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turn to Video

울리 매머드를 다시 데려오자!

  • 0:00 - 0:02
    제가 어렸을 적에
  • 0:02 - 0:05
    저는 제 아버지의 현미경을 통해
  • 0:05 - 0:08
    집에 있는 호박속에 든
    곤충들을 관찰하곤 했습니다.
  • 0:08 - 0:11
    그 곤충들의 외형은 놀랄만큼
  • 0:11 - 0:13
    잘 보존되어 있었죠.
  • 0:13 - 0:15
    우리는 언젠가
  • 0:15 - 0:17
    그 곤충들이 생명을 되찾고
  • 0:17 - 0:19
    송진 밖으로 기어나올 거라고
    상상하곤 했습니다.
  • 0:19 - 0:21
    그럴수 있다면 곤충들이
    날라가 버릴거라는 상상말이죠
  • 0:21 - 0:24
    만약 10년 전에, 제게 멸종된 생물들의
  • 0:24 - 0:27
    유전자 배열 순서를
    밝힐 수 있겠냐고 물었다면
  • 0:27 - 0:30
    가망 없다고 답했을 거에요.
  • 0:30 - 0:31
    만약 우리가 과연 멸종된 종을
  • 0:31 - 0:34
    살려낼 수 있겠냐고 물었다면
  • 0:34 - 0:35
    꿈도 못 꿀거라고 답했을 겁니다. .
  • 0:35 - 0:38
    그런데 제가 이 자리에 서서, 놀랍게도,
  • 0:38 - 0:40
    멸종된 유전자 배열 순서를 밝혀내는 것이
  • 0:40 - 0:44
    가능성을 넘어 이제는
    현실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 0:44 - 0:48
    멸종된 종을 재생하는 게
    얼마 남지도 않았고
  • 0:48 - 0:50
    호박 속의 곤충 뿐만 아니라,
  • 0:50 - 0:52
    - 사실, 이 모기는 영화
  • 0:52 - 0:54
    "쥬라기 공원"의 영감이 되었죠. -
  • 0:54 - 0:57
    영구 동토대에 잘 보존된
  • 0:57 - 0:59
    유해나 털로도 울리 매머드를
    재생시킬 수 있다고 이야기 하고 있습니다.
  • 0:59 - 1:01
    이 울리 매머드들은 특히 흥미로운,
  • 1:01 - 1:04
    전형적인 빙하기 생물의 모습입니다.
  • 1:04 - 1:06
    그 녀석들은 크고, 털이 수북합니다.
  • 1:06 - 1:08
    매우 큰 상아를 가지고 있고,
    우리는 그들과
  • 1:08 - 1:10
    깊은 연관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우리가 코끼리와 그러하듯 말이죠.
  • 1:10 - 1:13
    아마도 이건 코끼리들이
  • 1:13 - 1:15
    우리와 많은 점에서 비슷하기
    때문인 것 같아요.
  • 1:15 - 1:18
    그들은 동족의 시체를 묻어주고
    가까운 친척도 교육하거든요.
  • 1:18 - 1:21
    또 매우 가까운 사회적 결합을
    맺고 있습니다.
  • 1:21 - 1:23
    아마도 이건 우리가 오랜 시간동안
    함께 묶여 있었기 때문인지도 모릅니다.
  • 1:23 - 1:27
    인간들 처럼, 코끼리들은 아프리카에
    동일한 기원을 갖고 있습니다.
  • 1:27 - 1:29
    한 7백만년전 일이었죠.
  • 1:29 - 1:32
    서식지가 바뀌고, 환경이 변화되면서
  • 1:32 - 1:35
    우리는 코끼리들과 같이 유럽이나
  • 1:35 - 1:38
    아시아로 이주했습니다.
  • 1:38 - 1:40
    화면에 보이는 최초의
    이 거대 매머드는
  • 1:40 - 1:44
    메리디오날리스라고 불리는데,
    키는 4미터에
  • 1:44 - 1:47
    무게는 10톤 정도 나가는
    삼림지대에 적응된 종이었어요.
  • 1:47 - 1:50
    서부 유럽에서부터 확산되어
    중아아시아를 지나
  • 1:50 - 1:53
    베링 육교를 지나
    [빙하기에 육화됬던 베링 해협 부근의 육지]
  • 1:53 - 1:55
    북아메리카 일부 지대로
    유입되었습니다.
