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투구게의 피를 채취할까요?|엘리자베스 콕스(Elizabeth Cox)
-
0:07 - 0:11따뜻한 계절, 특히
보름달이 뜨는 밤이면 -
0:11 - 0:15투구게들이 산란을 위해
해안가로 올라옵니다. -
0:15 - 0:18그곳에서 투구게들을
기다리는 이들은 연구실 직원들로 -
0:18 - 0:22수 십만 마리의 투구게를 잡아서
-
0:22 - 0:23연구실로 데려가고
-
0:23 - 0:25투구게의 짙푸른색의 혈액을 채취한 뒤,
-
0:25 - 0:28다시 바다로 돌려보내는 일을 하지요.
-
0:28 - 0:32희한하게도 우리는 해변에서만
투구게를 잡는데요. -
0:32 - 0:36해변이 투구게를 발견할 수 있는
유일한 장소이기 때문이지요. -
0:36 - 0:41암투구게는 최대 4,000개의 알을
20번에 걸려 낳습니다. -
0:41 - 0:44매해 바다에 올 때마다요.
-
0:44 - 0:45알이 부화를 하면,
-
0:45 - 0:48어린 투구게들은 해안 가까이에 머물고,
-
0:48 - 0:51자라면서 정기적으로 껍질을 벗습니다.
-
0:51 - 0:53얕은 물을 떠나게 되면,
-
0:53 - 0:5810년 후 생식활동이 가능해 질 때까지
돌아오지 않지요. -
0:58 - 1:03우리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그 시간 동안 투구게들의 행방을 알수 없습니다. -
1:03 - 1:06가끔씩 200m 해저에서
-
1:06 - 1:09투구게를 발견할 때가 있지만,
-
1:09 - 1:15산란을 위해 해안으로 올라올 때만
다 자란 투구게의 무리를 볼 수 있답니다. -
1:15 - 1:18투구게의 피에는 유주세포라는 것이
함유되어 있는데, -
1:18 - 1:21이것은 바이러스 감염,
-
1:21 - 1:21곰팡이,
-
1:21 - 1:23그리고 박테리아로부터
투구게를 보호합니다. -
1:23 - 1:26유주세포는 이러한
침입자 주위에 젤을 형성하여 -
1:26 - 1:29감염이 퍼지는 것을 막습니다.
-
1:29 - 1:31이것은 아주 특별하지요.
-
1:31 - 1:34모든 동물들은
방어적 면역체계를 가지고 있어요. -
1:34 - 1:38하지만 투구게의 유주세포들은
-
1:38 - 1:40특히 균체내독소에 민감합니다.
-
1:40 - 1:45균체내독소는 대장균을 포함한
-
1:45 - 1:47특정 박테리아의
세포벽에서 나온 분자들로 -
1:47 - 1:51박테리아 세포가 죽으면
균체내독소가 대량 방출되지요. -
1:51 - 1:54그리고 이들이 혈류에 들어가면
우리가 아프게 되는 겁니다. -
1:54 - 1:59우리가 의지하는 수많은 약과
의료기기들도 오염될 수 있기 때문에 -
1:59 - 2:02그 기기들을 사용하기 전에
테스트를 해 봐야 하지요. -
2:02 - 2:06박테리아를 감별하는
그램염색이라는 테스트가 있지만, -
2:06 - 2:09이것으로는 박테리아
없이도 존재할 수 있는 -
2:09 - 2:14균체내독소를 감별할 수는 없습니다.
-
2:14 - 2:17그래서 과학자들은
LAL이라는 추출물을 사용하는데, -
2:17 - 2:20투구게에서 채취한
혈액으로 만들어진 이것은 -
2:20 - 2:23균체내독소를 확인하는데 쓰입니다.
-
2:23 - 2:26LAL을 시약에 넣었을 때,
젤이 형성되면 -
2:26 - 2:30세균성 균체내독소가 있다는 뜻이지요.
-
2:30 - 2:33오늘날 LAL 테스트는
널리 쓰이고 있습니다. -
2:33 - 2:36투구게를 한번도 본 적이 없는
수백만 명의 사람들이 -
2:36 - 2:38투구게의 혈액 덕분에 보호되고 있지요.
-
2:38 - 2:44주사를 맞은 적이 있다면, 그 수백만명 중에
여러분도 포함되어 있을 수 있지요. -
2:44 - 2:48투구게들은 어떻게 그런
특별한 피를 가지게 되었을까요? -
2:48 - 2:49다른 무척추동물들처럼
-
2:49 - 2:52투구게들은 개방 순환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
2:52 - 2:57이것은 우리와 같은 핏줄이
투구게에게는 없다는 것입니다. -
2:57 - 3:02대신, 투구게의 혈액은
몸속을 자유롭게 흘러다니고 -
3:02 - 3:05조직까지 직접적으로 닿지요.
