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turn to Video

라제쉬 라오: 인더스 문자의 로제타 스톤

  • 0:00 - 0:03
    제 이야기에 앞서 사고실험을 하나 해보죠.
  • 0:04 - 0:07
    지금이 4000년 이후의 미래라고 상상하겠습니다.
  • 0:07 - 0:09
    오늘의 문명은 이미
  • 0:09 - 0:11
    더 이상 존재하지 않습니다.
  • 0:11 - 0:13
    책, 전자제품,
  • 0:13 - 0:16
    페이스북 그리고
  • 0:16 - 0:19
    트위터도 없습니다.
  • 0:19 - 0:22
    영어와 영어 알파벳에 대한
  • 0:22 - 0:24
    모든 지식도 없어졌지요.
  • 0:24 - 0:26
    미래의 고고학자들이 폐허가 된 어떤 도시의
  • 0:26 - 0:28
    잔해를 파헤치는 것을 상상해보죠.
  • 0:28 - 0:30
    그들은 무엇을 찾아내게 될까요?
  • 0:30 - 0:33
    어쩌면 이상한 형상이 있는 4각형 플라스틱
  • 0:33 - 0:36
    조각들을 발견할 지도 모르겠네요.
  • 0:36 - 0:39
    둥그런 금속 조각들이 나올지도 모르죠.
  • 0:39 - 0:41
    형상이 적힌 원통형 용기들을
  • 0:41 - 0:43
    파낼지도 모릅니다.
  • 0:43 - 0:46
    그러던중 어떤 고고학자가 북아메리카에 있는
  • 0:46 - 0:48
    어떤 언덕에 파묻혀 있는
  • 0:48 - 0:50
    이들과 똑같은 모양의 거대한 형상을 발견하여
  • 0:50 - 0:53
    하루아침에 유명인사가 될런지도 모릅니다.
  • 0:55 - 0:57
    이런 유물은
  • 0:57 - 1:00
    4000년 이후의 사람들에게 우리들에 대해
  • 1:00 - 1:03
    어떤 이야기를 해 줄까요?
  • 1:03 - 1:05
    이것은 가상적인 질문이 아닙니다.
  • 1:05 - 1:08
    4000년 전에 존재했던 인더스 계곡의 문명을
  • 1:08 - 1:11
    이해하려고 할때 저희들이 묻는
  • 1:11 - 1:13
    질문이 바로 이런 것들이지요.
  • 1:13 - 1:16
    인더스 문명은 훨씬 더 잘 알려진 이집트 또는
  • 1:16 - 1:19
    메소포타미아 문명과 거의 비슷한 시기에 존재했었는데
  • 1:19 - 1:22
    그들보다 훨씬 더 큰 지역에 퍼져 있었습니다.
  • 1:22 - 1:24
    인더스 문명은
  • 1:24 - 1:26
    약 백만 평방 킬로미터의 면적에 퍼져있었는데
  • 1:26 - 1:28
    오늘날의 파키스탄, 북서 인도,
  • 1:28 - 1:30
    그리고 아프가니스탄과
  • 1:30 - 1:32
    이란의 일부를 포함했었습니다.
  • 1:32 - 1:34
    인더스 문명이 그렇게 큰 지역을 군림했었으니까
  • 1:34 - 1:38
    강력한 통치자나 왕에 대한 유적,
  • 1:38 - 1:41
    또는 이들을 찬양하는 기념물들이 있을만 하겠지요.
  • 1:41 - 1:43
    그러나 고고학자들은
  • 1:43 - 1:45
    그런것을 하나도 찾지 못했습니다.
  • 1:45 - 1:48
    하지만, 이와같은 작은 유물들은 발견했지요.
  • 1:48 - 1:51
    이것은 이러한 유물의 일례입니다.
  • 1:51 - 1:53
    물론 이건 복제품입니다.
  • 1:53 - 1:56
    그런데 이건 누구일까요?
  • 1:56 - 1:58
    왕일까요? 신일까요?
  • 1:58 - 2:00
    성직자일까요?
  • 2:00 - 2:02
    어쩌면 여러분이나 저와 같은
  • 2:02 - 2:04
    보통 사람이었을까요?
  • 2:04 - 2:06
    우리는 그 답을 모릅니다.
  • 2:06 - 2:09
    그러나 인더스 사람들은 글자가 적힌 유물도 남겼는데 그중에는
  • 2:09 - 2:11
    플라스틱 조각은 없었지만,
  • 2:11 - 2:14
    돌로 만든 인장, 구리 명판,
  • 2:14 - 2:16
    도자기 그리고 놀랍게도
  • 2:16 - 2:18
    어떤 도시의 문 근처에
  • 2:18 - 2:20
    파묻혔던 게시판이 있었습니다.
