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turn to Video

Understanding is Love's other name | Thich Nhat Hanh (short teaching video)

  • 0:05 - 0:10
    불교에서는 고통받는 사람들의 말을
    들어줄수 있는...
  • 0:10 - 0:14
    능력을 가진 존재를 이야기하는데...
  • 0:14 - 0:18
    그를 우리는 아발로키테스바라(관음)
    라고 부릅니다.
  • 0:20 - 0:25
    아발로키테스바라는 '듣는 능력을 가진 사람'
    이라는 뜻이고
  • 0:28 - 0:32
    그러한 사람을 우리는 '깊이 듣기의
    보디사트바'라고 부릅니다.
  • 0:34 - 0:40
    '자비심으로 듣기의 보살'이지요.
  • 0:42 - 0:45
    이러한 듣는 능력,
  • 0:46 - 0:49
    자비심을 가지고
    깊이 들을수 있는 능력은
  • 0:54 - 0:55
    수련으로 기르는 것입니다.
  • 0:58 - 1:01
    여러분이 누군가의 친구라면,
  • 1:03 - 1:10
    친구의 말을 자비심으로 깊게
    들을수 있어야 합니다.
  • 1:11 - 1:13
    진정한 친구가 되기 위해서는요.
  • 1:14 - 1:16
    여러분이 누군가의 부모라면,
  • 1:16 - 1:21
    자녀의 말을 자비심으로 깊게
    들을수 있어야지요.
  • 1:22 - 1:27
    여러분 자신이 깊게 듣기의 보살이
    되어야 합니다.
  • 1:31 - 1:33
    이러한 깊이 듣기가 없이는...
  • 1:34 - 1:37
    자비심으로 듣기가 없이는
    의사소통이 될수가 없습니다.
  • 1:39 - 1:43
    그런데 우리 자신을 보면
  • 1:44 - 1:49
    진정으로 누군가를 사랑하고
    그가 행복하기를 바라면서도,
  • 1:51 - 1:53
    사랑하는 사람에게 귀 기울이지 않고...
  • 1:53 - 1:56
    깊게 듣기의 능력을 잃은 경우가 많습니다.
  • 1:57 - 1:59
    그래서는 우리는 그를 이해할수 없습니다.
  • 1:59 - 2:01
    그리고 그런 이해가 없다면,
    그 사랑은 진실한 것이 아닙니다.
  • 2:01 - 2:03
    진정한 사랑은 불가능합니다.
  • 2:04 - 2:06
    부처님의 가르침에 의하면,
  • 2:06 - 2:10
    사랑은 이해를 바탕으로
    태어나는 것입니다.
  • 2:11 - 2:13
    이해가 없이는 사랑을 할수 없습니다.
  • 2:14 - 2:17
    이것은 당연한 거지요.
  • 2:20 - 2:23
    남편이 아내를 이해하지 못하면
  • 2:24 - 2:26
    어떻게 아내를 사랑할수 있겠어요?
  • 2:29 - 2:31
    아내가 남편을 이해하지 못한다면
  • 2:33 - 2:35
    그의 어려움을 이해 못하고
  • 2:36 - 2:39
    그의 절망과 희망을 이해 못한다면
  • 2:40 - 2:42
    어떻게 그를 사랑할수 있을까요?
  • 2:42 - 2:48
    그렇기 때문에 부부라면
    자비심으로 듣기를 수련해야하고
  • 2:48 - 2:51
    편견없이 배우자를 이해하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 2:53 - 2:57
    그리고 부모가 아들, 딸을 이해 못하고,
  • 2:59 - 3:03
    그들이 어떤 어려움이 있는지 모르고,
  • 3:03 - 3:05
    어떤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 모른다면,
  • 3:07 - 3:11
    어떻게 자녀를 사랑할수 있을까요?
  • 3:12 - 3:15
    이것은 아주 단순하고도
    분명한 사실입니다.
  • 3:15 - 3:19
    이해가 사랑의 바탕이라는 것은요.
