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turn to Video

비판적 사고: 논점 선취 오류

  • 0:00 - 0:05
    (Wi-Phi: 논점 선취 오류)
  • 0:07 - 0:08
    안녕하세요, 저는 매튜 해리스입니다
  • 0:08 - 0:09
    듀크 대학의 박사 과정생이구요
  • 0:09 - 0:11
    본 영상에서는 비형식적 오류의 일종인
  • 0:11 - 0:14
    '논점 선취 오류'
    (역주: 혹은 "선결 문제 요구의 오류")
  • 0:14 - 0:16
    그리고 관련된 '순환 논증' 개념을 알아보겠습니다
  • 0:16 - 0:19
    논점 선취 오류는 비형식적 오류,
  • 0:19 - 0:22
    즉 논증의 내용에서 문제가 발생하는 것에 해당합니다
  • 0:22 - 0:23
    논점을 선취하는 논증이란
  • 0:23 - 0:26
    스스로가 증명해야하는 바를 미리 전제하고 들어가는 논증입니다
  • 0:26 - 0:27
    (역주: 한국어 번안 부분 시작)
  • 0:27 - 0:28
    사실 한국어 번역어인 "논점 선취 요류"라는 말 자체가
  • 0:28 - 0:30
    '질문을 구걸한다'는 뜻인
    영어 표현 "Begging the Question"에 비하여
  • 0:30 - 0:32
    너무 어려운 말인 것은 사실입니다
  • 0:32 - 0:34
    "논점 선취 오류"라는 말을 쉽게 풀어보자면
  • 0:34 - 0:35
    자기가 주장하고자 하는 결론("논점")을
  • 0:35 - 0:38
    먼저 가로채서 먹고 들어가는 것("선취先取")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0:38 - 0:40
    즉 "결론 먼저 먹고 들어가기 오류"라고 할 수도 있겠네요
  • 0:40 - 0:41
    (역주: 한국어 번안 부분 끝)
  • 0:41 - 0:43
    어떤 논증이 논점을 선취한다고 하는 것은
  • 0:43 - 0:46
    곧 증명을 필요로 하는 어떤 명제를
  • 0:46 - 0:48
    정당하지 않게 전제한다고 말하는 것이죠
  • 0:48 - 0:50
    이렇게 생각해 보죠
  • 0:50 - 0:52
    지금 논쟁을 하는 상황 대신에
  • 0:52 - 0:55
    두 편으로 나뉘어 줄다리기를 하고 있다고 해봅시다
  • 0:55 - 0:58
    양 편 중 누가 더 줄을 세게 잡아당기느냐에 따라 승부가 갈리죠
  • 0:58 - 1:00
    줄다리기 할 땐 양 편을 나누는 선을 땅바닥에 긋습니다
  • 1:00 - 1:03
    그런데 그 줄이 처음부터 양 편 중 어느 한 쪽으로 치우쳐져 있다면
  • 1:03 - 1:06
    이는 빼도박도 못할 반칙이 될 겁니다
  • 1:06 - 1:08
    마찬가지로 논쟁을 하는 상황에서도
  • 1:08 - 1:12
    지금 논쟁거리인 그 사항을 상대가 미리 자신의 전제로 삼는다면
  • 1:12 - 1:14
    상대방이 논점을 선취한다고 비판할 수 있습니다
  • 1:14 - 1:16
    '논점을 선취한다'는 말은
  • 1:16 - 1:18
    종종 여러 다른 의미로 사용됩니다
  • 1:18 - 1:20
    그 첫 번째 의미는
  • 1:20 - 1:23
    (역주: 특히 영어에서)
    의심스러운 전제를 동원한다는 것입니다
  • 1:23 - 1:26
    물론 건축물의 기초가 그러하듯
  • 1:26 - 1:28
    논증의 전제 또한 별도의 독립적인 근거를 가질 때에만
  • 1:28 - 1:30
    비로소 논증의 결론을 옹호할 수 있습니다
  • 1:30 - 1:33
    또한 (영어의 경우엔) "Begging the Question"는 말이
  • 1:33 - 1:34
    일상적인 대화에서 매우 다른 의미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 1:34 - 1:37
    본래 그 말의 어원인 논리적 오류와는
  • 1:37 - 1:40
    이미 한껏 떨어졌지만요.
  • 1:40 - 1:42
    예를 들자면
  • 1:42 - 1:43
    어떤 진술이나 논증을 봤을 때
  • 1:43 - 1:45
    논의를 할 만한 새로운 논점이 제기되는 경우
  • 1:45 - 1:47
    그런 진술이나 논증을 보고
  • 1:47 - 1:49
    "Begging the Question"한다고는 합니다.
  • 1:49 - 1:51
    그러나 이러한 대화상의 맥락은
  • 1:51 - 1:53
    대개 좀 영 꼬여있습니다
  • 1:53 - 1:56
    마지막으로 "논점 선취의 오류"라고 할 때 가장 일반적인 의미는
  • 1:56 - 1:59