  • 2:20 - 2:22
    어쩌면 헐리우드라고 쓴 것인지 또는
  • 2:22 - 2:24
    심지어는 볼리우드라고 쓴것인지 모르겠습니다.
  • 2:24 - 2:26
    사실 우리는 이런 유물에
  • 2:26 - 2:28
    무엇이 적혀 있는지 전혀 모릅니다.
  • 2:28 - 2:31
    우리는 아직 인더스 글자를 못 읽으니까요.
  • 2:31 - 2:33
    우리는 이런 형상의 의미를 하나도 모릅니다.
  • 2:33 - 2:36
    이런 형상들은 인장에 가장 흔히 나타나는데요.
  • 2:36 - 2:38
    여기 그 중 하나가 있습니다.
  • 2:38 - 2:41
    유니콘 같은 동물이 새겨진 4각형의 인장인데요.
  • 2:41 - 2:43
    대단히 훌륭한 예술품입니다.
  • 2:43 - 2:45
    실제 크기가 얼마나 될 것 같으세요?
  • 2:45 - 2:47
    이 정도 될까요?
  • 2:47 - 2:49
    아니면 이정도?
  • 2:49 - 2:51
    제가 보여드리죠.
  • 2:52 - 2:55
    이것은 이런 인장의 복제품인데요.
  • 2:55 - 2:57
    가로 1인치 세로 1인치의 크기입니다.
  • 2:57 - 2:59
    꽤 작죠.
  • 2:59 - 3:01
    그런데 이런것은 무슨 용도로 쓰였을까요?
  • 3:01 - 3:04
    우리는 이들이 운송되는 물건에 붙이는 진흙 태그에
  • 3:04 - 3:07
    인장을 찍는데 사용됐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 3:07 - 3:10
    여러분은 페덱스 박스에 붙혀진 운송장을 보신일이 있으시겠죠.
  • 3:10 - 3:13
    이것은 바로 그런 운송장 표식을 만드는데 사용된 것이죠.
  • 3:13 - 3:16
    우리들은 여기에 무슨 말이 적혀져
  • 3:16 - 3:18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 3:18 - 3:20
    그것이 물건을 보내는 사람의 이름인지
  • 3:20 - 3:22
    또는 보내는 물건에 대한 어떤 정보인지
  • 3:22 - 3:25
    우리는 아직 모릅니다.
  • 3:25 - 3:27
    그 질문에 대한 답을 알려면 그 글을 해독할 줄 알아야죠.
  • 3:27 - 3:29
    그 글을 해독하는 것은
  • 3:29 - 3:31
    단순한 지적인 퍼즐이 아니라
  • 3:31 - 3:33
    남 아시아의 정치와
  • 3:33 - 3:35
    문화적 역사가
  • 3:35 - 3:38
    깊이 상호 연결된 문제입니다.
  • 3:38 - 3:41
    사실 그 글은 3가지 그룹 사람들의
  • 3:41 - 3:43
    일종의 전쟁터가 되고 말았습니다.
  • 3:43 - 3:45
    첫번째 그룹의 사람들은
  • 3:45 - 3:47
    인더스 문자는
  • 3:47 - 3:49
    사실은 언어가 아니라고
  • 3:49 - 3:51
    열정적으로 믿고 있죠.
  • 3:51 - 3:53
    그사람들은 우리의 교통표지판에 있는 심볼이나
  • 3:53 - 3:56
    또는 방패에 있는 표장과 매우 비슷한
  • 3:56 - 3:59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 3:59 - 4:01
    두번째 그룹의 사람들은
  • 4:01 - 4:04
    인더스 문자가 인도유럽어라고 믿고 있습니다.
  • 4:04 - 4:06
    현대 인도의 지도를 보면
  • 4:06 - 4:09
    북부 인도에서 사용되는 대부분의 언어는 인도유럽어에
  • 4:09 - 4:12
    속한다는 것을 볼수 있습니다.
  • 4:12 - 4:14
    즉, 인더스어는 산스크리트어와 같은
  • 4:14 - 4:17
    고대의 인도유럽어라고 생각하고 있는 거죠.
  • 4:17 - 4:19
    마지막 그룹의 사람들은
  • 4:19 - 4:22
    인더스 사람이 현재 남 인도에 사는
  • 4:22 - 4:25
    사람들의 조상이라고 믿습니다.