  • 1:55 - 1:58
    시간이 지나, 항상 그래왔듯이
    기후가 변화하고
  • 1:58 - 1:59
    새로운 서식지가 열리자
  • 1:59 - 2:02
    스텝 지대에 적응된 종인
  • 2:02 - 2:04
    중앙아시아의 트로곤더리가
    나타나고 이들은
  • 2:04 - 2:07
    메리디오날리스를
    서부 유럽으로 몰아냅니다.
  • 2:07 - 2:09
    그리고 북아메리카에
    열린 목초지인 사바나가 생겨나
  • 2:09 - 2:11
    콜롬비안 매머드의 탄생으로
    이어집니다.
  • 2:11 - 2:14
    이들은 크고 털이 없는
    북아메리카 종이었죠.
  • 2:14 - 2:17
    그리고 겨우 500,000년 후에
  • 2:17 - 2:19
    울리 매머드의 탄생을 맞습니다.
  • 2:19 - 2:21
    바로 우리가 가장 잘 알고
    매우 사랑하는 종이죠.
  • 2:21 - 2:25
    이들은 동부 베링 쪽에서 탄생하여
  • 2:25 - 2:28
    중앙아시아를 가로질러
    트로곤더리를
  • 2:28 - 2:29
    중부 유럽으로 몰아냈습니다.
  • 2:29 - 2:31
    수십만년 넘게
  • 2:31 - 2:34
    빙하기의 절정기에
    베링 육교를 지나
  • 2:34 - 2:36
    왔다갔다 이주하며
  • 2:36 - 2:38
    남쪽에 사는 콜롬비안 친척들과
  • 2:38 - 2:41
    직접 접촉하며 그곳에서
  • 2:41 - 2:44
    수십만년 넘게 살아남습니다.
  • 2:44 - 2:46
    엄청난 기후 변화의 기간 동안에 말이죠.
  • 2:46 - 2:51
    이렇게 온도나 환경의
    거대한 변화에서 살아남은
  • 2:51 - 2:54
    매우 적응성있는 동물들이 있는데
    매우 잘 해냈습니다.
  • 2:54 - 2:58
    그리고 이 동물들은 본토에서
    거의 만년전까지 생존했어요.
  • 2:58 - 3:01
    사실, 놀랍게도 시베리아 주변의 작은 섬이나
  • 3:01 - 3:03
    알래스카 주변 섬에서
    약 3,000년 전까지도 살아 남았었어요.
  • 3:03 - 3:05
    그러니까, 이집트인들이
    피라미드를 건설할 때에도
  • 3:05 - 3:08
    울리 매머드들은
    그 섬들에 살고 있었습니다.
  • 3:08 - 3:09
    그리고는사라졌죠.
  • 3:09 - 3:11
    99퍼센트의 동물들이
    한 때 생존했다가
  • 3:11 - 3:15
    멸종되었는데요. 가능성있는 이유로는
    온난화되는 기후와
  • 3:15 - 3:17
    북쪽으로 빠르게 잠식해오는
  • 3:17 - 3:18
    빽빽한 수풀, 즉 밀림들
  • 3:18 - 3:21
    그리고 이후에 폴 마틴이 말했 듯이
    (폴 마틴: 캐나다 34대 총리)
  • 3:21 - 3:23
    홍적세(신생대 제사기의 첫 시기)의
    과잉 수렵 시기에
  • 3:23 - 3:26
    그들을 사냥했던 수렵 등을 꼽습니다.
  • 3:26 - 3:28
    다행스럽게도, 우리는
    시베리아나 알래스카에서
  • 3:28 - 3:31
    영구 동토대 깊숙히 흩뿌려져 묻힌
    그들의 유해를 찾았고,
  • 3:31 - 3:34
    우리는 실제로 그곳으로 가서
  • 3:34 - 3:36
    그들의 유해를 건져내어 가져왔습니다.
  • 3:36 - 3:37
    보존이 되었던 것은, 또다시,
  • 3:37 - 3:40
    호박 속의 곤충들과 같이
    경이로웠습니다.
