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turn to Video

뉴런의 해부학적 구조

  • 0:00 - 0:00
  • 0:01 - 0:04
    우리는 어떤것이 인간의 몸중에서 가장 흥미로운 세포인지에 관해 논쟁을 하곤 합니다.
  • 0:04 - 0:08
    하지만 저는 신경세포가 아마도
  • 0:08 - 0:09
    탑 5에 들거같군요. 왜냐하면 그것 자체가 아주 흥미롭기 떄문이죠.
  • 0:09 - 0:11
  • 0:11 - 0:14
    신경세포가 우리의 뇌와 신경구조에 필수적 구성요소이며
  • 0:15 - 0:17
    사고와 감정을 담당한다는것, 그리고
  • 0:17 - 0:22
    모든 감각을 담당한다는 사실이 신경세포를
  • 0:22 - 0:25
    1위 혹은 2위로 쉽게 만들어 줄것 같습니다.
  • 0:25 - 0:27
    그래서 우선 제가 하고싶은것이
  • 0:27 - 0:28
    바로 뉴런이 어떻게 생겼는지 보여주는 것입니다.
  • 0:28 - 0:30
    물론 아주 완벽한 예시가 될것입니다.
  • 0:30 - 0:32
    물론 모든 신경세포가 이렇게 생긴것은 아닌데요
  • 0:32 - 0:33
    그러면 우리가 조금 이야기 해볼것은,
  • 0:33 - 0:37
    그 길이를 통과하여 수신된 신호에 따라
  • 0:37 - 0:41
    어떻게 스스로 신호를 전송하고 통신하는
  • 0:41 - 0:43
    기능을 수행하는가 입니다.
  • 0:43 - 0:45
    신경세포를 한번 그려보면,
  • 0:45 - 0:47
    좀더 좋은 색깔을 고를게요.
  • 0:47 - 0:51
    브러쉬가 약간 날카롭네요.
  • 0:51 - 0:52
    그러면 신경세포에 대해 이야기해볼께요
  • 0:52 - 0:53
    신경세포는 이런식으로 생겼습니다.
  • 0:53 - 0:58
    중간에 세포체가 있고, 세포체로부터
  • 0:58 - 1:01
    핵을 그려보겠습니다.
  • 1:01 - 1:03
    이것이 핵인데 다른 핵들의 뉴런과 똑같아요.
  • 1:03 - 1:07
    세포체는 신경세포의 몸체로 간주됩니다.
  • 1:07 - 1:09
    그리고 세포체는 이런식으로 튀어나온 작은 것들,
  • 1:09 - 1:14
    여기서부터 갈라지는 것이 있습니다.
  • 1:14 - 1:16
    아마도 이것들은 이런식으로 생겼을텐데요
  • 1:16 - 1:19
    신경세포 그리는데 너무 많은 시간을 쓰고싶진 않네요.
  • 1:19 - 1:24
    하지만 아마도 이런 그림을 이전에 본적이 있을거에요.
  • 1:24 - 1:28
    그러면 신경세포의 세포체 갈라진 것들을
  • 1:28 - 1:32
    우리는 수상 돌기라고 부릅니다.
  • 1:32 - 1:34
    그들을 이런식으로 찟어져 있어요.
  • 1:34 - 1:37
    그림을 좀 잘그리고 싶은데 말이죠
  • 1:37 - 1:39
    그림을 그리는데 좀더 시간을 써보겠습니다.
  • 1:39 - 1:40
    당신은 이런식의 수상돌기를 원할거에요.
  • 1:43 - 1:46
    바로 여기가 수상돌기입니다.
  • 1:46 - 1:47
    그리고 이 신경세포는-
  • 1:47 - 1:48
    생물학에 있어서 항상 성립하지는 않는편입니다.
  • 1:50 - 1:53
    때로는 다른 세포의 다른 파트에서 다른 기능을
  • 1:53 - 1:57
    갖기도 하는데요 하지만 이 수상돌기는
  • 1:57 - 1:58
    신경세포가 신호를 받는 편입니다.
  • 1:58 - 2:01
    그리고 신호를 받고 전송한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 2:01 - 2:02
    이영상에서 앞으로 좀더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 2:02 - 2:05