  • 4:25 - 4:27
    이들은 인더스 문자는
  • 4:27 - 4:29
    오늘날 남부 인도에서
  • 4:29 - 4:31
    많이 사용되고 있는
  • 4:31 - 4:34
    드라비디안 언어계의 고대어라고 믿고 있습니다.
  • 4:34 - 4:36
    이 설의 옹호자들은
  • 4:36 - 4:39
    아프가니스탄 근처에 위치한 인도 북부의
  • 4:39 - 4:41
    한 작은 지역에 드라비디안어를
  • 4:41 - 4:44
    사용하는 사람들이 있는 것으로 비추어 보아
  • 4:44 - 4:47
    한때 인도 전체에 걸쳐
  • 4:47 - 4:49
    드라비디안어가
  • 4:49 - 4:52
    사용됐을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 4:52 - 4:55
    이들 3가지 가설 중에 어떤 것이 맞을까요?
  • 4:55 - 4:57
    우리는 아직 그 답을 모르지만 인더스 문자를
  • 4:57 - 4:59
    해독할 수 있으면 그 질문의 답을 알게 되겠죠.
  • 4:59 - 5:01
    그러나 그 문자를 해독하는 것은 매우 어렵습니다.
  • 5:01 - 5:03
    불행히도 우리에겐 로제타 스톤이 없습니다.
  • 5:03 - 5:05
    로제터 스톤이라는 언어학습 소프트웨어를
  • 5:05 - 5:07
    말하는게 아니고, 동일한 내용이
  • 5:07 - 5:09
    이미 알려진 언어와 모르는 말로 위아래로
  • 5:09 - 5:12
    적혀있는 고대 이집트의 비석을 말합니다.
  • 5:12 - 5:15
    인더스 스크립트의 경우에는 그런 유물이 없지요.
  • 5:15 - 5:18
    뿐만 아니라, 우리는 그들이 어떤 언어를 사용했는지도 모릅니다.
  • 5:18 - 5:20
    그리고 설상가상으로
  • 5:20 - 5:22
    거기에 씌여진 문장들은 매우 짧습니다.
  • 5:22 - 5:24
    그리고 이 문자들은 아까 보여드린 매우 작은 인장에서
  • 5:24 - 5:26
    주로 볼 수 있습니다.
  • 5:26 - 5:28
    이와같은 어려움을 참작해 볼때
  • 5:28 - 5:30
    인더스 문자를 해독하는 것이
  • 5:30 - 5:33
    가능하냐고 걱정하는 분들도 계시겠죠.
  • 5:33 - 5:35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가 어떻게 해서
  • 5:35 - 5:37
    그런 걱정을 하지 않고 인더스 스크립트를 해독하는 일에
  • 5:37 - 5:39
    기꺼이 도전하게 되었는지 말씀드리지요.
  • 5:39 - 5:42
    저는 중학교 교과서에서 인더스 스크립트에 대해
  • 5:42 - 5:44
    배운 후 항상 인더스어에 매혹되어 있습니다.
  • 5:44 - 5:46
    그 이유는 인더스 문자는
  • 5:46 - 5:50
    우리가 아직 해독하지 못한 유일한 주요 고대 문명 문자니까요.
  • 5:50 - 5:53
    그 후 저는 컴퓨터 신경과학자가 되어서
  • 5:53 - 5:55
    두뇌가 어떻게 예측을 하고,
  • 5:55 - 5:57
    의사 결정을 내리며,
  • 5:57 - 6:00
    모르는것을 배우는가 등을 이해하기 위해
  • 6:00 - 6:02
    두뇌의 컴퓨터 모델을
  • 6:02 - 6:04
    만드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 6:04 - 6:07
    그런데 2007년에 제가 인도에
  • 6:07 - 6:09
    있었을때 다행히도
  • 6:09 - 6:11
    컴퓨터 모델을 사용해서
  • 6:11 - 6:13
    인더스 스크립트를 분석하고 있는
  • 6:13 - 6:16
    인도 과학자들을 몇명 만났습니다.
  • 6:16 - 6:18
    그때 저는 이들 과학자들과
  • 6:18 - 6:21
    함께 일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왔다는 것을 깨닫고
  • 6:21 - 6:23
    즉시로 이 연구에 도전했습니다.
  • 6:23 - 6:25
    그럼, 지금까지 저희들이 발견한 결과를 말씀드리지요.
  • 6:25 - 6:28
    아- 그보다는 우리 모두가 지금 같이 해독해 보죠.
  • 6:28 - 6:30
    그럴 준비가 되셨나요?
  • 6:30 - 6:33
    모르는 문자를 처음 해독할 때 제일 먼저 해야 하는 일은 그것이
  • 6:33 - 6:35
    어떤 방향으로 써졌는지 알아내는 것이죠.
