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정보기술: 우리가 우리의 뇌 회로를 통제할 수 있을까 | 이진형 | TEDxKFAS
-
0:15 - 0:21제가 사랑하는 할머니께서는
올해 2월 28일에 돌아가셨습니다. -
0:21 - 0:26뇌졸중으로 오랜 시간 고생하시다가요.
-
0:26 - 0:28어느날, 할머니께서 쓰러지셨죠.
-
0:28 - 0:31몇 일 뒤 할머니는 병원에서 깨어나
-
0:31 - 0:36몸 오른쪽 부분이 완전히
마비된 당신을 발견하셨습니다. -
0:36 - 0:40할머니의 머리에서 터진 것은
그냥 작은 혈관이었지만, -
0:40 - 0:43그것은 삶을 바꾸는 영향을 끼쳤으며
-
0:43 - 0:48이제 할머니는 더이상 스스로
몸을 움직일 수 없게 되셨습니다. -
0:48 - 0:53다음 3년 반동안
할머니께선 입원해계셨고, -
0:53 - 0:57많은 재활 치료를 받으셨습니다.
-
0:57 - 1:00결국은 보조자의 엄청난 도움으로
-
1:00 - 1:05겨우 걸을 수 있게 되셨죠.
-
1:05 - 1:10그리고, 할머니는 집으로 돌아오신 후
다음 8년을 침대에 누워계시다가 -
1:10 - 1:13올해 돌아가셨습니다.
-
1:14 - 1:20할머니께서 이렇게 고통스럽고
파괴적인 질병을 앓으신걸 보면서, -
1:20 - 1:24제게 가장 어렵고도 고통스러운 점은
-
1:24 - 1:29할머니의 머릿속 작은 혈관이 터졌을 때
-
1:29 - 1:32할머니께서 잃어버리신 것을
다시 드려서 -
1:32 - 1:37다시 몸을 가누실 수 있게 하기 위해
-
1:37 - 1:42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었다는 것이었습니다. -
1:42 - 1:47컴퓨터나 휴대폰 같은 기기가 고장나면
-
1:47 - 1:49우린 무엇을 하죠?
-
1:49 - 1:52그냥 그걸 편안한 곳에 올려놓고
-
1:52 - 1:58다시 시작할 때까지
계속 버튼만 누르나요? -
1:59 - 2:01음, 네, 전 가끔 그럽니다.
-
2:01 - 2:07하지만 그걸 정말 고치고 싶다면,
그렇게 해선 안되죠. -
2:07 - 2:12기기가 고장나면,
우리는 곧장 다시 시작합니다. -
2:12 - 2:15고장난 소프트웨어가 있으면
프로그램을 다시 만들죠. -
2:15 - 2:18고장난 전선이 있으면
전선을 교체합니다. -
2:18 - 2:23낡거나 고장난 부분이
있으면 교체해버리죠. -
2:23 - 2:30질문은: 우리의 뇌에게도
똑같은 일을 할 수 있을까요? -
2:32 - 2:35뇌 질환에는 여러 종류가 있습니다.
-
2:35 - 2:38그중 몇몇은 다음의 것들이죠.
-
2:38 - 2:44혈관이 터져 뇌에 손상을 주는
뇌졸중도 이에 포함됩니다. -
2:44 - 2:47뇌전증이라는 병도 있습니다.
-
2:47 - 2:50갑자기 아무런 경고도 없이 뇌 속에서
-
2:50 - 2:53통제불가능한 활동이 일어나
-
2:53 - 2:56더이상 스스로를
통제할 수 없게 되는 병이죠. -
2:56 - 2:59그리고 이것은 우리 대부분에게
아주 낯선 개념으로 보입니다만, -
2:59 - 3:02이것은 안좋은 시기, 안좋은 장소에
머리를 부딪히는 것만으로도 -
3:02 - 3:06여러분 중 누구에게나 일어날 수 있는 일입니다.