-
3:05 - 3:10박테리아가 혈액에 침투되면,
급속도로 넓게 번집니다. -
3:10 - 3:12이러한 취약점과
-
3:12 - 3:17주서식지가 박테리아로 가득한
바다와 해안가인것을 감안하면 -
3:17 - 3:22왜 이들이 그렇게 민감한 면역체계가
필요한지 쉽게 알 수 있습니다. -
3:22 - 3:24투구게들은 대량멸종 사건들에도
살아남았습니다. -
3:24 - 3:30지구 생명체의 90%가 쓸려나가고,
공룡들도 모두 죽어버렸지만 -
3:30 - 3:31투구게들만은 건드리지 못했습니다.
-
3:31 - 3:36그리고 수백만 년 만에 가장 큰
피해를 입는 이유는 바로 인간 때문입니다. -
3:36 - 3:40연구결과에 따르면,
15%의 투구게들이 -
3:40 - 3:43혈액을 채취당하는 과정에서
사망한다고 합니다. -
3:43 - 3:48그리고 최근 조사결과에 따르면
이 숫자는 늘어나고 있습니다. -
3:48 - 3:52연구원들은 산란을 위해
올라오는 암투구게의 수가 -
3:52 - 3:55주요 산란지역에서도
줄어들었다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
3:55 - 3:59투구게에게 미치는 인간의 영향력은
생물의학산업 그 이상으로 이어집니다. -
3:59 - 4:02해안가 개발은 산란지역을 파괴하고,
-
4:02 - 4:06투구게들은 낚시 미끼에 걸려 죽습니다
-
4:06 - 4:10투구게의 개체수가 줄어들고 있다는
증거는 너무나도 많습니다. -
4:10 - 4:12일부 연구원들은
-
4:12 - 4:15투구게의 혈액을 합성하기 위한
연구를 시작했습니다. -
4:15 - 4:19지금으로서는, 투구게를 잡으러
해안으로 가는 것이 계속될 것 같지만, -
4:19 - 4:23인공적으로 만들어낸
대체 물질로 언젠가는 우리가 더 이상 -
4:23 - 4:27이 고대 생물체의 피에
의존하지 않게 되길 바랍니다.
- Title:
- 왜 투구게의 피를 채취할까요?|엘리자베스 콕스(Elizabeth Cox)
- Description:
-
Patreon 페이지를 참고하세요 : https://www.patreon.com/teded
전체 강의 보기: https://ed.ted.com/lessons/why-do-we-harvest-horseshoe-crab-blood-elizabeth-cox
따뜻한 계절, 특히 보름달이 뜬 밤에는 투구게들이 알을 낳기 위해 해안가로 올라옵니다. 그들을 기다리고 있는 사람들은 바로 연구원들로, 수많은 투구게를 연구소로 데려가서 짙푸른 색의 혈액을 채취한뒤 다시 바다로 돌려보내지요. 왜 그럴까요? 엘리자베스 콕스가 투구게 혈액의 놀라운 특징을 설명해 드립니다.
강의: 엘리자베스 콕스
애니메이션: 안톤 보가티 - Video Language:
- English
- Team:
closed TED
- Project:
- TED-Ed
- Duration:
- 04:46
![]() |
Jihyeon J. Ki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Why do we harvest horseshoe crab blood? - Elizabeth Cox | |
![]() |
Jihyeon J. Kim approved Korean subtitles for Why do we harvest horseshoe crab blood? - Elizabeth Cox | |
![]() |
Jihyeon J. Kim accepted Korean subtitles for Why do we harvest horseshoe crab blood? - Elizabeth Cox | |
![]() |
Jihyeon J. Ki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Why do we harvest horseshoe crab blood? - Elizabeth Cox | |
![]() |
Jihyeon J. Ki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Why do we harvest horseshoe crab blood? - Elizabeth Cox | |
![]() |
Jihyeon J. Ki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Why do we harvest horseshoe crab blood? - Elizabeth Cox | |
![]() |
Jihyeon J. Ki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Why do we harvest horseshoe crab blood? - Elizabeth Cox | |
![]() |
Byol Joung edited Korean subtitles for Why do we harvest horseshoe crab blood? - Elizabeth Cox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