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turn to Video

Working Together: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Computer Technology

  • 0:33 - 0:37
    (댄 콤든) 컴퓨터는 교육과 고용을 위한 중요한 수단입니다.
  • 0:37 - 0:41
    컴퓨터만큼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도구는 없지만
  • 0:41 - 0:44
    컴퓨터가 완벽한 것은 아닙니다.
  • 0:44 - 0:47
    (내레이터) 모든 사람들이 표준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 0:47 - 0:51
    그럴 때 적응형 기술이 필요합니다.
  • 0:51 - 0:54
    약간의 추가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면
  • 0:54 - 0:56
    컴퓨터와 인터넷을
  • 0:56 - 0:58
    다양한 능력과 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 0:58 - 1:00
    이용할 수 있습니다.
  • 1:00 - 1:03
    적응형 기술은 비교적 적은 투자로
  • 1:03 - 1:05
    큰 효과를 가져옵니다.
  • 1:05 - 1:07
    (댄) 적응형 기술의 비용은
  • 1:07 - 1:10
    매우 적은 편이며, 특히
  • 1:10 - 1:12
    한 사람이 자신의 일을 더 효과적이고
  • 1:12 - 1:16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영향을
  • 1:16 - 1:17
    고려하면 더욱 그렇습니다.
  • 1:17 - 1:20
    (내레이터) 적응형 기술은 특정 장애로 인해
  • 1:20 - 1:22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합니다.
  • 1:22 - 1:24
    예를 들면 저시력 문제를 들 수 있습니다.
  • 1:29 - 1:31
    (네이트) 저는 화면 확대기를 사용하여
  • 1:31 - 1:34
    일반 사람이 컴퓨터에서 볼 수 있는
  • 1:34 - 1:39
    모든 내용을
  • 1:39 - 1:41
    볼 수 있습니다.
  • 1:41 - 1:43
    (내레이터) 빛에 민감한 사람의 경우,
  • 1:43 - 1:46
    소프트웨어가 화면을 밝은 배경에 어두운 글씨에서
  • 1:46 - 1:49
    어두운 배경에 밝은 글씨로 전한할 수 있습니다.
  • 1:50 - 1:52
    (내레이터) 큰 글씨 키보드 라벨은
  • 1:52 - 1:54
    시각 장애가 있는 사람들에게 유용할 수 있으며,
  • 1:54 - 1:57
    특히 타이핑을 막 배우는 사람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2:05 - 2:06
    (내레이터) 시각 장애인을 위한
  • 2:06 - 2:09
    가장 일반적인 적응 기술은 음성 출력입니다.
  • 2:09 - 2:12
    (스크린 리더) 실험실은 적응형 기술로 잘 갖춰져 있습니다.
  • 2:12 - 2:16
    방문 및 시연은 예약을 통해 가능합니다.
  • 2:16 - 2:19
    (저스틴) 정말로, 이 기술은 인터넷을 이용하는 데 많은 도움을 줍니다.
  • 2:19 - 2:21
    저는 음성 출력 기능을 사용하여 컴퓨터 화면에 표시되는
  • 2:21 - 2:24
    모든 내용을 읽을 수 있어
  • 2:24 - 2:27
    원하는 모든 정보에 접근할 수 있으며,
  • 2:27 - 2:29
    이것이 저에게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 2:29 - 2:31
    (내레이터) 스캐너와 음성 출력 기능을 결합하면
  • 2:31 - 2:34
    시각 장애인이 인쇄된 자료를 읽을 수 있습니다.
  • 2:34 - 2:36
    (스크린 리더) 배트맨 복장을 한 키 큰 남자가
  • 2:36 - 2:38
    겨울 하늘에서 날아 나옵니다.
  • 2:39 - 2:42
    (내레이터) 다른 적응 기술에는 점자 디스플레이와
  • 2:42 - 2:45
    점자 출력이 포함됩니다.
  • 2:52 - 2:54
    (내레이터) 언어 장애나 청각 장애가 있는 사람들은
  • 2:54 - 2:57
    컴퓨터를 사용하여 친구, 교사 또는 동료와
  • 2:57 - 2:59
    소통할 수 있습니다.
  • 2:59 - 3:01
    (케이티) 저는 인터넷을 사용하는 것이 정말 좋습니다.
