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 변화의 사회적 영향
-
0:01 - 0:04제 생각에 우리가 겪는 모든 문제나
-
0:04 - 0:07특히 정부 문제의
-
0:07 - 0:09근본적인 원천은
-
0:09 - 0:11인구 성장이 확실합니다.
-
0:12 - 0:15[음악]
-
0:18 - 0:21다음 인터뷰는
Denial 101x에서 발췌되었습니다. -
0:22 - 0:25'가장 위험한 해'라는
영화를 좋아하는데 -
0:25 - 0:27이 영화에서 기후 변화에 대한
주요 오해 중 하나를 -
0:27 - 0:29다뤘거든요.
-
0:29 - 0:31기후 변화에 있어서
흔히 오해하는 것 중 하나는 -
0:31 - 0:33우리와 관련이 없다고
생각하는 겁니다. -
0:33 - 0:35북극곰에게만 닥친
문제라고 생각하며 -
0:35 - 0:37내 세대의 문제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
0:37 - 0:39미래 세대의 문제라고 생각하죠.
-
0:39 - 0:41기후 변화를 믿지 않는 사람들만
-
0:41 - 0:43이렇게 생각하는 것은 아닙니다.
-
0:43 - 0:45이 문제에 대해
"미래의 언젠가 우리가 -
0:45 - 0:48다뤄야 할 문제지"라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그래요. -
0:48 - 0:50'가장 위험한 해'에서는
이렇게 말합니다. -
0:50 - 0:53"좋든 싫든 기후 변화는
당장 처리해야 할 문제고 -
0:53 - 0:55누가 이 문제에 대응하고 있는지
-
0:55 - 0:57세계에 얼굴을 보여라"라고 말이죠.
-
0:57 - 1:0050년이나 40년 뒤의
이야기가 아니에요. -
1:00 - 1:02미래의 문제가 아니라
-
1:02 - 1:03우리가 당면한 문제입니다.
-
1:03 - 1:07농업이나 도시 환경과 같이
-
1:07 - 1:09우리가 현재 가동 중인 시스템은
-
1:09 - 1:12기후가 안정적인 상황을
-
1:12 - 1:14기반으로 하여 세워졌습니다.
-
1:14 - 1:17우리는 통제할 수 없는 방식으로
-
1:17 - 1:20이것을 손보기 시작했습니다.
-
1:20 - 1:21과학이 관찰하고 있는 것은
-
1:21 - 1:24기후에 대한 영향이나
-
1:24 - 1:26인간, 해수면에 대한 영향
-
1:26 - 1:28강수량에 대한 영향입니다.
-
1:28 - 1:30기후 변화는 식량 생산이나
-
1:30 - 1:33사람이 사는 지역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요. -
1:33 - 1:34그 영향은 꽤 심각합니다.
-
1:34 - 1:37생물의 다양성에도
영향을 미칠 거예요. -
1:37 - 1:39해수면의 상승보다
영향이 더 클 수 있어요. -
1:39 - 1:40종이 쇠퇴하는 거죠.
-
1:41 - 1:43안타깝게도 가장 영향을
-
1:43 - 1:45많이 받는 사람들은
-
1:45 - 1:47문제를 초래한 사람들이 아닙니다.
-
1:47 - 1:50미국은 1인당 통근량이
-
1:50 - 1:51가장 높아요.
-
1:51 - 1:54하지만 가장 영향을
많이 받는 것은 -
1:54 - 1:56개발도상국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이죠. -
1:56 - 1:58가난하고 나이든 사람들은 이미
-
1:58 - 2:01염수 침입이나 염수 범람,
해수면 상승을 겪고 있습니다. -
2:01 - 2:03이들은 대기에 온실가스를
-
2:03 - 2:05방출하지 않는데도요.
-
2:05 - 2:07태평양 섬의 아래쪽에
-
2:07 - 2:09산다고 상상해보세요.
-
2:09 - 2:11해수면이 약간이라도 상승한다면
-
2:11 - 2:15생계에 막대한 차이를
안겨 줄 겁니다. -
2:15 - 2:16이뿐만이 아니라
-
2:16 - 2:19만조나 폭풍 해일도 발생해요.
