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수분열의 단계
-
0:00 - 0:01.
-
0:01 - 0:02우리는 이미 유사분열과 감수분열에 대한
-
0:02 - 0:04대강의 개념은 배웠습니다
-
0:04 - 0:05여기서는 그것들을
-
0:05 - 0:06더 자세하게 배워보죠
-
0:06 - 0:08유사분열에 대한 수업은 이미 했고요
-
0:08 - 0:11여기에서는 감수분열에 대해 공부하도록 하겠습니다
-
0:11 - 0:18복습하자면, 유사분열에서는 2배체 세포로 시작해서
-
0:18 - 0:20두 개의 2배체 세포로 나뉘게 되죠
-
0:20 - 0:23즉, 스스로를 복사하는 겁니다
-
0:23 - 0:26정확히 얘기하자면, 유사분열은 핵이 복사되는
-
0:26 - 0:28과정을 일컫지만, 대개의 경우는
-
0:28 - 0:29세포 또한 두개로 나뉘게 됩니다
-
0:29 - 0:32세포분할(cytokinesis)을 통해서요
-
0:32 - 0:34바로 이게 유사분열입니다
-
0:34 - 0:36각 단계에 대해 이미 자세하게 다뤘습니다
-
0:36 - 0:39전기, 중기, 후기, 말기
-
0:39 - 0:45유사분열
-
0:45 - 0:50유사분열은 우리 몸의 체세포의 대부분에서 일어납니다
-
0:50 - 0:57피부세포, 모발세포
-
0:57 - 0:59그리고 우리 몸의 모든 조직이 만들어질 때
-
0:59 - 1:00유사분열를 통해 이루어집니다
-
1:00 - 1:03감수분열은 원시생식세포(germ cells) 에서 일어나고요
-
1:03 - 1:07생식세포(gametes)를 만듭니다
-
1:07 - 1:08유성생식을 가능케 하죠
-
1:08 - 1:13여기 2배체 세포가 있으면
-
1:13 - 1:16이것이 원시생식세포가 되겠죠
-
1:16 - 1:18아주 특별한 세포입니다
-
1:18 - 1:20원시생식세포입니다
-
1:20 - 1:23유사분열을 통해 원시생식세포를 더 만들 수도 있고
-
1:23 - 1:25감수분열을 통해 생식세포가 되기도 합니다
-
1:25 - 1:28두 단계를 통해 이루어지는데
-
1:28 - 1:31이 두 단계가 모두 감수분열이라 불리는데, 처음 단계는
-
1:31 - 1:361단계 감수분열이라고 합니다. M1이라 하죠
-
1:36 - 1:38경제학 용어를 얘기하는 게 아닙니다
-
1:38 - 1:411단계에서는 2배체 세포가
-
1:41 - 1:45두개의 반수체 세포가 됩니다
-
1:45 - 1:49그래서 46개의 염색체가 있었다면,
-
1:49 - 1:5223개의 염색체만 갖게 됩니다. 또 다르게 설명하면
-
1:52 - 1:5623쌍의 염색체가 있으면
-
1:56 - 1:59각각의 쌍이 갈리게 됩니다
-
1:59 - 2:07그 다음에 2단계 감수분열에서는 이 염색체가
-
2:07 - 2:11유사분열과 비슷한 방법으로 갈리게 됩니다
-
2:11 - 2:12나중에 더 자세하게
-
2:12 - 2:13각 단계를 설명하면 이해가실 거예요
-
2:13 - 2:16전기, 중기, 후기, 말기의 단계들이
-
2:16 - 2:20감수분열의 각 단계에서도 존재합니다
-
2:20 - 2:22그럼 그 결과를 그려볼께요
-
2:22 - 2:27감수분열의 결과, 4개의 세포가 만들어지고
-
2:27 - 2:29각각은 반수체 세포입니다
-
2:29 - 2:32.
-
2:32 - 2:36여기서 보는 바과 같이 첫 단계에서는
-
2:36 - 2:39염색체의 수가 나뉘어집니다
-
2:39 - 2:42반반 나뉘죠. 두번째 단계에서는 반수체로 시작해서
-
2:42 - 2:44반수체 세포 두 개를 얻게 됩니다
-
2:44 - 2:45유사분열과 비슷합니다
-
2:45 - 2:46염색체의 숫자가 보존됩니다
-
2:46 - 2:49자 그럼 이 과정들을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죠
-
2:49 - 2:53모든 세포들은 대부분의 시간을 간기에서 보냅니다
-
2:53 - 2:58간기 때는 세포가 살면서
-
2:58 - 3:01유전자를 발현하고 할 일을 하는 상태죠
-
3:01 - 3:05그러나 유사분열의 경우와 같이,
-
3:05 - 3:08간기에 중요한 일이 일어나는데
-
3:08 - 3:10간기 중에서 S기 때 일어납니다
-
3:10 - 3:15이것이 세포이고 이것이 핵입니다
-
3:15 - 3:18염색체로 그리지만 여러분이 기억해야할 건
-
3:18 - 3:22지금 유사분열이나 감수분열 중이 아니라는 것을 기억해야합니다
-
3:22 - 3:26분열중이 아닐 때 염색체는 모두 풀려있는 염색질(chromatin)로 존재합니다
-
3:26 - 3:28전에 설명한 적이 있습니다
-
3:28 - 3:31DNA가 풀려있는 상태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
3:31 - 3:33여기서는 똘똘 감긴 모습으로 그릴 거예요
-
3:33 - 3:35복제되는 걸 설명하기가 쉽거든요
-
3:35 - 3:37자 여기서 주의해야 할 것은
-
3:37 - 3:40유사분열 수업 때는 제가 염색체를 두 개만 그렸었죠
-
3:40 - 3:42그 두 개가 복제가 되고 갈라졌습니다
-
3:42 - 3:45그러나 감수분열에서는 염색체가
-
3:45 - 3:47쌍으로 존재한다는 것을 기억해야합니다
-
3:47 - 3:49자 그러면 두 쌍의 상동염색체가 있다고 합시다
-
3:49 - 3:54각각 다른 색깔로 그릴께요
-
3:54 - 3:57이게 아버지로부터 받은 것이고
-
3:57 - 3:59이것은 어머니로부터 받았습니다
-
3:59 - 4:00상동 염색체라 합니다
-
4:00 - 4:02그리도 다른 한 쌍
-
4:02 - 4:03이거는 아버지한테서 받았고요
-
4:03 - 4:07.