  • 3:01 - 3:03
    전화보다 사람들과 더 쉽게
  • 3:03 - 3:05
    소통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3:05 - 3:09
    저는 듣는 대신 읽을 수 있어서, 듣는 것보다 읽는 것이
  • 3:09 - 3:10
    더 편합니다.
  • 3:10 - 3:12
    (제시) 네, 인터넷은 유용합니다.
  • 3:12 - 3:14
    제 목소리 때문에 더 쉽게 소통할 수 있습니다.
  • 3:14 - 3:17
    인터넷 덕분에 더 많은 말을 할 수 있고,
  • 3:17 - 3:23
    제 자신을 더 쉽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 3:24 - 3:40
    (음성 출력) 어떻게... 우리가... 다시... 이걸... 플레이하는... 거지...
  • 3:40 - 3:41
    우리가 이걸 어떻게 다시 플레이하는 거지?
  • 3:41 - 3:44
    (교수) 파란색 영역에 버튼을 누를 수 있는 곳이 있으며,
  • 3:44 - 3:45
    여기에서는 더 눈에 띕니다.
  • 3:45 - 3:47
    (내레이터) 말을 할 수 없는 사람들은
  • 3:47 - 3:49
    의사소통 기기를 사용하여 그룹 토론과
  • 3:49 - 3:53
    1대1 대화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 3:53 - 3:55
    (앤서니) 마치 군인들이 제복을 입는 것과 같습니다.
  • 3:55 - 3:57
    (교수) 정확히 맞아요.
  • 3:57 - 4:00
    (내레이터) 청각 장애가 있는 사람들은
  • 4:00 - 4:01
    소리 출력의 시각적 대안을 필요로 합니다.
  • 4:01 - 4:04
    (버피) 컴퓨터가 말을 할 때,
  • 4:04 - 4:05
    이를 자막으로 표시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 4:05 - 4:12
  • 4:12 - 4:14
    (로이드) 제가 사용하는 컴퓨터 시스템은 소리 출력 대신
  • 4:14 - 4:17
    시각적 출력을 사용합니다.
  • 4:17 - 4:22
    즉 알람음이나 벨소리를 내는 대신 시각적 출력을 사용합니다.
  • 4:22 - 4:24
    즉, 알림음이나 벨소리를 내는 대신 화면을 깜빡이게 합니다.
  • 4:30 - 4:31
    (내레이터) 학습 장애가 있는 사람들은
  • 4:31 - 4:34
    읽기와 글쓰기를 돕는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 4:34 - 4:36
    사용할 수 있습니다.
  • 4:36 - 4:39
    적응형 기술은 맞춤법 검사 및 문법 검사부터
  • 4:39 - 4:41
    음성 입력 및 출력까지 다양합니다.
  • 4:42 - 4:44
    (스크린 리더) ... 워싱턴은 글로벌 보건 분야에서 세계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 4:44 - 4:47
    (패트릭) 학업에 도움이 됩니다. 저랑 엄마가 같이 하려고 하면
  • 4:47 - 4:49
    보통 싸우게 돼서,
  • 4:49 - 4:52
    결국 안 좋은 결과가 나오는 경우가 많거든요.
  • 4:52 - 4:55
    그래서 제가 혼자 할 수 있으면 훨씬 낫습니다.
  • 4:55 - 4:59
    (스크린리더) 워싱턴 2단계 일정, 8월 7일부터 13일까지.
  • 4:59 - 5:01
    (조슈아) 저는 기본적으로 문법 검사기,
  • 5:01 - 5:05
    맞춤법 검사기가 포함된 일반 워드 프로세서를
  • 5:05 - 5:08
    사용하고, 컴퓨터에서 사전을 활용합니다.
  • 5:08 - 5:11
    단순히 워드 프로세서를 사용하는 것만으로도
  • 5:11 - 5:13
    글을 쓰는 데 걸리는 시간이 줄어듭니다.
  • 5:14 - 5:17
    (크리스탈) 저는 음성 출력 기기를 사용해서 글을 읽어주게 합니다,
  • 5:17 - 5:22
    덕분에 제가 읽는 내용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습니다.
  • 5:22 - 5:24
    (스크린 리더) 헬렌 켈러는 미국에서 최초로
  • 5:24 - 5:27
    교육을 받은 청각-시각 장애인이었나요?
