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turn to Video

데이비드 반: 자살에 복수하다

  • 0:06 - 0:12
    독자들이 실제 이야기와 배경을 알게된다면
    책을 달리 보게 되고,
  • 0:12 - 0:18
    더 잘 읽게 된다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글을 쓰는 동안에서 무언가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 0:18 - 0:25
    페이지 위에서 글을 쓰는 동안 실제 주체의
    큰 변화가 일어나는 것이죠.
  • 0:25 - 0:31
    제가 아버지의 자살에 대해 책을 쓰고있을 때,
    십년동안 작업했지만 어떻게 써야 할지 잘 몰랐어요.
  • 0:31 - 0:36
    처음엔 너무 단적으로 글을 썼죠. 아버지가
    돌아가시고 가족 모두 얼마나 슬퍼했는지
  • 0:36 - 0:39
    그런 것에 대해 썼어요.
    도저히 못읽게 더라구요
  • 0:39 - 0:45
    그러다, 책 중간부에 와서
    단편소설을 쓰기 시작했어요.
  • 0:45 - 0:50
    반 정도 썼을때, 모든것이 달라지는 놀라운
    일이 있었어요. 그런 일이 있을거라고
  • 0:50 - 0:55
    그때, 글을 쓰고 있을 당시엔 생각도 못했어요.
    다음날, 정신을 차리고
  • 0:55 - 1:01
    단편소설의 내용을 줄이고 처음 계획대로 책을 써나갔죠.
    그리고 이전까지 쓴 내용을 다시 읽어봤어요.
  • 1:01 - 1:07
    마치 처음 읽는 글 같았고, 제가 썼지만
    패턴이 있다는 걸 발견했어요.
  • 1:07 - 1:11
    제가 보지 못했던 순간까지 연결되어
    있는거예요.
  • 1:11 - 1:17
    그 순간, 글쓰기에 대한 저의 생각이 통채로 바뀌었죠
    이 책의 최고 페이지는
  • 1:17 - 1:22
    그런 전환이 있던 후예요. 힘들고 계획 없이 썼을때 였죠
    그래서 전 독자들에게 이 책의 배경에 대해선
  • 1:22 - 1:28
    숨기는게 없다는 것을 말씀드리고 싶어요.
    전 독자들에게 알았으면 해요.
  • 1:28 - 1:34
    아버지께서 제가 13세 자살하셨고
    제에게 알라스카에 와서 일년 같이 지내자고
  • 1:34 - 1:41
    부탁하셨지만 전 거절했고
    이 후 곧 아버지께서 자살하셨어요.
  • 1:41 - 1:47
    왜냐면 제가 아번지와 아들이 일년동안 타지에서 지내는
    이야기를 쓰고 있을때,
  • 1:47 - 1:52
    그때가 바로 제가 아버지와 함께 일년을 타지에서 일년을
    같이 보낼 수 있는 기회였죠. 글을 쓰고 있을땐 몰랐어요.
  • 1:52 - 1:58
    글을 쓰고 있을땐, 제가 아버지와 함꼐 일년을 보낼 기회를
    다시 얻는다는 생각이 전혀 들지않았어요.
  • 1:58 - 2:01
    소설 속에 굉장한 힘이 있는것 같아요.
  • 2:01 - 2:06
    우리가 알아차리지 못하는 순간에도 패턴이 있어요.
    독자가 이러한 패턴을 알라볼 수 있는 때는 소설의
  • 2:06 - 2:12
    실화를 알았을 때죠. 그래서 저는 항상 독자에게 소설에서
    어떤 부분이 실화이고 공상인지를 알려주고 하죠
  • 2:12 - 2:18
    왜냐면, 전 작가의 과거 경험에 바탕을 둔 소설에
    무척 관심이 많거든요.
  • 2:18 - 2:23
    무의식중에 우리는 안좋았던 일을 좋았던 일로
  • 2:23 - 2:28
    바꾸고, 다시 재구성해서 용서를 받으려고 하죠
  • 2:28 - 2:33
    저도 그랬던것 같습니다. 책을 통해 아버지의
    절망에 좀 더 가까이 다가갔고, 결국
  • 2:33 - 2:37
    아버지를 그리고 마지막 가시는 길이 어떠했을지를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이게 제가 하고자 했던 겁니다
  • 2:37 - 2:41
    왜냐면, 제가 아버지에 대해 쓴 다른 단편소설에서
    전 제 자신이 겁쟁이같았더든요.
  • 2:41 - 2:45
    잘 썼지만, 소심했죠. 소설들에서 아버지가 느낀
    절망 근처에 가지 못했거든요.
