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는 어떻게 언어를 처리할까요? - 가레스 가스켈(Gareth Gaskell)
-
0:07 - 0:14평균적인 20살 성인은
27,000 - 52,000 단어 정도를 압니다. -
0:14 - 0:2060세에는 평균적으로
35,000 - 56,000 단어를 알죠. -
0:20 - 0:24입 밖으로 소리내어 말한다면
대부분 채 1초도 걸리지 않습니다. -
0:24 - 0:29그래서 모든 단어에 대하여
뇌는 아주 빠른 결정을 해야 합니다. -
0:29 - 0:32수천 개의 선택 사항 중
과연 어떤 것이 신호에 부합할까요? -
0:32 - 0:36뇌는 98%의 경우에
올바른 단어를 고릅니다. -
0:36 - 0:37과연 어떻게 하는 걸까요?
-
0:37 - 0:41말을 이해하기는
읽고 이해하기와는 다르지만 -
0:41 - 0:44수화를 이해하는 것과는 비슷합니다.
-
0:44 - 0:49음성 언어는 수화보다
더 많이 연구되었지만요. -
0:49 - 0:51우리가 말을 이해하는 능력의 비결은
-
0:51 - 0:55병렬 처리기로서 활동하는
뇌가 있기 때문인데요, -
0:55 - 0:59뇌가 여러 가지 일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
0:59 - 1:01대부분의 학설들은
우리가 아는 모든 단어가 -
1:01 - 1:06한 가지 작업만을 수행하는
개별 처리기로 표현된다고 가정합니다. -
1:06 - 1:11들어오는 말이 그 단어와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작업입니다. -
1:11 - 1:15뇌에서 말을 나타내는 처리 장치는
-
1:15 - 1:20한 무리의 신경 세포가 활성화되는
양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
1:20 - 1:22뇌의 피질 안에서요.
-
1:22 - 1:24단어의 앞부분을 듣기 시작하면
-
1:24 - 1:27수천 개의 신경 장치 무리가
활성화되는데, -
1:27 - 1:29단지 단어의 앞부분만 들은 상태이므로
-
1:29 - 1:32많은 선택지가 있을 것입니다.
-
1:32 - 1:36단어가 마저 발음될수록
점점 더 많은 무리들이 -
1:36 - 1:41중요한 정보가 없음을 확인하고
비활성화됩니다. -
1:41 - 1:43아마 그 단어가 끝나기 한참 전에
-
1:43 - 1:48하나의 단어에 대응하는
단 하나의 활성화된 무리만 남겠죠. -
1:48 - 1:51이것을 '인지 시점'이라고 부릅니다.
-
1:51 - 1:54한 단어로 추리는 과정에서
-
1:54 - 1:57활성화된 장치들이
다른 장치들의 활동을 억압함으로써 -
1:57 - 1:59귀중한 천분의 몇 초를
절약하게 되는 것이죠. -
1:59 - 2:04보통 사람은 1초당 약 8개의
음절까지 이해할 수 있습니다. -
2:04 - 2:07하지만 목표는 그 단어를
인식하는 것뿐만이 아니라 -
2:07 - 2:10그 단어가 내포하는 의미를
알아차리는 것도 있습니다. -
2:10 - 2:14뇌는 한 번에 많은 의미들을
-
2:14 - 2:17그 단어를 다 알아듣기도 전에
따져봅니다. -
2:17 - 2:19많은 연구에서 벍혀진 건
-
2:19 - 2:23심지어는 단어의 일부,
예를 들어 'cap-'을 듣는다면 -
2:23 - 2:27사람들은 가능한 여러 가지
의미들을 생각하기 시작하는데 -
2:27 - 2:32captain이나 capital을
단어가 끝나기도 전에 예측했죠. -
2:32 - 2:35이것은 어떤 단어를 들을 때마다
-
2:35 - 2:38우리 머릿속에선 순식간에
의미 나열의 향연이 펼쳐지고, -
2:38 - 2:43마침내 인지 시점에 도달하면
뇌가 한 가지를 고르는 것입니다. -
2:43 - 2:46인지 과정이 더 빨리 움직이는 것은
-
2:46 - 2:51마구 나열된 단어들이 아닌
문맥이 있는 문장일 때입니다. -
2:51 - 2:55문맥은 우리가 그 단어가 의도한
의미를 찾는 걸 도와주죠. -
2:55 - 2:59'bat'와 'crane'처럼
다양한 해석이 가능하거나 -
2:59 - 3:03'no'와 'know' 같은
동음이의어인 경우에 말이죠. -
3:03 - 3:07여러 언어를 구사하는 사람들은
듣고 있는 언어를 단서로 삼아 -
3:07 - 3:13해당 언어의 문맥에 맞지 않는