-
4:07 - 4:09파란색으로 하죠
-
4:09 - 4:11아버지한테 받은 것은
-
4:11 - 4:12다 파란색으로 하죠
-
4:12 - 4:14이건 약간 더 큽니다
-
4:14 - 4:15무슨 말인지 아시겠죠
-
4:15 - 4:17이것은 어머니한테 받은 상동염색체입니다
-
4:17 - 4:19이것도 약간 크죠
-
4:19 - 4:22간기의 S기에서
-
4:22 - 4:26이 것은 유사분열 때도 일어나요
-
4:26 - 4:27간기에는 언제나 이 단계를 거칩니다
-
4:27 - 4:30유사분열이든 감수분열이든지요
-
4:30 - 4:33DNA의 복제가 이루어집니다
-
4:33 - 4:35각각의 염색체에서요
-
4:35 - 4:37상동염색체끼리는
-
4:37 - 4:40이 둘이 복사본이라는 게 아닙니다
-
4:40 - 4:41같은 유전자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죠
-
4:41 - 4:44같은 종류의 유전자 내에서
-
4:44 - 4:46형질만 달라지는 것이죠
-
4:46 - 4:48즉 같은 종류의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
4:48 - 4:52여기서 이제 각 염색체가
-
4:52 - 4:55복제됩니다
-
4:55 - 5:00아버지한테 받은 것도 복제가 되고, 이렇게요
-
5:00 - 5:03이 둘은 동원체(centromere)를 통해 붙어있게 됩니다
-
5:03 - 5:09어머니한테 받은 것도 복제가 됩니다, 이렇게요.
-
5:09 - 5:11둘은 동원체로 연결되어 있고, 그 밑의 염색체 쌍도 똑같이 복제됩니다
-
5:11 - 5:12더 짧은 거요
-
5:12 - 5:14아 이게 더 긴 거군요
-
5:14 - 5:15더 길죠
-
5:15 - 5:17어느 게 길고 짧은 지 더 정확하게
-
5:17 - 5:18표현해야할 것 같습니다
-
5:18 - 5:20어머니한테 받은 것도 똑같은 과정을 거칩니다
-
5:20 - 5:22이것이 간기에서 S기에 해당합니다
-
5:22 - 5:26아직 정식으로 세포분열은 시작하지 않은 단계입니다
-
5:26 - 5:28약간 옆으로 새는 이야기지만
-
5:28 - 5:31중심체도 마찬가지입니다
-
5:31 - 5:33유사분열에 대해 공부했을 때
-
5:33 - 5:37중심체에서 미세소관(microtubule)이 나와서
-
5:37 - 5:41염색체를 분리한다고 배웠죠, 하지만 처음에는
-
5:41 - 5:43중심체 하나가 있다가 스스로 복제를 합니다
-
5:43 - 5:46그래서 두 개가 되는 거죠
-
5:46 - 5:50이 일들이 모두 간기에 일어나게 됩니다
-
5:50 - 5:52특히 S기에서요
-
5:52 - 5:55G기에서가 아니구요
-
5:55 - 5:59이렇게 복제가 다 일어나면 준비가 된 겁니다
-
5:59 - 6:02유사분열이나 감수분열을 할 준비가 된 거죠
-
6:02 - 6:03여기서는 감수분열을 할 겁니다
-
6:03 - 6:05이것은 원시 생식세포입니다
-
6:05 - 6:09먼저 전기에 들어가죠
-
6:09 - 6:11전에 배운 것을 기억하자면
-
6:11 - 6:13아주 중요합니다
-
6:13 - 6:23유사분열에서는 전기, 중기
-
6:23 - 6:27후기, 말기 이렇게 있죠
-
6:27 - 6:28앞글자만 따서 쓸께요
-
6:28 - 6:30PMAT
-
6:30 - 6:33감수분열에서도 같은 과정을 거칩니다
-
6:33 - 6:38제1전기, 제1중기
-
6:38 - 6:41그 다음에 제1후기, 제1말기
-
6:41 - 6:44제1감수분열이 끝나면 같은 과정을 반복하게 됩니다
-
6:44 - 6:48제2전기 다음에 제2중기
-
6:48 - 6:50제2후기, 제2말기
-
6:50 - 6:53이 단계들을 외우고 싶으시면
-
6:53 - 6:56시험보려면 외워야 하실거예요
-
6:56 - 6:58감수분열의 개념을 이해하는데
-
6:58 - 7:00그렇게 중요한 건 아니지만
-
7:00 - 7:02그냥 전기
-
7:02 - 7:04중기, 후기, 말기만 외우시면
-
7:04 - 7:05유사분열과 감수분열을 다 배우신 겁니다
-
7:05 - 7:09단지 감수분열에서는 이 과정이 두 번 일어나게 됩니다
-
7:09 - 7:11여기에서는 감수분열이 유사분열과 어떻게 다른지에 대해
-
7:11 - 7:13중점으로 다루려고 합니다
-
7:13 - 7:17자 그러면 제1감수분열의 제1전기를 보도록 하죠
-
7:17 - 7:24제1전기
-
7:24 - 7:25어떤 일이 일어날까요
-
7:25 - 7:29유사분열의 전기와 비슷한
-
7:29 - 7:30일이 일어납니다
-
7:30 - 7:36핵막이 없어지기 시작합니다
-
7:36 - 7:43.