  • 2:45 - 2:49
    그래서 이번 소설에서 아버지의 마지막 순간,
    자살하는 순간까지 다루려고 생각했어요
  • 2:49 - 2:53
    마지막 순간을 쓸때, 아버지의 마지막 순간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으리라 생각했죠.
  • 2:53 - 2:57
    그런데, 소설의 중간부에서 소년이 자살을 하죠.
    아버지가 소년에게 총을 건내주죠. 왜냐면
  • 2:57 - 3:03
    아버지는 자살충동을 느끼고 있고, 소년은 아버지가 건낸
    총을 바라보고 있죠. 그 순간 전 소년이 총을 자기머리에
  • 3:03 - 3:07
    대고 쏠거라고 알았어요. 그땐 아무 생각도 없었어요.
    이 후 몇 년이 지나서야 이해할 수 있었어요.
  • 3:07 - 3:13
    그 순간과 무엇이 일어났었는지를요. 아시겠지만,
    전 이것이 어느정도는 저의 복수였다는 걸 알수 있었죠.
  • 3:13 - 3:18
    그리고 부분적으로는 정신적인 복수였어요. 수년동안
    제가 아버지의 자살 짊어지고 살았더라고요.
  • 3:18 - 3:25
    그래서 제 책에서 소년이 자살을 하고, 아버지가 죽은
    소년을 어깨에 매고 여러곳을 다녀요.
  • 3:25 - 3:30
    이 섬에서 저 섬으로. 그래서 전 소설을 통해 아버지가
    얼마간 제 몸을 짊어지게 했어어요.
  • 3:30 - 3:37
    물론, 전 소설을 쓸 당시는 인지하지 못했고, 몇 년이
    지난후에야 이게 어느정도는 복수였다는 걸 알게 됐죠
  • 3:37 - 3:44
    2권으로 쓴 '자살의 전설'에서 가장 많이 등장하는
    인간관계가 아버지와 아들이고, 소년이 주인공이죠.
  • 3:44 - 3:48
    후속편인 '카리부 섬'에는 주요 인간관계가 부부관계이고
    주인공은 아이런이죠.
  • 3:48 - 3:54
    그리고, 악역들이 소년의 아버지와 아이런의 남편인
    게리예요. 여러분이 생각하듯이, 소년과 아이런에게
  • 3:54 - 4:01
    압박을 하는 부분에 있어서 아주 비슷하죠. 이런 장면이
    소설 곳곳에 등장합니다.
  • 4:01 - 4:07
    이 둘에게서 느껴지는 느낌이 있는데요, 이 들이 만약
    아생으로 또는 자연으로 돌아갈 기회가 주어진다면
  • 4:07 - 4:12
    더 나은 사람들이 될것 같다는 거죠. 길을 찾을것이죠.
    소년의 아버지는 자신이 자신의 문제에서 도망칠 수
  • 4:12 - 4:17
    있다는 것을 알게 될것이고,
    아버지는 절망에서 벗어나는 길을 찾게 될것입니다.
  • 4:17 - 4:22
    특히 여자문제에 대한 절망에서 벗어날것입니다.
    아내의 외도로 파탄난 첫 번째 및 두 번째
  • 4:22 - 4:24
    결혼생활로 인한 절망감에서 벗어나
    모든걸 돌이키고 싶어지죠.
  • 4:24 - 4:31
    게리는 조금 다른 꿈을 가지고 있는데요.
    사실 게리는 항상 혼자라고 생각해서
  • 4:31 - 4:39
    결혼을 해서 아이도 있지만 혼자이고
    싶어했죠. 그리고 가정을 꾸리는 것
  • 4:39 - 4:44
    자신의 좋은 모습이자 남자의 겉모습일 것이라고
    생각하고, 바깥세상과 소통하려고 하고
  • 4:44 - 4:49
    자연에 빠지게 됩니다. 이 꿈은 제가 영국 낭만파
    시인들의 시에서 착안하고
  • 4:49 - 4:55
    미국의 초월론자들을 통해 생각해 낸것입니다.
    우리 크나큰 상상력을 장엄한 자연에 연결한 꿈이죠
  • 4:55 - 5:00
    이 둘은 동일한 능력이예요. 어린시절로
    돌아가면 이런 순수함을 찾을 수 있는거죠.
  • 5:00 - 5:05
    전 사실 이걸 믿지는 않아요.
    자연 속에 있을때, 우리는 거울을 보게된다고 생각해요.
  • 5:05 - 5:10
    실제보다 커보이게 하는 거울이죠, 마음속에 무서운 생각을 품고 있다면
  • 5:10 - 5:13
    자연에서는 더 무서운 생각이 되는거죠.
    왜냐면 증폭되어 나타나니까요.
