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turn to Video

문학 예술로서의 연극의 출현 - 민디 플로켈먼 (Mindy Ploeckelmann)

  • 0:18 - 0:20
    11세기와 12세기에
  • 0:20 - 0:22
    영국의 평민들 대부분은 문맹이었습니다.
  • 0:22 - 0:24
    그들이 성경을 배울 방법이 없었기 때문에
  • 0:24 - 0:27
    성직자들은 창의적인 생각을 떠올렸습니다.
  • 0:27 - 0:29
    바로, 성경 이야기들을
    연극으로 만든 것이지요.
  • 0:29 - 0:32
    그렇게 해서 문맹들도
    성경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 0:32 - 0:33
    이것은 '성사극'이라 불렸습니다.
  • 0:33 - 0:36
    왜냐하면, 하나님 말씀에 대한
    신비를 표현했으니까요.
  • 0:36 - 0:37
    비슷한 시기에
  • 0:37 - 0:39
    성직자들은 '기적극'이라고 불리는
  • 0:39 - 0:40
    교회의 성인들에 대한
  • 0:40 - 0:42
    연극을 만들었습니다.
  • 0:42 - 0:43
    연극 초반에
  • 0:43 - 0:45
    성직자들은 성경 이야기를 연기했습니다.
  • 0:45 - 0:47
    성당 바깥의 계단에서 말입니다.
  • 0:47 - 0:49
    청중들은 매우 열광해서
  • 0:49 - 0:51
    곧 그들은 광장 주위의 길가로
  • 0:51 - 0:53
    나가야 했습니다.
  • 0:53 - 0:55
    각 극을 상연하기 위해 움직이는 수레를 만들고
  • 0:55 - 0:57
    차례로 줄을 세움으로써
  • 0:57 - 0:59
    청중을 사로잡는 이야기를
  • 0:59 - 1:00
    상연할 수 있었습니다.
  • 1:00 - 1:01
    창세기부터
  • 1:01 - 1:02
    요한계시록까지 말이지요.
  • 1:02 - 1:04
    '야외극'이라 불리는 이 움직이는 수레는
  • 1:04 - 1:07
    바퀴가 달린 큰 상자같았습니다.
  • 1:07 - 1:08
    각 수레는 두 층으로 되어있었습니다.
  • 1:08 - 1:10
    아래 층은 커튼으로 가려져 있었고
  • 1:10 - 1:13
    의상 및 소품을 위해 사용되었습니다.
  • 1:13 - 1:16
    윗 부분은 연극을 위한 무대였습니다.
  • 1:16 - 1:19
    관중들은 도시 곳곳에서 모였고
  • 1:19 - 1:21
    야외극은 원으로 돌면서 움직였습니다.
  • 1:21 - 1:24
    마을 사람들이 이야기의 전체를
    다 볼 때까지 말입니다.
  • 1:24 - 1:26
    곧 연극에 성직자들이
    공급할 수 있는 인원보다
  • 1:26 - 1:28
    더 많은 배우를 필요로 했고,
  • 1:28 - 1:29
    그래서 13세기에
  • 1:29 - 1:31
    다른 길드에 극의 어떤 부분을
  • 1:31 - 1:34
    연기해 달라는 요청을 했어요.
  • 1:34 - 1:35
    그 요청은 길드들의 전문 분야를
  • 1:35 - 1:37
    반영해달라는 것이었지요.
  • 1:37 - 1:40
    예를 들어, 목수 길드는 노아의 방주 이야기를
  • 1:40 - 1:41
    연기하고
  • 1:41 - 1:44
    제빵사의 길드는 최후의 만찬을
    연기했을 것입니다.
  • 1:44 - 1:46
    여러분은 어떤 일이 일어났을지
    상상할 수 있습니까?
  • 1:46 - 1:50
    만약 도살업 길드가 그리스도의
    십자가에서의 죽음을 연기한다면 말입니다.
  • 1:50 - 1:51
    맞아요, 성직자들 없이
  • 1:51 - 1:53
    연극에서의 성경 이야기는
  • 1:53 - 1:55
    곧 바뀌기 시작했습니다.
  • 1:55 - 1:58
    14세기 말에, 새로운 극의 형태인
  • 1:58 - 2:01
    '도덕극'이 발전되었습니다.
  • 2:01 - 2:01
    믿음,
  • 2:01 - 2:02
    신뢰,
  • 2:02 - 2:02
    관용,
  • 2:02 - 2:03
    선행,
  • 2:03 - 2:05
    이 모두가 무대의 등장 인물이 되었습니다.
  • 2:05 - 2:07