-
7:43 - 7:45동원체, 아 동원체가 아니구요
-
7:45 - 7:46이제 헷갈리기 시작하네요
-
7:46 - 7:46중심체입니다
-
7:46 - 7:50동원체는 이 자매염색체를
-
7:50 - 7:51연결하는 것이구요
-
7:51 - 7:56중심체는 방추사를 만드는 것을 돕습니다
-
7:56 - 7:58방추사끼리 밀면서 둘이 서로 거리가
-
7:58 - 8:02벌어지게 됩니다
-
8:02 - 8:06결국에는 염색체를 사이에 두고
-
8:06 - 8:07양쪽 끝에 위치하게 됩니다
-
8:07 - 8:09이게 제1전기 때 일어나는 가장 중요한 일입니다
-
8:09 - 8:11그리고 또 한 가지 짚고 넘어갈 것은
-
8:11 - 8:14전기 때 염색체를 제가 이렇게 그렸었죠
-
8:14 - 8:16그러나 전기 때는 이렇게 똘똘 뭉친 염색체로 있는 것이 아닙니다
-
8:16 - 8:18풀어진 염색질(chromatin)의 상태로 있는 것입니다
-
8:18 - 8:23그래서 실제 모양으로 그린다면 이렇게 생겼습니다
-
8:23 - 8:28이렇게 다 퍼져서
-
8:28 - 8:30현미경으로 관찰했을 때
-
8:30 - 8:30형태를 알기 어렵겠죠
-
8:30 - 8:35DNA와 히스톤과 같은 단백질이
-
8:35 - 8:38마구 얽혀있는 형태가 되죠
-
8:38 - 8:40그것이 염색질(chromatin)이라는 것입니다
-
8:40 - 8:44전기에서는 그것들이 염색체가 됩니다
-
8:44 - 8:46현미경으로 관찰할 수 있는 형태를 띠게 되죠
-
8:46 - 8:48유사분열의 전기에도 같은 일이
-
8:48 - 8:50일어납니다
-
8:50 - 8:53또 한가지 일어나는 흥미로운 것은
-
8:53 - 8:55상동 염색체들이 나열하게 되는 것입니다
-
8:55 - 8:57여기에 그렇게 그렸었죠
-
8:57 - 8:59똑같이 복사해오죠
-
8:59 - 9:01지금 해볼께요
-
9:01 - 9:10복사해서 이쪽에 붙였습니다
-
9:10 - 9:14그 대신 이 때는 핵막이 없어진다고 했으니까
-
9:14 - 9:15핵막을 지울게요
-
9:15 - 9:19핵막이 서서히 분해됩니다
-
9:19 - 9:22핵막을 구성하는 단백질들이 제1전기 때 분해되는 것이죠
-
9:22 - 9:24나머지 세포는 그리지 않을께요
-
9:24 - 9:29이 단계에서는 핵에서 일어나는 일이 중요하거든요
-
9:29 - 9:30핵막은 없어진 상태이지만
-
9:30 - 9:34여기서 유사분열과 다른 점은
-
9:34 - 9:37상동염색체가 옆으로 나열하게 된다는 것입니다
-
9:37 - 9:42옆으로 나열할 뿐 아니라
-
9:42 - 9:44유전자 재조합이 일어나게 됩니다
-
9:44 - 9:48상동인 부분들이
-
9:48 - 9:53이 두 염색체의 상동한 부분에서
-
9:53 - 9:54겹치는 현상이 일어납니다
-
9:54 - 9:56더 자세히 그려볼께요
-
9:56 - 10:00이 부분을 확대해보죠
-
10:00 - 10:06이 염색체는 아버지한테 온 것이고
-
10:06 - 10:08스스로 복제한 것이기 때문에 두 개의 염색분체(chromatid)이지만
-
10:08 - 10:11한 개의 염색체로 칩니다
-
10:11 - 10:16어머니로부터 받은 염색체는 초록색입니다
-
10:16 - 10:19이렇게 그릴께요
-
10:19 - 10:23어머니에게 받은 염색체도 두 개의 염색분체(chromatid)가 있죠
-
10:23 - 10:28이것을 사분체(tetrad)라고도 합니다
-
10:28 - 10:32상동염색체에 4개의 염색분체가 있기 때문이죠
-
10:32 - 10:34상동인 염색체끼리 겹친 것입니다
-
10:34 - 10:35이것들은 동원체이구요
-
10:35 - 10:39이렇게 겹치게 되는 과정은
-
10:39 - 10:43놀랍게도 매우 계획적으로 이루어집니다
-
10:43 - 10:45계획적이라 함은
-
10:45 - 10:45두 염색체가 상동인 부분에서 겹치게 되면서
-
10:45 - 10:49두 염색체가 상동인 부분에서 겹치게 되면서
-
10:49 - 10:52같은 유전자를 교환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
10:52 - 10:55한 쪽은 같은 종류의 유전자 두 개를 받고
-
10:55 - 10:56다른 쪽은 다른 유전자가 두 개 이런 것이 아니라
-
10:56 - 11:00두 염색체의 같은 유전자 사이에서 교환이 되면서
-
11:00 - 11:02그 유전자의 형질만
-
11:02 - 11:06교환하게 됩니다
-
11:06 - 11:07같은 유전자의 다른 버전을 갖게 되는 것이죠
-