  • 6:35 - 6:38
    여기에 형상이 몇개 있는 텍스트가 2개 있습니다.
  • 6:38 - 6:40
    이 글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쓰여졌는지
  • 6:40 - 6:43
    아니면 오른쪽에서 부터 쓰여졌는지 아시겠어요?
  • 6:43 - 6:46
    잠시 생각을 해 보시죠.
  • 6:46 - 6:49
    오른쪽에서 부터 왼쪽이라고 생각하시는 분은?
  • 6:49 - 6:51
    완쪽에서 부터 오른쪽은?
  • 6:51 - 6:53
    흠..거의 반반 정도 이시군요.
  • 6:53 - 6:55
    제가 정답을 말씀드리지요.
  • 6:55 - 6:57
    이 두 텍스트의 왼쪽을 보면
  • 6:57 - 7:00
    비좁게 적힌 글자가 하나적혀있는데
  • 7:00 - 7:02
    아마 4000년 전에 누가 오른쪽에서
  • 7:02 - 7:04
    왼쪽으로 글을 쓰다가 끝부분에서 글자를
  • 7:04 - 7:06
    쓸 자리가 모자랐던 모양입니다.
  • 7:06 - 7:08
    그래서 그 글자를 비좁게 썼지요.
  • 7:08 - 7:10
    오른쪽 인장의 문장에는 한 글자가 밑에 적혀있는데요.
  • 7:10 - 7:12
    이것은 아마도 글 쓰는 방향이 오른쪽에서
  • 7:12 - 7:14
    왼쪽이라는것을 암시해 주지요.
  • 7:14 - 7:16
    모든 문어의 가장 기본적인 특성의 하나는
  • 7:16 - 7:19
    그 글을 어떤 방향으로 읽는가 하는 것인데
  • 7:19 - 7:21
    우리는 이제 인더스어를 읽는
  • 7:21 - 7:23
    방향을 찾아낸 것입니다.
  • 7:23 - 7:25
    인더스어에는 또 다른 어떤 특성이 있을까요?
  • 7:25 - 7:27
    모든 언어에는 패턴이 있는데요.
  • 7:27 - 7:29
    예를들면, 한 단어에서 "Q"자가 나온
  • 7:29 - 7:32
    다음에는 어떤 문자가 나올 확률이 가장 높을까요?
  • 7:32 - 7:34
    대부분은 "U"라고 추측하겠죠. 그렇습니다.
  • 7:34 - 7:36
    이제 알파벳 하나를 더 추측하라고 하면
  • 7:36 - 7:38
    무엇을 고르시겠습니까?
  • 7:38 - 7:41
    "E", "I", 또는 "A" 모두가 가능하겠지요
  • 7:41 - 7:44
    그러나 "B"나 "C" 또는 "D"는 절대로 아니겠지요.
  • 7:44 - 7:47
    인더스 문자도 그런 패턴을 보여줍니다.
  • 7:47 - 7:50
    예를들면, 많은 텍스트들이 다이아몬드 모양의 형상으로 시작되는데요.
  • 7:50 - 7:52
    그리고는 주로 따옴표 비슷한
  • 7:52 - 7:54
    형상이 뒤따르는 경향을 보입니다.
  • 7:54 - 7:56
    예로 들었던 "Q" 다음의 "U"와 비슷한 경우죠.
  • 7:56 - 7:58
    그리고는 이런 물고기 모양의 형상,
  • 7:58 - 8:01
    그리고 다른 형상들이 나오는데
  • 8:01 - 8:03
    제일 밑에 있는 기호들은 절대로 나오지 않습니다.
  • 8:03 - 8:05
    또한, 항아리 모양의 형상 또는
  • 8:05 - 8:07
    일부 다른 형상들은 주로
  • 8:07 - 8:09
    텍스트의 끝에 나타납니다.
  • 8:09 - 8:11
    그런데 이 기호는 사실 인더스 문자에서
  • 8:11 - 8:13
    가장 자주 나타나는 형상입니다.
  • 8:13 - 8:16
    이런 패턴이 있다는 것을 깨달은 후
  • 8:16 - 8:18
    우리들은 컴퓨터를 사용해서
  • 8:18 - 8:20
    이러한 패턴을 배우는 목적으로
  • 8:20 - 8:23
    우리가 가지고 있는 문자를 모두 입력시켰지요.
  • 8:23 - 8:25
    그리고는 어떤 형상들이 주로 함께 나타나고,
  • 8:25 - 8:27
    어떤 형상이 어떤 형상에 뒤따라 나오는가에 대한
  • 8:27 - 8:29
    통계적 모델을 컴퓨터가 배우게 했지요.