  • 5:13 - 5:18
    그래서 전 더이상 꿈 꾸지않아요. 믿지
    않으니까요. 재밌는 것은 제 삶은 꿈을
  • 5:18 - 5:23
    추구하는 방향으로 간다는 거예요. 집이 뉴질랜드 해안가 언덕 위에 있어요.
  • 5:23 - 5:29
    등산 및 윈드서핑 하고 일년 중 몇개월은
    터키 해안가 보트에서 지내기도 해요.
  • 5:29 - 5:35
    해안을 따라 이어진 아름다운
    작은 만이죠. 안식과 평안을 주로
  • 5:35 - 5:41
    자연에서 찾죠. 주로 거의 혼자 지내요.
    근데, 꿈 같은건 믿지 않아요.
  • 5:41 - 5:47
    한 때는 산사람이 되고 싶었어요.
    산에 들어가서
  • 5:47 - 5:53
    동굴같은 곳에서 살고 싶었죠.
    그런 점에서 배낭 여행도 좋아해요.
  • 5:53 - 5:58
    근데 제가 혼자서는 2-3일를 버티지
    못한다는 걸 깨달았죠. 혼자 지내고 나면
  • 5:58 - 6:08
    정말 외로워지고 사람이 그리워요, 전
    자연에서 혼자 살만한 사람이 아닌거죠.
  • 6:08 - 6:13
    세계 일주를 혼자하러고 직접 배를 5개월
    동안 혼자 만든 적도 있었어요.
  • 6:13 - 6:18
    열심히 했죠, 필요한 음식과 생필품도
    챙겼죠.
  • 6:18 - 6:22
    그런데 배의 주축이 엉성해서
    중도 포기했죠.
  • 6:22 - 6:26
    계획을 세우고 실천하려고 노력했죠
    근데 인정하건데 처음에는,
  • 6:26 - 6:29
    원악 배타는 것을 좋아해서, 처음에는
    기대감에 부풀었지만 돌아오는건 절망과 두려움이 더 크다는걸
  • 6:29 - 6:35
    그만큼의 시간 동안 홀로 된다는 생각은
    정말 안 좋은 기분이 들었었어요.
  • 6:35 - 6:41
    저는 글쓰기를 무의식적으로 해요. 삶을 살아가는
    방식도 마찬가지였어요.
  • 6:41 - 6:47
    그러다보니 반복적으로 안좋은 일이 생기고
    같은 실수를 두 세번 되풀이 하기도 했죠.
  • 6:47 - 6:50
    부분적으로는 제가 하는 일의 목적의식이
    분명하지 않아서예요.
  • 6:50 - 6:56
    'Legend of a suicide'를 출간할 수 없을 때, 수년간
    배를 타면서 지냈어요. 12년이나 출간을 못했었거든요.
  • 6:56 - 7:01
    그래서 바다에 가서 범선을 몰면서
    제 아버지의 인생을 복기했어요.
  • 7:01 - 7:06
    아버지는 치과 의사셨는데 당신의 일이 적성에
    맞지 않았죠, 그래서 알라스카로 가서 어부가 되셨어요.
  • 7:06 - 7:10
    정말 행복해하셨죠, 하지만 아버지에겐 안 좋은
    일이었어요, 결국 안좋게 끝났으니까요.
  • 7:10 - 7:15
    제가 바다에 갔을 때는 제가 아버지의 인생을
    복기한다고 생가하지 못했어요.
  • 7:15 - 7:20
    저는 그 곳에 무의식적으로 갔고
  • 7:20 - 7:26
    재난과 기차 전복을 겪었죠, 소설 속 제 인물처럼요.
  • 7:26 - 7:30
    제가 글쓰기를 좋아하는 이유는 글쓰기가 저에게는
    종교 활동 같아서예요. 매일 아침
  • 7:30 - 7:36
    몇 시간 동안 전에 썼던 20-30페이지를 잃으며
    명상을 하죠.
  • 7:36 - 7:39
    새로 써야 할 대목까지 읽으면서요.
  • 7:39 - 7:47
    그러고나면 몇 시간 동안 그 날의 2-3페이지가 순식간에 떠올라요.
  • 7:47 - 7:53
    그러한 과정에서 일종의 몰입, 무의식이 작용하죠.
    물론 저는 무신론자이고
  • 7:53 - 8:00
    종교적 신념도 없어요. 하지만 글쓰기라는게
    우리가 가지고 있는 갈망을 채워주는 것 같아요.
  • 8:00 - 8:04
    우리는 모두 종교와 같은 무언가에 대해
    목마름과 갈망이 있다고 생각해요.
  • 8:04 - 8:08
    글쓰기는 그런 점에서 저에게 매우
    충만하게 해 주는 일이었죠.
  • 8:08 - 8:12
    저는 글을 쓸 때 문장을 딱히 염두에 두지 않아요.