11:07 - 11:12이 과정을 거치면 아버지에게 받은 염색체는
-
11:12 - 11:14모두 아버지의 유전자로만 이루어진 게 아니라
-
11:14 - 11:15이렇게 생기게 됩니다
-
11:15 - 11:18이렇게 생기게 됩니다
-
11:18 - 11:21아버지에게 받은 염색체는 어머니의 유전자도
-
11:21 - 11:25조금 포함하게 되는 것이죠
-
11:25 - 11:29어머니 염색체는 초록색이죠
-
11:29 - 11:33어머니로부터 온 염색체는 아버지의 유전자를 가지게 됩니다
-
11:33 - 11:37이게 아주 중요한 이유는
-
11:37 - 11:40인구의 다양성이 일어나게 하는 원리가
-
11:40 - 11:44감수분열 과정에서 일어난다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
11:44 - 11:46이 겹치는 과정은
-
11:46 - 11:48어쩌다가 아무 데서나 일어나는 일이 아니라
-
11:48 - 11:49꽤 계획적으로 일정하게 일어나는 일입니다
-
11:49 - 11:54정확한 곳에서 겹치기 때문에
-
11:54 - 11:56유전자를 망가뜨리지 않게 됩니다
-
11:56 - 12:00이렇게 잘리게 되는 부분을
-
12:00 - 12:03교차점(chiasma)이라 하는데
-
12:03 - 12:05유전자 중간에 일어나서 유전자가 망가지면
-
12:05 - 12:08유전자의 발현을 방해하던지
-
12:08 - 12:09할 위험이 있지만
-
12:09 - 12:10그렇게 일어나지 않고
-
12:10 - 12:12계획적으로 이루어지게 됩니다
-
12:12 - 12:16감수분열 때마다 일어나는 정식 과정이라는 것이죠
-
12:16 - 12:18그러므로 제1전기에서
-
12:18 - 12:21염색체가 교차한 후 이쪽은 다른 쪽의 염색체를 조금
-
12:21 - 12:27다른 쪽은 이 염색체의 조금을 가지게 됩니다
-
12:27 - 12:28다른 쪽은 이 염색체의 조금을 가지게 됩니다
-
12:28 - 12:31이 모두 제1전기에 일어나는 일입니다
-
12:31 - 12:33상동염색체끼리 교차하고요
-
12:33 - 12:37핵막이 분해되고요
-
12:37 - 12:40염색체가 나열하고요
-
12:40 - 12:43그리고 염색질이 똘똘 말린 염색체가 됩니다
-
12:43 - 12:46이게 끝입니다. 유사분열 때는
-
12:46 - 12:48이 때가 가장 많은 일이 일어나는 때입니다
-
12:48 - 12:51이 것들이 다 이루어지고 난 후에는
-
12:51 - 12:55제1중기로 들어서게 됩니다
-
12:55 - 13:00제가 아까 그린 것을 복사해서 붙일께요
-
13:00 - 13:04제1중기 때는 핵막이 이미 없어진 상태이죠
-
13:04 - 13:10제1중기 때는 핵막이 이미 없어진 상태이죠
-
13:10 - 13:13중심체는 세포의
-
13:13 - 13:17양 옆으로 이동했습니다
-
13:17 - 13:20이쯤에서 세포 전체를 그릴께요
-
13:20 - 13:22핵막은 없습니다
-
13:22 - 13:24핵막을 좀 더 잘 지울께요
-
13:24 - 13:27핵막을 좀 더 잘 지울께요
-
13:27 - 13:30다 지웁니다
-
13:30 - 13:34그리고 중심체의 도움으로
-
13:34 - 13:40방추사도 만들어졌습니다
-
13:40 - 13:42이 중에서 일부는
-
13:42 - 13:44유사분열 때와 같이
-
13:44 - 13:46동원체(kinetochore)에 붙게 됩니다
-
13:46 - 13:53동원체는 염색체의 centromere에 붙어있죠
-
13:53 - 13:56재미있는 것은 이것들이 각각
-
13:56 - 14:00붙게 되는데
-
14:00 - 14:01그 전에 재미있는 걸 보여드리죠
-
14:01 - 14:03이런 식으로 보여드리기 보다는
-
14:03 - 14:05아버지께 받은 염색체들이 모두 한쪽에만 있고
-
14:05 - 14:07어머니께 받은 염색체는 반대쪽에 다 있는 것이 아니라는
-
14:07 - 14:10것을 보여드리기 위해
-
14:10 - 14:12뒤집어 볼께요
-
14:12 - 14:13뒤집어 볼께요
-
14:13 - 14:15다른쪽으로 뒤집어야겠네요
-
14:15 - 14:18어느쪽으로 뒤집게 되는가는
-
14:18 - 14:20임의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다양성에 기여합니다
-
14:20 - 14:24전에 말한 바와 같이 유성생식은
-
14:24 - 14:26집단에서 다양성이 있게 하는 역할을 하죠
-
14:26 - 14:28이게 어머니 것, 이건 아버지 것.
