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turn to Video

A Million Sharks

  • 0:13 - 0:17
    상어는 바다에 사는 가장 무서운 동물 중 하나이며, 감히 상어를 잡아먹으려고 드는 생물은 거의 없습니다.
  • 0:17 - 0:21
    그럼, 상어를 잡아먹는 것이 없다면, 왜 바다는 상어로 넘쳐나지 않을까요?
  • 0:21 - 0:24
    저희는 이 물음에 대해 “먹이 사슬”을 가지고 답할 수 있습니다.
  • 0:25 - 0:29
    먹이사슬에 대해 이해하기 위해, 저희는 먼저 먹이와 에너지에 대해 이야기해보아야 합니다.
  • 0:29 - 0:33
    저희는 에너지를 얻기 위해 아침, 점심, 저녁에 음식을 먹습니다.
  • 0:33 - 0:34
    저희는 그 에너지를 가지고 무엇을 할까요?
  • 0:34 - 0:38
    음, 우선, 저희는 그 에너지를 사용해서 박스를 움직이는 것과 같은 일을 합니다.
  • 0:38 - 0:41
    둘째, 저희는 에너지의 일부를 자라는데 사용합니다.
  • 0:41 - 0:42
    셋째, 피부를 만져보세요.
  • 0:42 - 0:44
    조금 따뜻한가요?
  • 0:44 - 0:48
    저희는 음식을 분해 할 때 열을 발산시키므로, 음식에 들어있는 일부 에너지는 열의 상태로 손실됩니다.
  • 0:48 - 0:51
    그리고 마지막으로, 에너지의 일부는 노폐물이 되어 손실됩니다.
  • 0:51 - 0:56
    그럼, 우리가 음식 속의 에너지를 자라고, 일을 하고, 열과 노폐물을 생성하는데 사용한다는 것을 기억하세요.
  • 0:56 - 1:02
    그리고 바다 식물들도 자신들이 먹는 먹이로부터 에너지를 얻으며, 우리는 그것들이 먹이를 얻는 곳에 따라 그것들을 분류할 수 있습니다.
  • 1:02 - 1:05
    생산자는 마치 작은 공장처럼 자신의 먹이를 생산해내는 생물입니다.
  • 1:05 - 1:11
    예를 들어, 미역과 같은 식물과, 바다에 있는 식물과 비슷한 미생물인 식물성 풀랑크톤은
  • 1:11 - 1:17
    태양빛의 에너지와 환경에 있는 영양소를 사용해서 광합성이라는 과정을 통해 자신의 먹이를 만듭니다.
  • 1:17 - 1:23
    소비자는 자신의 먹이를 직접 만들지 못해 다른 생물을 먹는 생물입니다.
  • 1:23 - 1:28
    사람도 소비자이며, 성게, 상어, 물고기, 물개, 해달들도 마찬가지입니다.
  • 1:28 - 1:33
    어떤 생물들은 다른 생물들의 배설물이나 시체만을 먹으며, 이들은 분해자라고 불립니다.
  • 1:33 - 1:36
    분해자의 예시로는 새우와 박테리아가 있습니다.
  • 1:36 - 1:39
    이 다른 그룹들은 먹이사슬을 통해 연결되어 있습니다.
  • 1:39 - 1:42
    먹이사슬은 생태계에서 누가 누구를 먹는지를 나타냅니다.
  • 1:42 - 1:45
    먹이사슬이 항상 생산자로 시작되는데, 이는 그들이 자신의 먹이를 직접 만들 수 있기 때문입니다.
  • 1:45 - 1:53
    그 다음에는 이 생산자들은 1차 소비자에게 먹히고, 이들은 2차 소비자에게 먹히고, 이들은 가끔씩 3차, 4차 소비자에게 먹히기도 합니다.
  • 1:53 - 1:58
    예를 들어, 미역은 성게에게 먹히고, 성게는 해달에게 먹히며, 해달은 상어에게 먹힙니다.
  • 1:58 - 2:03
    다른 예로는, 식물성 플랑크톤은 물고기에게 먹히며, 물고기는 물개에게 먹히고, 물개 또한 상어에게 먹힙니다.
  • 2:04 - 2:08
    동물들이 달라져도 아이디어는 같다는 것을 숙지해야 합니다.
  • 2:08 - 2:11
    먹이 사슬은 항상 생산자로 시작해서 소비자로 끝납니다.
  • 2:11 - 2:12
    왜 그럴까요?
  • 2:12 - 2:15
    먹이 사슬은 누가 누구를 먹는지 만을 보여주지는 않습니다.
  • 2:15 - 2:21
    우리는 우리의 먹이로부터 에너지를 얻기 때문에, 먹이 사슬은 그것에 속해 있는 하나의 생물에서 다른 생물로 가는 에너지의 흐름도 나타냅니다.
  • 2:21 - 2:26
    그러므로 생산자들이 태양빛에 있는 에너지를 사용해서 먹이를 만들 수 있기 때문에, 먹이 사슬은 항상 생산자로 시작해야 합니다.
  • 2:26 - 2:30
    이 먹이에 있는 에너지가 먹이 사슬에 들어가는 모든 다른 에너지의 근원이 됩니다.
  • 2:30 - 2:38
    생물은 먹이 속의 에너지를 자라고 더 커지는데 만 쓰는 것이 아니라 일을 하고, 열과 노폐물을 만드는데도 쓴다는 것을 기억하세요.
  • 2:38 - 2:44
    하지만, 소비자에게 먹히는 것은 그것 밖에 없기에, 생장에 사용되는 에너지 만이 먹이 사슬을 통해 전달될 수 있습니다.
  • 2:44 - 2:49
    실제적으로 먹이 사슬의 한 구성원에서 다른 구성원으로 전달되는 에너지는 약 10%밖에 되지 않습니다.
  • 2:49 - 2:55
    이 계속된 에너지의 손실은 각 구성원에게 얼마나 많은 에너지가 전달되는가의 관점으로 본다면
  • 2:55 - 2:57