-
3:06 - 3:10또다른 뇌 질환이자 정신의학적 질환은
-
3:10 - 3:15무기력함과 슬픔을
느끼는 우울증도 있습니다. -
3:15 - 3:17자폐라고 불리는 것도 있죠.
-
3:17 - 3:23아이들이 타인과 관계 맺는 것을
어렵게 여기게 되는 질병입니다. -
3:23 - 3:26그리고 신경퇴행성
질병이라는 범주도 있어 -
3:26 - 3:30이 안에는 파킨슨과
알츠하이머가 포합됩니다. -
3:30 - 3:33파킨슨 질병의 경우
-
3:33 - 3:37떨기 시작하며 더이상
몸 움직임을 조절할 수 없게 되죠. -
3:37 - 3:39그리고 알츠하이머의 경우
-
3:39 - 3:45기억을 잃어 궁극적으로는
스스로가 누군지 잊게 되죠. -
3:47 - 3:51신경적질병들이 다양한 반면,
-
3:51 - 3:54이 모든 것들에 비해
평범한 것도 있습니다. -
3:54 - 3:58증가하는 유행과 비용에도 불구하고,
-
3:58 - 4:04어느 누구에게도 치료약이 없는
아주 흔한 병 하나가 있죠. -
4:04 - 4:07화면 위 저 숫자들 보이시나요?
-
4:07 - 4:09저건 아주, 아주 큰 숫자입니다.
-
4:09 - 4:12예를 들면, 알츠하이머의 경우
-
4:12 - 4:19우리는 2050년 쯤이면
알츠하이머를 치료하는데 -
4:19 - 4:211.1조를 쓸것으로 예상됩니다.
-
4:21 - 4:23만약 아무것도 치료하지 못하고
계속 도움만 주는 이 상황이 -
4:24 - 4:26계속된다면 말이죠.
-
4:26 - 4:30그건 미국 국내총생산량의
6%를 넘습니다. -
4:30 - 4:33지속가능한 숫자가 아니죠.
-
4:33 - 4:37우리가 사랑하는 사람들을
치료해야 한다는 사실에 이어, -
4:37 - 4:40우리는 또한 환자들을 치료하다가
-
4:40 - 4:47완전히 부도나지 않기 위해
이에 대한 해결책이 필요합니다. -
4:47 - 4:54그러니까 질문은: 왜 우리는 이 질병들을
어떻게 치료하는지 모를까요?" -
4:54 - 4:59그에 대한 질문은
이 하나의 질문으로 쪼그라듭니다: -
4:59 - 5:01뇌는 어떻게 작동할까요?
-
5:01 - 5:04아시는 분 계신가요?
-
5:04 - 5:08불행히도 우리 중 어느 누구도 모릅니다.
-
5:08 - 5:12그리고 우리가 뇌의
원리를 모르기 때문에, -
5:12 - 5:17그걸 고치려고 하는 것이 불가능한거죠.
-
5:17 - 5:20음, 포기하기엔 이릅니다.
-
5:20 - 5:24우리가 이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무엇을 알고 -
5:24 - 5:27무엇을 할 수 있는지 생각해봅시다.
-
5:28 - 5:31먼저 우리가 뇌에 대해 아는 것은
-
5:31 - 5:36그것이 뉴런이라는 단위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
5:36 - 5:38이것은 아주 특별한 세포죠.
-
5:38 - 5:45이것은 수상 돌기라는 것을 통해
신호를 받아들입니다. -
5:45 - 5:48그리고 이 신호들은
세포 내에서 가공되어, -
5:48 - 5:53결과물을 디지털 형태의
전기신호로 만들어내는데, -
5:53 - 5:56이것을 활동전위라고 부르죠.
-
5:56 - 6:02이것은 다음 뉴런으로 메세지를
전달하기 위해 축삭돌기로 보내집니다. -
6:02 - 6:05이런 단순한 작업을 하는 작은 장치인 셈이죠.