-
14:28 - 14:29이게 어머니 것, 이건 아버지 것.
-
14:29 - 14:31가끔은 아버지 것이 모두 한 쪽에 위치하고
-
14:31 - 14:33어머니 것이 모두 다른 쪽에 위치할 수도 있겠지만
-
14:33 - 14:35염색체가 23쌍이 있기 때문에
-
14:35 - 14:39그 가능성은 아주 적어지겠죠
-
14:39 - 14:42이것이 아버지에게 온 것입니다
-
14:42 - 14:45동원체가 있고요
-
14:45 - 14:47마저 그리고요
-
14:47 - 14:50이렇게 방추사의 일부가
-
14:50 - 14:52동원체를 구성하고 있는 단백질에
-
14:52 - 14:55붙게 됩니다
-
14:55 - 14:57유사분열의 중기와 아주 비슷합니다
-
14:57 - 15:00유사분열의 중기와 아주 비슷합니다
-
15:00 - 15:05제1중기에는 이렇게 모든 것이 나열합니다
-
15:05 - 15:08이제 제1후기로 들어갈 차례죠
-
15:08 - 15:13제1후기가 흥미로운 이유는
-
15:13 - 15:17유사분열의 후기에는 자매염색분체끼리
-
15:17 - 15:19서로 분리됐었습니다
-
15:19 - 15:23감수분열의 제1후기에서는 그와 다릅니다
-
15:23 - 15:28제1후기에서는 상동염색체들이 분리됩니다
-
15:28 - 15:31자매염색분체들은 아직 붙어있는 상태입니다
-
15:31 - 15:33자매염색분체들은 아직 붙어있는 상태입니다
-
15:33 - 15:37그래서 이쪽에는
-
15:37 - 15:43지금 초록색 쓰고 있는 김에
-
15:43 - 15:45둘 다 그릴께요
-
15:45 - 15:47보라색으로는
-
15:47 - 15:50이것은 약간 더 작죠
-
15:50 - 15:53끝에 초록색 부분이 있습니다
-
15:53 - 15:56얘는 보라색 부분이 있고요.
-
15:56 - 16:00그 다음에 긴 보라색 염색체가 여기 있고요
-
16:00 - 16:02이것이 제1후기입니다
-
16:02 - 16:03이것들이 양쪽으로 당겨집니다
-
16:03 - 16:07상동 염색체끼리 분리되는 것이고요
-
16:07 - 16:11염색분체끼리 분리되는 것이 아닙니다
-
16:11 - 16:13마저 그릴께요
-
16:13 - 16:15미세소관이 있고요
-
16:15 - 16:16그 중 어떤 것들은 kinetochore에 연결되어 있습니다
-
16:16 - 16:17이건 centromere이고요
-
16:17 - 16:20.
-
16:20 - 16:22물론 이 모든 것은 세포 안에서 일어나게 되고요
-
16:22 - 16:24이 둘은 양옆으로 당겨지게 되죠
-
16:24 - 16:28세포분열의 후기와 비슷하지만
-
16:28 - 16:32주된 차이점은 상동염색체들이 서로 분리된다는 것입니다
-
16:32 - 16:34염색체 자체가 나뉘는 것이 아니고요
-
16:34 - 16:37그것이 주요 포인트입니다
-
16:37 - 16:40기억이 잘 안나면 세포분열 수업을 복습하시면 됩니다
-
16:40 - 16:42이것이 제1후기입니다
-
16:42 - 16:48.