  • 5:27 - 5:28
    (크리스탈) 그리고 책을 읽어야 할 때,
  • 5:28 - 5:33
    그냥 스캔하면 기기가 읽어줘서 한 페이지를
  • 5:33 - 5:36
    읽는 데 두 시간을 소비하지 않아도 됩니다.
  • 5:36 - 5:39
    (데이비드) 제가 정말 유용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 5:39 - 5:42
    음성-텍스트 변환 프로그램입니다.
  • 5:42 - 5:45
    즉 컴퓨터에 말을 하면 자동으로 입력이 됩니다.
  • 5:45 - 5:47
    (말하는 사람) 워싱턴 대학교에서는
  • 5:47 - 5:49
    다양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사용됩니다.
  • 5:49 - 5:53
    (데이비드) 저는 대학에서 논문을 작성할 때, 손으로
  • 5:53 - 5:56
    입력하는 것보다 4분의 1의 시간만으로 끝낼 수 있었습니다.
  • 5:56 - 5:58
    음성-텍스트 변환을 사용하면, 제가 말을 하면
  • 5:58 - 6:01
    즉시 화면에 글자로 나타납니다.
  • 6:10 - 6:12
    (내레이터) 이동 장애가 있는 사람들은
  • 6:12 - 6:14
    다양한 적응형 기술 옵션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6:14 - 6:16
    일부 사람들에게는 책상, 모니터, 키보드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 6:16 - 6:21
    유연성이 도움이 됩니다.
  • 6:21 - 6:26
    (로드니) 저는 입으로 타이핑할 수 있는 기기를 사용합니다.
  • 6:26 - 6:28
    제 머릿속에서 키보드로 단어를 입력할 때,
  • 6:28 - 6:32
    분당 최소 30단어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
  • 6:32 - 6:36
    저는 글쓰기를 좋아합니다. 컴퓨터와 워드 프로세서, 맞춤법 검사
  • 6:36 - 6:39
    같은 것이 없었다면, 글을 쓰는 데
  • 6:39 - 6:42
    엄청난 시간이 걸렸을 것입니다.
  • 6:42 - 6:45
    (에로페이) 저는 트랙볼을 사용하여 커서를 움직이고, 'Sticky Keys' 기능을 사용하여
  • 6:45 - 6:48
    'Control'과 'Shift' 같은 키를 고정합니다.
  • 6:48 - 6:52
    컴퓨터 덕분에 보고서를 더 잘 작성할 수 있고,
  • 6:52 - 6:54
    팔에 부담이 덜 갑니다.
  • 6:54 - 6:56
    의수를 착용하지 않아도 됩니다.
  • 6:56 - 7:02
    (제프리) 제가 사용하는 것 중 하나는
  • 7:02 - 7:10
    키 크기가 크고, 간격이 넓은 키보드입니다.
  • 7:10 - 7:16
    일반 키보드를 사용하면 같은 문자가 두 번 입력되는
  • 7:16 - 7:19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 7:23 - 7:25
    (내레이터) 한 손만으로 타이핑해야 하는 사람들을
  • 7:25 - 7:29
    위해 왼손 및 오른손용 키보드가 제공됩니다.
  • 7:31 - 7:33
    또한, 화면 키보드를 사용하여 헤드 포인터나 입으로 조작하는 스틱을 이용해
  • 7:33 - 7:36
    손을 사용하지 않고 컴퓨터를 조작할 수도 있습니다.
  • 7:39 - 7:43
    단어 예측 소프트웨어는 입력 속도와 정확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 7:43 - 7:46
    (버디) 저는 화면 키보드를 사용하며,
  • 7:46 - 7:50
    단어 예측 기능도 있습니다.
  • 7:50 - 7:53
    예를 들어 'T'를 입력하면 'T'로 시작하는
  • 7:53 - 7:57
    다섯 개의 단어가 나타나는데
  • 7:57 - 7:59
    그중 가장 자주 사용하는 단어들이 우선 표시됩니다.
  • 7:59 - 8:04
    단어가 나타나면 클릭만 하면 자동으로 입력됩니다.
  • 8:04 - 8:05
    저는 꽤 빠르게 입력할 수 있습니다.
  • 8:05 - 8:07
    (내레이터) 일부 사람들은 모스 부호를 사용하여
  • 8:07 - 8:10
    키보드를 건너뛸 수도 있습니다.
