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액형은 무엇 때문에 중요할까요?ㅣ나탈리 S. 호지(Natalie S. Hodge)
-
0:07 - 0:11인류의 역사에는 많은 갈등들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
0:11 - 0:14우리는 모두 같은 피를
흘린다는 말이 있지요. -
0:14 - 0:18이 말은 꽤나 그럴싸하지만
정확한 표현은 아닙니다. -
0:18 - 0:22사실 우리의 피는
몇 가지 종류가 있기 때문이지요. -
0:22 - 0:25적혈구는 헤모글로빈이라고
불리는 단백질을 포함하는데 -
0:25 - 0:27그것은 산소와 결합해서
-
0:27 - 0:30적혈구가 온 몸으로 산소를
전달하도록 해 줍니다. -
0:30 - 0:33그들은 또한 다른 종류의 복잡한
단백질을 가지고 있는데 -
0:33 - 0:36이것들은 세포막 밖에
존재하고 있습니다. -
0:36 - 0:41항원이라고 불리는 이 단백질들은
감염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는 -
0:41 - 0:45면역 세포인 백혈구와
상호작용을 합니다. -
0:45 - 0:50항원은 식별용 표식의 역할을 해서
면역체계가 자가세포를 -
0:50 - 0:55이물질이라고 여기고
공격하는 일이 없도록 합니다. -
0:55 - 1:00항원의 주요 두 중류인 A와 B는
당신의 혈액형을 결정합니다. -
1:00 - 1:04어떻게 이 두가지의 항원으로부터
4가지의 혈액형이 결정될까요? -
1:04 - 1:09항원들은 3개의 다른 대립형질이
암호화 되어서 -
1:09 - 1:12특정한 유전자의 다양성을 가집니다.
-
1:12 - 1:15A와 B의 대립형질이 A와 B의
항원을 결정하는 반면 -
1:15 - 1:19O는 아무것도 결정하지 않고
-
1:19 - 1:22우리는 부모로부터 각각
유전자 하나씩 받기 때문에 -
1:22 - 1:27모든 사람들은 혈액형을 결정하는
두 개의 대립형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
1:27 - 1:29이 두 개의 형질이 서로 다를 때
-
1:29 - 1:34이들은 유전적 관계에서
우성인 것을 표현합니다. -
1:34 - 1:40혈액형에서 A와B의 대립형질은
우성이고 O는 열성입니다. -
1:40 - 1:46A를 두 개 가지면 A형이 되고
B를 두 개 가지면 B형이 되겠지요. -
1:46 - 1:48각 각 A,B 하나씩을 물려 받는다면
-
1:48 - 1:53공동우성의 상태가 되고
A와 B 항원 둘 다가 생성됩니다. -
1:53 - 1:54이것이 AB형이 지요.
-
1:54 - 1:57O 대립형질은 열성이어서
-
1:57 - 2:00A나 B 둘 중 하나와 짝을 이루면
그들에 의해 지배받게 됩니다. -
2:00 - 2:03그래서 A형 또는 B형이라는
결과가 나오게 되는 것이지요. -
2:03 - 2:08당신이 만약 두 개의 O대립형질을
물려받았다면 -
2:08 - 2:13A와 B 항원이 없는
혈구가 만들어집니다. -
2:13 - 2:15이런 상호작용 때문에
-
2:15 - 2:17부모님의 혈액형을 알면
-
2:17 - 2:22그들의 자녀의 혈액형을
예측 할 수 있는 것 이지요. -
2:22 - 2:24혈액형이 왜 중요할까요?
-
2:24 - 2:25수혈을 할 때
-
2:25 - 2:29알맞은 혈액형을 찾는 것은
생사를 결정합니다. -
2:29 - 2:34만약 A형인데 B형의 피를 받았거나
혹은 그 반대의 경우라면 -
2:34 - 2:38그들의 항체가 이물질을 거부해서
이들을 공격하게 되고 -
2:38 - 2:42따라서 수혈받은 피가 응고됩니다.
