롭 레가토(Rob Legato): 경외심을 일으키는 예술
-
0:01 - 0:03저는 "아폴로 13호"라는 영화의 작업을 했습니다.
-
0:03 - 0:05그 작업을 하면서, 저는 우리의 두뇌가 어떻게 작용하는지에 대한
-
0:05 - 0:07뭔가를 알게 됐습니다. 그것은
-
0:07 - 0:09우리가 열정이라든가 경외심, 그냥 선호하거나,
-
0:09 - 0:14아니면 뭐가 됐든, 이런 것들과 교감하게 되면
-
0:14 - 0:16사물에 대한 우리의 인식이 바뀌게 된다는 겁니다.
-
0:16 - 0:18우리가 보는 것을 바꾸고, 기억하는 것도 바꾸죠.
-
0:18 - 0:22하나의 실험으로,
-
0:22 - 0:26저는 이 영화에서 새턴 5호의 발사 장면을
-
0:26 - 0:29만들어내는 작업을 너무 자신있게 했기 때문에
-
0:29 - 0:31저는 약간 걱정이 되었죠. 그래서 실험을 해보기로 마음먹고
-
0:31 - 0:35사람들을 영사기가 있는 방에 모아서
-
0:35 - 0:37이 놀라운 광경을 보여줬어요.
-
0:37 - 0:40제가 이 장면을 보여주면서,
아주 간단하게 사람들이 뭘 기억하는지 -
0:40 - 0:44기억에 남는게 뭔지 알고 싶었어요.
-
0:44 - 0:46이런 광경을 되살려 내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
0:46 - 0:49어느 정도 비슷하게 만들려면 뭘 해야하나?
-
0:49 - 0:52이것이 사람들에게 보여준 장면입니다.
-
0:52 - 0:55제가 알아낸 것은, 장면의 특성상
-
0:55 - 0:57그리고 우리가 이 영화 작업을 하고 있다는 사실 때문에
-
0:57 - 0:59그 안에는 어느 정도의 감정이 개입되어 있었어요.
-
0:59 - 1:02게다가 발사에 대한 느낌이 꼭 이럴거다라든가
-
1:02 - 1:04그런 걸 부분적으로 기억하고 있었죠.
-
1:04 - 1:06제가 저 장면을 보여줬을 때, 장면이 끝나자 마자,
-
1:06 - 1:09사람들이 장면에 대해 뭘 생각했는지,
-
1:09 - 1:11기억에 남는 장면은 무엇인지 물었을 때,
사람들은 그 모든걸 바꾸어 버렸어요. -
1:11 - 1:14그 사람들은 -- 그 사람들은 카메라로 작업을 하는 듯 했어요.
-
1:14 - 1:16그 사람들은 아주 여러가지 생각을 가졌더군요.
-
1:16 - 1:19장면이 섞여 있기도 하고, 정말 이상하더군요.
-
1:19 - 1:21제 이야기는, 도대체 겨우 몇 분전에 뭘 본건지,
-
1:21 - 1:24어떻게 이렇게 표현할 수 있을까 하고 정말 궁금했어요.
-
1:24 - 1:28제가 발견한 점은, 내가 할 일은 사람들이 본 걸 재현하기 보다
-
1:28 - 1:32그들이 기억하는걸 재현해야겠다는 것이었죠.
-
1:32 - 1:36여기 이것이 발사 장면입니다. 기본적으로 노트에 적은
-
1:36 - 1:39내용에 기초해서, 사람들이 어떤 생각을 했는지,
-
1:39 - 1:41그리고 다른 여러가지 장면들을 합성하고
-
1:41 - 1:43다양한 내용을 합쳐서
-
1:43 - 1:45사람들이 이랬던거 같다라고 기억하는 부분적인 내용을
-
1:45 - 1:47만들었지만, 그건 사실
정말 보이는대로의 모습은 아니었어요. -
1:47 - 1:50이것이 "아폴로 13호"에서 우리가 만들어낸 장면입니다.
-
1:50 - 1:54(발사 소음)
-
1:54 - 1:57그러니까 정확하게 말하자면, 여러분이 보시는 것은
-
1:57 - 1:59수많은 사람들의, 수많은 기억의 집합체지요.