  • 2:05 - 2:10
    자, 신호를 받는곳이 여기고
  • 2:10 - 2:11
    여기는 수상돌기 입니다.
  • 2:11 - 2:13
    신경세포는 바로 여기입니다.
  • 2:13 - 2:14
    신경세포는 몸을 의미하죠.
  • 2:14 - 2:17
    이것이 신경세포의 몸입니다.
  • 2:17 - 2:21
    그리고 여기 보면 꼬리같은 것을
  • 2:21 - 2:22
    볼수있는데요
  • 2:22 - 2:23
    이것은 축색돌기라고 부릅니다.
  • 2:23 - 2:26
    축색돌기
  • 2:26 - 2:30
    신경세포는 크기의 범위가 아주 크긴 하지만
  • 2:30 - 2:33
    적당하게 큰 사이즈입니다. 하지만 축색돌기는 꽤 길어요.
  • 2:33 - 2:34
    짧을 수도 있구요.
  • 2:34 - 2:37
    때로는 여러분의 뇌속에도 매우 은 축색돌기가 있을 수 있습니다.
  • 2:37 - 2:40
    하지만 그것들은 아마 척추로 내려가거나
  • 2:40 - 2:42
    또는 팔하나로 이동할것입니다.
  • 2:42 - 2:44
    만약 당신이 공룡의 팔 하나를 말한다면 말이죠,
  • 2:44 - 2:47
    축색돌기는 실제로 수 피트로 늘어납니다.
  • 2:47 - 2:49
    모든 신경세포의 축색돌기가 여러 피트로 뻗지 않습니다.
  • 2:49 - 2:50
    하지만 그들은 가능하죠.
  • 2:50 - 2:52
    그리고 이곳은 신호들이 많은 거리를 이동하는 곳이기도 합니다.
  • 2:52 - 2:55
  • 2:55 - 2:58
    제가 한 번 축색돌기를 그려보겠습니다.
  • 2:58 - 3:02
    축색돌기는 이런 것처럼 보이겠죠.
  • 3:02 - 3:06
    마지막에는, 축색돌기는 축삭종말에 도달해
  • 3:06 - 3:10
    다른 수상돌기나 종류의 조직,
  • 3:10 - 3:14
    또는 만약 이 신경세포의 지점이 근육에게 무언가를 시키는 경우에는
  • 3:14 - 3:15
    근육과 연결됩니다.
  • 3:15 - 3:17
    즉, 돌기의 끝에서 아마도 축색
  • 3:17 - 3:18
    종말이 여기 이곳일텐데요
  • 3:19 - 3:22
    이걸 그리는 데 최선을 다해볼게요.
  • 3:22 - 3:23
    이름을 붙여 볼까요.
  • 3:23 - 3:25
    그러니까, 여기는 축색돌기,
  • 3:25 - 3:27
    여기는 축색종말 입니다.
  • 3:27 - 3:30
  • 3:30 - 3:33
    그리고 여러분은 이 단어를 때때로 들어 보았을텐데요 이 지점은
  • 3:33 - 3:37
    신경세포체 혹은 신경세포의 몸 으로 수상돌기와 이어지고
  • 3:37 - 3:39
    주로 축삭소구로 불립니다.
  • 3:39 - 3:41
    아마도 이걸 덩어리와 같은 것으로 보입니다.
  • 3:41 - 3:43
    이것이 축색돌기를 형성하기 시작합니다.
  • 3:44 - 3:47
  • 3:47 - 3:55
    그리고 나서 우리는 어떻게 자극이 이동하는지에 대해 이야기할겁니다.
  • 3:55 - 3:59
    자극이 효과적으로 이동하는데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 3:59 - 4:01
    축색돌기 주위의 절연처리 된 세포들입니다.
  • 4:01 - 4:04
  • 4:04 - 4:07
    이것이 실제로는 어떻게 작용하는지 자세히 이야기 해보도록 하죠.
  • 4:07 - 4:09
    일단 해부학적 구조를 먼저 짚고 넘어가는게 좋습니다.
  • 4:09 - 4:17
    그러니까, 이것들은 슈반세포라고 부릅니다.
  • 4:17 - 4:20
    이들은 수초를 만들어 축색돌기를 감쌉니다.
  • 4:20 - 4:23
    이 보호 역할을 하는 절연체는,
  • 4:23 - 4:25
    각각 다른 간격의 축색돌기 주변에 있으며 이것은