  • 8:29 - 8:31
    간단히 말해서, 일단 컴퓨터 모델이 있으면
  • 8:31 - 8:34
    그 모델에 질문을 던져서 그 모델을 테스트 할 수 있습니다.
  • 8:34 - 8:36
    예를들면, 일부러 형상을 몇개 지우고 어떤 형상이
  • 8:36 - 8:39
    빠졌는지 알아 맞춰보라고 할 수도 있죠.
  • 8:39 - 8:42
    그럼 몇가지 예를 보여드리죠.
  • 8:45 - 8:47
    이것은 마치 역사상
  • 8:47 - 8:49
    가장 오래된 '행운의 뺑뺑이'를 가지고
  • 8:49 - 8:52
    노는것과 마찬가지죠.
  • 8:53 - 8:55
    우리가 조사한 결과
  • 8:55 - 8:57
    우리 모델은 75%의 경우에 옳은 형상을
  • 8:57 - 8:59
    예측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 8:59 - 9:01
    나머지의 25%의 경우에는
  • 9:01 - 9:04
    대부분 두번째 아니면 세번째 추측에서 정답이 나왔죠.
  • 9:04 - 9:06
    저희 모델은 특히 이런 작업을 할때
  • 9:06 - 9:08
    실용적인 가치가 있습니다.
  • 9:08 - 9:10
    이들 유물에는 문자가 손상된 부분이
  • 9:10 - 9:12
    많이있는데 이것이 좋은 한 예입니다.
  • 9:12 - 9:15
    이런 경우에 컴퓨터 모델을 사용해서 어떤 글자가 빠졌을 가능성이
  • 9:15 - 9:17
    가장 많은가를 추측할 수 있죠.
  • 9:17 - 9:20
    이것은 그렇게 추측한 형상의 한 예입니다.
  • 9:20 - 9:22
    그런데 이것은 우리가 분석할 수 있는
  • 9:22 - 9:25
    데이터를 더 많이 생성해 주기 때문에
  • 9:25 - 9:28
    문자를 해독하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
  • 9:28 - 9:30
    원숭이가 키보드 앞에서
  • 9:30 - 9:32
    타자치는 것을 상상해보세요.
  • 9:32 - 9:35
    아마도 원숭이의 무작위적인 타이핑의 결과는 이렇겠죠.
  • 9:35 - 9:37
    이와같이 무작위로 섞여진 글자들은
  • 9:37 - 9:39
    엔트로피가 높다고 말합니다.
  • 9:39 - 9:41
    엔트로피는 물리와 정보이론의 용어인데요.
  • 9:41 - 9:44
    이것을 완전히 임의로 뒤섞인 글자라고 상상하시면 됩니다.
  • 9:44 - 9:48
    여러분중에 키보드에 커피를 쏟아보신 분이 계세요?
  • 9:48 - 9:50
    키보드가 붙어버리면 똑같은 글자가
  • 9:50 - 9:53
    계속 반복되며 입력되는 경우가 있는데요.
  • 9:53 - 9:56
    이런 배열에는 변화가 전혀 없기 때문에
  • 9:56 - 9:58
    엔트로피가 매우 낮다고 말합니다.
  • 9:58 - 10:01
    언어는 중간 정도의 엔트로피를 가지고 있습니다.
  • 10:01 - 10:03
    언어는 지나치게 일정하지도 않고
  • 10:03 - 10:05
    지나치게 무작위하지 않으니까요.
  • 10:05 - 10:07
    인더스 문자는 어떨까요?
  • 10:07 - 10:11
    이 그래프는 여러 종류의 배열에 대한 엔트로피를 나타낸 것입니다.
  • 10:11 - 10:13
    제일 윗쪽은 균일하게 임의로
  • 10:13 - 10:15
    배열된 글자들을 나타내는데
  • 10:15 - 10:17
    흥미있게도 인간 게놈의
  • 10:17 - 10:20
    DNA 배열과 악기 음악도 이와 유사하지요.
  • 10:20 - 10:22
    이 배열들은 매우 매우 신축성있게
  • 10:22 - 10:24
    변하기 때문에 엔트로피가 매우 높다고 합니다.
  • 10:24 - 10:26
    한편, 전혀 변함없이
  • 10:26 - 10:28
    모두 "A"로만 구성된 배열이나
  • 10:28 - 10:30
    엄격한 규칙을 따라야 하는
  • 10:30 - 10:32
    포트란 컴퓨터 프로그램은
  • 10:32 - 10:34
    아랫쪽 부분에 있지요.