단어들을 지웁니다. -
3:13 - 3:17그러면, 완전히 새로운 단어들을
이 과정에 추가하는 건 어떨까요? -
3:17 - 3:21어른이 되어서도 우리는 며칠마다
새로운 단어를 접하곤 합니다. -
3:21 - 3:25만약 모든 단어들이
세밀한 활성화 패턴으로서 -
3:25 - 3:27많은 신경 세포에 퍼져 있다면
-
3:27 - 3:32새로운 단어들이 기존 단어들을
덮어쓰는 걸 어떻게 방지할까요? -
3:32 - 3:34이런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
3:34 - 3:39새로운 단어들은 처음에
해마라고 부르는 뇌의 한 부분에, -
3:39 - 3:43대뇌 피질의 주 단여 저장소로부터
멀리 있는 곳에 저장된다고 생각합니다. -
3:43 - 3:46다른 단어들과 같은 신경세포를
사용하지 않도록 말이죠. -
3:46 - 3:49그리고 몇 밤 잠을 자며
-
3:49 - 3:54새로운 단어들은 서서히
오래된 단어들과 섞이기 시작합니다. -
3:54 - 3:58연구원들은 이 점진적인 습득 과정이
-
3:58 - 4:01이미 알고 있던 단어들을
방해하지 않게 도와준다고 생각합니다. -
4:01 - 4:03그래서 낮에는
-
4:03 - 4:07대화를 나누면서 무의식적으로
많은 단어의 의미를 생각해냅니다. -
4:07 - 4:12밤에 우리는 쉬지만
우리 뇌는 새로운 정보를 -
4:12 - 4:14단어 네트워크에 통합시키느라 바쁩니다.
-
4:14 - 4:18이 과정은 우리가 아침에 일어날 때
-
4:18 - 4:21매일 변화하는 언어의 세계에
대응하도록 준비해줍니다.
- Title:
- 뇌는 어떻게 언어를 처리할까요? - 가레스 가스켈(Gareth Gaskell)
- Speaker:
- 가레스 가스켈(Gareth Gaskell)
- Description:
-
전체 강의 보기: https://ed.ted.com/lessons/how-do-our-brains-process-speech-gareth-gaskell
20살 일반인은 27,000개에서 52,000개의 단어를 알고 있습니다. 이 단어들을 발음할 때엔 채 1초도 걸리지 않습니다. 모든 단어에 대하여 뇌는 아주 빨리 결정을 내려야 합니다. 과연 수천 개의 선택지 중 어떤 것이 신호와 부합할까요? 그리고 98%의 경우에 뇌는 알맞은 단어를 선택합니다. 이것이 어떻게 가능한 걸까요? 가레스 가스켈이 언어 이해 능력의 복잡함을 깊숙이 파헤쳐봅니다.
강의: 가레스 가스켈(Gareth Gaskell)
제작: 아트 샷(Art Shot) - Video Language:
- English
- Team:
closed TED
- Project:
- TED-Ed
- Duration:
- 04:21
![]() |
Jihyeon J. Kim approved Korean subtitles for How do our brains process speech? | |
![]() |
Jihyeon J. Ki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How do our brains process speech? | |
![]() |
DK Kim accepted Korean subtitles for How do our brains process speech? | |
![]() |
DK Ki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How do our brains process speech? | |
![]() |
DK Ki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How do our brains process speech? | |
![]() |
DK Ki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How do our brains process speech? | |
![]() |
Soomin Ki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How do our brains process speech? | |
![]() |
DK Kim declined Korean subtitles for How do our brains process speech?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