-
16:48 - 16:51그러면 여러분들도 짐작하시겠지만, 제1말기는
-
16:51 - 16:58이 것들이 양 옆으로 완전히 당겨진 후에
-
16:58 - 17:01계속 반복해서 그리기 지겹지만
-
17:01 - 17:05이러면서 차근차근 수업을 이해할 시간도 생기는 거겠죠
-
17:05 - 17:09이들은 세포의 왼쪽 끝에 도착하게 되고요
-
17:09 - 17:15이것들은 오른쪽 끝에 있습니다
-
17:15 - 17:18이제 방추사가 분해됩니다
-
17:18 - 17:21약간은 여전히 남아있겠지만
-
17:21 - 17:22분해되기 시작합니다
-
17:22 - 17:24동원체(centromere)는 아직 세포의
-
17:24 - 17:25양끝에 있습니다
-
17:25 - 17:27말기의 초반에는 여전히
-
17:27 - 17:30세포를 양옆으로 밀고 있습니다
-
17:30 - 17:33이와 동시에 세포질 분열이 일어납니다
-
17:33 - 17:38제1말기가 끝날쯤이면
-
17:38 - 17:42세포질이 분리되고 있고
-
17:42 - 17:45핵막이 형성되기 시작합니다
-
17:45 - 17:47전기의 반대라고 보시면 됩니다
-
17:47 - 17:50.
-
17:50 - 17:52핵막이 형성되고요
-
17:52 - 17:56제1말기의 끝에는 세포 둘이 완전히 분리됩니다
-
17:56 - 17:58이것이 제1말기입니다
-
17:58 - 18:03자 여기서 주목해야할 것은, 우리가 처음에 2배체 세포로 시작했었지요?
-
18:03 - 18:08상동염색체가 두 쌍 있었고, 총 4개의 염색체가
-
18:08 - 18:09있었죠
-
18:09 - 18:13이제는 각 세포에는 염색체가 두 개가 되었습니다
-
18:13 - 18:19즉, 각 세포가 염색체 쌍 중 하나씩 나눠가지게 된 것이죠
-
18:19 - 18:21이 나눠갖는 과정은 임의로 이루어집니다
-
18:21 - 18:24그리고 이 것으로 인해 집단 내의 다양성이 생기게 됩니다
-
18:24 - 18:27이 단계가 되면, 각 세포가 이제는
-
18:27 - 18:29제2 감수분열을 하게 되는데, 이 과정은
-
18:29 - 18:33세포분열과 매우 유사합니다
-
18:33 - 18:35그 사이에 중간 단계가 있는데
-
18:35 - 18:38제2간기라고 하는데, 세포가 잠시 쉬면서
-
18:38 - 18:41동원체가
-
18:41 - 18:42복제됩니다
-
18:42 - 18:45이렇게 두 개의 세포를 그렸는데요
-
18:45 - 18:46이 다음에 어떻게 되는지 보죠
-
18:46 - 18:48자 그럼, 동원체가
-
18:48 - 18:50동원체를 핵 안에 그린 것은
-
18:50 - 18:51잘못되었네요
-
18:51 - 18:55동원체는 핵 밖에 있죠
-
18:55 - 19:01새로 생긴 핵막 바깥에 여기 하나 저쪽 하나
-
19:01 - 19:04그리고 이 지점에서 아까와 마찬가지로
-
19:04 - 19:06복제됩니다
-
19:06 - 19:08이제 세포가 두 개가 되었지요
-
19:08 - 19:10.
-
19:10 - 19:18전에 그린 것을 복사해서 붙일까요. 그냥 그릴께요
-
19:18 - 19:20여기 염색체가 하나 있고요
-
19:20 - 19:23여기 끝부분만 초록색이 있고요
-
19:23 - 19:26이것은 더 긴 온전히 초록색이고요
-
19:26 - 19:32이것은 끝에 보라색이 있고요
-
19:32 - 19:36전체가 보라색인 것은 여기다가 그리죠
-
19:36 - 19:40이것은 염색질 하나 이렇게 있고
-
19:40 - 19:41이것은 이렇게 있고
-
19:41 - 19:47자, 이제 제2전기가 되면
-
19:47 - 19:49어떤 일이 일어날까요?
-
19:49 - 19:54아까 전과 비슷합니다
-
19:54 - 19:56제1말기 때 생긴 핵막은
-
19:56 - 19:58잠시만 유지되고
-
19:58 - 19:59곧 분해되기 시작합니다
-
19:59 - 20:06.
-
20:06 - 20:11그리고 여기에 동원체가 있죠
-
20:11 - 20:14두 동원체가 서로 밀면서 멀어집니다
-
20:14 - 20:17이렇게 복제된 후 방추사를 만들면서
-
20:17 - 20:19서로 밀게 됩니다
-
20:19 - 20:21반대방향으로 밀려납니다
-
20:21 - 20:24이 과정은 두 세포에서 동시에 일어나는 것이죠
-
20:24 - 20:26반대편으로 밀려나면서
-
20:26 - 20:27방추사를 만듭니다
-
20:27 - 20:29여기 둘은 서로 다른 세포이란 것을
-
20:29 - 20:31나타내도록 하죠
-
20:31 - 20:35여기 하나, 또 여기 하나
-
20:35 - 20:43이 둘이 제2중기를 시작합니다
-
20:43 - 20:46감수분열의 제1중기나 세포분열의 중기와 비슷한데요
-
20:46 - 20:48염색체들이 나란히 한줄로 서게 됩니다
-
20:48 - 20:49이렇게 그려보죠
-
20:49 - 20:52동원체들은 세포의 양극으로
-
20:52 - 20:55이동한 상태죠
-
20:55 - 20:58이것들이 동원체입니다
-
20:58 - 21:00방추사도 여기 있습니다
-
21:00 - 21:05.