-
6:05 - 6:11그리고 많은 뉴런들은
우리의 뇌 속에 합쳐져 -
6:11 - 6:13뇌 회로를 만듭니다.
-
6:14 - 6:18그리고 이 뇌 회로는
우리가 하는 모든 것들, -
6:18 - 6:24우리의 행동을 통제하기 위해
역동적 전기 신호를 보냅니다. -
6:24 - 6:27그러면 이제 해야 할 것은 꽤 간단하죠.
-
6:27 - 6:29우리가 해야 하는 것은
-
6:30 - 6:35이 신경 회로들이 어떻게
우리의 행동을 끌어내는지 이해한 후 -
6:35 - 6:38잘못되면 고치는 것입니다.
-
6:39 - 6:42듣기엔 쉬울지 모르나,
실제로는 꽤 복잡합니다. -
6:42 - 6:47우리가 이에 대해 해결책이 없는
아주 타당한 이유가 있습니다. -
6:47 - 6:50이 이유들을 보시죠.
-
6:50 - 6:53이 이유들 중 몇몇은 꽤 분명합니다.
-
6:53 - 6:58하나는 우리의 뇌가 두개골로
둘러싸여 있다는 점입니다. -
6:58 - 7:01우리의 뇌를 보호하기 위함이죠.
-
7:01 - 7:05하지만 내부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알아내고자 하는 우리들에겐 -
7:05 - 7:08일을 정말 어렵게 만듭니다.
-
7:08 - 7:12뇌가 두개골로 둘러싸여있기 때문에
우리의 모든 현미경 도구들은 -
7:13 - 7:15내부를 들여보기 위해
쓰일 수가 없습니다. -
7:15 - 7:20두개골 안으로 들어가면
더 큰 문제가 있죠. -
7:20 - 7:23그것이 엄청 복잡하다는 것입니다.
-
7:24 - 7:30뇌속에 있는 뉴런의 수는
대략 1000억개 입니다. -
7:30 - 7:331000억이 어느정도인지 알려드리자면,
-
7:33 - 7:35전 세계 인구를 떠올려보세요.
-
7:35 - 7:411000억은 전체 인구보다 큰 규모입니다.
-
7:41 - 7:46우리는 빅 데이터에 대해 이야기하죠,
다른 사람들 사이의 네트워크입니다. -
7:46 - 7:51하지만 사실 우리는 우리의 뇌속에
훨씬 복잡한 것을 가지고 있습니다. -
7:52 - 7:55그보다, 저는 뉴런에 대해 말씀드렸죠.
-
7:55 - 7:58하지만 여러 다른 종류의
뉴런도 있습니다. -
7:58 - 8:01그것들은 모두 같지 않습니다.
서로 다른 일들을 하죠. -
8:01 - 8:03그리고 그것들은 뇌 속에
밀집하게 섞여있으며, -
8:03 - 8:04뇌의 이 부분에는 이 뉴런이 있고
-
8:04 - 8:07저 부분에는 다른 뉴런이 있다라고
-
8:07 - 8:11실제로 말할 수 없습니다.
-
8:12 - 8:14게다가 설상가상으로,
-
8:14 - 8:16여러분의 모든 뉴런들은,
-
8:16 - 8:19옆에 있는 뉴런들에게만 말하지 않습니다.
-
8:19 - 8:24뇌의 다른 부분들에
모두 연결고리가 있어, -
8:24 - 8:26아주 거대 규모 연결을 만들어내는데,
-
8:26 - 8:30이 말은 만약 뇌의
한 부분을 그냥 보게되면, -
8:30 - 8:34뉴런이 무엇을 하는지
알 도리가 없다는 겁니다. -
8:35 - 8:37그리고 이 모든 것이 결합되어서
-
8:37 - 8:42뇌의 작동원리를 알아내는 것을
엄청나게 어렵게 만듭니다. -
8:43 - 8:46그러나, 이런 상황속에서,
-
8:46 - 8:50우리는 뇌를 이해하고
이 상황을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를 -
8:50 - 8:52생각하기 시작해야 합니다.