  • 3:20 - 3:26
    상대방을 이해하지 않고서는
    누군가를 사랑한다고 말할수 없습니다.
  • 3:27 - 3:31
    그리고 이해는 그냥 간단히
    생길수 있는것이 아닙니다.
  • 3:32 - 3:34
    우리는 깊이 듣기를 수련해야만
  • 3:35 - 3:38
    진정으로 상대방을 이해할수 있습니다.
  • 3:39 - 3:41
    우리 자신의 생각을 버릴수 있어야 하고
  • 3:42 - 3:44
    선입견을 버려야 합니다.
  • 3:44 - 3:48
    우리는 상대방이 어떨때 행복할거다 라는
    선입견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 3:50 - 3:53
    그리고는 우리의 생각을 상대방에게
    적용시키려 하지요.
  • 3:53 - 3:55
    그렇게 함으로써, 우리는
    상대방에게 고통을 주고...
  • 3:55 - 3:57
    그런 사실을 모르고 살지요.
  • 3:57 - 4:01
    우리는 상대방을 계속해서
    사랑하고 있다고 생각하면서...
  • 4:01 - 4:03
    진심으로 그렇게 믿고 있을수 있습니다.
  • 4:05 - 4:08
    우리 안에 많은 사랑이 있을지는 몰라도,
  • 4:08 - 4:10
    이것은 아직 사랑이 아닙니다.
  • 4:10 - 4:12
    사랑하기 위한 '의도'일 뿐이지요.
  • 4:14 - 4:16
    상대방을 사랑하려는, 상대방을
    행복하게 해주려는 '의도'는...
  • 4:17 - 4:18
    아직 사랑이 아닙니다.
  • 4:20 - 4:23
    진정으로 사랑하기 위해서는
    상대방을 '이해' 해야합니다.
  • 4:25 - 4:27
    그렇기 때문에 누군가를 사랑한다면...
  • 4:29 - 4:31
    그에 대한 깊은 이해를 가지려
    노력해야 합니다.
  • 4:32 - 4:38
    그가 어떤 어려움이 있는지에 대한 이해,
  • 4:40 - 4:46
    그가 그 자신 내면에
    어떠한 고통을 가지고 있는지...
  • 4:48 - 4:50
    어떠한 깊은 소망, 열망을...
  • 4:51 - 4:54
    그가 가지고 있는지...
  • 4:55 - 5:01
    그의 삶에 어떤 장애물 들이
    있는지 등을...
  • 5:01 - 5:03
    볼수 있어야 합니다.
  • 5:04 - 5:06
    이런것을 여러분이 볼수 없다면...
  • 5:06 - 5:08
    어떻게 모든것을 볼수 있겠어요?
  • 5:08 - 5:11
    많은것을 볼수있다 할지라도,
    모든것은 아닐겁니다.
  • 5:14 - 5:16
    그러니 상대방에게 물어보아야 합니다.
  • 5:19 - 5:21
    상대방에게 가서, 직접 물어보세요.
  • 5:23 - 5:25
    "내가 당신을 충분히 이해했나요?"
  • 5:26 - 5:28
    그래야 상대방은 말해줄겁니다.
  • 5:28 - 5:29
    이러한 말은...
  • 5:30 - 5:34
    우리가 진심을 다하여
    물어봐야 들을수 있습니다.
  • 5:35 - 5:38
    "내가 당신을 제대로 이해했나요?"
  • 5:39 - 5:42
    이런 질문을 해야 합니다, 배우자에게...
  • 5:43 - 5:45
    아버지에게, 어머니에게...
  • 5:45 - 5:48
    딸에게, 아들에게요.
  • 5:50 - 5:52
    이렇게 물어볼때...
  • 5:53 - 5:55
    여러분의 주의와 정성을 다하여
    물어보았다면,
  • 5:56 - 5:58
    상대방은 말해 줄겁니다.
  • 5:59 - 6:01
    여러분이 그를 이해할수 있도록
    도와줄겁니다.
  • 6:02 - 6:06
    그래서 여러분이 진정으로 이해했다면,
    여러분이 하는 말, 행동이...