    '순환 논법'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 1:59 - 2:01
    즉 이런 의미에서
  • 2:01 - 2:02
    "논점을 선취한다"고 할 때
  • 2:02 - 2:04
    그 말인즉슨
  • 2:04 - 2:05
    추론 과정 가운데 순환이 발생한다는 것입니다
  • 2:05 - 2:07
    주로 논지에 대한 정당화를 제시하거나 의미를 따질 때 발생하죠
  • 2:07 - 2:08
    이런 순환이 벌어지는 사례들은
  • 2:08 - 2:10
    크게 두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 2:10 - 2:12
    '동치에 따른 순환'
  • 2:12 - 2:14
    그리고 '의존에 따른 순환'으로 말이죠
  • 2:14 - 2:16
    동치에 따른 순환이란
  • 2:16 - 2:18
    그 논증의 전제 중 하나가
  • 2:18 - 2:20
    바로 그 논증이 주장하고자 하는 결론과
  • 2:20 - 2:21
    동치인 경우를 말합니다
  • 2:21 - 2:24
    예컨대 전제와 결론이 표현만 다르지
    그 구성 어휘들의 의미가 서로 같다면
  • 2:24 - 2:26
    전제와 결론은 동일한 명제를 표현하는 것이므로
  • 2:26 - 2:29
    곧 동치에 따른 순환 논법을 취하는 셈인거죠
  • 2:29 - 2:31
    구체적인 예를 들자면 이렇습니다
  • 2:31 - 2:34
    '음악은 영화보다 더 훌륭한 예술이다'
  • 2:34 - 2:37
    '따라서 잘 짜인 소리의 모음은
    잘 짜인 그림/사진들의 모음보다 뛰어나다'
  • 2:37 - 2:39
    순환 논법의 또다른 유형인
  • 2:39 - 2:40
    의존에 따른 순환이란
  • 2:40 - 2:44
    전제와 결론 간에 상호 의존이 이루어지는 경우를 뜻합니다
  • 2:44 - 2:46
    예를 들어 카우보이인 테드가
  • 2:46 - 2:49
    5천 파운드짜리 말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한다고 해보죠
  • 2:49 - 2:52
    그가 말하길 자기 말 무게가 5천 파운드라고 아는 이유는
  • 2:52 - 2:56
    자기 목장의 아주 정확한 저울로 재보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 2:56 - 2:58
    그런데 또 덧붙여서 말하길
  • 2:58 - 3:00
    그 저울이 정확하다고 확실할 수 있는 까닭은
  • 3:00 - 3:03
    자기가 그걸로 5천파운드 짜리 말을 재보았더니
    '5천 파운드'라고 나왔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 3:03 - 3:04
    이 논증이 '의존에 따른 순환'의 예시입니다
  • 3:04 - 3:07
    자기 말의 무게에 대한 터무니 없는 주장과
  • 3:07 - 3:08
    자기 저울의 신뢰성에 대한 주장이
  • 3:08 - 3:11
    서로 서로에게 의존하고 있죠
  • 3:11 - 3:14
    중요한 것은 그런 순환성이 있다는 것 자체가 아니라
  • 3:14 - 3:19
    주장을 정당화 해줄만한 독립적인 근거가 없다는 것입니다
  • 3:19 - 3:21
    그 말이 만약 딱 봐도 5천 파운드라고 해도
    이상하지 않을만큼 거대하다면
  • 3:21 - 3:24
    그건 독립적인 근거라고 할만 하겠죠
  • 3:24 - 3:26
    한층 더 나아가서
  • 3:26 - 3:30
    '국립 저울 점검 위원회' 같은데서 저울 조사를 실시했다고 해보죠
  • 3:30 - 3:32
    그렇다면 카우보이 테드의 논증을 받아들일만한
  • 3:32 - 3:34
    보다 강력한 이유가 생겼다고 할 수 있겠죠
  • 3:34 - 3:36
    순환성 자체는 여전히 존재하지만
  • 3:36 - 3:38
    그렇게 심각한 문제라고 생각하진 않을 것입니다
  • 3:38 - 3:39
    본 주제와 관련된 내용을 좀더 알고 싶으시다면
  • 3:39 - 3:42
    Wi-Phi의 '비판적 사고' 영상들 가운데
  • 3:42 - 3:44
    형식적/비형식적 오류에 관한 영상들을 더 찾아보세요
Title:
비판적 사고: 논점 선취 오류
Description:

본 영상에서 매튜 C. 해리스(듀크대)는 "논점 선취 오류"라 불리는 비형식적 논리적 오류와 그와 연관된 '순환 논법' 개념을 살펴봅니다

more » « less
Video Language:
English
Duration:
03:56

Korean subtitles

Revis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