  • 3:40 - 3:43
    이빨도 있고, 혈액과 뼈가 있으며,
  • 3:43 - 3:45
    머리 카락도 있고,
  • 3:45 - 3:47
    상처 하나 없는 몸하고
    머리통이 있어요.
  • 3:47 - 3:50
    그안에는 아직도
    뇌도 들어있어요.
  • 3:50 - 3:52
    DNA의 보존과 생존은
  • 3:52 - 3:54
    여러가지 요소들에 의존하는데,
    제가 인정하겠습니다,
  • 3:54 - 3:56
    이런 것들의 대부분을 우리는 아직도
    이해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 3:56 - 3:59
    그러나 언제 유기체가 죽고,
  • 3:59 - 4:03
    그게 얼마나 빨리 묻히는지,
    또 매장된 깊이,
  • 4:03 - 4:06
    그리고 묻힌 주변의 온도가
    일정한지 등에 따라
  • 4:06 - 4:09
    지질학적 의미가 있는 기간을 넘어
  • 4:09 - 4:12
    DNA가 얼마나 오랫동안
    생존하는지 결정됩니다.
  • 4:12 - 4:13
    이 사실은 여기있는 여러분들에게
    매우 놀라울거에요.
  • 4:13 - 4:17
    유전자 보존은
    시간 문제가 아닙니다.
  • 4:17 - 4:18
    보존 기간이 아니라
  • 4:18 - 4:22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온도의 불변성이라는 겁니다.
  • 4:22 - 4:25
    그래서 매머드의 유해 깊숙히,
  • 4:25 - 4:28
    화석화 과정에서
    살아남은 뼈나 이빨에는
  • 4:28 - 4:31
    히스톤 단백질에
  • 4:31 - 4:34
    싸여 한때는 손상되지 않았던 DNA가
  • 4:34 - 4:37
    지금은, 살아있던 평생동안
    공생했던 박테리아들의
  • 4:37 - 4:38
    공격을 받고 있습니다.
  • 4:38 - 4:42
    주변의 박테리아, 유리수, 산소들과 함께
    (불투수층과 지표 사이의 지하수)
  • 4:42 - 4:45
    이 박테리아들이 DNA를 분해하여
  • 4:45 - 4:48
    작디작은 조각으로 쪼갰습니다.
  • 4:48 - 4:50
    그 결과 조각들은 10개의 염기쌍 부터
  • 4:50 - 4:53
    잘해봐야
  • 4:53 - 4:55
    몇개 정도의 길이로 쪼개져 있어요.
  • 4:55 - 4:58
    그래서 대부분의 화석들은
  • 4:58 - 5:00
    유기체의 흔적이라고는
    찾아볼 수 없습니다.
  • 5:00 - 5:03
    그러나 몇몇 화석들은
    DNA 조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 5:03 - 5:05
    이들은 천년, 아니
  • 5:05 - 5:08
    수백만년동안 살아남은 것이지요.
  • 5:08 - 5:11
    우리는 최첨단의
    청정 기술을 사용하여
  • 5:11 - 5:13
    이런 남은 잔해 찌꺼기물에서
  • 5:13 - 5:16
    DNA들을 추출 할 수 있는 방법을
    고안해냈습니다.
  • 5:16 - 5:18
    이 강연장에 계신 분들에게는
    이런 것들이 전혀 놀라울 것이 아니겠죠:
  • 5:18 - 5:20
    제가 매머드들의 뼈나 이빨을 가지고
  • 5:20 - 5:23
    그 DNA를 추출해내어
    매머드의 DNA를 얻으면
  • 5:23 - 5:27
    매머드와 함께 살았던
    박테리아도 얻을 수 있고,
  • 5:27 - 5:29
    더 자세히는, 그 안에서
    매머드와 같은 환경을 살아남은
  • 5:29 - 5:31
    박테리아, 곰팡이 등의 DNA를 모두
  • 5:31 - 5:34
    얻어 낼 수 있을 거라는 사실 말이죠.