  • 10:34 - 10:36
    언어 문자는
  • 10:36 - 10:38
    중간 부분에 있습니다.
  • 10:38 - 10:40
    그럼 인더스 문자는 어떨까요?
  • 10:40 - 10:42
    우리는 인더스 문자가
  • 10:42 - 10:44
    언어 문자의 구역에 있다는 것을 알아냈습니다.
  • 10:44 - 10:46
    이 결과가 처음 발표되었을때
  • 10:46 - 10:49
    큰 반대여론이 나왔었지요.
  • 10:49 - 10:52
    인더스 문자가 언어가 아니라고
  • 10:52 - 10:54
    생각하는 사람들은 고함을 지르며
  • 10:54 - 10:57
    큰 소동을 벌였습니다.
  • 10:57 - 10:59
    저는 심지어 항의메일도 받았죠.
  • 10:59 - 11:01
    제 제자들은
  • 11:01 - 11:04
    제 신변보호를 신중히 고려해야 한다고 까지 말했습니다.
  • 11:04 - 11:06
    고어를 해독하는 일이
  • 11:06 - 11:08
    위험한 직업이라고 누가 상상이나 했겠습니까?
  • 11:08 - 11:10
    이 도표는 어떤 결론을 말해 줄까요?
  • 11:10 - 11:12
    이것은 인더스 문자가 언어의
  • 11:12 - 11:14
    중요한 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 11:14 - 11:16
    그런데, 옛말에도 있듯이
  • 11:16 - 11:18
    이것이 언어 문자 같이 보이고,
  • 11:18 - 11:20
    언어 문자 같이 움직이는 것을 보면
  • 11:20 - 11:23
    정말로 언어 문자일 가능성이 높지요.
  • 11:23 - 11:25
    인더스 문자가 실제로 언어를 적을 수
  • 11:25 - 11:27
    있다는 다른 증거는 무엇일까요?
  • 11:27 - 11:30
    언어 문자들은 여러개의 언어를 적을 수 있는데요.
  • 11:30 - 11:33
    예를들면, 이것은 똑 같은 알파벳을 사용해서
  • 11:33 - 11:35
    똑 같은 문장을 영어와
  • 11:35 - 11:37
    홀랜드어로 적은 것입니다.
  • 11:37 - 11:40
    여러분이 영어만 알고 홀랜드어를 모른다고 가정할 때
  • 11:40 - 11:42
    제가 홀랜드어 단어를 몇개 보여드리면
  • 11:42 - 11:44
    여러분은 그 단어들에 매우 이상한
  • 11:44 - 11:46
    패턴이 있다고 말하시겠지요.
  • 11:46 - 11:48
    여러분은 그 단어가 이상하다며
  • 11:48 - 11:51
    아마 영어가 아닌것 같다고 하겠죠.
  • 11:51 - 11:53
    인더스 문자의 경우에도 똑 같은 일이 벌어집니다.
  • 11:53 - 11:55
    컴퓨터는 여기 보이는 두 문자와 같이
  • 11:55 - 11:57
    매우 이상한 패턴을 가진
  • 11:57 - 11:59
    여러개의 문자를 발견했습니다.
  • 11:59 - 12:01
    예를들면, 첫 문자에는 항아리 비슷하게
  • 12:01 - 12:04
    보이는 형상이 두번 연달아 나오는데요.
  • 12:04 - 12:06
    이 형상은 인더스 문자에서
  • 12:06 - 12:08
    가장 자주 사용되는 형상인데
  • 12:08 - 12:10
    이 텍스트에서만
  • 12:10 - 12:12
    두번 연달아 나옵니다.
  • 12:12 - 12:14
    왜 그럴까요?
  • 12:14 - 12:17
    그래서 그 문자들이 어디서 발견됐는지 조사한 결과
  • 12:17 - 12:19
    그것이 인더스 밸리에서 아주 아주
  • 12:19 - 12:21
    먼 곳에서 나왔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 12:21 - 12:24
    현재의 이라크와 이란에서 발견된 것이었지요.
  • 12:24 - 12:26
    그런데 왜 거기서 발견되었을까요?
  • 12:26 - 12:28
    제가 아직 말씀드리지는 않았지만
  • 12:28 - 12:30
    인더스 사람들은 상인으로 유명했었지요.
  • 12:30 - 12:33
    그들은 먼 낮선곳까지 가서 장사를 하곤 했습니다.
  • 12:33 - 12:36
    그들은 바다를 건너서 오늘날의
  • 12:36 - 12:39
    이라크인 메소포타미아까지 갔지요.