  • 6:06 - 6:08
    더이상 상대방에게 고통을 주지 않을거고...
  • 6:09 - 6:15
    여러분은 그가 어려움을 극복하는데
    도움을 주게 될겁니다.
  • 6:17 - 6:18
    그것이 진정한 사랑입니다.
  • 6:19 - 6:22
    진정한 사랑은 이해에서 옵니다.
  • 6:30 - 6:41
    자비로운 의사소통의 채널은 전화 같은
    기술문명 만으로는 실현할수 없습니다.
  • 6:44 - 6:49
    돈을 들여 그러한 기술로
    의사소통의 방법을 만들지라도...
  • 6:49 - 6:53
    그것이 진정한 의사소통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 6:54 - 6:56
    요즘은 누구나 휴대폰을 가지고 있어서...
  • 6:56 - 7:00
    어디서나 통화를 할수 있습니다.
  • 7:00 - 7:05
    하지만 그런 기기를 손에 가지고 있어도
    의사소통이 되지 않습니다.
  • 7:07 - 7:10
    의사소통의 회복을 위해서는 먼저...
  • 7:11 - 7:14
    우리자신의 견해로부터
    자유로와져야 합니다.
  • 7:14 - 7:18
    나의 의견, 나의 속단으로부터요.
  • 7:20 - 7:22
    나자신의 편견으로부터
    벗어나야 합니다.
  • 7:24 - 7:29
    편견과 속단이 없어지고 다음에야...
  • 7:32 - 7:36
    깊이 보기를 할수 있고...
  • 7:37 - 7:40
    현실을 있는 그대로 볼수 있습니다.
  • 7:41 - 7:43
    그래야 상대방을 있는 그대로
    볼수 있지요.
  • 7:44 - 7:47
    그렇지 않으면 그를 사랑한다고
    아무리 선언해도...
  • 7:48 - 7:51
    그를 전혀 이해한 것이 아닙니다.
  • 7:52 - 7:54
    먼저 나 자신이 그에 대한
    깊이보기를 수행한 다음,
  • 7:55 - 7:57
    그에게 내가 그를 이해할수 있도록
    도와달라고 부탁할수 있습니다.
  • 7:59 - 8:02
    이것이 사랑의 수행입니다.
  • 8:06 - 8:11
    우리는 주로 상대방이 이해할수 없는
    사람이라고 생각할지 몰라도...
  • 8:17 - 8:23
    실제로는 내가 나를 제대로
    이해하고 있지 못한 경우가 많습니다.
  • 8:24 - 8:29
    내가 나 자신에 대해 충분히 알지 못합니다.
  • 8:29 - 8:33
    나 자신의 고통에 대한 이해가 부족합니다.
  • 8:33 - 8:35
    여러분 자신의 고통에 대해서요.
  • 8:35 - 8:40
    자신이 지금 겪고 있는 어려움에 대한
    이해가 없습니다.
  • 8:41 - 8:44
    나 자신이 겪고 있는 어려움의 본성을
    이해 못하고 있습니다.
  • 8:44 - 8:46
    나 자신의 괴로움의 뿌리를 모릅니다.
  • 8:48 - 8:50
    내가 원하는 것에 대한 이해도 없습니다.
  • 8:52 - 8:54
    나 자신이 힘든 상황에 처해 있는데..
  • 8:57 - 9:00
    자신의 상황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기 때문에,
  • 9:00 - 9:04
    자신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기 때문에,
    힘든 상황에서 벗어나지 못합니다.
  • 9:06 - 9:11
    심지어는 나 자신이 그 상황에서 벗어나는 것을
    원하지 않을 때도 있습니다.
  • 9:20 - 9:26
    며칠전 한 19세 비구니 스님에게서
    편지를 받았습니다.
  • 9:27 - 9:33
    그녀의 십대 시절 삶에 대한 글이었는데...
  • 9:36 - 9:39
    매우 진실된 이야기가 있었습니다.