  • 5:34 - 5:37
    이 또한 전혀 놀라운게 아닌 데요,
  • 5:37 - 5:39
    영구 동토대에서 보존된 매머드들은
  • 5:39 - 5:41
    매머드의 DNA를
    약 50퍼센트 가지고 있는 반면,
  • 5:41 - 5:43
    콜롬비안 매머드 같은 것들,
  • 5:43 - 5:46
    즉 적당한 온도에서 살다
    온난한 환경에 묻힌 이들은
  • 5:46 - 5:50
    겨우 3에서 10퍼센트의
    DNA를 가지고 있습니다.
  • 5:50 - 5:52
    그러나 우리는 매우 기발한
    방법을 생각해냈는데요,
  • 5:52 - 5:55
    이 방법으로 우리는 매머드 것과
    매머드 것이 아닌 DNA를
  • 5:55 - 5:57
    구별하고, 추출해 냈어요.
  • 5:57 - 6:00
    발달된 고처리 기능
    염기 배열 순서 감식법 덕분에
  • 6:00 - 6:03
    생체정보학 기술을 이용해
  • 6:03 - 6:06
    우리는 이 작은 DNA 조각을
    떼어내 재조정한 후,
  • 6:06 - 6:08
    아시아 코끼리나 아프리카 코끼리
    염색체에 겹쳐보는 방법으로
  • 6:08 - 6:11
    비교할 수 있었습니다.
  • 6:11 - 6:13
    이렇게 해서, 우리는
    매머드와 아시아 코끼리를
  • 6:13 - 6:16
    구별하는 모든 사항들을 알게 되었어요.
  • 6:16 - 6:19
    그럼, 매머드에 대해선
    무엇을 알게 되었냐고요?
  • 6:19 - 6:22
    음, 메머드 게놈(유전자 총체)은
    거의 알아냈는데요,
  • 6:22 - 6:26
    이것은 매우 크더라고요.
    이게 바로 매머드인데요,
  • 6:26 - 6:29
    인류의 게놈이 대략
    30억개의 염기쌍을 가진 반면,
  • 6:29 - 6:30
    코끼리나 매머드의 게놈은
  • 6:30 - 6:33
    20억 염기쌍이나
    더 가지고 있고, 대다수는
  • 6:33 - 6:36
    작고 반복되는 DNA로
    구성되어있는데,
  • 6:36 - 6:40
    그것 때문에 모든 게놈의 구조를
    재조정하는 것이 꽤 힘들었어요.
  • 6:40 - 6:43
    이 정보들을 갖게 됨으로써, 우리는
  • 6:43 - 6:45
    매머드와 그의 살아있는 친척들인
    아프리카 코끼리와 아시아 코끼리들과의 관계에 대한
  • 6:45 - 6:47
    매우 흥미로운 질문에
  • 6:47 - 6:49
    답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 6:49 - 6:52
    이 코끼리들은 모두 700만년 전에
    같은 조상을 두고 있었지만
  • 6:52 - 6:54
    매머드의 게놈은
  • 6:54 - 6:57
    600만년전까지도
    아시아 코끼리들과
  • 6:57 - 6:59
    공통의 조상을 두고 있었다는
  • 6:59 - 7:01
    사실을 보여주었습니다.
  • 7:01 - 7:04
    DNA 기술의 발달과 함께
  • 7:04 - 7:06
    우리는 제가 아까 말씀드린,
    멸종한 다른 매머드들의
  • 7:06 - 7:09
    게놈 구조도 밝혀낼 수 있습니다.
  • 7:09 - 7:11
    두 종류의 매머드만 말씀드릴텐데요,
  • 7:11 - 7:13
    울리 매머드와 콜롬비안 매머드들은
  • 7:13 - 7:15
    빙하기 동안 서로 매우
  • 7:15 - 7:18
    가까운 지역에 살았으며,
  • 7:18 - 7:20
    북아메리카에 빙하가 엄청나던 시절에,
  • 7:20 - 7:23
    울리 매머드들은 빙하 지역 아래
    이행대(다른 생태계가 접하는 지대)로
  • 7:23 - 7:26
    밀려갔고, 남쪽에 살던 친척들과 만나
  • 7:26 - 7:28
    레퓨지아
    (빙하기에 변화가 적어 멸종된 것이 살아 있는 지역)
  • 7:28 - 7:30
    에서 그들과 공존했다는
    사실이 밝혀집니다.
