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가 언젠가 화성처럼 보일 이유
-
0:01 - 0:04밤하늘을 바라보면 보이는 풍경은
-
0:04 - 0:05너무나 놀랍습니다.
-
0:05 - 0:07정말 아름답죠.
-
0:07 - 0:10하지만 더욱 놀라운 것은
보이지 않는 것들입니다. -
0:10 - 0:11왜냐하면 우리가 지금 알고 있다시피
-
0:11 - 0:15거의 모든 별 주변에는
-
0:15 - 0:17행성이 몇 개 돌고 있죠.
-
0:18 - 0:20이 사진에 보이지는 않지만
-
0:20 - 0:22우리가 알고 있는 수많은 행성들이
-
0:22 - 0:24우주 저편에 존재합니다.
-
0:24 - 0:27행성이라고 하면 보통
우리가 사는 곳과는 다른 -
0:28 - 0:29외계의 무언가를 떠올립니다.
-
0:29 - 0:32하지만 우리도 행성에 살고 있고
-
0:32 - 0:35지구는 행성으로서 놀라운 면모가 많기에
-
0:35 - 0:39우리는 우주 어딘가 지구와 닮은
행성을 찾고 있습니다. -
0:39 - 0:43찾다 보면 놀라운 것들을
발견할 때가 있죠. -
0:43 - 0:47하지만 오늘 말하려는 것은
지구에 대한 놀라운 사실입니다. -
0:47 - 0:50그것은 지구에서 1분마다
-
0:50 - 0:52400파운드(180kg)의 수소와
-
0:52 - 0:557파운드(3kg)가량의 헬륨이
-
0:55 - 0:58우주 밖으로 날아간다는 것이죠.
-
0:59 - 1:03한번 날아간 기체는 돌아오지 않습니다.
-
1:03 - 1:06수소와 헬륨, 그리고 많은 물질이
-
1:06 - 1:09지구 대기를 조성하고 있습니다.
-
1:09 - 1:13이 기체가 모인 얇은 푸른 선이
-
1:13 - 1:16국제우주정거장에서
한 우주 비행사가 찍은 -
1:16 - 1:19대기의 모습입니다.
-
1:19 - 1:23지구를 감싸는 이 얇은 층 덕분에
-
1:23 - 1:25생명이 번성할 수 있습니다.
-
1:25 - 1:28유성 등 수많은 충돌로부터
-
1:28 - 1:30우리를 보호해 주죠.
-
1:30 - 1:34너무나도 대단한 현상이라서
-
1:34 - 1:36조금씩 사라진다고 하니
-
1:37 - 1:39약간 섬뜩하실 겁니다.
-
1:40 - 1:43제가 연구하는 이 현상은
-
1:43 - 1:46대기 탈출입니다.
-
1:47 - 1:51대기 탈출은 지구에서만
일어나는 것은 아닙니다. -
1:51 - 1:55행성이 가진 운명 중 하나죠.
-
1:55 - 1:59지구 뿐만 아니라
전 우주의 모든 행성에서 -
1:59 - 2:02대기 탈출이 발생합니다.
-
2:02 - 2:07대기 탈출이 일어나는 과정은 우리에게
행성 자체에 대해 알려줍니다. -
2:08 - 2:11태양계라고 하면
-
2:11 - 2:13이런 사진이 떠오르죠.
-
2:14 - 2:17행성이 여덟 개 있고
-
2:17 - 2:20섭섭하신 분들을 위해
-
2:20 - 2:21하나를 더해 드릴게요.
-
2:21 - 2:22(웃음)
-
2:22 - 2:25뉴 호라이즌 호가 찍은
명왕성을 추가했습니다. -
2:26 - 2:27하나 짚고 넘어가자면
-
2:27 - 2:30대기 탈출이라는 주제에 관해서는
-
2:30 - 2:32명왕성도
-
2:32 - 2:38보이지 않는 별들 주위의 행성도
모두 같은 대상이라는 것입니다. -
2:38 - 2:41행성의 기본적인 특성 중에는
-
2:41 - 2:45중력에 의해 결집된
물체라는 조건이 있죠. -
2:46 - 2:48결국 이 끌어당기는 힘에 의해
-
2:48 - 2:50여러 물질이 덩어리로
뭉쳐 있는 것입니다. -
2:50 - 2:53천체가 매우 크니까 중력도 크겠죠.