    그리고 동시에 상대적인 덕목인
  • 2:07 - 2:08
    거짓말,
  • 2:08 - 2:09
    탐욕,
  • 2:09 - 2:10
    세속적인 육체,
  • 2:10 - 2:11
    그리고 악마는
  • 2:11 - 2:13
    적대자가 되었습니다.
  • 2:13 - 2:15
    도덕극은 우화적인 이야기였습니다.
  • 2:15 - 2:19
    그 속에서 이러한 인물들은
    영혼 조종을 위해 싸웠습니다.
  • 2:19 - 2:21
    청중들은 비도덕적인 인물을 좋아했고
  • 2:21 - 2:23
    관중들은 배우들과
  • 2:23 - 2:25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되었습니다.
  • 2:25 - 2:26
    썩은 음식을 던지고
  • 2:26 - 2:29
    심지어 다른 관중들과 싸우는 것은
  • 2:29 - 2:31
    일상이 되었습니다.
  • 2:31 - 2:32
    악마라는 인물은
  • 2:32 - 2:34
    종종 군중 사이의 돌아다녔고
  • 2:34 - 2:36
    무고한 사람들을
  • 2:36 - 2:39
    용의 입으로 묘사된 지옥으로
    집어 넣었습니다.
  • 2:39 - 2:41
    도덕적인 성서의 이야기는 잔인하고
  • 2:41 - 2:44
    가끔씩 웃긴 이야기로 변했습니다.
  • 2:44 - 2:47
    성직자들은 부도덕의 반대로 가르치기를 의도했습니다.
  • 2:47 - 2:50
    아이러니하게도 도덕극은
  • 2:50 - 2:54
    실제로 선보다 악이 더
    흥미로워지도록 만들어졌습니다.
  • 2:54 - 2:56
    15세기 중반이 되어
  • 2:56 - 2:58
    교회는 이런 연극을
    금지하기 시작했습니다.
  • 2:58 - 3:00
    도시 자치 단체는 극장이
  • 3:00 - 3:03
    도시 외곽에 지어져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 3:03 - 3:04
    초기 극장 중 하나는
  • 3:04 - 3:06
    야외극보다 더 큰 형태로 지어졌습니다.
  • 3:06 - 3:08
    층층이 계단으로 된 좌석이 있고
  • 3:08 - 3:11
    무대의 앞은
    풀로 덮인 지역으로 되어 있었습니다.
  • 3:11 - 3:12
    친숙하게 들리지요?
  • 3:12 - 3:14
    젊은 셰익스피어는
  • 3:14 - 3:16
    그의 기술을 이 극장에서 잘 발전시켰고,
  • 3:16 - 3:19
    마침내 그 극장에는 "글로브"란
    새로운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 3:19 - 3:22
    중세의 도덕극은 사람의 양심과
  • 3:22 - 3:23
    내부 분쟁으로부터 영감을 얻은
  • 3:23 - 3:25
    르네상스의 극작가들을 이끌어 냈습니다.
  • 3:25 - 3:28
    그리고 그것이 어떻게 본질적으로
    연극이 발생하게 되었는지를 보여줍니다.
  • 3:28 - 3:30
    문학 예술의 형태로서 말이지요.
Title:
문학 예술로서의 연극의 출현 - 민디 플로켈먼 (Mindy Ploeckelmann)
Description:

전체 강연 보기: http://ed.ted.com/lessons/the-emergence-of-drama-as-a-literary-art-mindy-ploeckelman

문맹인 평민들이 매우 많은 문제가 있던 시절인 11세기 잉글랜드의 성직자들은 성경의 이야기를 퍼뜨리기 위해서 연극을 만들었습니다. 결국, 연극은 교회에서 나와서 길가로 향했습니다. 민디 플로켈먼은 성사극부터 도덕극까지 그리고 마침내, 셰익스피어까지 연극의 발전에 대해 추적하였습니다.

강연: 민디 플로켈먼
애니메이션: 쟈니 크루.

more » « less
Video Language:
English
Team:
closed TED
Project:
TED-Ed
Duration:
03:47
  • 1:06 두 이야기->두 층 (중의적 story)
    1:16 도시의 모퉁이에서 모였다-> 도시 곳곳에서 모였다.

  • 수고하셨습니다.

Korean subtitles

Revisions Compare revis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