-
2:19 - 2:21이렇게 재해가 결합될 경우
-
2:21 - 2:23피해를 받을 수 있는 취약한 지역이
-
2:23 - 2:26세계 곳곳에 있습니다.
-
2:26 - 2:29우리는 해수면의 작은 변화에도
-
2:29 - 2:32상대적으로 취약한 종입니다.
-
2:32 - 2:35방글라데시나
-
2:35 - 2:37네덜란드, 남태평양의 산호섬과 같은
-
2:37 - 2:38국가들은
-
2:38 - 2:41해수면이 1미터 이상 상승하면
-
2:41 - 2:45반드시 파괴될 겁니다.
-
2:45 - 2:47저가 투사도로 측정한
-
2:47 - 2:49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
2:49 - 2:51수많은 사람이 살던 지역을
떠날 예정입니다. -
2:52 - 2:54고성능 투사도로 추적하기 시작하면
-
2:54 - 2:57그린란드나 남극 지역의
대륙 얼음이 -
2:57 - 3:00급속도로 녹고 있기 때문에
-
3:00 - 3:02인구의 이동이 더욱
-
3:02 - 3:04가속화될 수 있어요.
-
3:04 - 3:07해수면은 약 1미터 정도 상승했습니다.
-
3:07 - 3:11이는 약 2억 명의 사람을
-
3:11 - 3:13이주시킬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암시합니다. -
3:14 - 3:16만약 이렇게 기후를
천천히 몰아붙인다면 -
3:16 - 3:18우리가 지금까지 구축해온
많은 것들이 -
3:18 - 3:21갑작스럽게 한계점에
부딪힐 것이라는 것은 -
3:21 - 3:22자명합니다.
-
3:23 - 3:26도시가 추가 부담금 선의
바로 아래에 있고 -
3:26 - 3:28폭풍우가 오면 물은
추가 부담금 선의 -
3:28 - 3:31바로 아래 또는
-
3:31 - 3:33바로 위에 위치하게 됩니다.
-
3:33 - 3:36그리고 약간의 변화가
큰 차이를 만들고 -
3:36 - 3:37몇 주 내에
여러분의 도시가 -
3:37 - 3:40살만한지 아닌지
결정하게 됩니다. -
3:40 - 3:42열대 지방에 사는 사람들에게서
-
3:42 - 3:47그 첫 번째 실제 효과를
목격하게 되리라 생각해요. -
3:47 - 3:49이 사람들은 빙하의 하류에
-
3:49 - 3:50살고 있거든요.
-
3:50 - 3:53하류에 거주하고 있는 사람은
정말 많습니다. -
3:54 - 3:56그렇기 때문에 빙하에
일어나는 일들이 -
3:56 - 3:57정말로 중요해지죠.
-
3:58 - 3:59빙하는 기본적으로
-
3:59 - 4:00스펀지 역할을 합니다.
-
4:00 - 4:02겨울에는 내리는 눈을
-
4:02 - 4:04붙잡고 있고
-
4:04 - 4:06연중 건조한 시기에
-
4:06 - 4:07그 눈을 방류합니다.
-
4:07 - 4:08보통 여름이죠.
-
4:08 - 4:10그렇기 때문에 빙하는
연평균 강우량을 -
4:10 - 4:13조절하게 되는 거예요.
-
4:13 - 4:17그리고 기본적으로 사람들이
-
4:17 - 4:19농경을 지속할 수 있도록 합니다.
-
4:19 - 4:20정말 건조한 지역이
-
4:20 - 4:22있을 수 있으니까요.
-
4:22 - 4:24페루와 같은 국가를 가보면
-
4:24 - 4:26지구상의 열대 빙하의
70퍼센트는 -
4:26 - 4:28페루에 있습니다.
-
4:28 - 4:30페루의 안데스에 거주하는 인구는
-
4:30 - 4:313천 4백만 명입니다.
-
4:32 - 4:35이 중 50퍼센트 이상이
페루 서부 해안에 위치한 -
4:35 - 4:38사막에 거주하며
안데스산맥 위의 빙하에서 -
4:38 - 4:39흘러내려 온
강에 의존하여 살죠. -
4:42 - 4:44전력의 76퍼센트는
-
4:44 - 4:45수력에서 얻으며
-
4:46 - 4:48물은 이 빙하에서 얻습니다.