  • 8:12 - 8:17
    그저 매우 빨리 떠오를 뿐이예요, 그러면 할 수 있는
    한 빨리 글을 쓰곤해요.
  • 8:17 - 8:22
    그리고 첫 번째 버전으로 책을 출간하죠.
    그 이후론 책에 관해 생각하지 않아요.
  • 8:22 - 8:27
    하지만, 매일 언어를 공부하는데요,
    매일 고대 영어로 쓰인 늑대인간을 번역하고 있어요.
  • 8:27 - 8:35
    영어에 프랑스어가 차용되기 수천년 전
    형태를 살펴 보면서요.
  • 8:35 - 8:46
    그리고 제 수업에서 meter와 구문론에 관해 생각하죠,
    저는 영어 역사를 언어적인 관점에서 가르치는데요.
  • 8:46 - 8:51
    허구에서의 스타일을 가르칠 때, 이 부분을 많이 생각하죠.
  • 8:51 - 8:57
    하지만 실제로 글을 쓸 땐 이런 점을 생각하지 않아요
    저에게 글쓰기는 매우 율동적이거든요.
  • 8:57 - 9:01
    전체 텍스트가 풍경속의 장면을 통해,
    운율 속의 리듬을 통해 합쳐지죠
  • 9:05 - 9:09
    그게 제가 추구하는 바예요, 그리고 그래서 글 쓰기 전에
    이전 20페이지를 읽는 거예요.
  • 9:09 - 9:11
    그래야 새 글에서 그 리듬이 연결이 되거든요.
  • 9:11 - 9:17
    글을 쓰는 일은 정말 치유적인 성격이 있어요.
    치료 이상이죠, 글쓰기와 치료는 모두 진실에 관한것이지만
  • 9:17 - 9:22
    글쓰기는 아름다움에 관한 것이기도 하고,
    치료에서는 찾을 수 없는 미적 목표가 있기도 해요.
  • 9:22 - 9:27
    그리고 그러한 미적 목표가 없는 글쓰기는 그저
    쓰레기에 불과하죠, 단지 치료일 뿐이예요.
  • 9:27 - 9:33
    치료가 가치가 없다는게 아니라
    그런 글에는 예술적, 미적 목적이 없다는 거죠.
  • 9:33 - 9:39
    그래서 제가 수 년간 아버지에 관해 생각하고
    아버지의 죽음에 관해 글을 쓰며
  • 9:39 - 9:44
    그 어느 때보다도 아버지가 자살하시던 순간을
    맨 처음부터 잘 이해하고 있다는걸 깨닫고 놀랐어요.
  • 9:44 - 9:49
    아버지 삶의 패턴을 보게 됐고
    어떤 연유로 자살을 선택하시게 됐는지
  • 9:49 - 9:55
    무엇이 아버지를 그러한 순간에 이르게 했는지,
    하지만 필연적인 연결 고리를 찾을 순 없었어요.
  • 9:55 - 9:59
    "그래서 이러셨던거군" 이라고 단정할 수 없었어요.
  • 9:59 - 10:03
    항상 자살을 선택하실 수 도,
    삶을 계속 하는 것을 선택하실 수 도 있었을 거예요.
  • 10:03 - 10:05
    그래서 그 부분을 뺄 수 없었습니다.
  • 10:05 - 10:10
    이것 말고도 학교 총기 난사 사건에 관한 책도 썼어요.
    대량 살상의 한 장본인을 프로파일했었죠.
  • 10:10 - 10:15
    가해자의 모든 정신 건강 기록, 이메일 등
    파일을 1,500 개나 봤어요.
  • 10:15 - 10:22
    하지만 그 모든 정보에도 불구하고 그 총기 난사와 자살을
    필연적이라 할 수 있는 시점에 다다를 수 없었어요.
  • 10:22 - 10:26
    가능한 순간들이 있었고, 그 순간으로
    다다르는 여러 사건들이 있었어요.
  • 10:26 - 10:31
    하지만 그가 반드시 그래야만 했던 지점으로는
    다다르지 못했어요. 안그러는 쪽을 택할 수 도 있었으니까요.
  • 10:31 - 10:35
    그 부분이 저에게는 흥미로웠어요.
    허구에서는 일종의 열린 결말이 있어요.
  • 10:35 - 10:41
    우리는 주인공의 마지막 결정을 내려야만
    했던 순간까지 다다를 수는 없어요.
  • 10:41 - 10:47
    그저 그럴 수 도 있겠다고,
  • Not Synced
    납득이 될 만한 지점까지 근접할 수 있을 뿐이예요.
Title:
데이비드 반: 자살에 복수하다
Description:

more » « less
Video Language:
English
Team:
Volunteer
Duration:
10:59

Korean subtitles

Revisions Compare revis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