  • 7:30 - 7:33
    이들은 이종 교배를 했던 것 같아요.
  • 7:33 - 7:35
    이 사실은
    장비류(코끼리, 매머드 등)에서는 흔치 않은
  • 7:35 - 7:36
    특징입니다. 왜냐하면
  • 7:36 - 7:39
    거대한 수컷 사바나 코끼리들은
  • 7:39 - 7:42
    작은 둥근 귀 코끼리들과의 암컷 경쟁에서
    이긴 걸로 밝혀졌거든요.
  • 7:42 - 7:45
    크고, 털이 없는 콜롬비안들은 결국
  • 7:45 - 7:47
    작은 수컷 울리들과의 경쟁에서
    이겼습니다.
  • 7:47 - 7:49
    이걸 보니까 고등학교 시절이
    조금 생각나네요.
  • 7:49 - 7:52
    (웃음)
  • 7:52 - 7:54
    자, 멸종된 종을 재생시키겠다는
    생각이 있다는 전제하에서
  • 7:54 - 7:56
    이건 하찮은 사실이 아닙니다. 왜냐하면
  • 7:56 - 7:58
    아프리카 코끼리와 아시아 코끼리는
  • 7:58 - 8:00
    이종 교배를 하여
    새끼를 낳을 수 있다는 거니까요,
  • 8:00 - 8:02
    이런 경우가 실제로 1978년에
    영국 체스터에 있는
  • 8:02 - 8:06
    동물원에서 우연히 일어났습니다.
  • 8:06 - 8:09
    이는 우리가 아시아 코끼리의 염색체를
  • 8:09 - 8:11
    가져다가, 이걸 이제는
    매머드 게놈과 구별할 수 있는
  • 8:11 - 8:13
    모든 위치로 변형시킬 수
    있다는 걸 의미합니다.
  • 8:13 - 8:16
    이 것들을 제핵 세포에 넣어서,
  • 8:16 - 8:18
    줄기세포로 변화시킨 다음,
  • 8:18 - 8:21
    결국에는 이것을 정자로 변화시켜
  • 8:21 - 8:23
    아시아 코끼리 난자를에
    인공적으로 수정시킨 후,
  • 8:23 - 8:26
    시간이 지나고 이 힘든 절차를 거치면
  • 8:26 - 8:30
    실제로 이렇게 생긴 것을
    다시 불러올 수 있습니다.
  • 8:30 - 8:31
    자, 이게 완전한 복제품은 아닙니다.
  • 8:31 - 8:34
    왜냐하면 제가 말씀드린
    조그만 DNA조각들로 인해
  • 8:34 - 8:36
    정확한 모형을 만드는 게
    불가능하기 때문이죠.
  • 8:36 - 8:38
    그렇지만 이것은
    실제 울리 매머드의 모습과
  • 8:38 - 8:41
    매우 비슷한 것을 보고
    느끼게 해줄 것 입니다.
  • 8:41 - 8:44
    제가 이것을 친구들과 제안하고 나서
  • 8:44 - 8:46
    우리는 이렇게 물어봤습니다.
    어디에 둘까?
  • 8:46 - 8:48
    어디서 이 매머드를 보관하지?
  • 8:48 - 8:50
    우리는 이렇게 말했죠.
    적합한 기후나 서식지는 없어.
  • 8:50 - 8:52
    음, 사실은 그렇지 않습니다.
  • 8:52 - 8:54
    시베리아와 유콘 북부에
  • 8:54 - 8:57
    광범위한 서식지가 있으며,
  • 8:57 - 8:58
    여기서 실제로 이 매머드를
    보관할 수 있습니다.
  • 8:58 - 9:00
    기억나시죠. 이 동물은
    매우 적응력이 뛰어난 동물입니다.
  • 9:00 - 9:03
    엄청난 기후 변이 속에서도
    살아남았으니까 말이죠.
  • 9:03 - 9:06
    그러니 이 멋진 풍경 속에서는
    매머드를 잘 보관할 수 있습니다.
  • 9:06 - 9:09
    사실 저기에 제 어린 시절의 모습이
    들어있지는 않습니다.
