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파리는 어떻게 침을 쏠까요? | 네오샤 S. 카셰프(Neosha S Kashef)|TED-Ed
-
0:07 - 0:11바다에서 수영을 하고 있을 때
무언가가 다리를 스치고 지나갑니다. -
0:11 - 0:12따끔거림을 느낄 때 쯤
-
0:12 - 0:16해파리에게 쏘였다는 것을 알게 되지요.
-
0:16 - 0:21이렇게 예쁘고, 젤리같은 생명체가
어떻게 아픈 침을 갖게 되었을까요? -
0:21 - 0:24몸의 95%가 물이기 때문에
해파리의 몸은 매우 부드럽습니다. -
0:24 - 0:29그리고 '간충'이라는 반투명한
젤 같은 물질로 이루어져 있죠. -
0:29 - 0:31이런 여린 몸을 가진 해파리는,
-
0:31 - 0:36'자세포'라는 몇 천 개의
독을 가진 독침세포를 이용해서 -
0:36 - 0:38몸을 보호하거나 먹이를 포획합니다.
-
0:38 - 0:41지우개 정도 크기의 어린 해파리조차도
-
0:41 - 0:44독침을 쏘는 능력을 갖고 있죠.
-
0:44 - 0:50유생 해파리인 '에피라'는 바다 속에서
흔들리는 작은 꽃처럼 생겼습니다. -
0:50 - 0:53이들은 성장하면서 위에 종을 하나
달고 있는 우산 모양이 됩니다. -
0:53 - 0:56그 주변에 있는 촉수는 아래를 향하죠.
-
0:56 - 0:58"사자의 갈기"라 불리는 해파리는
해파리 중에서 가장 큰 종이며 -
0:58 - 1:02촉수를 30미터 이상
길게 뻗을 수 있습니다. -
1:02 - 1:04흰긴수염고래보다 더 길죠.
-
1:04 - 1:07그 촉수들 대부분은
독침 세포를 가지고 있습니다. -
1:07 - 1:11어떤 해파리는 종 모양 부분에도
독침세포를 가지고 있기도 하죠. -
1:11 - 1:14독은 가시세포를 통해서 분출되고,
-
1:14 - 1:16채찍처럼 생긴 가느다란
관모양의 가시세포는 -
1:16 - 1:20높은 삼투압으로 코일처럼 감겨 있습니다
-
1:20 - 1:25기계적 혹은 화학적 자극이
외부에 있는 방아쇠를 작동시키면 -
1:25 - 1:29세포의 뚜껑이 열리고
바닷물이 밀려 들어옵니다. -
1:29 - 1:33이 힘으로 작고 뾰족한
가시세포를 쏘아서 -
1:33 - 1:37피해자의 피부를 관통하여
독을 주입합니다. -
1:37 - 1:42가시세포의 발사는 백만분의 1초보다
짧은 순간에 일어나며 -
1:42 - 1:45가장 빠른 생물 역학적 반응 중
하나로 알려져 있습니다. -
1:45 - 1:50가시세포는 해파리가 죽은 뒤에도
계속 발사될 수 있기 때문에 -
1:50 - 1:54피부에 있는 해파리 촉수의 가시를
제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1:54 - 1:59식초로 씻어내면 발사되지 않은
가시세포를 무력화 할 수 있습니다. -
1:59 - 2:03바닷물도 남은 가시세포를
제거하는 데에 도움이 되죠. -
2:03 - 2:06하지만 깨끗한 물은 사용하지 마세요.
왜냐하면 염도 균형에 변화를 일으켜 -
2:06 - 2:09자세포 외부의 삼투압이 바뀌고
-
2:09 - 2:12가시세포의 발사를 유발할 테니까요.
-
2:12 - 2:16때문에 통증부위에
소변을 바르는 민간 요법은, -
2:16 - 2:22그 성분에 따라서 상처의 상태를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
2:22 - 2:25많은 해파리의 독침은 고통스럽고
성가실 뿐이지만 -
2:25 - 2:26일부는 치명적일 수도 있습니다.
-
2:26 - 2:30바다 말벌이라 불리는
인도양의 상자 해파리는 -
2:30 - 2:33심장 근육의 마비를 일으킬 수 있는
독을 가지고 있습니다. -
2:33 - 2:36양이 많을 경우 사망에 이르기도 하죠.