-
8:52 - 8:55복잡한 체계를 이해하고 싶다면,
-
8:55 - 8:58많은 다른 접근들이 있었습니다.
-
8:58 - 9:00하지만 두가지 다른 것들에
대해 생각해봅시다. -
9:00 - 9:05제가 여러분들의 손 위에
새로운 기기를 주었다고 해봅시다. -
9:05 - 9:07이것이 휴대폰이라고 해봅시다.
-
9:07 - 9:10여러분이 이 기기가
무엇인지 알아내는 방법은, -
9:10 - 9:14그곳에 앉아 수동적으로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지켜보는 겁니다. -
9:14 - 9:17제가 여러분에게
무슨 휴대폰을 드렸는지에 따라 -
9:17 - 9:19그곳에 앉아서 몇시간동안
아무일도 일어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9:19 - 9:22그리고 그게 실제로는
시계라고 결론짓는거죠. -
9:22 - 9:26어떤 시스템에서 의미있는 정보를
-
9:26 - 9:29얻고 이해하기 위한 훨씬 나은 방법은
-
9:29 - 9:33그것들과 놀기 위해 노력하는 것입니다.
-
9:33 - 9:36버튼을 누르고, 입력을 하고,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보는거죠. -
9:36 - 9:39심지어 이 폰이 아무런 전화도
받지 못하는 휴대폰이더라도, -
9:39 - 9:41버튼을 누르고 무슨 일이
생기는지 보고있으면, -
9:41 - 9:44그것이 전화를 할 수 있고
전화기라는 것을 알게 될 것입니다. -
9:44 - 9:47뇌에게도 그런 일을 하기 위해서는,
-
9:47 - 9:49우리가 무엇을 할 수 있어야 하냐면,
-
9:49 - 9:53뇌 회로의 특정 회로에
시험용으로 입력하고 -
9:53 - 9:58전체 손상 부위에 거쳐
역동적인 활동을 측정하는 것입니다. -
9:59 - 10:02자, 이것을 하기 위해서,
무엇을 해야할까요? -
10:02 - 10:04우리는 두개의 구성요소가 필요합니다.
-
10:04 - 10:10하나는 고도의 정밀함으로
모든 회로 요소들을 자극하는 것입니다. -
10:10 - 10:15방금 전에 회로가 많은 여러 종류의
세포로 이루어져 있다고 말씀드렸죠, -
10:15 - 10:18그리고 그것들은
전기 신호로 소통한다고요. -
10:18 - 10:20만약 전극을 주입하면-
-
10:20 - 10:23그건 체계를 동요시키는 데
사용하는 전략입니다- -
10:23 - 10:26그리고 뇌에 입력을 하면요.
-
10:26 - 10:29하지만 많은 종류의
세포가 있기 때문에, -
10:29 - 10:32그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해독하는 것은 아주 어렵습니다. -
10:32 - 10:35예를 들면, 휴대폰의 볼륨을
올렸다 내렸다 하는 -
10:35 - 10:37버튼을 알아내려고 할 때
-
10:37 - 10:43동시에 두 버튼을 누르면,
어떻게 될까요? -
10:43 - 10:45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을 수도 있고,
-
10:45 - 10:46올라가거나, 내려갈수도 있습니다.
