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적분학을 처음 배우면서 우리가 가장 많이 했던 작업은
-
극한일 것입니다
-
우리는 극한을 이용해서 함수의 도함수를 구해 냈습니다
-
-
사실 도함수의 정의 자체에
-
극한의 개념이 들어가 있습니다
-
도함수는 특정 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를 의미하는데
이를 구하기 위해서
-
두 점을 아주 가까이 접근시켜
기울기의 극한을 구했습니다
-
여러분이 지금까지 수도 없이 많이 본 것들입니다
-
이번 영상에서는
-
반대 방향으로 해 보려 합니다
-
도함수를 이용해서 극한을 구해 볼 것입니다
-
특별히 부정형으로 나타내어지는 극한을 말입니다
-
부정형이라 하면
-
극한을 취할 때 그 꼴이 0/0이거나
-
+무한대/+무한대 또는
-
-무한대/+무한대
-무한대/+무한대
-
+무한대/-무한대
-
이 모든 것들을 부정형이라고 합니다
-
이러한 극한들을 구하기 위해 우리는
로피탈의 정리를 사용합니다
-
-
그리고 이번 영상에서는
-
로피탈의 정리가 뭔지 그리고
어떻게 적용할 것인지 설명하려고 합니다
-
왜냐하면 이 정리가 간단하면서도
가끔 굉장히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기 때문인데
-
만약 여러분이 수학 경시대회 같은 곳에 출전했는데
-
문제에서 굉장히 어려운 극한을 구하라고 요구합니다
-
단순히 숫자 대입만 해서는
절대로 풀리지 않는 그런 극한 말입니다
-
그 문제는 여러분에게
로피탈의 정리를 요구하고 있는 것입니다
-
나중 영상에서 제가 이 정리를 증명도 하겠지만
-
좀 많이 복잡합니다
-
반면 정리를 적용하는 것은 상당히 간단합니다
-
자 일단 로피탈의 정리가 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
일단 먼저 약간 추상적인 식으로 써 볼 건데
-
나중에 예시를 들면 더 확실해질 겁니다
-
x가 c로 갈 때 f(x)의 극한이 0이고
-
x가 c로 갈 때 g(x)의 극한도 0이고
-
x가 c로 갈 때
-
f'(x)/g'(x)의 극한이 존재하고 값을 L이라 하면
-
이제 필요한 조건들은 모두 완성되었습니다
-
이 경우는 0/0 꼴의 부정형
-
즉 첫 번째 부정형입니다
-
위 조건이 모두 충족되면 x가 c로 갈 때
-
f(x)/g(x)의 극한도 역시 L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이 결과가 당장은 약간 이상해 보일 수 있습니다
-
이제 나머지 부정형들에 대해서 써 보고
-
예시를 들겠습니다
-
나중에 많은 예시들을 체험해 볼 것이고
그 예시들은
-
여러분의 이해가 깔끔해지게 도와 줄 것입니다
-
이것은 첫 번째 부정형이었고
나중에 볼 예시가 바로
-
이 첫 번째 부정형 꼴 극한일 것입니다
-
자 이제 나머지 부정형들을 봅시다
x가 c로 갈 때
-
f(x)의 극한이 양 또는 음의 무한대로 가고
-
x가 c로 갈 때 g(x)의 극한도 양 또는
-
음의 무한대로 가고
마지막 하나의 조건은 여러분이 말할 수 있을 것입니다
-
도함수끼리 나눠서 극한이 존재할 때입니다
즉 x가 c로 갈 때
-
f'(x)/g'(x)의 극한이 존재하여
-
극한값을 L이라 합시다
-
이제 우리는 위에서 했던 것과
똑같은 문장을 쓸 수 있습니다
-
복사하겠습니다
-
수정 복사 그리고 붙여넣겠습니다
-
지금 각각의 상황에
-
이 정리를 어떻게 써먹으실지 이해하셔야 합니다
-
첫 번째 부정형 극한을 구하는 상황에서
여러분이 만약 극한값을 계산하고 싶은데
-
f(c)값이 0이 된다고 해 봅시다
-
다른 말로
x가 c로 접근할 때 f(x)의 극한이 0이라는 뜻입니다
-
여기다 x가 c로 갈 때 g(x)의 극한을 나누어 봅시다
-
그러면 0/0꼴이 됩니다
-
극한을 어떻게 구해야 할지 막막하시다면
