터는 DNS를
인터넷 주소를 찾고
-
인터넷을 통하여 정보를
요청하는데 사용할
-
인터넷 주소에 대응되는
IP주소를 가져오는데 사용합니다
-
그럼 예시를 한번 들어볼게요
-
안녕하세요
-
저는 www.code.org로 가고싶은데요
-
지금은 저는
그 주소의 IP 주소를 모르네요
-
주변에 물어볼게요
-
이봐 누구든 좋으니
code.org의
-
IP주소를 알고 있어?
-
내가 알고있어
-
174 점 129
-
점 14 점 120이야
-
좋아 알겠어 고마워
-
좋아 그러면 나중에 필요할때를 위해서
-
이를 저장해두자
-
여기 당신이 원하는 IP 주소가 있어요
-
정말요? 감사합니다.
-
(피아노 팡파르 소리)
-
그러면 어떻게 수십억개의 전자기기가
서로 다른 수십억개의 웹페이지 중
-
하나를 찾기 위한 시스템을
디자인 할 수 있을까요?
-
하나의 DNS 서버가
모든 전자기기들의
-
요구사항을 다룰 수는 없습니다
-
해법은 DNS서버를 분산된 계층구조로
-
연결하고 주요한
주소들을 나누어 맡도록
-
지역을 나누는 것입니다
-
.org, .com, .net 등처럼 말이죠
-
DNS는 처음부터 정부나 교육기관을 위한
-
공개되어있고 누구나 사용 가능한
-
커뮤니케이션 프로토콜로
제작되었습니다
-
이러한 개방성때문에
-
DNS는 사이버 공격을 받기 쉽습니다
-
이러한 공격의 예로
DNS spoofing이 있습니다
-
이는 해커가 DNS서버에 접근하여
-
인터넷 주소를
잘못된 IP 주소와 연결되도록
-
바꾸어 놓는 것을 말합니다.
-
이는 공격자가 사람들을
가짜 웹 사이트로 보내도록합니다
-
이것이 만일 여러분에게 일어난다면
-
여러분은 보다
많은 위험에 노출된 것입니다
-
왜나하면 가짜 웹사이트를 진짜로 생각하며
사용할 것이니 말이에요
-
인터넷은 거대하고 또한 매일 성장하고 있습니다
-
하지만 Domain Name System와
Internet Protocol는
-
인터넷이 얼마나 커지더라도
-
문제 없도록 디자인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