-
10:46 - 10:49이 버튼이 뭘 하는지에 대해
아주 혼란스러움을 느끼겠죠. -
10:49 - 10:53당신이 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은
이 버튼들을 따로 눌러 -
10:53 - 10:55한 버튼이 볼륨을 높이고,
-
10:55 - 10:57다른 버튼이 볼륨을 낮춘다는 것을 본 후,
-
10:57 - 11:00그것이 무엇을 하는지
똑바로 알아내야 합니다. -
11:00 - 11:03그러므로 뇌에게 똑같은 것을 하려면,
-
11:03 - 11:09우리에게 이것을 해주게 하는
광유전학 기술이라는 고상한 기술이 있습니다. -
11:09 - 11:15이것이 하는 것은 유전적으로
뇌 속에 있는 세포를 조작하여 -
11:15 - 11:20특정한 세포 종류만,
오직 '볼륨 높임' 버튼만 -
11:20 - 11:23자극에 반응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
11:23 - 11:25그럼으로써 이제 우리는 도구로
-
11:25 - 11:28뇌 속의 특정적인 버튼을 눌러
-
11:28 - 11:31그것이 무엇을 하는지
이해할 수 있습니다. -
11:32 - 11:35이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한
예시를 드리기 위해, -
11:35 - 11:37우리는 뇌 속 같은 장소에 위치한
-
11:37 - 11:41두개의 다른 종류의 뉴런을 자극하는
-
11:41 - 11:45실험을 보게 될겁니다.
-
11:45 - 11:47이것들은
중간크기 돌기 뉴런이라고 불립니다. -
11:47 - 11:51하나는 D1 수용기이고,
다른 것은 D2 수용기입니다만, -
11:51 - 11:54이 두 뉴런들은 같은 장소에 있으며
-
11:54 - 12:01파킨슨 질병과 같은 것들에 대해
아주 중요한 영향을 끼칩니다. -
12:01 - 12:05그리고 이것이 하는 것은,
자극과 별개로, -
12:05 - 12:09이것들이 같은 장소에
있는 뉴런들일지라도, -
12:09 - 12:12왼쪽에 있는 뉴런들 중
한 개를 자극하면, -
12:12 - 12:17쥐가 시계방향으로 돌기 시작하면서
-
12:17 - 12:19활동이 증가하는 것이 보이실 겁니다.
-
12:19 - 12:21그리고 다른 경우,
-
12:21 - 12:25쥐는 반대 방향으로 돌기 시작하다가
-
12:25 - 12:26가만히 있는 모습을 보실 것입니다.
-
12:26 - 12:31이때 여러분은 비디오가 설치되었다고
생각하시겠지만 사실 그렇지 않습니다. -
12:31 - 12:36이 둘은 정확히 같은 장소에 있는
다른 세포 종류이지만, -
12:36 - 12:40우리에겐 이 새로운 유전 도구가 있어서
그것들을 따로따로 조작할 수 있죠. -
12:40 - 12:43볼륨 높이기와 낮추기를 따로 해서
-
12:43 - 12:46이것이 무엇을 하는지 알아내는 것입니다.
-
12:46 - 12:48휼륭하죠!
-
12:48 - 12:49뇌 속 중요한 버튼들을
-
12:49 - 12:55세부적으로 조작할 수 있어야 한다는
한 가지 문제는 해결했네요. -
12:55 - 13:01다음으로, 우리가 해야 하는 것은
회로 속의 일을 읽는 것입니다. -
13:01 - 13:06우리는 이 버튼을 눌러 총체계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보고자 합니다. -
13:06 - 13:11그렇게 하기 위해, 우리는
이 광유전학 자극 기술과 -
13:11 - 13:14fMRI 기법을 합성하여
-
13:14 - 13:18이제 시간적 섬세함으로 생물체 내의
-
13:18 - 13:21특정 세포를 선택적으로
조종할 수 있습니다. -
13:21 - 13:24여러분은 이것을 살아있는
뇌 안에서 조종하길 바라시죠- -
13:24 - 13:28조직을 추출하면 했던 일을
더이상 하지 않으니까요- -
13:28 - 13:31그리고 뇌파 활동 반응을 보는 것을요.
-
13:31 - 13:34그래서 여기 이제 자극 가능한
-
13:34 - 13:38실험의 예가 있습니다.