  • 9:40 - 9:42
    그 스님이 이렇게 말했습니다:
  • 9:44 - 9:46
    "우리가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을때...
  • 9:49 - 9:52
    "그런 힘든 상황을 정상적인 것으로
    생각할 때가 있습니다.
  • 9:56 - 9:59
    "그럴때 우리는 그런 상황에 있는
    우리 자신을 보지 못합니다.
  • 10:00 - 10:04
    "그러니 그런 상황에서 벗어나고 싶은
    소망을 갖지도 않는 것입니다.
  • 10:06 - 10:10
    "누군가 나타나서 우리를
    그 상황에서 꺼내주어서...
  • 10:10 - 10:14
    "멀리서, 좀더 위에서, 지금 상황을
    바라볼수 있게 해줄때야 비로소...
  • 10:15 - 10:18
    "내가 그런 상황에 있었다는 것을 볼수 있고...
  • 10:18 - 10:20
    "그때서야 그 상황이 내가 원하지 않는
    것이었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 10:21 - 10:23
    일종의 깨달음이지요."
  • 10:25 - 10:28
    그런 상황에서 자기자신이
    빠져 나와야겠다는 마음이 없다면...
  • 10:28 - 10:30
    영원히 빠져 나오지 못합니다.
  • 10:31 - 10:33
    그러니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그런 상황에서 벗어나야겠다는...
  • 10:34 - 10:36
    의지를 가져야 한다는 것입니다.
  • 10:37 - 10:41
    그런 의지는 현재 처해 있는 곳에서
    우선 벗어나...
  • 10:41 - 10:45
    떨어진 곳에서 돌아 볼 수 있어야지요.
  • 10:45 - 10:49
    그래야 그 상황이 바람직한 상황이
    아니라는 것을 알수 있습니다.
  • 10:49 - 10:52
    나와 나의 동반자는
    그 상황에 갇혀 버린거지요.
  • 10:53 - 10:55
    내가 벗어나려는 의지가 있어야 하고,
  • 10:55 - 10:57
    내 동반자도 거기서 구할 있도록
    내가 원해야 합니다.
  • 10:57 - 11:00
    왜냐하면 우리 둘 모두 매일
    고통의 나날을 보내고 있기 때문이지요.
  • 11:02 - 11:04
    그러니, 가장 먼저 이러한 소망...
  • 11:04 - 11:06
    이러한 상황을 벗어나려는 의지가
    있어야 합니다.
  • 11:10 - 11:14
    만약 내가 먼저 벗어날수 있다면...
  • 11:15 - 11:18
    내 동반자도 거기서 구출할수 있을 것입니다.
  • 11:20 - 11:24
    그래서 내 동반자도 그 자유를 느낄수 있도록
    내가 도와야 합니다.
  • 11:25 - 11:26
    진정한 사랑을요.
  • 11:28 - 11:32
    진정한 사랑, 진정한 행복은
    자유 없이는 불가능합니다.
  • 11:38 - 11:43
    누구나 "행복은 이런거야" 하는
    이상을 가지고 있지요.
  • 11:46 - 11:48
    그리곤 그 이상을 위해 전념합니다.
  • 11:50 - 11:55
    이것, 저것이 없이는 행복할수 없다고...
  • 11:56 - 11:58
    우리는 이야기 하지요.
  • 11:58 - 12:00
    그렇게 우리는 행복에 대한 정의를 내리고...
  • 12:00 - 12:02
    행복에 대한 이상을 가지게 됩니다.
  • 12:02 - 12:06
    그리곤 그 이상에 도달하기 위해
    안간힘을 쓰지요.
  • 12:16 - 12:20
    한 젊은 여성이 누군가와 사랑에 빠졌다고
    가정해 보지요.
  • 12:23 - 12:27
    열정에 빠지고 애착에 빠집니다.
  • 12:30 - 12:34
    그녀는 그 사람 외에는 보이는게 없습니다.
  • 12:35 - 12:41
    그가 그녀 삶의 유일한 이유라고 말합니다.