-
2:42 - 2:47그러나 AB형의 사람들은
A, B항원을 다 만들어 내기 때문에 -
2:47 - 2:52그 항원에 대한 항체를 만들지 않고
어떠한 피도 안전하다고 인지합니다. -
2:52 - 2:54그래서 이들은 어떤 피도
수혈받을 수 있지요. -
2:54 - 2:56반대로
-
2:56 - 2:59O형인 사람들은 어떤 피에 대한
항원도 만들지 않기 때문에 -
2:59 - 3:02누구에게나 수혈을 할 수 있지요.
-
3:02 - 3:04반면에 이들은 A, B 모두에 대해서
항체를 생성하기 때문에 -
3:04 - 3:09다른 혈액형의 피를
수혈받을 수 없습니다. -
3:09 - 3:14안타깝게도, 혈액형사이의 수혈 문제는
실제로는 이보다 좀 더 복잡합니다. -
3:14 - 3:18또다른 항원 시스템인
Rh인자 때문입니다. -
3:18 - 3:23이 이름은 이것이 처음으로 추출된
붉은털 원숭이의 이름을 딴 것입니다. -
3:23 - 3:32Rh식 혈액형에서 Rh+와 Rh-는
D항원의 존재여부를 나타냅니다. -
3:32 - 3:35수혈을 방해하는 것 이외에도
-
3:35 - 3:38이 인자는 임신에서 심각한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는데 -
3:38 - 3:43Rh-엄마가 Rh+아이를 가지게 되면
-
3:43 - 3:47엄마의 몸에서 만들어진 Rh항체가
태반을 통과하여 -
3:47 - 3:49태아를 공격해서
-
3:49 - 3:53태아에게 용혈병을 일으킵니다.
-
3:53 - 3:57몇 몇의 문화권에서는 혈액형이
성격과 관련이 있다고 믿지만 -
3:57 - 3:59실제로 과학적으로는
근거는 없지요. -
3:59 - 4:04혈액형들의 비율이 인종에 따라
다양함에도 불구하고 -
4:04 - 4:07과학자들은 왜 이렇게
진화했는지 확신하지 못합니다. -
4:07 - 4:09아마도 혈액관련 질병을
대비하기 위해서나 -
4:09 - 4:12무작위적인 유전적 부동
때문일 것입니다. -
4:12 - 4:16동물의 종에 따라서
항원의 종류도 다 다른데 -
4:16 - 4:20사실 인간을 포함한 유인원이 가진
4종류의 혈액형은 -
4:20 - 4:26개들의 13종류 혈액형과 비교하면
대단한 것도 아니지요.
- Title:
- 혈액형은 무엇 때문에 중요할까요?ㅣ나탈리 S. 호지(Natalie S. Hodge)
- Description:
-
전체강의보기: http://ed.ted.com/lessons/why-do-blood-types-matter-natalie-s-hodge
인류의 역사에는 많은 갈등이 있었지만, 우리는 같은 피를 흘린다고 말합니다. 이것은 틀린 말은 아니지만 정확하다고 보기는 힘들지요. 사실 우리 피는 몇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나탈리는 네가지의 주요 혈액형을 정의하고 왜 어떤 피는 섞일 수 있고 다른 피는 섞이지 않는지를 설명해줍니다.
강의: 나탈리 S. 호지
영상: 브레드 퍼넬 - Video Language:
- English
- Team:
closed TED
- Project:
- TED-Ed
- Duration:
- 04:42
![]() |
Gemma Lee commented on Korean subtitles for Why do blood types matter? - Natalie S. Hodge | |
![]() |
Gemma Lee approved Korean subtitles for Why do blood types matter? - Natalie S. Hodge | |
![]() |
Gemma Lee accepted Korean subtitles for Why do blood types matter? - Natalie S. Hodge | |
![]() |
Gemma Lee edited Korean subtitles for Why do blood types matter? - Natalie S. Hodge | |
![]() |
Gemma Lee edited Korean subtitles for Why do blood types matter? - Natalie S. Hodge | |
![]() |
Gemma Lee edited Korean subtitles for Why do blood types matter? - Natalie S. Hodge | |
![]() |
Won Jang edited Korean subtitles for Why do blood types matter? - Natalie S. Hodge | |
![]() |
Won Jang edited Korean subtitles for Why do blood types matter? - Natalie S. Hodge |
Gemma Lee
번역 수고하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