-
1:59 - 2:02제 자신의 기억과 주제에 영향을 주는
-
2:02 - 2:04약간의 상상력을 포함한 것입니다.
-
2:04 - 2:07저는 기본적으로 근거리 렌즈를 씁니다.
-
2:07 - 2:09그러니까 액션에 아주 가까이서 찍는거죠.
-
2:09 - 2:11그렇지만 망원 렌즈를 쓰는것처럼 구도를 잡았습니다.
-
2:11 - 2:14그러면 거리감이 좀 생기죠. 그러니까 기본적으로
-
2:14 - 2:16사람들이 전에 사실 보지 못한 장면을 기억해 내도록
-
2:16 - 2:19장치한 것이죠. (음악)
-
2:19 - 2:22이제 여러분들이 반응을 보일 때,
실제로 여러분들이 반응하는 대상이 -
2:22 - 2:25정확하게 어떤 것인지 보여드리겠습니다.
-
2:25 - 2:38(음악)
-
2:38 - 2:40톰 행크스: 휴스톤, 여긴 오딧세이다.
-
2:40 - 2:43다시 만나게 되서 반갑다. (환호) (음악)
-
2:43 - 2:45롭 레가토: 사람들이 저에게 박수를 보내는 걸로 하겠습니다.
-
2:45 - 2:48(웃음)
-
2:48 - 2:51그러니까 전 지금 주차장에 있고, 깡통이 하나 있어요.
-
2:51 - 2:53저는 기본적으로 소화기로 발사 장면을 재현할 것입니다.
-
2:53 - 2:57제가 가지고 있는 왁스는 렌즈에 뿌릴건데
-
2:57 - 3:00얼음처럼 보이죠.
-
3:00 - 3:03여러분들이 반응하실 때,
-
3:03 - 3:06방금 보여드린 어느 것이라도 믿으신다면,
여러분들이 감흥을 갖게 되는 것은 -
3:06 - 3:09완전한 허구에 대한 것입니다.
-
3:09 - 3:10정말 흥미로운 걸 발견했죠.
-
3:10 - 3:13이 특정한 경우에, 여기가 영화의 클라이막스인데요
-
3:13 - 3:17장면을 만드는 중요한 부분은 그저 모델을 정하고
-
3:17 - 3:20헬리콥터 밖으로 던진 다음, 그걸 찍은거에요.
-
3:20 - 3:22그것이 제가 했던 일입니다.
-
3:22 - 3:25찍는 사람이 저였고, 저는 그저 그런 연출가였죠.
-
3:25 - 3:28저는 뭐랄까.. 정말 진짜같은 느낌을 받았어요.
-
3:28 - 3:31로켓을 따라 저 아랫쪽으로 따라가면서
-
3:31 - 3:33약간의 강조점을 주었죠. 저는 저걸 화면에 담으려고
-
3:33 - 3:36굉장히 애를 썼어요. 그러자 다음 문제가 일어났죠.
-
3:36 - 3:39실제 우주인이었던 NASA 의 고문이 있었는데
-
3:39 - 3:42이 사람은 실제로 아폴로 15호에 탑승해서
임무를 수행했던 사람이죠. -
3:42 - 3:45이 사람이 거기서 제가 만들어낸 장면을
과학적으로 다시 검토했어요. -
3:45 - 3:49아마 누군가가 그래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거겠죠.
-
3:49 - 3:50(웃음)
-
3:50 - 3:53이유는 모르겠지만 사람들은 그렇게 생각했습니다.
-
3:53 - 3:57그 사람은 우주비행사인 영웅이었으니
-
3:57 - 4:00우리는 약간 흥분되기도 했어요.
-
4:00 - 4:02약간의 상상력을 가미해서 제까 직었던 그리 나쁘지 않은
-
4:02 - 4:05장면에 대해서 이야기를 했습니다.
-
4:05 - 4:08어쩌면 아마 우리가 너무 잘 된다고 생각했을지도 몰라요
-
4:08 - 4:11저는 그 분을 모셔다가 우리가 촬영했던
-
4:11 - 4:13장면을 보고 확인하도록 해야 했습니다.