  • 12:43 - 12:45
    그녀의 "존재 이유 (raison d'être)"라고요.
  • 12:47 - 12:50
    그와 결혼하지 못하면
    차라리 죽는게 낫다고 말합니다.
  • 12:51 - 12:56
    그가 없이는 행복할수 없다고요.
  • 12:58 - 13:03
    그를 가지던지 아니면 죽음이라고요.
  • 13:10 - 13:14
    하지만 그런 상황과 관념에 빠진
    사람이 아니라면...
  • 13:15 - 13:18
    행복은 여러곳에서 오는 것
    이라는걸 알고 있습니다.
  • 13:21 - 13:24
    행복은 동서남북 모든 방향에서
    올수 있습니다.
  • 13:25 - 13:26
    위에서도, 아래에서도요.
  • 13:27 - 13:30
    만약 내가 행복에 대한
    하나의 유일한 이상에 전념해버리고...
  • 13:30 - 13:33
    다른 여지를 막아 버리면...
  • 13:34 - 13:36
    그건 행복의 모든 여지를 막는겁니다.
  • 13:39 - 13:43
    행복이 와서 문을 두드리며
    "문 열어주세요!"라고 외쳐도...
  • 13:43 - 13:45
    나는 "넌 행복이 아니야"
    하고 무시할겁니다.
  • 13:46 - 13:52
    그리곤 행복할수 있는
    다른 모든 기회들을 거부합니다.
  • 13:53 - 13:58
    왜냐하면 나는 행복의 한가지 이상에
    이미 마음이 굳었기 때문이죠.
  • 13:59 - 14:01
    많은 젊은이들이 자살을 합니다...
  • 14:01 - 14:06
    자신이 사랑하는 사람과 결혼할수 없다고요.
  • 14:07 - 14:10
    사랑의 역사를 보면 이런 경우가 많이 있지요.
  • 14:13 - 14:16
    하지만 이런 행복의 관념으로부터 자유로와지면...
  • 14:16 - 14:19
    행복은 어디서나, 언제나,
    올수 있다는걸 알수 있습니다.
  • 14:20 - 14:23
    아침 햇살이 행복을 줄수도 있고...
  • 14:24 - 14:29
    30분 평화롭게 걷기만 해도 행복할수 있고...
  • 14:30 - 14:34
    친구와 스승과 함께 하는
    차 한잔도 행복을 가져오고...
  • 14:35 - 14:38
    우리 삶의 모든 순간에 행복은 있습니다.
  • 14:38 - 14:42
    그런데 왜 단 한가지 행복의 이상에
    목숨을 걸어야 하나요?
  • 14:44 - 14:49
    우리는 기쁨과 행복에 대해
    이야기를 나눈 바가 있었습니다.
  • 14:50 - 14:55
    "놓아주기", "내려놓기"의 수련에서 오는...
  • 14:55 - 14:57
    행복과 기쁨이요.
  • 15:00 - 15:03
    가장 먼저 놓아줘야 할 것은 바로
    우리의 행복에 대한 이상입니다.
  • 15:05 - 15:07
    우리가 행복의 이상을 내려 놓을수 있다면...
  • 15:07 - 15:09
    행복은 아주 쉽게 올것입니다.
  • 15:09 - 15:11
    내가 만약 불행하다고 생각한다면,
  • 15:11 - 15:15
    그건 내가 나의 행복의 이상에 사로잡혀 있어
    그런걸지도 모릅니다.
  • 15:17 - 15:20
    만약 나의 동반자가 불행하다면,
  • 15:20 - 15:26
    그건 내가 내 행복의 이상을
    그에게 강요해서 그럴 것입니다.
  • 15:27 - 15:29
    아주 분명하고...
  • 15:30 - 15:32
    단순한 이치입니다.
  • 15:32 - 15:36
    (번역: 한국 주의깊음 수련 상가)
Title:
Understanding is Love's other name | Thich Nhat Hanh (short teaching video)
Description:

more » « less
Video Language:
English
Duration:
15:39

Korean subtitles

Revis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