-
2:53 - 2:54이것이 행성이 둥근 이유입니다.
-
2:54 - 2:57명왕성을 포함해서 이런 대상을 보면
-
2:57 - 2:59모두 둥글고
-
2:59 - 3:02중력이 작용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3:02 - 3:05행성의 또 다른 중요한 조건은
-
3:05 - 3:07아직 나타내지 않은
-
3:07 - 3:09이 태양이라는 행성의 주변을
-
3:09 - 3:13태양계의 모든 행성이
공전한다는 것입니다. -
3:13 - 3:17그리고 이것이 대기 탈출을 일으킵니다.
-
3:18 - 3:23항성이 행성 대기를 탈출시키는 이유는
-
3:23 - 3:28항성이 발산하는 입자와 빛, 열이
-
3:29 - 3:32행성 대기에 닿기 때문입니다.
-
3:32 - 3:33열기구나
-
3:33 - 3:38태국의 한 축제의
이 등불 사진을 예로 들면 -
3:38 - 3:41뜨거운 공기가 기체를 위로
향하게 한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
3:41 - 3:43열과 에너지가 충분히 주어지면
-
3:43 - 3:45태양이 그리 하듯이
-
3:45 - 3:49중력이 겨우 붙들고 있는 가벼운 기체는
-
3:49 - 3:50우주로 날아가 버립니다.
-
3:52 - 3:58이것이 지구와 다른 행성에서
대기 탈출이 일어나는 과정입니다. -
3:58 - 4:01항성에서 오는 열이
-
4:01 - 4:04행성의 중력보다 더 큰 힘을
발휘하는 것이죠. -
4:05 - 4:07아까 수소는 일 분에
400파운드(180kg) -
4:07 - 4:10헬륨은 7파운드(3kg)라고
-
4:10 - 4:12말씀드렸는데
-
4:13 - 4:15실제로는 어떻게 보일까요?
-
4:15 - 4:17무려 80년대에 NASA에서
-
4:17 - 4:18다이나믹 익스플로러 위성으로
-
4:18 - 4:20지구 대기의
-
4:20 - 4:23자외선 촬영을 하였습니다.
-
4:23 - 4:25이 두 지구 사진이
-
4:25 - 4:29탈출하는 수소가 내뿜는 빛을
붉은색으로 보여 줍니다. -
4:30 - 4:33산소나 질소 같은 다른 것들도
-
4:33 - 4:35희미한 흰 빛으로
-
4:35 - 4:37극지의 오로라와
-
4:37 - 4:40열대 부분의 빛줄기를 보여 주지요.
-
4:40 - 4:43이 사진으로부터 알 수 있는 것은
-
4:43 - 4:47우리 대기가 지구에 딱 붙어 있지 않고
-
4:47 - 4:50상당한 속도로 우주 밖으로
-
4:50 - 4:52멀어져가고 있다는 것입니다.
-
4:53 - 4:57하지만 지구에서만 대기 탈출이
일어나는 것은 아니죠. -
4:57 - 5:00우리의 이웃 행성 화성은
지구보다 훨씬 작아서 -
5:00 - 5:04대기를 붙들고 있을
중력이 더 작습니다. -
5:04 - 5:06화성에도 대기가 있긴 하지만
-
5:06 - 5:09지구보다 훨씬 희박합니다.
-
5:09 - 5:10표면을 보면
-
5:10 - 5:14대기가 충돌물을 막을 수 없어
수많은 충돌구로 -
5:14 - 5:15울퉁불퉁해져 있죠.