-
4:13 - 4:16그 분은 보고서에 A+라고 적었죠.
-
4:16 - 4:18그래서 제가 그 분에게 우리가 작업하던
내용을 일부 보여드렸어요. -
4:18 - 4:21그리고는 듣고 싶은 평가가 나오기를 기다렸죠.
-
4:21 - 4:24정말 희망했던 평가를 들었습니다.
(음악) (발사 소음) -
4:24 - 4:26그 분에게 이 두 장면을 보여드렸어요.
-
4:26 - 4:30그 분은 생각하시는 대로 제게 이야기 해주셨어요.
-
4:30 - 4:32("틀렸어요") (웃음)
-
4:32 - 4:35아 그래요. (웃음)
-
4:35 - 4:37이건 당신이 꿈꾸던 것이죠.
-
4:37 - 4:40(웃음)
-
4:40 - 4:44제가 들은 이야기는, 이렇게 말씀하시더군요
-
4:44 - 4:47" 로켓은 절대, 절대로 그렇게 만들지 못합니다..
-
4:47 - 4:48받침대의 지지대가 밖으로 나와 있을 때,
-
4:48 - 4:50로켓은 절대로 위로 날아 오르지 못합니다.
-
4:50 - 4:52그랬을 때, 일어날지도 모를 참사를 상상해보세요.
-
4:52 - 4:55절대로 로켓을 저렇게는 만들지 못합니다."
-
4:55 - 4:57그 분이 저를 쳐다보셨죠.
그렇죠.. 보셨는지 모르지만, -
4:57 - 4:59저는 소화기로 미국에서 가장 감동적인 순간을
-
4:59 - 5:01재현해 내려고 주차장에 서 있는
-
5:01 - 5:03작자였습니다.
-
5:03 - 5:05(웃음)
-
5:05 - 5:08'이걸로 논쟁을 벌이고 싶지 않아요. 당신은 우주 비행사고
-
5:08 - 5:11영웅이시죠, 저는 그저 뉴저지에서 온.. --
-
5:11 - 5:12(웃음)
-
5:12 - 5:14여기 몇몇 장면을 보여드리죠.
-
5:14 - 5:17이걸 보여드릴테니 어떤 생각이 드는지 말씀해주세요. '
-
5:17 - 5:19그리고나서 저는 제가 듣고 싶었던 평가를 듣게 되었습니다.
-
5:19 - 5:21제가 그 분에게 이걸 보여드렸어요. 그 분이 탔던 우주선의
-
5:21 - 5:25실제 장면이에요. 아폴로 15호였어요. 그가 수행했던 임무죠.
-
5:25 - 5:30제가 이 장면을 보여드렸을 때, 그 분의 반응이 재미있었어요.
-
5:30 - 5:33("그것도 틀렸습니다.") (웃음)
-
5:33 - 5:36그런데, 사실은
-
5:36 - 5:39그 분이 다르게 기억하고 있던 것이었어요.
-
5:39 - 5:41그 분은 그 지지대가 완벽할 정도로 안전하다고
-
5:41 - 5:44그러니까 로켓 발사에 완벽하게
안전하다고 기억하고 있던거죠. -
5:44 - 5:46왜냐하면, 그 분은 수천 톤의 추진력을 가진
-
5:46 - 5:48최고의 로켓안에 앉아 있었으니까요.
-
5:48 - 5:51그 분은 모든게 잘 진행될거라고 바라고만 있던거죠.
-
5:51 - 5:53(웃음) (박수)
-
5:53 - 5:55그래서 그분의 기억에는 왜곡이 있던겁니다.
-
5:55 - 5:59론 하워드가 버즈 올드윈을 우연히 마주쳤는데,
-
5:59 - 6:01이 분은 영화와는 관련이 없어서 우리가 만든 영상이
-
6:01 - 6:03가짜라는 생각은 전혀 하지 못하고 있었어요.
-
6:03 - 6:06올드윈은 그렇게 반응한겁니다. 그걸 보여드리죠.