    먹이 사슬이 피라미드형이 된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 2:57 - 3:01
    생산자들은 에너지의 근원인 먹이를 만들기 때문에 피라미드의 맨 아랫부분을 형성합니다.
  • 3:01 - 3:06
    먹이 사슬의 각 단계에서 에너지는 일, 열, 노폐물로 손실되기 때문에,
  • 3:06 - 3:08
    최상위 포식자의 몫으로 남아 있는 것은 많지 않습니다.
  • 3:09 - 3:14
    우리의 모델 먹이 사슬은 생산자, 1차, 2차, 3차 소비자로 구성되어 있던 것 기억하시죠?
  • 3:14 - 3:18
    이제 왜 4차 소비자가 항상 존재하지는 않는지, 그리고 5차 소비자는 드문지를 아시겠죠.
  • 3:18 - 3:20
    그 동물을 위한 에너지는 많이 남아 있지 않을 겁니다.
  • 3:20 - 3:27
    이제 왜 상어를 잡아 먹어서 개체수를 조절하는 4차 소비자가 없을지라도 바다는 상어로 넘쳐나지 않는지 또한 아시겠죠.
  • 3:27 - 3:32
    그렇게 많은 상어의 개체수가 유지 될 정도의 에너지가 3차 소비자에게 전달되고 있지 않고 있기 때문입니다.
  • 3:32 - 3:34
    멋있죠?
  • 3:34 - 3:37
    예시로 든 먹이 사슬 둘 다에서 상어가 최상위 포식자인 것을 눈치채셨죠?
  • 3:37 - 3:44
    이것은 실제 세계에서, 우리가 당근과 쇠고기와 별의별 종류의 음식을 먹는 것처럼, 다른 동물들도 여러 가지 먹이를 먹기 때문입니다.
  • 3:44 - 3:49
    예를 들어, 물개는 오징어와 펭귄도 잡아먹으며, 미역은 물고기와 달팽이에게도 잡아 먹힙니다.
  • 3:49 - 3:52
    그러므로 같은 생태계 내에도 여러 가지 다양한 먹이 사슬이 존재합니다.
  • 3:52 - 3:55
    우리는 이 모든 먹이 사슬들을 종합해서 먹이 그물을 만들 수 있습니다.
  • 3:56 - 4:03
    먹이 그물은 생태계에 있는 여러 먹이 사슬들을 조합한 것이기 때문에, 자연에서 일어나는 일에 대한 훨씬 현실적인 그림이 됩니다.
  • 4:04 - 4:08
    불행히도, 인간은 바다의 먹이 그물에 크고 심각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 4:08 - 4:11
    우리가 이러한 일을 저지른 방법 중 하나는 상어 개체군을 파괴시킨 것입니다.
  • 4:11 - 4:15
    상어는 샥스핀스프에 들어갈 지느러미를 얻기 위해 사냥되거나,
  • 4:15 - 4:18
    참치와 같은 물고기를 잡으려다 실수로 같이 잡혀서 죽기도 합니다.
  • 4:18 - 4:22
    매년 1억마리 가까이되는 상어들이 죽임을 당합니다!
  • 4:22 - 4:29
    이 숫자는 스위스, 캐나다, 캄보디아, 덴마크, 호주, 그리고 짐바브웨의 인구 수를 모두 합친 것보다 큽니다.
  • 4:29 - 4:33
    이는 우리의 먹이 사슬에서 본 것처럼, 상어가 최상위포식자이기 때문에 더욱 안 좋은 일입니다.
  • 4:33 - 4:36
    이는 그들이 다른 동물들의 개체수를 적정 수준이 되게 조절한다는 의미입니다.
  • 4:36 - 4:43
    그러므로 예를 들자면, 모든 상어를 죽인다면 물개가 많아져서 자신들의 개체수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너무 많은 물고기가 필요해 물고기 개체군이 파괴될 것입니다.
  • 4:43 - 4:46
    생태계 전체가 무너져버릴 것입니다!
  • 4:46 - 4:48
    그럼, 상어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무슨 일을 할 수 있을까요?
  • 4:48 - 4:50
    첫째, 샥스핀스프를 먹지마세요.
  • 4:50 - 4:54
    둘째, 의도하지 않은 어획물 없이 잡힌 물고기를 사서 먹으려고 노력하세요.
  • 4:54 - 4:58
    상어가 최상위 포식자라고 하기는 했지만, 여러 측면에서 보면, 실제로 최상위 포식자는 인간입니다.
  • 4:58 - 5:01
    그리고 먹이 사슬을 파괴하지 않으려면 책임감을 가지고 먹어야 합니다.
Title:
A Million Sharks
Description:

Producers + Decomposers + Consumers = Food Chain

License: Creative Commons BY-NC-SA
More information at http://k12videos.mit.edu/terms-conditions

more » « less
Video Language:
English
Duration:
05:13
Openowledge edited Korean subtitles for A Million Sharks
Openowledge edited Korean subtitles for A Million Sharks
Openowledge edited Korean subtitles for A Million Sharks

Korean subtitles

Revis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