  • 8:10 - 8:12
    입으로 빨아들이면 점(dot)이 입력되고, 내뱉으면 대시(dash)가 입력되는
  • 8:12 - 8:14
    'Sip-and-Puff' 스위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8:14 - 8:18
    특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는 모스 부호를 컴퓨터가
  • 8:18 - 8:21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해 줍니다.
  • 8:21 - 8:23
    (오스카) 저는 올해 대학 3학년입니다.
  • 8:23 - 8:26
    (내레이터) 다른 사람들은 키보드 대신 음성 입력 시스템을
  • 8:26 - 8:28
    선택할 수도 있습니다.
  • 8:28 - 8:31
    (오스카) 저는 타이핑을 도와주는 프로그램을 사용합니다.
  • 8:31 - 8:32
    제가 말하는 대로 입력됩니다.
  • 8:32 - 8:35
    마이크에 대고 말하면, 컴퓨터 화면에
  • 8:35 - 8:36
    자동으로 글자가 입력됩니다.
  • 8:36 - 8:41
    이 덕분에 훨씬 더 독립적인 느낌을 받을 수 있고,
  • 8:41 - 8:46
    다른사람에게 의존하지 않고 스스로 할 수 있습니다.
  • 8:51 - 8:52
    (내레이터) 인터넷은 거의 모든 장소에서,
  • 8:52 - 8:55
    원하는 시간에
  • 8:55 - 8:57
    접속할 수 있습니다.
  • 8:57 - 9:00
    이는 건강상의 문제를 가진 사람들에게 큰 이점이 됩니다.
  • 9:00 - 9:05
    (나디라) 저는 컴퓨터가 입원한 아이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 9:05 - 9:09
    제가 한 달 동안 병원에 입원해 있을 때,
  • 9:09 - 9:11
    다른 아이들과 이야기하고 교류할 수 있었으며,
  • 9:11 - 9:16
    사람들이 저에게 격려 이메일과 안부 메일을
  • 9:16 - 9:19
    보내줬습니다.
  • 9:19 - 9:26
    (미치) 지난 1년 동안 저는 병원에서 생활했습니다.
  • 9:27 - 9:30
    그리고 병원에서 인터넷 연결을 통해
  • 9:30 - 9:34
    선생님들과 소통할 수 있었습니다.
  • 9:34 - 9:39
    (알렉스) 저는 인터넷이 건강 문제로 인해
  • 9:39 - 9:43
    학교를 결석하는 사람들에게 정말 유용하다고 생각합니다.
  • 9:43 - 9:47
    인터넷을 통해 선생님, 학습 자료, 그리고
  • 9:47 - 9:49
    친구들과 연결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9:54 - 9:57
    (내레이터) 장애가 있는 모든 사람들에게 적응형 컴퓨터 기술은
  • 9:57 - 10:01
    학업과 직업에서 성공하는 중요한 연결 고리입니다.
  • 10:01 - 10:05
    (버디) 직접 하는 것이 더 재미있습니다. 다른 사람이
  • 10:05 - 10:09
    대신 타이핑해주려 했던 적이 있는데, 누군가에게 내가 쓰고 싶은 것을
  • 10:09 - 10:10
    말해야 한다는 게 전혀 재미없었어요,
  • 10:10 - 10:12
    예를 들어, 시 쓰기 수업을 들었을 때,
  • 10:12 - 10:15
    친구나 보조인에게 제가 생각하는 것과
  • 10:15 - 10:18
    글로 표현하려는 것을 설명하는 것이 이상한 기분이 들었습니다.
  • 10:18 - 10:21
    (니) 저는 컴퓨터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10:21 - 10:24
    컴퓨터가 저를 더 독립적으로 만들어주기 때문입니다.
  • 10:24 - 10:38
    (홀리스) 컴퓨터는 제 생각을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 10:38 - 10:40
    (셈) 저는 거의 컴퓨터 앞에서만 생활을 합니다.
  • 10:40 - 10:44
    컴퓨터에서는 사람들이 더 평등한 입장에 놓입니다.
  • 10:44 - 10:47
    전자 공간에서는 우리 모두가 평등합니다.
Title:
Working Together: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Computer Technology
Description:

more » « less
Video Language:
Abkhazian
Team:
DO-IT
Duration:
11:34

Korean subtitles

Revisions Compare revis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