-
6:06 - 6:08론 하워드: 버즈 올드윈이 제게 와서는
-
6:08 - 6:13"그 발사 장면 알아? 내가 전엔 보지도 못했던 장면을 봤어.
-
6:13 - 6:18그런건 어느 우주선에서 찾아낸거야?"라고 묻더군요.
-
6:18 - 6:20제가 그랬죠. "이 친구야,
-
6:20 - 6:24그건 우리가 아무 것도 없는데서 만들어낸거라네."
-
6:24 - 6:28그러자 "대단한데? 우리가 써도 될까?"라고 하더군요.
-
6:28 - 6:31(폭발음) ("그럼") (웃음)
-
6:31 - 6:33론 하워드: 저 사람은 정말 대단한 미국인이에요.
-
6:33 - 6:37(웃음)
-
6:37 - 6:40이 이야기는 잘 모르시겠죠. "타이타닉"은
-
6:40 - 6:42멋지게 끝맺지 못했습니다.
-
6:42 - 6:45(웃음)
-
6:45 - 6:48짐 캐머런은 사실 실제 타이타닉호의 사진을 찍었어요.
-
6:48 - 6:50그 사람은 그러니까 믿지 못하는 사람들을 완전히
-
6:50 - 6:52헷갈리게 한겁니다. 그가 찍은 장면은
-
6:52 - 6:56진짜였어요. 미르라는 잠수정이 내려가,
-
6:56 - 6:58실제로는 두대의 잠수정이 난파지점까지 내려가서
-
6:58 - 7:00이런 잊지 못할 장면을 찍어 왔습니다.
-
7:00 - 7:03정말 아름답죠. 그래서 이런 여러가지 다양한
-
7:03 - 7:05감흥을 불러 일으킨 겁니다. 하지만 모든 장면을 다 찍을 수는
-
7:05 - 7:08없었죠. 사실을 말씀드리면,
-
7:08 - 7:10중간에 빈 장면을 제가 채워넣어야 했어요.
지금보니 훨씬 겁나는 일인데요. -
7:10 - 7:12왜냐하면 제가 실제 일어났던 사실과 제가 가진 장면의
-
7:12 - 7:15사이를 오가며 장면을 만들어내야 했거든요.
-
7:15 - 7:20그 당시에는 그걸 할 사람이 저 밖에 없었거든요.
-
7:20 - 7:22이 장면은 그가 찍은 거구요.
-
7:22 - 7:26굉장히 감동적이고 경외감이 들기까지 하죠.
-
7:26 - 7:29그냥 계속하게 두겠습니다. 그래야 여러분들이
-
7:29 - 7:32빠져들 수 있으실테니까요. 제가 저걸 처음 봤을 때,
-
7:32 - 7:35제가 보인 반응을 말씀드릴게요.
-
7:35 - 7:39저는 마치 제가 그 장면을 보려고
-
7:39 - 7:41이생에 되살아난 듯한 느낌을 받았어요.
-
7:41 - 7:43당연히 저는 이 배를 보고 싶어졌죠.
-
7:43 - 7:46이 대단한 배는 정말 최고의 영예를 누렸지만
-
7:46 - 7:49저는 그 반대로, 그렇게 영예롭지 못한 면을 보고 싶었습니다.
-
7:49 - 7:52어찌 보이는지 되돌아가 볼까요.
-
7:52 - 7:55이걸 만들려고 제가 어떤 노력을 했는지는 나중에 보여드릴텐데
-
7:55 - 7:58한가지 효과를 만들어 냈습니다.
제겐 이 영화의 가장 핵심이 되는 것인데요. -
7:58 - 8:01그래서 제가 영화를 만들고 싶어하죠.
-
8:01 - 8:05그래서 제가 만들어내고 싶었던
그런 것을 만들어내는 일을 합니다. -
8:05 - 8:07제가 찾아낸 다른 흥미로운 걸 하나 보여드리죠.
-
8:07 - 8:09이걸 보시면,
-
8:09 - 8:10가슴이 정말 뭉클해집니다.
-
8:10 - 8:13이건 장면이 뒷 이야기를 찍은거구요, 이런 장면들이죠.