-
2:36 - 2:38해독제가 있기는 하지만,
독이 빠르게 몸에 퍼지기 때문에 -
2:38 - 2:42가능한 빨리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
2:42 - 2:45촉수의 놀라운 능력에도 불구하고
-
2:45 - 2:47그렇다고 해서 해파리가
무적인 것은 아닙니다. -
2:47 - 2:51두꺼운 피부 갑옷을 가진 포식자에게는
독침세포도 당해낼 수가 없죠. -
2:51 - 2:55장수 거북이나 개복치 등이 그 예입니다.
-
2:55 - 2:59이들 포식자들은
미끄러운 해파리를 삼켰을 때 -
2:59 - 3:02도망가지 못하도록 적응되어 있습니다.
-
3:02 - 3:05거북의 입과 식도에는
안 쪽을 향해서 가시가 나 있으며 -
3:05 - 3:09개복치 뺨 뒤의 이빨은
휘어져 있습니다. -
3:09 - 3:13바닷가재의 작은 유충들조차
해파리의 종 부분에 매달려서 -
3:13 - 3:14무임승차를 할 수 있습니다.
-
3:14 - 3:18자기 성장을 위해 에너지를 아끼면서
해파리를 먹기도 하죠. -
3:18 - 3:23작고 민첩한 물고기들은 해파리를
호신용의 움직이는 산호초로 사용합니다. -
3:23 - 3:27촉수를 건드리지도 않으면서
그 사이를 재빨리 돌아다니죠. -
3:27 - 3:30보호 점액으로 덮힌 갯달팽이같은
나새류 생물들은 -
3:30 - 3:34해파리의 자세포를 먹어서
그 방어기능을 빼앗을 수 있고 -
3:34 - 3:38나중에 활용하기 위해
특별한 주머니에 담아 갖고 다닙니다. -
3:38 - 3:40자신의 포식자에 대항하기 위한
무기로 사용하는 것이죠. -
3:40 - 3:44사람들도 언젠가는 해파리의 독침을
활용하게 될 것입니다. -
3:44 - 3:48과학자들은 자세포를 조작해서
치료제를 주입하는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
3:48 - 3:52가시세포는 일반 주사바늘 크기의
3%도 안되기 때문이죠 -
3:52 - 3:57그러니, 다음에 바다로 놀러갈 때는
부디 조심하세요. -
3:57 - 4:00하지만, 또한 그 경이로움에
잠시 빠져 드는 것도 좋겠네요.
- Title:
- 해파리는 어떻게 침을 쏠까요? | 네오샤 S. 카셰프(Neosha S Kashef)|TED-Ed
- Description:
-
전체 영상: http://ed.ted.com/lessons/how-does-a-jellyfish-sting-neosha-s-kashef
바다에서 수영을 하고 있을 때, 무언가가 다리를 스칩니다. 따끔거림이 시작되고 나서야 해파리에 쏘였음을 알게 되죠. 이 아름답고 젤리 같은 생물이 어떻게 그런 아픈 바늘을 같게 되었을까요? 네오샤 S. 카셰프가 그 독침에 숨겨진 과학적 사실을 들려 줍니다.
- Video Language:
- English
- Team:
closed TED
- Project:
- TED-Ed
- Duration:
- 04:17
![]() |
Jihyeon J. Kim approved Korean subtitles for How does a jellyfish sting? - Neosha S Kashef | |
![]() |
Jihyeon J. Ki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How does a jellyfish sting? - Neosha S Kashef | |
![]() |
Jihyeon J. Ki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How does a jellyfish sting? - Neosha S Kashef | |
![]() |
Jihyeon J. Ki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How does a jellyfish sting? - Neosha S Kashef | |
![]() |
Jihyeon J. Kim accepted Korean subtitles for How does a jellyfish sting? - Neosha S Kashef | |
![]() |
Jihyeon J. Ki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How does a jellyfish sting? - Neosha S Kashef | |
![]() |
Jihyeon J. Ki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How does a jellyfish sting? - Neosha S Kashef | |
![]() |
Jihyeon J. Ki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How does a jellyfish sting? - Neosha S Kashef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