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체계 1
-
0:00 - 0:058은 어떤 수체계에 들어갈까요?
-
0:05 - 0:09이 문제는 수체계에 대한
좋은 복습이 되겠군요? -
0:09 - 0:11맨 처음으로 생각해볼
수체계는 -
0:11 - 0:17자연수입니다
-
0:17 - 0:19기본적으로 수를 셀 때
사용하는 숫자인데 -
0:19 - 0:210은 포함하지 않습니다
-
0:21 - 0:23그래서 만약 사물들을 세고 있다면
-
0:23 - 0:25최소한 1개라도 있으면
-
0:25 - 0:26자연수에 대해서
말하고 있는 것입니다 -
0:26 - 0:30자연수는 1,2,3 등등이
되겠지요 -
0:30 - 0:32그래서 확실히,
8은 자연수입니다 -
0:32 - 0:348까지 셀 수 있으니까요
-
0:34 - 0:368개의 사물로 셀 수 있습니다
-
0:36 - 0:40그래서 8은 자연수의 일원입니다
-
0:40 - 0:448은 자연수입니다
-
0:44 - 0:46다음으로 생각해볼 수체계는
-
0:46 - 0:54범자연수입니다
-
0:54 - 0:57여기 자연수라고
적어야겠네요 -
0:57 - 0:59범자연수를
한 번 생각해봅시다 -
0:59 - 1:00범자연수는 기본적으로
-
1:00 - 1:04자연수와 같은데
-
1:04 - 1:06이번에는 0을 집합에
포함시킬 것입니다 -
1:06 - 1:11그러므로 0,1,2,3...가
됩니다 -
1:11 - 1:13확실히 8도
이 집합에도 속하는군요 -
1:13 - 1:16모든 범자연수를 세는 것도 마찬가지로
-
1:16 - 1:188까지 숫자를 셀 수 있겠지요?
-
1:18 - 1:21범자연수를 보는 다른 방법은 음이 아닌 수들입니다
-
1:21 - 1:25그래서 확실히 8은 여기에도 속합니다
-
1:25 - 1:26조금 더 확장시켜 봅시다
-
1:26 - 1:31정수에 대해 생각해봅시다
-
1:31 - 1:34여기 있는 수들을
-
1:34 - 1:37거꾸로 셀 수도 있겠지만
한 번 세 보자면 -
1:37 - 1:44-3, -2, -1, 0, 1, 2, 3...
-
1:44 - 1:45이렇게 계속 이어나갈 수 있겠지요?
-
1:45 - 1:478은 역시 이러한 수들 중
하나입니다 -
1:47 - 1:498까지 그냥 셀 수 있으니까요
-
1:49 - 1:52여기에 체크 표시를 하겠습니다
-
1:52 - 1:55그러므로 정수는
-
1:55 - 1:59양의 정수, 음의 정수,
0을 모두 포함합니다 -
1:59 - 2:010은 양인지 음인지 아니면
-
2:01 - 2:03둘 다 아닌지에
따라 달라지겠지만요 -
2:03 - 2:06그래서 여기 있는 것이
정수입니다 -
2:06 - 2:08그리고 범자연수는
정수의 부분집합입니다 -
2:08 - 2:14,
-
2:14 - 2:15이렇게 그릴게요
-
2:15 - 2:18범자연수는 바로 여기에 있는데
-
2:18 - 2:20이것이 범자연수입니다
-
2:20 - 2:24이렇게 하면서
모든 음수를 배제시켰습니다 -
2:24 - 2:26이 안은 음수가 아닌 수이지요
-
2:26 - 2:28음이 아닌 정수라고 해야겠네요
-
2:28 - 2:29이렇게가 범자연수입니다
-
2:29 - 2:34그리고 자연수는
이것의 부분집합입니다 -
2:34 - 2:35기본적으로 거의
대부분이겠죠? -
2:35 - 2:37왜냐하면 자연수에는 없고
범자연수에만 있는 수는 -
2:37 - 2:41유일하게 0이기 때문입니다
-
2:41 - 2:43그래서 여기 있는 이 사이 공간은
-
2:43 - 2:44숫자 0에 해당됩니다
-
2:44 - 2:46사실 하나의 점이
되어야 맞겠지요 -
2:46 - 2:48정리해보겠습니다
-
2:48 - 2:53이 원은 범자연수이고,
-
2:53 - 2:55그 다음이 자연수인데,
-
2:55 - 2:57자연수는 범자연수의 부분집합입니다
-
2:57 - 2:58집합의 크기에 비례해
그려지지는 않았지만요 -
2:58 - 3:00자연수는 범자연수의
부분집합입니다 -
3:00 - 3:028은 이 모두에 속합니다
-
3:02 - 3:048은 여기 있지요
-
3:04 - 3:06그러므로 자연수,
범자연수, -
3:06 - 3:07그리고 정수에 속합니다
-
3:07 - 3:09계속해봅시다
-
3:09 - 3:13이번엔 유리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3:13 - 3:18유리수는
-
3:18 - 3:23q 분의 p 꼴로
나타낼 수 있는 수인데, -
3:23 - 3:27여기서 p와 q는
모두 정수입니다 -
3:27 - 3:298은 이런 식으로
표현이 가능할까요? -
3:29 - 3:378은 8/1으로
표현이 가능합니다 -
3:37 - 3:39아니면 2 분의 16이나요
-
3:39 - 3:42이런 식으로 계속
4 분의 32, -
3:42 - 3:45그 외의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는데 -
3:45 - 3:47여기서 p와 q는
모두 정수여야 하겠지요? -
3:47 - 3:49그래서 8은 확실히
유리수입니다 -
3:49 - 3:53사실 여기 있는 모든 수들은
유리수입니다 -
3:53 - 3:54한 번 그려보겠습니다
-
3:54 - 3:59이 모든 것들은
유리수의 부분집합입니다 -
3:59 - 4:02그래서 8도 확실히
유리수의 부분집합이 됩니다 -
4:02 - 4:06유리수에
체크 표시를 하겠습니다 -
4:06 - 4:08그렇다면 무리수는 어떨까요?
