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번 시간에는 객체 타입을 만들고 두 개의
윈스턴 객체를 만들었어요
-
생성자를 이용해서 초기화도 했죠
-
그리고 객체 타입은 속성에만 꼭 관련될 필요는 없어요
-
함수와 관련되어도 되지요
모든 속성이 내장되어 있는 객체를 생각해 보세요
-
사람과 같이 말이죠. 우린 키와 나이도 갖고 있지만
수면, 밥먹기, 프로그래밍과 같은 활동도 할 수 있어요
-
우린 이제 이런 객체 타입을 함수와 연관시키려고 해요
-
이 프로그램은 저번에 끝냈던 프로그램 그대로인데요
여기 함수가 있어요
-
drawWinston 두 개의 윈스턴 객체에서 모두 부른 함수예요
이러면 더 편하지 않을까요?
-
윈스턴 객체 타입으로 함수를 넣어버리면 말이예요
생각보다 쉬워요
-
생성자 밑에 Winston.prototype이라 쓸게요
-
프로토타입이라는 말을 처음 들어 볼 텐데요
-
프로토타입은 함수로써 표현한 객체의 특성입니다
-
즉, 모든 인스턴스들이 모두 이 함수를 갖게 됩니다
-
그럼 "prototype." 다음에 함수 이름을 쓰고요
여기서는 draw겠죠?
-
밑에 있는 drawWinston 코드를 가지고 와서
-
이 안에 넣을게요
지금 우리는 draw 함수를
-
윈스턴 프로토타입에 넣었어요
이제 윈스턴 타입 객체에서 언제든 draw 함수를 호출할 수 있을 거예요
-
이제 우리는 draw 함수를
winstonTeen과 winstonAdult에 대해 호출해야 됩니다
-
이런 식으로 함수를 만들면
객체에서도 호출을 할 수 있습니다
-
이런 함수를 정확한 명칭으로 "메소드"라고 부릅니다
저는 앞으로 메소드라고 부를게요
-
그러면 이건 "draw method" 겠죠?
-
전에 썼던 코드는 다 지워버리고
우리가 만든 함수를 호출할 수 있는지 확인해 봅시다
-
winstonTeen.draw()
-
오류가 나네요
winstObject가 정의가 안 되었습니다
-
winstObject 인수를 drawWinston에 전달하기 전에
-
지금은 전달되는 인수가 없으니까
이렇게 바꿔주면
-
봅시다 여기에 뭐가 전달되어야 하죠?
winstonTeen을 전달 할게요
-
실행되었어요 하지만 좀 이상하지 않나요?
객체 스스로 객체를 그리는데
-
객체 자체를 인수로 전달받고 있어요
불필요해 보이네요
-
맞아요 하지 않아도 되요 지워버릴게요
이제 생각해봅시다
-
객체 안에서 객체의 속성을 참조하려면 어떻게 해야죠?
-
글쎄요 전에 생성자에서 썼던 특별한 키워드
this를 기억하나요? 아~
-
이것(this)을 this로 바꾸면 어떨까요? (웃음)
winstObject를 this로 바꿔줍시다
-
우린 객체 안에 있으니까요
함수가 객체 안에서 구동되니,
-
현재 객체에서 자신을 부르기 위해서는
this를 써야 할 거예요
-
우린 this를 현재 객체의 모든 속성에 접근하기 위해 사용했어요
-
그리고 제대로 작동했어요
엄청 좋지 않나요?
-
이제 우리는 winstonAdult.draw()라고 쓸 수 있을 거예요
-
짜잔 객체에서 호출이 되기 때문에
winstonAdult 속성에 접근할 수 있어요
-
this라는 키워드가 되게 좋아보이지 않나요?
가끔씩 헷갈려도 말이지요
-
좋아요 이것도 재미 있었는데 다른 메소드도 새로 만들어 볼게요
윈스턴이 뭘 할 수 있을까요?
-
말을 합니다 그럼 우리는 Winston.prototype.talk를 쓰고요
이렇게 넣을수록 프로토타입에는 많은 메소드가 들어가 있겠죠?
-
이렇게 말합니다
"I'm Winston"
-
위치를 this.x+20 과 this.y+150 으로 할게요
-
알다시피 아무것도 일어나지 않았어요
내가 아직 함수를 호출하지 않았으니까요
-
teen이 말을 하도록 할게요 winstonTeen.talk()
-
나는 윈스턴이예요 짜잔
이제 winstonAdult.talk()
-
짜잔, 좋아요 이제 윈스턴 타입으로
속성에는 닉네임과
-
나이, x, y가 있고요
함수에는 메소드가 속성을 토대로 행동을 합니다
-
이제 우리는 윈스턴 인스턴스를 가능한 많이 만들고
어떠한 메소드든지 간에 호출할 수 있겠죠?
-
괜찮지 않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