-
21:05 - 21:07아 이걸 제가 동원체라 불렀나요
-
21:07 - 21:08중심체입니다
-
21:08 - 21:10.
-
21:10 - 21:12제가 얼마동안 이것을 동원체라 부르고 있었는지 모르겠네요
-
21:12 - 21:15이것들은 중심체인데, 자꾸 제 머리속에서는 헷갈리네요
-
21:15 - 21:17이렇게 외우면 저처럼 안헷갈릴 것 같네요.
-
21:17 - 21:21동원체는 두 개의 염색질을
-
21:21 - 21:22연결하는 것입니다
-
21:22 - 21:23이것들이 동원체이고요
-
21:23 - 21:27중심체는 방추사를 만들면서 서로 미는
-
21:27 - 21:29것이 중심체입니다
-
21:29 - 21:32중기 때 염색체들은 나란히 나열하게 됩니다
-
21:32 - 21:34중기는 언제나 염색체들이 나열하는 단계이지요
-
21:34 - 21:36그려볼께요
-
21:36 - 21:39이렇게 이렇게
-
21:39 - 21:42이쪽에도 보라색이 있고요
-
21:42 - 21:45긴 보라색 염색체, 그리고
-
21:45 - 21:47저쪽에서 온 부분이 끝에 있고요
-
21:47 - 21:51이 세포는 긴 초록색,
-
21:51 - 21:57끝에만 초록색, 그리고 짧은 초록색
-
21:57 - 21:57여기 있지요
-
21:57 - 21:59모두 나열합니다
-
21:59 - 22:01방추사 중 일부는
-
22:01 - 22:03동원체에 붙어 있습니다
-
22:03 - 22:08두 개의 염색질은 연결하는 게 동원체입니다
-
22:08 - 22:10자매염색질을요
-
22:10 - 22:12물론 이제는 핵막이 없고요
-
22:12 - 22:15이 둘은 분리된 서로 다른 두 개의 세포이고요
-
22:15 - 22:18그러면 제2후기에는 무슨 일이 일어날지 아시겠죠
-
22:18 - 22:20세포분열의 후기와 똑같습니다
-
22:20 - 22:24.
-
22:24 - 22:27이것들은 동원체에 붙은 방추사에 의해 양쪽 끝으로 당겨지고요
-
22:27 - 22:30다른 나머지 방추사들은 계속 길어지면서
-
22:30 - 22:33이 둘을 더욱 분리시키죠
-
22:33 - 22:34그려볼께요
-
22:34 - 22:37여기서 주목해야할 것은
-
22:37 - 22:38제2후기와 제1후기와 다른 점은
-
22:38 - 22:43제1후기 때는 상동염색체들끼리 서로 갈리게 되고
-
22:43 - 22:45염색체 자체는 갈리지 않습니다
-
22:45 - 22:48제2후기 때는 상동염색체가 없죠
-
22:48 - 22:51그냥 자매 염색질들끼리만 남아서
-
22:51 - 22:55분리되는 것입니다
-
22:55 - 22:57세포분열의 후기와 비슷하죠
-
22:57 - 23:00이제 이것들이 당겨지면
-
23:00 - 23:02이렇게 생기게 됩니다
-
23:02 - 23:05이 부분 그리는 게 이 수업 중 제일 어렵네요
-
23:05 - 23:06이것은 이쪽으로 당겨지고요
-
23:06 - 23:09이것은 다른 쪽으로 당겨지고요
-
23:09 - 23:11위에 초록색 부분이 있는 놈이죠
-
23:11 - 23:13이 초록색은 이쪽으로 당겨집니다
-
23:13 - 23:16긴 염색체이죠
-
23:16 - 23:18그리고 이 나머지 긴 것은
-
23:18 - 23:21이 쪽으로 당겨집니다
-
23:21 - 23:26이 모든 것이 동원체에 연결된, 중심체에서 나오는 방추사가
-
23:26 - 23:29이 움직임을 지휘하는 것이죠
-
23:29 - 23:30모두 이렇게 당겨집니다
-
23:30 - 23:33후기는 언제나 이렇게 염색체들이 양옆으로
-
23:33 - 23:36당겨지는 단계입니다
-
23:36 - 23:37그렇게 외우세요
-
23:37 - 23:41이 세포에서도 같은 과정이 일어납니다
-
23:41 - 23:44물론 이 모든 것은 하나의 세포이죠
-
23:44 - 23:49세포분열에서와 같이 이렇게 자매 염색체들이
-
23:49 - 23:52갈라지게 되면, 이제 이것들은 염색체,
-
23:52 - 23:54또는 자매 염색체로 불리게 됩니다
-
23:54 - 23:56물론 이 과정은 두 번 반복됩니다
-
23:56 - 24:00이 다른 세포에서도 같은 과정이 일어납니다
-
24:00 - 24:01이 세포는 좀 더 깨끗하죠
-
24:01 - 24:04염색체가 겹치지 않았기 때문에요
-
24:04 - 24:09긴 보라색 염색체가
-
24:09 - 24:13두 개의 염색질로 갈라지면서
-
24:13 - 24:15염색체, 혹은 자매 염색체라고 불리게 됩니다
-
24:15 - 24:20여기 있는 이 것은 갈라져서
-
24:20 - 24:23초록색의 짧은 염색체에
-
24:23 - 24:25끝부분은 보라색입니다
-
24:25 - 24:26바로 여기요
-
24:26 - 24:29그리고 물론, 양쪽으로 당겨지게 됩니다
-
24:29 - 24:31'중심체'에 의해서요
-
24:31 - 24:34그 단어가 헷갈리지 않도록 강조하고 싶네요
-