-
8:13 - 8:15제가 만든 장면을 보셨을 때,
-
8:15 - 8:18여러분들은 이걸 보신겁니다: 엄청나게 많은 남자들이
-
8:18 - 8:21배를 뒤집은 겁니다. 작은 잠수정 미르는
-
8:21 - 8:24사실 작은 축구공 크기만 합니다.
-
8:24 - 8:26연기속 장면이구요.
-
8:26 - 8:28짐은 3마일(5km)나 깊이 물 속으로 들어갔고
-
8:28 - 8:29저는 스튜디오에서 3마일쯤 떨어진
-
8:29 - 8:32주차장으로 간겁니다.
-
8:32 - 8:34여러분들이 감동받거나, 바라보신 것들은
-
8:34 - 8:37짐이 찍은 영상에서 가졌던 느낌과
기본적으로 같은 느낌이 들겁니다. -
8:37 - 8:41저는 사람들이 어떤걸 진짜라고 믿게되면
-
8:41 - 8:45그것에 대해 느꼈던 바를 전부 변형하게 된다는게
-
8:45 - 8:48정말 놀라웠습니다.
-
8:48 - 8:50이런 수준입니다. 이건 완전히 인공적인 것이거든요.
-
8:50 - 8:54완전히 가공의 대상이지만 여러불들께는 아니겠죠.
-
8:54 - 8:56제가 발견한 것은 정말 재미있고
-
8:56 - 8:59그 실체를 알아내서 사용해 볼 만해요.
-
8:59 - 9:01그로 인해, 저는 이런 영상 효과를 만드는데
-
9:01 - 9:04일종의 마법과도 같습니다. 제가 정말로 의도했던 것은
-
9:04 - 9:08관객이 영상 효과를 시작하는 신호를 내도록 하는 것과 같아요.
-
9:08 - 9:10그러니까 관객들에게 그것은 흠잡을 데 없이 매끄럽게 되거죠.
-
9:10 - 9:13말하자면 저의 해석을 보여드린게 아니라
-
9:13 - 9:16관객이 보고 싶어 하는 것을 만들어 낸겁니다.
-
9:16 - 9:22바로 그 다음 장면은 --
-
9:22 - 9:24제가 뭘하고 있었는지 보실 수 있어요.
-
9:24 - 9:26기본적으로 한 장면에 잠수정 두대가 보이면
-
9:26 - 9:29그건 제가 찍은 장면이이에요.
왜냐하면, 카메라는 어디서 찍는거겠어요? -
9:29 - 9:30짐 케머런이 저걸 찍을 때는 잠수정이 한 대 뿐이었어요.
-
9:30 - 9:32그는 다른 잠수정에서 장면을 찍고 있었으니까요.
-
9:32 - 9:33사실 저는 제가 이걸 찍었는지
짐 캐머런이 찍은 건지 잘 기억하지 못합니다. -
9:33 - 9:37짐이 했다고 해두죠. 그 사람도 좀 칭찬을 해줘야죠.
-
9:37 - 9:43(웃음)
-
9:43 - 9:45자 이제, 타이타닉 입니다.
-
9:45 - 9:48이 부분이 제가 말씀드린 장면이에요.
-
9:48 - 9:51제가 타이타닉의 한 모습에서 다른 모습으로 마술처럼
-
9:51 - 9:55변환시킨 겁니다. 그 장면을 한번 보여드리죠. (움악)
-
9:55 - 9:59(음악)
-
9:59 - 10:04제가 원했던 건 여러분 앞에서 그냥 녹아내리는 것이었어요.
-
10:10 - 10:14글로리아 스튜어트: 그 것이 타이타닉을 낮에 본 마지막 모습이었어요.
-
10:14 - 10:17로버트 레가토: 그러니까 제가 한 것은 기본적으로 어느 부분을 집중해서 보는지
-
10:17 - 10:20내가 어떤 부분을 따라가며 보고 있는지
-
10:20 - 10:22실험해 볼 수 있는 다른 상영실을 만드는 것이었죠.
