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개발 방식
-
0:07 - 0:11여러분은 자신도 모르게 리눅스를 매일 사용하고 있습니다.
-
0:11 - 0:15매일 85만대 이상의 안드로이드폰이 개통되고 있으며
-
0:15 - 0:19반면에 윈도우폰은 3만대 정도에 불과하다는
-
0:19 - 0:21보고서가 있습니다
-
0:21 - 0:24즉 여러분이 이 동영상을 보고 있는 순간에
-
0:24 - 0:27이미 100대의 안드로이드폰이 판매되었다는 것을 말합니다.
-
0:27 - 0:30매일 대략 70만대 가량의 TV가 판매되는데
-
0:30 - 0:32이 중 대부분은 리눅스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
0:32 - 0:3680%의 금융거래가 리눅스를 통해 이루어지며
-
0:36 - 0:4090%의 슈퍼컴퓨터가 리눅스 상에서 동작합니다
-
0:40 - 0:45구글, 트위터, 페이스북, 아마존 같은 기업들도 모두 리눅스를 사용합니다.
-
0:45 - 0:50그런데 리눅스는 어떻게 이런 일들을 가능하게 만들었을까요?
-
0:50 - 0:52윈도우즈나 iOS등의 다른 운영체제와 달리
-
0:52 - 0:58리눅스는 회사, 국가, 시장을 넘어선 협력을 통해 만들어진
-
0:58 - 1:01컴퓨터 역사 상 가장 큰 협력 프로젝트입니다.
-
1:01 - 1:062005년부터 대략 8백개에 이르는 회사에 속한
-
1:06 - 1:118천명 이상의 개발자들이 리눅스 커널 개발에 참여하여
-
1:11 - 1:16천오백만 줄에 달하는 코드가 작성되었습니다.
-
1:16 - 1:19그 중 백오십만줄의 코드는 최근 몇 년간 작성된 것입니다.
-
1:19 - 1:24참고로 호메로스의 "일리아드"라는 서사시는 15만 줄 정도의 분량입니다.
-
1:24 - 1:29"전쟁과 평화"라는 소설은 56만개의 단어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1:29 - 1:32하지만 이것은 단지 리눅스가 이렇게 많은 줄의 코드로 작성되었기 때문 만은 아닙니다.
-
1:32 - 1:35그것은 리눅스가 얼마나 신속히 개발되고 배포되는가에 대한 문제이기도 합니다.
-
1:35 - 1:39예를 들어, 리눅스의 새 버전은 2~3달에 한번씩 발표됩니다.
-
1:39 - 1:43반면에 경쟁사들은 수년에 한번씩 새 버전을 내놓습니다.
-
1:43 - 1:47이것은 리눅스의 독특한 개발 프로세스에 의해 가능합니다.
-
1:47 - 1:51개발자들이 리눅스 커널에 새로운 코드를 집어넣으려고 할 때는
-
1:51 - 1:52변경 사항들을 "패치"라고 부르는 단위로 분할합니다.
-
1:52 - 1:56패치는 소스코드 상에서 수정되고, 추가되고, 삭제되는
-
1:56 - 1:57부분들을 명시하고 있습니다.
-
1:57 - 2:02각각의 패치는 새 기능을 더하거나, 새로운 장치를
지원하거나, 문제점을 고치거나 -
2:02 - 2:05성능을 개선하거나, 코드를 이해하기 쉽게 재작성하는 등의 일을 수행합니다.
-
2:05 - 2:09개발자들은 자신의 패치를 관련된 메일링리스트에 보내
-
2:09 - 2:11다른 개발자들로부터 피드백을 받도록 합니다.
-
2:11 - 2:13패치가 충분히 검토되었다고 판단되면,
-
2:13 - 2:17메인테이너라고 부르는 고참 커널 개발자들이 이를 취합합니다.
-
2:17 - 2:21메인테이너들은 커널 내의 다양한 분야를 관리합니다.
-
2:21 - 2:23이것이 패치가 메인라인에 반영될 것을 보장하지는 않지만,
-
2:23 - 2:26긍정적인 신호라는 것은 확실합니다.
-
2:26 - 2:29이제 패치는 보다 광범위한 검증 단계를 거치게 됩니다
-
2:29 - 2:32메인테이너가 패치에 대한 리뷰를 마치면
-
2:32 - 2:36패치에 서명(sign off)을 한 후, 리눅스의 창시자인 리누스 토발즈에게로 보내는데
-
2:36 - 2:40리누스 토발즈는 어떤 패치를 포함시킬지에 대한 최종 승인 권한을 가지고 있습니다.
-
2:40 - 2:44매 버전이 발표될 때마다
-
2:44 - 2:46대략 1만개 정도의 패치가 포함됩니다.
-
2:46 - 2:50평균적으로 매 시간 당 6개 정도의 패치가 적용되는데
-
2:50 - 2:54이러한 리눅스의 개발 속도는 비할 데 없이 빠릅니다.
-
2:54 - 2:59오늘날 리눅스는 모바일, 기업 시장, 웹 환경,
-
2:59 - 3:02데이터 센터, 슈퍼컴퓨팅 등의 시장을 석권하고 있습니다.
-
3:02 - 3:11리눅스의 미래는 어떨까요? 협업을 통해 우리는 언제라도 준비된 자세일 것입니다.
- Title:
- 리눅스 개발 방식
- Description:
-
리눅스는 핸드폰, 페이스북 친구 요청, 트윗, 금융 거래, 등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되고 있지만, 우리는 대부분 리눅스가 어떻게 개발되고 있는지 알지 못합니다. 이 짧은 동영상을 통해 컴퓨터 역사 상 가장 큰 규모의 협업 프로젝트인 리눅스가 개발되는 방식에 대해 알려줄 것입니다. 이는 ""라는 연례 보고서를 기초로 하고 있으며 어떻게 리눅스가 자원봉사 형태에 기반한 현상을 이루었는지를 말해줄 흥미로운 이야기가 될 것입니다.
- Video Language:
- English
- Duration:
- 03:13
namhyung edited Korean subtitles for How Linux is Built | ||
namhyung edited Korean subtitles for How Linux is Buil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