24:34 - 24:36제가 수업 앞부분 내내 동원체라고 했을까봐 걱정되는군요
-
24:36 - 24:39바라컨데 오히려 저의 실수가
-
24:39 - 24:43여러분에게 같은 실수를 범하지 않도록 주의를
-
24:43 - 24:45주는 기회가 되었으면 하네요
-
24:45 - 24:45이것이 후기
-
24:45 - 24:47모두 양옆으로 당겨졌습니다
-
24:47 - 24:50그러면 제2말기는 무엇일지 예상이 되시겠죠
-
24:50 - 24:51그릴 필요도 없네요
-
24:51 - 24:55제2말기에는 이것들이 더 당겨집니다
-
24:55 - 24:59제2말기
-
24:59 - 25:00더 많이 당겨지고요
-
25:00 - 25:02세포 모양이 길어집니다
-
25:02 - 25:09여기에 골이 생기고요
-
25:09 - 25:11그래서 제2말기에 이것들이 당겨지면서
-
25:11 - 25:14세포질 분열이 일어나게 됩니다
-
25:14 - 25:15방추사들은 분해되고요
-
25:15 - 25:20그러면서 핵막이 이 주위에 생기죠
-
25:20 - 25:23그러면 결과적으로 무엇을 얻게 될까요
-
25:23 - 25:29이것은 핵 안에
-
25:29 - 25:34이 보라색에 끝이 초록색인 것, 그리고 긴 초록색
-
25:34 - 25:38주위에 핵막이 있고요
-
25:38 - 25:42그 밖에는 세포질과 세포의 나머지 구성 요소들이 있습니다
-
25:42 - 25:43그 밖에는 세포질과 세포의 나머지 구성 요소들이 있습니다
-
25:43 - 25:46제2감수분열에서 짝꿍이었던 이 세포에서는
-
25:46 - 25:50제2감수분열에서 짝꿍이었던 이 세포에서는
-
25:50 - 25:56짧은 보라색과 긴 초록색 염색체를 갖게 됩니다
-
25:56 - 26:01여기 역시 핵막이 있고
-
26:01 - 26:03그 주변에는 세포질이 있죠
-
26:03 - 26:05그리고 이쪽 역시
-
26:05 - 26:06비슷한 일이 일어납니다
-
26:06 - 26:10이 첫번 세포에는
-
26:10 - 26:12긴 보라색 염색체가 있었습니다
-
26:12 - 26:13그 둘은 갈리죠
-
26:13 - 26:16그래서 이 세포에는 긴 보라색 하나
-
26:16 - 26:20또 이 세포에도 긴 보라색 하나
-
26:20 - 26:23이 위에 것에는 짧은 초록색
-
26:23 - 26:25그리고 이 밑에는 짧은 초록색의 끝에만 보라색
-
26:25 - 26:29아버지에게서 온 염색체의 끝부분이
-
26:29 - 26:31조금 달려있습니다
-
26:31 - 26:34그리고 물론 이것들도 핵막이 있고
-
26:34 - 26:38그리고 물론 그 밖에는 세포질이
-
26:38 - 26:40그 밖을 채우고 있죠. 세포질에 대해서는
-
26:40 - 26:41나중에 더 배우도록 할께요
-
26:41 - 26:45정리하면, 처음에 우리는 2배체 세포로 시작해서
-
26:45 - 26:47어디 있었죠
-
26:47 - 26:512배체의 원시생식세포로 시작해서
-
26:51 - 26:53두 번의 분열을 거쳤습니다
-
26:53 - 26:56첫 분열 때는 상동염색체끼리 갈라졌는데
-
26:56 - 26:59그 전에 염색체가 겹쳤었죠
-
26:59 - 27:01인구의 다양성을 낳게 하는
-
27:01 - 27:06감수분열의 중요한 부분입니다
-
27:06 - 27:08두번째 분열에서는 자매염색분체끼리
-
27:08 - 27:12갈라졌습니다, 세포분열 때 같이요
-
27:12 - 27:16결과적으로 4개의 반수체 세포를
-
27:16 - 27:19얻게 됩니다
-
27:19 - 27:20이 세포들은 생식세포(gamete)이라 불립니다
-
27:20 - 27:22.
![]() |
kyounghye.yoon edited Korean subtitles for Phases of Meiosis | |
![]() |
kyounghye.yoon edited Korean subtitles for Phases of Meiosis | |
![]() |
kyounghye.yoon edited Korean subtitles for Phases of Meiosis | |
![]() |
kyounghye.yoon edited Korean subtitles for Phases of Meiosis | |
![]() |
kyounghye.yoon edited Korean subtitles for Phases of Meiosis | |
![]() |
kyounghye.yoon edited Korean subtitles for Phases of Meiosis | |
![]() |
kyounghye.yoon edited Korean subtitles for Phases of Meiosis | |
![]() |
kyounghye.yoon edited Korean subtitles for Phases of Meiosi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