-
10:22 - 10:25물론 여러분들은 배의 끝에 매달린 두 사람입니다만
-
10:25 - 10:27어느 순간에,
-
10:27 - 10:29저는 이 장면의 배경을 바꿉니다.
-
10:29 - 10:31그걸 바꿔서 녹슨 난파선으로 바꾸는거죠.
-
10:31 - 10:34그리고는 매일 그 장면을 반복해 보다가
-
10:34 - 10:37그 두 사람에서 시선을 떼고 그 주변을 보게 되는 바로 그 순간을
-
10:37 - 10:39찾아내는 겁니다. 제 시선이 옮겨가는그 순간의 장면에
-
10:39 - 10:42표시를 해둡니다.
-
10:42 - 10:44저의 시선이 옮겨가는 순간, 저는 바로 이 두 사람의 모습을
-
10:44 - 10:47바꾸기 시작합니다. 그래서 사람들은
-
10:47 - 10:49그 변화가 언제 시작해서 언제 끝나는지 모르게 되는거죠.
-
10:49 - 10:51한번 더 보여드릴게요.
-
10:51 - 10:54(음악) 이건 우리의 머리가 자연적으로 행하는 행동을
-
10:54 - 10:58이용한 겁니다. 그건 여러분이 주의를 옮기는 순간,
-
10:58 - 11:00뭔가 바뀌기 시작하는 겁니다. 그리고는
-
11:00 - 11:02스카프가 나오죠. 그건 그 장면이 정말 회상적인 장면이 되길 바랐거든요.
-
11:02 - 11:06정말 그 두 사람이 아직도 난파선에 있는 것처럼 느껴지길 바란거죠.
-
11:06 - 11:09그곳이 그 두 사람이 묻힌 곳입니다.
-
11:09 - 11:11뭐 그런겁니다. 제가 지금 지어낸 거구요.
-
11:11 - 11:14(웃음)
-
11:14 - 11:16우연히도 그 장면이 제가 낮에 본 마지막 장면이에요.
-
11:16 - 11:19정말 오래도록 작업했던 영화였어요. (웃음)
-
11:19 - 11:22자 이제, "유고"에요 또 하나의 재미있는 영화죠.
-
11:22 - 11:24왜냐하면 영화 자체가 영화의 환상에 대한 것이었어요.
-
11:24 - 11:27그건 우리의 뇌가 영화를 만드는 지속적인 장면으로
-
11:27 - 11:29어떻게 속아 들어가는지를 보여줍니다.
-
11:29 - 11:33제가 했던 일은요. 우리가 --
-
11:33 - 11:36사샤 코헨은 아주 영리하고 똑똑한 코메디언이죠.
-
11:36 - 11:38그 친구는 버스터 키튼 류의 아기자기한 장면에
-
11:38 - 11:41대단한 애정을 가져서
-
11:41 - 11:44자신의 발목 보조기가 달리는 기차에 끼어들어 가는 장면을 찍고 싶어했어요.
-
11:44 - 11:46너무 위험해서 도저히 찍을 수 없는 장면인데다가
-
11:46 - 11:49우리 촬영장에서는 찍을 수 없었어요. 이런 기차를 촬영장에서
-
11:49 - 11:54움직일 수 없었거든요. 그러기엔 너무 비좁으니까요
-
11:54 - 11:57제가 그 장면을 보여드릴게요. 저는 기본적으로
-
11:57 - 12:00세르게이 아인슈타인이 알아낸 기교를 사용했습니다.
-
12:00 - 12:04그건, 움직이는 물체와 카메라를 동시에 움직이면
-
12:04 - 12:06정지해 있는 물체가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게 되는 겁니다.
-
12:06 - 12:09그러니까 움직이는 물체가 정지해 있는 것럼 보이는거죠.
-
12:09 - 12:12여기 지금 보시는 장면에서 사실 기차는 전혀 움직이지 않았어요.
-
12:12 - 12:17실제 움직인건 바닥이었습니다.
-
12:17 - 12:20장면을 보시죠. 저기 보시는게 작은 비디오에요.
-
12:20 - 12:23우리가 실험적으로 사용한거죠.