  • 12:39 - 12:41
    저희들은 인더스 상인들이
  • 12:41 - 12:44
    인더스 문자를 사용해서
  • 12:44 - 12:47
    외국어를 적다고 생각합니다.
  • 12:47 - 12:49
    방금 말씀드린 홀랜드 단어처럼 말입니다.
  • 12:49 - 12:51
    아마 그래서 이 문자들의 패턴이
  • 12:51 - 12:54
    인더스 밸리에서 나오는 문자들의 패턴과
  • 12:54 - 12:57
    매우 다른지 모릅니다.
  • 12:57 - 12:59
    이것은 인더스 문자로 다른 언어들을
  • 12:59 - 13:02
    쓸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해 줍니다.
  • 13:02 - 13:05
    지금까지 저희들이 연구한 결과에 의하면
  • 13:05 - 13:08
    인더스 문자가 언어일 가능성이 많습니다.
  • 13:08 - 13:10
    만약에 그것이 언어라면
  • 13:10 - 13:12
    그 형상들을 어떻게 읽어야 할까요?
  • 13:12 - 13:14
    그것이 앞으로 우리에게 남은 과제입니다.
  • 13:14 - 13:16
    여러분은 인더스어의 많은 형상들이 사람, 곤충,
  • 13:16 - 13:18
    물고기 또는 새의 그림처럼 보인다고
  • 13:18 - 13:21
    생각하실 것입니다.
  • 13:21 - 13:23
    대부분의 고대 문자는
  • 13:23 - 13:25
    그림을 사용하여 단어를
  • 13:25 - 13:28
    나타내는 '리부스' 방식을 사용하는데요.
  • 13:28 - 13:31
    예를들면, 여기 단어가 하나 있습니다.
  • 13:31 - 13:33
    그림을 사용해서 이 단어를 쓸 수 있을까요?
  • 13:33 - 13:35
    잠시 생각하실 시간을 드리죠.
  • 13:35 - 13:37
    됐습니까?
  • 13:37 - 13:39
    좋아요.
  • 13:39 - 13:41
    이건 제 방법입니다.
  • 13:41 - 13:43
    우선 꿀벌(bee) 그림을 그리고 그 옆에 잎(leaf)를 그리면
  • 13:43 - 13:45
    "belief" 라는 단어가 되겠지요.
  • 13:45 - 13:47
    다른 방법도 있을 겁니다.
  • 13:47 - 13:49
    그런데 인더스 문자의 경우
  • 13:49 - 13:51
    문제가 정반대입니다.
  • 13:51 - 13:54
    즉, 이들 그림 하나 하나의 소리를 알아야
  • 13:54 - 13:56
    그 그림들의 의미를 알 수 있으니까요.
  • 13:56 - 13:59
    이 퍼즐을 풀면 그 댓가가 엄청나기 때문에
  • 13:59 - 14:02
    이것은 마치 전세계에서 가장 거창한
  • 14:02 - 14:06
    크로스워드 퍼즐을 푸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 14:06 - 14:09
    저의 동료인 이라바탐 마하에반과 아스코 파폴라는 특히
  • 14:09 - 14:11
    이 문제를 해결하는데에 상당한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 14:11 - 14:13
    파폴라가 하고 있는 일의 간단한 일례를 말씀드리지요.
  • 14:13 - 14:15
    여기에 아주 짧은 문장이 있는데요.
  • 14:15 - 14:18
    일곱개의 수직선이 있고 그 옆에 물고기 같은 형상이 있지요.
  • 14:18 - 14:20
    그런데 이 인장들은 운송되는 짐꾸리에
  • 14:20 - 14:22
    부착되었던 진흙 태그에
  • 14:22 - 14:24
    인장을 찍는 목적으로 사용되었기 때문에
  • 14:24 - 14:27
    상인들의 이름이 최소한 몇개는 새겨져 있을
  • 14:27 - 14:29
    가능성이 높습니다.
  • 14:29 - 14:31
    그런데 인도에는 아기들이
  • 14:31 - 14:33
    태어난 시간에 관련된
  • 14:33 - 14:35
    점성술과 별자리에 따라
  • 14:35 - 14:38
    이름을 지어주는 오랜 전통이 있지요.
  • 14:38 - 14:40
    드라비디아 언어에서 물고기는
  • 14:40 - 14:42
    "미인" 이라고 발음하는데
  • 14:42 - 14:45
    그것은 별이라는 단어의 발음과 비슷합니다.
  • 14:45 - 14:47
    그러니까 7개의 별은 "엘루 미인"이라는
  • 14:47 - 14:49
    발음을 적은것 이라고 할 수 있겠는데
  • 14:49 - 14:51
    "엘루 미인"은 드라비디아 말로
  • 14:51 - 14:53
    북두칠성을 의미하지요.