-
13:38 - 13:40저기 사진 속 파란 선 보이세요?
-
13:40 - 13:45이것이 해마 속
흥분성 뉴런이라고 불리는 -
13:45 - 13:50뉴런들을 우리가
구체적으로 잡은 것입니다. -
13:50 - 13:52해바는 뇌의 아주 특별한 부분으로
-
13:52 - 13:55알츠하이머와 뇌전증,
-
13:55 - 13:57그리고 다른 중요한
신경학적 질병에 영향을 줍니다. -
13:58 - 14:02그리고 이제 특히 그것들을 자극하고
그 과정에서 일어나는 일을 감시함으로써 -
14:02 - 14:05이것들은 뇌의 앞부터
뒤까지의 이미지입니다. -
14:05 - 14:07모든 길이죠.
-
14:07 - 14:10그리고 여러분은 뉴런의
특정 타입을 자극함으로써 -
14:10 - 14:16뇌의 모든 부분에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볼 수 있습니다. -
14:16 - 14:21이것이 우리에게 의미하는 것은
이제 우리는 도구가 있어 -
14:21 - 14:24시작하고 수사하고, 보고,
-
14:24 - 14:29뇌 안에서 일어나는 일에 대한
데이터에 접근 가능하다는 것이죠. -
14:29 - 14:33이것이 의미하는 것은
이제 아마도 우리가 -
14:33 - 14:37신경정보기술의 새로운 시대를
열 수 있게되었다는 뜻입니다. -
14:37 - 14:41우리는 더이상 궁금해하지 않아도 되죠:
뇌가 하는 일이 대체 뭘까? -
14:41 - 14:44이게 뇌의 소유물인가?
아님 저건가? -
14:44 - 14:48대신, 우리는 그곳으로부터
바로 정보 접근이 가능합니다. -
14:48 - 14:50질병의 경우,
-
14:50 - 14:56우리는 뇌 안에서 잘못된 부분에 대해
곧바로 치료할 수 있을지 모릅니다. -
14:56 - 15:00지금 시험 중인 가장
유망있는 치료법 중 하나는, -
15:00 - 15:04몇몇은 뇌 치료를 위해
병원에서 사용중이구요, -
15:04 - 15:06신경자극요법이라는 것입니다.
-
15:06 - 15:09뇌가 전기 회로이기 때문에,
-
15:09 - 15:16뇌 속에 전극을 주입하고
잘못된 신호를 방해함으로써, -
15:16 - 15:19우리는 그 증상을 없애고자 합니다.
-
15:19 - 15:22파킨슨 병의 몸떨림과 같은 증상들을
-
15:22 - 15:25제 기능으로 되돌리는 겁니다.
-
15:25 - 15:28여기서 키워드는 "방해"입니다.
-
15:28 - 15:33우리는 우리가 정말로 무엇을 하는지
모르기 때문에 '방해한다'고 합니다. -
15:33 - 15:35우리가 원치 않는 일을 하는 것이었죠.
-
15:35 - 15:37우리는 그걸 그곳에 놓고 제압한 했는데,
-
15:37 - 15:42그것은 가끔은 우리에게
만족할만한 결과를 주었죠. -
15:42 - 15:47하지만 이제 우리는 뇌 속 정보를
곧바로 얻을 수 있습니다. -
15:47 - 15:50이것이 말하는 것은,
이제 방해하는 대신, -
15:50 - 15:54우리는 우리의 뇌가 할 수 있는 일을
다시 조정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
15:55 - 15:57게다가,
-
15:57 - 16:02만약 피해가 더 광범위하다면,
정말 일부분을 교체해야한다면, -
16:02 - 16:05줄기세포요법이 우리에게
약속하는 것이기도 합니다만, -
16:05 - 16:09우리가 강력한 줄기 세포 요법이
있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
16:09 - 16:12우리가 줄기 세포로 뇌 질병 치료에서
-
16:12 - 16:16나아가지 못하는 이유들 중 하나는
-
16:16 - 16:19그것이 뇌로 들어가게 되면
무슨 일을 하는지 -
16:19 - 16:22정확히 알 방법이 없기 때문입니다.