-
12:23 - 12:26그 내용이 여러분이 보시는 장면입니다.
-
12:26 - 12:28저는 그게 꽤 재미있었어요.
-
12:28 - 12:31영화의 가장 중요한 부분에 누가 만들었는지도 모르는
-
12:31 - 12:34이런 천재적인 기교가 들어갔다는 사실 때문이죠.
-
12:34 - 12:37저는 정말로 누가 만든 기죠인지 알고 싶지만 그럴 수가 없어요.
-
12:37 - 12:41그게 한 1910년 쯤 처음 사용되었다고 마티가 그러더군요.
-
12:41 - 12:43그런건 실제 제대로 작동되는 걸 볼 때까지는
-
12:43 - 12:45정말 해보기 어려운 그런 기교거든요.
-
12:45 - 12:48제가 어떻게 찍으려는지 말하자 그는
-
12:48 - 12:50"제가 제대로 이해한건지 모르겠어요. 바퀴 달린거라구요?
-
12:50 - 12:52안 움직이는데요?"
-
12:52 - 12:56(웃음) (박수)
-
12:56 - 13:00"그런데 바퀴도 없는 건 움직인다구요."
-
13:00 - 13:02그렇죠. (웃음)
-
13:02 - 13:05다음 장면으로 가죠. 마지막입니다. --
-
13:05 - 13:09마티는 이거 안보고 있겠죠? (웃음)
-
13:09 - 13:13이건 밖에서 보는게 아니라 -- (웃음)
-
13:13 - 13:17다음으로 보여드릴 것은 전체를 한번에 찍는 이론입니다.
-
13:17 - 13:20이건 어떤 이야기를 전개하는 아주 우아한 방법이죠.
-
13:20 - 13:22특히 누군가가 여행을 한다거나
-
13:22 - 13:25그 여행을 통해서 어떤 사람의 성격을 간략하게
-
13:25 - 13:27나타내려고 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
13:27 - 13:29이제, "좋은친구들(Goodfellas)"라는 영화에 나오는 장면을 보여드릴까 합니다.
-
13:29 - 13:31가장 잘 찍은 영화 중에 하나인데요.
-
13:31 - 13:35마틴 스콜시지의 영화에서
-
13:35 - 13:37헨리 힐이 코파카바나 해변을
-
13:37 - 13:39갱단원처럼 헤집고 걸어갈 때 어떤 느낌이 들지 느껴보세요.
-
13:39 - 13:43그는 그의 세상에서 주인과도 같았죠. 우리는 유고도
-
13:43 - 13:45같은 느낌을 받길 원했어요. 그래서 이런 장면을 만들었죠.
-
13:45 - 13:49(음악)
-
13:49 - 13:54저 아이가 유고에요. (음악)
-
13:54 - 13:57우리는 카메라가 아이를 따라 함께 움직이면
-
13:57 - 14:00이 아이가 어떻게 느끼는지 볼 수 있으리라고 생각했죠.
-
14:00 - 14:02이 아이는 이 세계의 주인이거든요.
-
14:02 - 14:05그 세계가 배경으로 나옵니다.
-
14:05 - 14:07이 아이만이 헤집고 다닐 수 있는
-
14:07 - 14:10이 특별한 기차역의 내부죠.
-
14:10 - 14:12아이는 이런 식으로 움직이고 우리는 그런게
-
14:12 - 14:14아주 자연스럽도록, 그러니까 항상 그러는 것처럼 만들어야 했습니다.
-
14:14 - 14:17그래서 이 부분 전체를 한번에 이어 찍는게 중요했어요.
-
14:17 - 14:20물론 3차원 영상으로 찍어야 했구요.
-
14:20 - 14:24그러려면 커다란 막대기 같은데 대형 카메라를 매달아야 했죠.
-
14:24 - 14:27그렇게 해서 이어진 영상을 찍는게 저희들의 일이었습니다.
-
14:27 - 14:30그리고 여러분들이 "좋은 친구들"에 대해 보여주신
-
14:30 - 14:32반응을 느낄 수 있도록 한 겁니다 .