-
5:16 - 5:18또 화성이 '붉은 행성'인 데는
-
5:18 - 5:22대기 탈출도 한 몫 하고 있습니다.
-
5:22 - 5:26과학자들은 화성이 이전에는
물이 더 있었지만 -
5:26 - 5:31물이 에너지를 받아
수소와 산소로 분해되고 -
5:31 - 5:34가벼운 수소가 우주로 탈출한 사이
-
5:34 - 5:36남은 산소는
-
5:36 - 5:38땅을 산화시켜
-
5:38 - 5:42지금의 녹슨 붉은 표면을
만들었다고 생각합니다. -
5:43 - 5:45화성 사진만 보고도
-
5:45 - 5:47대기 탈출이 일어난 것을
추측할 수 있지만 -
5:47 - 5:51NASA는 MAVEN 위성을
현재 화성에 직접 보내 -
5:52 - 5:55대기 탈출 연구 임무를
수행시기고 있습니다. -
5:55 - 6:00머릿글자는 '화성 대기 휘발성 진행'
에서 왔습니다. -
6:00 - 6:03탐사 결과는 지구에서 본 것과
매우 비슷한 모습을 -
6:03 - 6:05나타내고 있습니다.
-
6:05 - 6:08화성의 대기 손실은
오랫동안 알고 있었지만 -
6:08 - 6:10몇몇 놀라운 사진들이 있습니다.
-
6:10 - 6:13여기를 보면 붉은 원으로 표시한 부분이
-
6:13 - 6:14화성 영역이고
-
6:14 - 6:18푸른색은 행성을 탈출하는 수소입니다.
-
6:18 - 6:22행성 크기의 열 배 이상 벗어났으니
-
6:22 - 6:25더 이상 붙잡혀 있지 않다고
보아도 되겠죠. -
6:25 - 6:27우주로 탈출하는 겁니다.
-
6:27 - 6:29이 사진으로 화성이 붉은 이유를
-
6:29 - 6:32수소 탈출 때문이라고
설명할 수 있습니다. -
6:33 - 6:35하지만 수소만 탈출하는 것은 아니죠.
-
6:35 - 6:38지구에서처럼
헬륨과 약간의 산소, 질소도 -
6:38 - 6:42행성을 벗어나는 것을
MAVEN 사진으로 확인 가능합니다. -
6:42 - 6:45산소는 더 무겁기 때문에
-
6:45 - 6:48수소만큼 멀리 가지는 않지만
-
6:48 - 6:50여전히 탈출을 하고 있습니다.
-
6:50 - 6:53붉은 원 밖에 기체가 존재하지요.
-
6:54 - 6:58우리가 지구의 대기 탈출을
연구하는 것에 더해서 -
6:58 - 7:01다른 행성에 우주선을 보내
연구할 수 있는 사실은 -
7:01 - 7:05행성의 과거뿐만 아니라
-
7:05 - 7:07행성의 전반적인 모습, 그리고
-
7:07 - 7:09지구의 미래도 알 수 있게 해줍니다.
-
7:09 - 7:11우리의 미래를 알 수 있는 표본이
-
7:11 - 7:14보이지 않는 먼 행성에 있다는 것이죠.
-
7:15 - 7:18그 이야기를 하기 전에 실망스럽지만
-
7:19 - 7:21명왕성 사진은 보여 드리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
7:21 - 7:22말해 두려 합니다.
-
7:22 - 7:24아직 찍지 못했으니까요.
-
7:24 - 7:28뉴 호라이즌 호의 임무가
명왕성에서의 대기 탈출을 -
7:28 - 7:29조사하는 것이니
-
7:29 - 7:31계속 관심을 기울여 주세요.
-
7:32 - 7:34대신 제가 다루려는 행성은
-
7:34 - 7:36통과 외행성이라는 것입니다.