  • 4:25 - 4:27
    수초라고 합니다.
  • 4:27 - 4:30
    그러니까, 이 슈반세포는 수초를 만들 수 있습니다.
  • 4:30 - 4:31
    이와 비슷하게 한 번 더 그려볼게요.
  • 4:35 - 4:38
  • 4:40 - 4:43
    수초의 가운데에 약간의 공간들이 존재하는데요,
  • 4:43 - 4:46
    이것도 이름이 있는데
  • 4:46 - 4:50
    -우리가 알고 있는 신경세포 해부학의 전문용어로는
  • 4:50 - 4:52
    랑비에 결절이라고 합니다.
  • 4:57 - 4:58
    아마도 랑비엘의 이름에서 따왔겠죠.
  • 4:58 - 5:00
    아마도 그는 이 작은 틈인
  • 5:00 - 5:03
    수초가 없는 부분을 찾아서 본 것 같습니다.
  • 5:03 - 5:05
    그래서 랑비에 결절이라고 부르게 된 것입니다.
  • 5:05 - 5:08
    그렇다면 일반적인 생각은 , 제가 언급했듯이 ,
  • 5:08 - 5:09
    여기서 신호를 받게 됩니다.
  • 5:09 - 5:10
  • 5:10 - 5:11
    우리는 신호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어떻게 신호가 도달하는지,
  • 5:11 - 5:14
    그리고 실제로는 신호가 어떻게 합쳐지는지에 대해서 더 이야기해보겠습니다.
  • 5:14 - 5:17
    당신은 여기서 작은 신호를 받을 수 있습니다.
  • 5:17 - 5:19
    또 다른 신호가 여기에 있고 당신은 아마도
  • 5:19 - 5:23
    더 큰 신호를 여기서 가질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것들은
  • 5:23 - 5:27
    이 신호들은 모두 합쳐지고 그들은 축색종말로 이동하게 되는데요,
  • 5:27 - 5:30
    만약 그 신호들이 충분히 크다면 그들은
  • 5:30 - 5:35
    축색돌기에 활동전위를 일으킵니다.
  • 5:35 - 5:38
    이것은 신호가 축색의 중심쪽으로 이동하게 유도하며
  • 5:38 - 5:43
    바로 여기서 시냅스를 통하여
  • 5:43 - 5:44
    다른 수상돌기 또는 근육으로 연결됩니다.
  • 5:44 - 5:46
    그래서 우리는 시냅스에 대해 더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시냅스들은
  • 5:46 - 5:48
    다른 것들을 유발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 5:48 - 5:50
    당신이 질문하겠죠, 여기서 무엇이 유발되는 걸까요?
  • 5:50 - 5:55
    음, 이것은 마치 뇌처럼 다른 신경세포의
  • 5:55 - 5:57
    축색돌기의 끝일 수도 있습니다.
  • 5:57 - 5:59
    이 것은 감각뉴런의 어떤 종류일수도 있겠죠.
  • 5:59 - 6:02
    아니면 이 것은 어떤 곳의 미뢰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소금 분자나
  • 6:02 - 6:06
    설탕 분자들이 이곳을 자극할수도 있어요.
  • 6:06 - 6:07
    또는 이 것이 감각신경의 종류 일 수 있겠죠.
  • 6:07 - 6:09
    그 것은 여러 종류의 다른 것들을 한꺼번에 묶은 것일 수 있으며
  • 6:09 - 6:12
    우리는 다른 종류의 신경세포에 대해 더 많이 이야기해볼거에요.
Title:
뉴런의 해부학적 구조
Description:

Introduction to the neuron and its anatomy

more » « less
Video Language:
English
Duration:
06:13

Korean subtitles

Revis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