-
로피탈의 정리가 해법을 알려 줄 것입니다
-
만약 극한이 존재한다면
분자 분모를 동시에
-
미분을 해 보고 다시 극한을 구해 봅니다
-
만약 극한값이 존재해서 그 값을 얻었다면
-
원래 구하는 극한값과 동일하게 되는 것입니다
-
이번 경우는
-
+무한대/+무한대 또는
-
양 또는 음의 무한대에 양 또는 음의 무한대를 나눈 꼴의 극한입니다
-
이렇게 두 개의 부정형에 대해서 식을 써 보았습니다
-
여러분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예시를 들겠습니다
-
그게 이해하는 데 확실히 도움이 될 것입니다
-
이 극한을 같이 구해 봅시다
-
새로운 색으로 써 보겠습니다
-
보라색으로 써 보겠습니다
-
이 극한을 같이 구해 봅시다
-
x가 0으로 접근할 때 sinx/x의 극한을 구할 겁니다
-
만약 그냥 각각의 함수에 0을 대입하거나
-
각각의 함수에 x가 0으로 가는 극한을 보내면
-
0/0꼴을 얻게 됩니다
-
sin0=0이고
-
x가 0으로 갈 때 sinx의 극한도 0이 됩니다
-
또 x가 0으로 접근할 때 x의 극한은 당연히
-
0이 됩니다
-
그러므로 이 극한은 첫 번째 부정형입니다
-
자 그럼 이제 이 분자 부분을 f(x)라 해 봅시다
-
f(x)=sinx가 됩니다
-
그리고 이 분모 부분은 g(x)라 해 봅시다
-
g(x)=x가 됩니다
-
g(x)=x이고 f(x)=sinx가 됩니다
-
우리는 이 극한이
-
앞 두 개의 조건을 만족함은 방금 확실히 보았습니다
-
x가 c로 접근할 때
이번 경우 c는 0이겠죠
-
x가 0으로 갈 때 sinx의 극한은 0
-
x가 0으로 갈 때 x의 극한은 역시 0입니다
-
0/0꼴 부정형 극한입니다
-
그럼 이번에는 이 극한이 존재하는지를 봅시다
-
f(x)의 도함수를 구하고
-
g(x)의 도함수를 구해서 두 개를 나누고
x가 0으로 갈 때 극한을 찾아 봅시다
-
이번 경우에 0이 c가 됩니다
-
이 극한이 존재하는지 살펴봅시다
-
파란색으로 써 보겠습니다
-
두 함수들의 도함수를 써 보겠습니다
-
f'(x)를 구해 봅시다
-
f(x)=sinx면 f'(x)가 무엇입니까?
-
cosx가 됩니다
-
굉장히 자주 배웠을 겁니다
-
그럼 이번에 g(x)=x이면 g'(x)는 무엇이 됩니까?
-
너무 쉽습니다
-
g'(x)는 당연히 1이 됩니다
-
이제 x가 0으로 갈 때의 극한을 찾을 건데
-
이번에는 도함수끼리 나눈 것의 극한을 구해야 합니다
f'(x)/g'(x)의 극한을 찾아 봅시다
-
자 그러면 이렇게 쓸 수 있겠습니다
x가 0으로 갈 때
-
cosx/1의 극한
-
숫자 1이 약간 이상하게 적혔습니다
-
이제 간단해졌습니다
-
답이 뭔지 보이실 것입니다
-
x가 0으로 갈 때 cosx의 극한은
-
1과 같습니다
-
그리고 당연하게도 x가 0으로 갈 때 1의 극한은
-
역시 1이 됩니다
-
그러므로 이 문제에서
-
x가 c로 접근합니다
또 c는 0이니
-
그럼 x가 0으로 갈 때 f'(x)/g'(x)의 극한은
-
1입니다
-
극한값이 존재하고 그 값이 1입니다
-
따라서 위의 모든 조건이 충족되었습니다
-
우리가 로피탈의 정리를 쓸 수 있는 상황이 된 것입니다
-
x가 0으로 갈 때 sinx의 극한은 0이고
-
x가 0으로 갈 때 x의 극한도 0이고
-
sinx의 도함수에다가
-
x의 도함수를 나눈 것의 극한
즉 cosx/1의 극한
-
값이 1이라는 것을 찾아냈습니다
-
위의 모든 조건이 충족되었으므로
-
로피탈의 정리를 쓸 수 있습니다
-
즉 x가 0으로 갈 때 sinx/x의 극한도
-
1이 된다는 것입니다
-
이 극한값 1은 아래쪽에 적어놓았던
-
도함수끼리 나눈 것의 극한값과 당연히 같습니다
-
다음 몇몇 개의 영상에서 더 많은 예시들을 소개할 거고
-
예시들을 보시면 더 구체적으로 이해가 잘 될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