  • 14:53 - 14:56
    이와 비슷하게, 6개의 별이 차례로 배열된 것은
  • 14:56 - 14:58
    "아루 미인"이라는 발음을 적은 것일텐데
  • 14:58 - 15:00
    이것은 옛 드라비디아말로
  • 15:00 - 15:02
    묘성(昴星)을 의미하지요.
  • 15:02 - 15:05
    그리고 마지막으로, 이것처럼 물고기 위에
  • 15:05 - 15:08
    지붕같은 것이 있는 다른 배합의 글자들도 있는데요.
  • 15:08 - 15:11
    이것은 아마 "메이 미인"이라고 읽을 수 있겠는데
  • 15:11 - 15:14
    그것은 옛 드라비디아 언어로 토성을 의미합니다.
  • 15:14 - 15:16
    우리는 우리의 연구가 좋은 결과를 가지는것
  • 15:16 - 15:18
    같아서 매우 기쁘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 15:18 - 15:20
    그런데, 우리의 연구가 인더스 인장에
  • 15:20 - 15:22
    드라비디아 언어로 적힌 별자리와 행성의 이름이
  • 15:22 - 15:24
    새겨져 있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을까요?
  • 15:24 - 15:26
    아직은 아닙니다.
  • 15:26 - 15:28
    아직은 이런 식의 해독법을
  • 15:28 - 15:30
    입증할 방법은 없지만,
  • 15:30 - 15:33
    더 많은 텍스트를 읽을 수 있고 또한 더 긴 텍스트도
  • 15:33 - 15:35
    이런식으로 읽을 수 있으면
  • 15:35 - 15:37
    우리의 방식에 대한
  • 15:37 - 15:39
    신뢰도가 더 높아지겠지요.
  • 15:39 - 15:41
    우리는 지금
  • 15:41 - 15:44
    TED 같은 단어를 이집트 상형문자 또는
  • 15:44 - 15:47
    설형문자로 쓸 수 있습니다.
  • 15:47 - 15:49
    이런 문자들의 해독방법을 19세기에
  • 15:49 - 15:51
    이미 알아냈기 때문이죠.
  • 15:51 - 15:53
    우리는 이들 문자를 해독함으로써
  • 15:53 - 15:56
    이 고대 문명들과 직접적으로 대화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 15:56 - 15:58
    마야 문명은 20세기 부터
  • 15:58 - 16:00
    우리에게 이야기를 하기 시작했지만
  • 16:00 - 16:03
    인더스 문명은 아직도 침묵을 지키고 있습니다.
  • 16:03 - 16:05
    그런데 그게 우리와 무슨 상관이 있나요?
  • 16:05 - 16:07
    인더스 문명은 오로지 남부 인도인이나
  • 16:07 - 16:09
    북부 인도사람이나 또는 파키스탄
  • 16:09 - 16:11
    사람들에게만 속하는 것이 아니고
  • 16:11 - 16:13
    우리 모두에 속합니다.
  • 16:13 - 16:15
    이들은 저와 여러분들의
  • 16:15 - 16:17
    조상입니다.
  • 16:17 - 16:19
    인더스 유물들은
  • 16:19 - 16:21
    불행한 역사의 사고로 침묵을 지켜야 했습니다.
  • 16:21 - 16:23
    우리가 인더스 문자를 해독할 수 있으면
  • 16:23 - 16:25
    우리는 다시 그들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겠지요.
  • 16:25 - 16:28
    그들은 우리에게 무슨 말을 할까요?
  • 16:28 - 16:31
    우리는 그들과 우리 자신에 대한 무엇을 발견하게 될까요?
  • 16:31 - 16:34
    저는 인더스어를 읽을 수 있는 날이 빨리 오기를 고대합니다.
  • 16:34 - 16:36
    감사합니다.
  • 16:36 - 16:40
    (박수)
Title:
라제쉬 라오: 인더스 문자의 로제타 스톤
Speaker:
Rajesh Rao
Description:

라제쉬 라오는 모든 크로스워드 퍼즐의 어머니인 4000년된 인더스 문자를 해독하는 일에 매료돼 있습니다. 그는 TED 2011에서 이 고대문명을 이해하는데 결정적으로 중요한 인더스 언어를 해독하기 위해 그의 팀이 어떻게 컴퓨터를 사용하고 있는지 말해줍니다.

more » « less
Video Language:
English
Team:
closed TED
Project:
TEDTalks
Duration:
16:41
Young-ho Park added a translation

Korean subtitles

Revis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