-
7:36 - 7:40태양이 아닌 별 주위를 공전하는 행성은
-
7:40 - 7:43모두 외계 행성 또는
태양계 외 행성입니다. -
7:43 - 7:45그리고 통과한다는 말은
-
7:45 - 7:47궤도의 특성인데
-
7:47 - 7:49중앙에 별을 보면
-
7:49 - 7:51반짝이는 것이 보이시죠.
-
7:51 - 7:53반짝이는 이유는
-
7:53 - 7:57행성이 때로 그곳을 지나가면서
-
7:57 - 7:59궤도가 특별한 위치에 있어
-
7:59 - 8:02행성이 항성의 빛을 막아
-
8:02 - 8:04우리에게 반짝이게 보이는 것입니다.
-
8:05 - 8:08밤하늘의 별들을 보며
-
8:08 - 8:09이 반짝임을 조사하면
-
8:09 - 8:11행성을 찾을 수 있습니다.
-
8:11 - 8:15이렇게 해서 우리 은하에서
5000개 이상의 -
8:15 - 8:16행성을 찾아내었습니다.
-
8:16 - 8:19더 수많은 행성이 존재하지만요.
-
8:19 - 8:22이 행성에서 오는 빛을 보았을 때
-
8:22 - 8:26주시하는 것은 빛 자체가 아니라
-
8:26 - 8:28일정 시간 동안 밝기가
-
8:28 - 8:29희미해지는 것입니다.
-
8:29 - 8:33행성이 별 앞을 진행하면서
밝기가 줄어들고 -
8:33 - 8:35이것이 아까 관찰한 깜빡임입니다.
-
8:35 - 8:37단순히 행성을 찾을 뿐만 아니라
-
8:37 - 8:40파장별로 빛을 관찰할 수도 있습니다.
-
8:40 - 8:44전에 보신 사진 중에 지구와 화성의
자외선 사진이 있었죠. -
8:44 - 8:48통과 외행성을
허블 우주 망원경으로 관측하면 -
8:48 - 8:50자외선 영역에서
-
8:50 - 8:54행성이 앞을 지나갈 때 훨씬 크게
-
8:54 - 8:55밝기가 변합니다.
-
8:55 - 9:00과학자들은 이것이 멀리 뻗은
수소 대기층이 행성을 감싸면서 -
9:00 - 9:02구름 같은 역할로
-
9:02 - 9:04더 많은 빛을 막기
때문이라 추측합니다. -
9:05 - 9:08이 기법을 사용하여
우리는 통과 외행성에서의 -
9:08 - 9:12대기 탈출을 몇 번
관측할 수 있었습니다. -
9:12 - 9:15우리가 발견한 이런 종류의 행성을
-
9:15 - 9:17뜨거운 목성이라고 합니다.
-
9:17 - 9:19목성처럼 기체로 이루어진 행성이고
-
9:19 - 9:21항성에 매우 가깝기 때문이죠.
-
9:21 - 9:23실제 목성보다 백 배 정도요.
-
9:23 - 9:27탈출하기 쉬운 가벼운 기체가
-
9:27 - 9:28항성의 열을 만나
-
9:28 - 9:32무서운 속도로 대기 탈출이 일어납니다.
-
9:32 - 9:37지구의 분당 400파운드(180kg)와는
-
9:37 - 9:38비교도 안 되는
-
9:38 - 9:42분당 13억 파운드(59만 톤)의
수소가 행성을 떠나죠. -
9:43 - 9:48그러다 행성 자체가 다 소진될까 하는
생각을 할 수 있고 -
9:48 - 9:50이것은 태양계를 바라보면서
-
9:50 - 9:52사람들이 궁금해한 질문이죠.
-
9:52 - 9:54태양에 가까운 행성은 바위로 이루어졌고
-
9:54 - 9:57멀리 있는 행성은 더 크고
기체로 이루어져 있으니까요. -
9:57 - 9:59원래는 목성 같은 행성이었는데
-
9:59 - 10:01태양 가까이 있다 보니
-
10:01 - 10:03기체가 다 날아간 것일까요?