-
14:32 - 14:36이제 보실 것은 실제 저희가 촬영했던 과정입니다.
-
14:36 - 14:39사실 이건 5개로 분리된 영상입니다. 각각 다른 시간에 찍은거죠.
-
14:39 - 14:40그리고 대역도 있었어요.
-
14:40 - 14:42왼쪽에 보시는 것이 이 부분의 끝입니다.
-
14:42 - 14:48그리고 오른쪽은 다른 카메라가 넘겨 받아 찍은거죠.
-
14:48 - 14:51여기서 아이가 바뀝니다. 이 영화의 주인공인
-
14:51 - 14:55아사 버터필드로 부터 그의 대역으로 바뀌는거죠. (음악)
-
14:55 - 14:57그가 했던 스턴트 장명을 과장하진 않으렵니다.
-
14:57 - 14:59이 장면을 찍으려고 어이없는 묘책을 썼죠. (음악)
-
14:59 - 15:03이 장면은, 아 이제 3번 장면으로 들어갑니다.
-
15:03 - 15:07그리고 다음으로 넘어 갑니다.
-
15:07 - 15:10장면의 마지막 부분은 사실 고정된 카메라로 찍는 장면입니다.
-
15:10 - 15:12다른 장면은 모두 크레인 위에서 찍었거든요.
-
15:12 - 15:14그리고 다른 여러 장면들, 이런 건 모두
-
15:14 - 15:18두명의 배우가 다른 시간에 다른 촬영장에서 찍었어요.
-
15:18 - 15:20하지만 전체가 하나로 이어진 장면같게 만들어야 했죠.
-
15:20 - 15:25저에게 이런 기술은 대단하게 생각되는데요.
-
15:25 - 15:28제가 이제까지 촬영했던 장면 중에 최고의 호평을 받았던 장면이에요.
-
15:28 - 15:30이걸 마쳤을 때, 제 나름대로 대단한 자부심을 느꼈습니다.
-
15:30 - 15:35아마 여러분들은 절대 그런걸로 자부심을 느끼시진 않겠지만요.
-
15:35 - 15:38어쨌든 저는 상당한 자부심을 느꼈는데
-
15:38 - 15:40제 친구에게 이렇게 이야기 했습니다.
-
15:40 - 15:42" 이 장면이 말이지 이제껏 내가 일했던 것중에
-
15:42 - 15:45최고의 호평을 받은거라네. 그 이유가 뭔지 알겠나?"
-
15:45 - 15:46그가 이러더군요. " 그건 말이지
-
15:46 - 15:48아무도 네가 한 작업의 결과라는 사실을 모르기 때문이지."
-
15:48 - 15:51(웃음)
-
15:51 - 15:55제가 드릴 말씀은 그저, 감사하다는 말씀입니다.
-
15:55 - 16:00제가 말씀드릴 강연의 전부입니다. (박수)
-
16:00 - 16:05(박수)
- Title:
- 롭 레가토(Rob Legato): 경외심을 일으키는 예술
- Speaker:
- Rob Legato
- Description:
-
로버트 레가토는 영화 장면의 효과를 매우 잘 만들어서 사람들은 (때로) 실제 장면으로 속기도 한다. 이 화기애애하고 재미있는 강연에서, 그는 현실을 아폴로 13호나, 타이타닉, 유고와 같은 영화속 한 장면처럼 생생하게 증강해보려는 자신의 비젼을 소개한다.
- Video Language:
- English
- Team:
closed TED
- Project:
- TEDTalks
- Duration:
- 16:27
![]() |
Dimitra Papageorgiou approved Korean subtitles for The art of creating awe | |
![]() |
K Bang commented on Korean subtitles for The art of creating awe | |
![]() |
Retired user accepted Korean subtitles for The art of creating awe | |
![]() |
Retired user commented on Korean subtitles for The art of creating awe | |
![]() |
Retired user edited Korean subtitles for The art of creating awe | |
![]() |
Retired user edited Korean subtitles for The art of creating awe | |
![]() |
K Bang edited Korean subtitles for The art of creating awe | |
![]() |
K Bang edited Korean subtitles for The art of creating aw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