-
4:08 - 4:12무리수요.
-
4:12 - 4:15무리수는 유리수가
아닌 수입니다 -
4:15 - 4:18이 수들은 p와 q가
모두 정수인 형태로 -
4:18 - 4:20표현이 불가능한 수들입니다
-
4:20 - 4:23만약 어떤 수가 유리수라면,
그 수는 무리수가 될 수 없습니다 -
4:23 - 4:26그래서 8은 무리수에
속하지 않습니다 -
4:26 - 4:30무리수들은 완전히
다른 집합으로 존재합니다 -
4:30 - 4:32이렇게 그리겠습니다
-
4:32 - 4:34여기 있는 이 공간은
-
4:34 - 4:36무리수가 되겠네요
-
4:36 - 4:38무리수요
-
4:38 - 4:42유리수는 무리수의 부분집합이 아니라,
서로 다른 집합입니다 -
4:42 - 4:45어떤 수가 이 둘에
모두 포함될 수 없습니다 -
4:45 - 4:47그래서 여기 있는 수는
무리수입니다 -
4:47 - 4:53그럼 마지막으로 묻겠습니다
8은 실수에 속하나요? -
4:53 - 4:55실수는 기본적으로
여기 있는 모든 수들입니다 -
4:55 - 4:58유리수와 무리수를 합하지요
-
4:58 - 5:03그래서 실수는
여기 있는 모든 수입니다 -
5:03 - 5:06그러므로 8은 확실히
실수에 속합니다 -
5:06 - 5:098은 실수에 속하고
그 안에서는 -
5:09 - 5:11유리수와 무리수 중
유리수에 속합니다 -
5:11 - 5:128은 정수이지요
-
5:12 - 5:13범자연수도 됩니다
-
5:13 - 5:15그리고 자연수이지요
-
5:15 - 5:18그러므로 8은 확실히
실수의 일원입니다 -
5:18 - 5:19여기서 한 가지 의문이
들 수도 있는데 -
5:19 - 5:21그렇다면 무리수는
무엇인가요? -
5:21 - 5:23모든 수들이 이런 형식으로
표현이 가능하지 않을까요? -
5:23 - 5:26모든 수들이 이렇게
표현되나요? -
5:26 - 5:29아마 가장 유명한 무리수로
우리가 알고 있는 것은 -
5:29 - 5:32파이일 것입니다
-
5:32 - 5:38파이는 3.14159.......인데
-
5:38 - 5:39사람들은 자신의 일생을 바쳐
소수점 파이를 외우기도 하지요 -
5:39 - 5:42이것이 무리수가 되는 이유는
-
5:42 - 5:47비율로 표시할 수
없다는 것 -
5:47 - 5:51그러니까 유리수처럼
정수의 비율로 표현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
5:51 - 5:55그리고 여기 이 부분은
순환하지 않지요 -
5:55 - 5:57만약 이 부분이 순환한다면,
-
5:57 - 5:59정수의 비율로 나타낼 수 있는데
-
5:59 - 6:01이 내용은 다른 동영상에
나와 있습니다 -
6:01 - 6:05순환하지 않고 무한해서
-
6:05 - 6:10소수점 아래로 숫자들이
계속해서 나옵니다 -
6:10 - 6:12그래서 무리수의 예가
되겠군요 -
6:12 - 6:14그러므로 파이는
무리수에 속하겠습니다 -
6:14 - 6:16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
Next Nhn edited Korean subtitles for Number Sets 1 | |
![]() |
동하 김 edited Korean subtitles for Number Sets 1 | |
![]() |
동하 김 edited Korean subtitles for Number Sets 1 | |
![]() |
동하 김 edited Korean subtitles for Number Sets 1 | |
![]() |
동하 김 edited Korean subtitles for Number Sets 1 | |
![]() |
동하 김 edited Korean subtitles for Number Sets 1 | |
![]() |
동하 김 edited Korean subtitles for Number Sets 1 | |
![]() |
동하 김 edited Korean subtitles for Number Sets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