-
10:03 - 10:06현대 이론에 따르면 뜨거운 목성에서
-
10:06 - 10:09수성이나 지구 같은 것이
만들어질 수는 없습니다. -
10:09 - 10:11하지만 더 작은 크기로 시작하면
-
10:11 - 10:14행성의 모습을 바꿀 만큼
-
10:14 - 10:16대량의 대기 탈출이
-
10:16 - 10:19일어났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
10:19 - 10:21이 모든 것은 일반론인데요.
-
10:21 - 10:24태양계로 좁혀 생각하면
-
10:24 - 10:26지구에는 무슨 일이 일어날까요?
-
10:26 - 10:30먼 미래에 태양은 더 밝아질 것입니다.
-
10:30 - 10:32그럴수록
-
10:32 - 10:35태양의 열기는 더 강렬해지고
-
10:36 - 10:40뜨거운 목성에서 보는 것이
-
10:40 - 10:42지구의 기체 탈출로 일어날 것입니다.
-
10:42 - 10:44우리가 예상하고
-
10:45 - 10:47준비할 수 있는 것은
-
10:47 - 10:48먼 미래에 지구는
-
10:48 - 10:51화성처럼 보일 것이라는 사실입니다.
-
10:51 - 10:54물에서 분리된 수소가
-
10:54 - 10:56빠르게 우주로 탈출하고
-
10:56 - 11:01지구에는 붉고 메마른 표면을 남기겠죠.
-
11:01 - 11:03앞으로 몇십억 년 동안은
일어나지 않을 일이니 -
11:03 - 11:05대비할 시간은 충분합니다.
-
11:05 - 11:06(웃음)
-
11:06 - 11:09하지만 이렇게 말하는 순간에도
-
11:09 - 11:10대기 탈출이
-
11:10 - 11:13조금씩 일어나고 있다는 것을
알고 계셨으면 합니다. -
11:14 - 11:17멀리 떨어진 우주의 행성에서는
-
11:17 - 11:19다양한 흥미로운 일이 일어나고
-
11:19 - 11:22우리는 이 외부 세계를
탐구하고 있습니다. -
11:22 - 11:27하지만 화성이나
뜨거운 목성 같은 외계행성을 -
11:27 - 11:30탐구하다 보면 대기 탈출 같이
-
11:30 - 11:34지구에 대해서도 배울 수 있게 됩니다.
-
11:34 - 11:38그러니 우주가 먼 나라 얘기라고만은
생각하지 말아 주세요. -
11:38 - 11:39감사합니다.
-
11:39 - 11:42(박수)
- Title:
- 지구가 언젠가 화성처럼 보일 이유
- Speaker:
- 안잘리 트리파시(Anjali Tripathi)
- Description:
-
매분 400파운드(180kg)의 수소와 거의 7파운드(3kg)의 헬륨이 지구 대기를 떠나 우주로 탈출합니다. 대기 탈출을 연구하는 천체물리학자 안잘리 트리파시는 놀랍고 상세한 설명으로 이 현상이 어느 날(수십억 년 후) 푸른 지구를 붉게 만드리라고 이야기합니다.
- Video Language:
- English
- Team:
closed TED
- Project:
- TEDTalks
- Duration:
- 11:55
![]() |
Jihyeon J. Kim approved Korean subtitles for Why Earth may someday look like Mars | |
![]() |
Jihyeon J. Ki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Why Earth may someday look like Mars | |
![]() |
Jihyeon J. Ki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Why Earth may someday look like Mars | |
![]() |
Jihyeon J. Ki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Why Earth may someday look like Mars | |
![]() |
Jihyeon J. Ki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Why Earth may someday look like Mars | |
![]() |
Jihyeon J. Ki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Why Earth may someday look like Mars | |
![]() |
Katherine Cho accepted Korean subtitles for Why Earth may someday look like Mars | |
![]() |
Katherine Cho edited Korean subtitles for Why Earth may someday look like Mar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