-
16:22 - 16:25그리고 안으로 주입해서
-
16:25 - 16:29모든 정보를 볼 수 있게 해주는
프로그램된 줄기 세포를 가짐으로써, -
16:29 - 16:36우리는 어쩌면 일부를 교체하는
시대에 진입할지도 모릅니다. -
16:36 - 16:38그리고 우리가 신경정보기술의 시대로
-
16:38 - 16:42진입하게 해주는 이 모든 기술들로,
-
16:42 - 16:44우리는 더 이상 스스로의 뇌를
통제할 수 없다는 것에 -
16:44 - 16:46좌절하지 않아도 되는
-
16:46 - 16:49새로운 시대를 열 수 있을지도 모릅니다.
-
16:50 - 16:54질병을 고치는 것과 더불어,
-
16:54 - 16:59신경학적 정보와 데이터에
접근 가능한 미래는 -
16:59 - 17:04질병을 치료하는 것보다
훨씬 많은 것을 약속합니다. -
17:04 - 17:07영화 '아바타' 에서
제가 좋아하는 장면이 나오는데, -
17:07 - 17:12여기에서는 인간 뇌가
아바타의 뇌에 씌워지죠. -
17:12 - 17:18이 특정 장면에서,
싱크는 40.665% 완벽합니다. -
17:18 - 17:23이것은 지금으로써는
그냥 판타지이고 영화입니다. -
17:23 - 17:28하지만 여러분의 신경학적 정보에
접근할 수 있게되면, -
17:28 - 17:32우리가 그것으로 할 수
있는 힘은 무한해집니다. -
17:33 - 17:38제 할머니가 절실히
그것을 필요로 하던 때 -
17:38 - 17:45그 분을 돕지 못했다는 점에서는
저를 정말로 슬프게 하네요. -
17:45 - 17:48하지만, 우리가 정보 기술의
-
17:48 - 17:50새로운 시대를 향해
용감한 발걸음을 내딛는동안 -
17:50 - 17:57할머니께서 우리의 뇌 속에
살아계실 거라고 저는 꿈꾸고 바랍니다. -
17:59 - 18:00정말 감사합니다.
-
18:00 - 18:02(박수)
- Title:
- 신경정보기술: 우리가 우리의 뇌 회로를 통제할 수 있을까 | 이진형 | TEDxKFAS
- Description:
-
우리의 뇌 회로가 제 기능을 못하면, 인생이 파편이 되어 흩어지게 됩니다. 우리는 기억하고, 걷고, 이야기하고, 심지어는 숨쉬는 능력도 잃게됩니다. 우리가 실시간으로 모든 곳에 있는 사람들과 이야기하고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세계에 사는 반면, 뇌 질병에 대해 가능한 치료제는 극히 한정되어 있습니다. 신경정보기술 전문가 이진형 박사는 그녀가 뇌 질병에 대한 치료제를 찾고 우리가 뇌 회로를 제어하는 것을 도와주도록 한 감동적인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이진형 박사는 스탠포드 대학에서 신경학, 신경과학, 바이오엔지니어링, 신경수술, 그리고 전기 공학 보조 교수입니다. 그녀는 전기 공학 분야에서 서울대학교에서 학사 학위를 받고 스탠포드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그녀는 2010 NIH Director's New Innovator Award 수상자이자 2011 NSF Career award, 2012 Alfred P. Sloan Research Fellowship, the 2012 Epilepsy Therapy Project award, the 2013 Alzheimer’s Association New Investigator Award, and the 2014 IEEE EMBS BRAIN young investigator award 수상자입니다.
- Video Language:
- English
- Team:
closed TED
- Project:
- TEDxTalks
- Duration:
- 18: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