  • 9:09 - 9:11
    북쪽 지방의 영구 동토대 위를 걸어다니던
  • 9:11 - 9:14
    그 장엄한 생물을
    실제로 보고 싶어하던
  • 9:14 - 9:16
    제 어린 시절 말이죠.
    그러나 저는 인정합니다.
  • 9:16 - 9:18
    어른으로서의 저는
    가끔씩 궁금해합니다.
  • 9:18 - 9:21
    우리가 해야 할지
    말아야 할지에 대해서요.
  • 9:21 - 9:22
    정말 감사합니다.
  • 9:22 - 9:27
    (박수)
  • 9:27 - 9:29
    라이언 펠런: 가지 마세요.
  • 9:29 - 9:31
    우리한테 질문을 남겨두셨잖아요.
  • 9:31 - 9:34
    모든 분들이 이게 궁금하실거에요.
    당신이 ''우리가 꼭 해야하는지"라고 말했을 때
  • 9:34 - 9:37
    당신이 말을 아낀다고
    생각하셨을 거에요.
  • 9:37 - 9:40
    그럼에도 멸종된 종 복원이
    가능하다는 비젼을 주셨어요.
  • 9:40 - 9:41
    왜 끝에 와서 말을 아끼시는거죠?
  • 9:41 - 9:42
    헨드릭 포이나르: 말을 아낀 것은 아니에요.
  • 9:42 - 9:46
    저는 우리가 행하는 행위나
    행동이 미칠 영향이나
  • 9:46 - 9:49
    파문에 대해서 깊이
    생각해야만 한다고 봅니다.
  • 9:49 - 9:51
    그리고 우리가 지금과 같이 이렇게
  • 9:51 - 9:53
    좋고 깊은 논의한다면,
    왜 이런 것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 9:53 - 9:56
    좋은 결론에 도달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 9:56 - 9:57
    저는 우리가 왜
    이것을 해야 하는지를
  • 9:57 - 9:59
    먼저 생각해보면서
    시간을 보낼 수 있기를 바랐습니다.
  • 9:59 - 10:02
    라이언 펠런: 완벽한 대답입니다. 감사합니다.
  • 10:02 - 10:04
    헨드릭 포이나르: 감사합니다. (박수)
Title:
울리 매머드를 다시 데려오자!
Speaker:
헨드릭 포이나르 (Hendrik Poinar)
Description:

거대한 짐승이 다시 지구 위를 걸어다니는 걸 보는 것은 전 세계 모든 아이들의 희망입니다. 그 꿈이 실현될 수 있을까요? 그래야 할까요? 헨드릭 포이나르가 이 엄청난 프로젝트에 대해서 유익한 정보를 줍니다. 그 프로젝트는 우리의 복실복실한 친구인 울리 매머드와 거의 유사한 생물을 만들어내는 것입니다. 첫번째 단계인 울리 매머드의 유전자 배열 순서를 밝혀내는 작업은 거의 완성 단계에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이 생물은 엄청나게 클 것이라고 합니다. .(TEDxDeExtinction에서 촬영)

more » « less
Video Language:
English
Team:
closed TED
Project:
TEDTalks
Duration:
10:22
  • I changed some of crucial information such as numbers, the meaning of words and sentences but I didn't perfectly check all sentences in detail.
    Although the nuance of some sentences translated is slightly different from English, most of them seem pretty well translated.

  • Thank you, Mr.Kang. Your revision is excellent.^^

  • approve 해주시는 분께 부탁하나 드리겠습니다. 9분 31초에서 9분 35초 자막에서
    "모든 분들이 이게 궁금하실거에요. 당신이 ''라고 말했을 때" 이 자막을
    "모든 분들이 이게 궁금하실거에요. 당신이 '해야 할까요?'라고 말했을 때"로 바꾸어 드리면 감사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어려운 번역이어서 그런지 몇국데 오역과 우리말로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었습니다. 이이런 부분은 이해가 쉽도록 바꾸었지만 특히, 4:42 부근 문장과 5:20 부근 문장에는 오역이 있어서 수정했습니다. 그리고 역주 중에 이해하기에 지나치게 어려워 보이는 용어나 본문 내용을 읽는데 장해가 되는 내용은 삭제했습니다. 수고 많이 하셨습니다.

Korean subtitles

Revis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