-
4:48 - 4:50티베트에서 일하신다면 알겠지만
-
4:50 - 4:52이곳에는 4만 6천 개의
빙하가 있습니다. -
4:52 - 4:55그리고 인더스강과 같은
강을 타고 내려가면 -
4:55 - 5:00중국까지 흘러갑니다.
파키스탄과 인도를 지나서요. -
5:00 - 5:01모두 핵무기 보유국이죠.
-
5:02 - 5:05이들은 강에 의존하여
물을 공급받습니다. -
5:05 - 5:08그렇기 때문에 이러한 장소들은
-
5:08 - 5:10미래에 지정학적
분쟁지대가 될 수 있어요. -
5:10 - 5:14아마도 농경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까 싶습니다. -
5:14 - 5:17로키산맥의 동쪽으로 뻗은
-
5:17 - 5:19초원을 떠올려보면
이 거대한 지역들은 -
5:19 - 5:21로키 산맥에서 흘러오는
강의 물을 공급받습니다. -
5:21 - 5:23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지금
-
5:23 - 5:27세계의 인구를 먹여 살리려고
하는 거예요. -
5:27 - 5:29여기에는 밀과 같은
작물이 포함되겠죠. -
5:29 - 5:33이런 작물은 특정 수준의
높은 한계점에 대해 -
5:33 - 5:38높은 인내를 가지지 못하는데
이 경우 심각한 문제에 직면하게 돼요. -
5:38 - 5:41에어컨이나
좋은 공중 보건 인프라를 -
5:41 - 5:43갖추지 못한 사람들이 있어요.
-
5:43 - 5:45이 사람들이 거주하는 지역에
-
5:45 - 5:47열파가 닥치면
사람들은 병듭니다. -
5:47 - 5:50노인들은 일반적으로
열파가 닥친 이후 아파요. -
5:50 - 5:52이에 대처할 공공 인프라가
갖추어져 있지 않으면 -
5:52 - 5:54사람들은 죽습니다.
-
5:54 - 5:56그렇기 때문에 보건이나
-
5:56 - 5:59질병 감염률, 사망률을 보면
-
5:59 - 6:02열파가 닥쳤을 때
상당히 증가합니다. -
6:02 - 6:05그리고 유럽에서는 2003년쯤
-
6:05 - 6:07열파가 닥쳤을 때
-
6:07 - 6:08약 3만 명에서 5만 명의
-
6:08 - 6:12초과 사망이 발생했어요.
-
6:12 - 6:14동아프리카에서 진행했던
연구에 따르면 -
6:14 - 6:16기후 변화는 일부 지역에
영향을 미쳤고 -
6:16 - 6:19그 영향은 무시무시합니다.
-
6:19 - 6:21모기가 옮긴 말라리아가 유행했을 때
-
6:21 - 6:24사람들에게 어떤 일이
발생했는지 보셨을 거예요. -
6:24 - 6:27사람들을 죽였죠.
-
6:27 - 6:29저에게는 학술적인 문제가 아닙니다.
-
6:29 - 6:32이는 문제에 기반한
심각한 윤리 문제예요. -
6:32 - 6:34단기적인 기후 변화는
그 대가가 비싸지만 -
6:34 - 6:37그렇게 크지 않습니다.
-
6:37 - 6:40기후 변화가 거대해질수록
-
6:40 - 6:43그리고 미래를 멀리 내다보면
-
6:43 - 6:46그 가격은 오르고 피해량도 오릅니다.
-
6:46 - 6:49대충 봐도 기온이 1도씩 오를 때마다
-
6:49 - 6:51그 전의 기온에 비해
값이 더 나가요. -
6:52 - 6:54처음 1도는 우리가 익숙했던 온도에서
-
6:54 - 6:58살짝 오른 것이기 때문에
그렇게 비싸지 않습니다. -
6:58 - 6:59비슷하거든요.
-
7:00 - 7:01하지만 두 번째 1도는
-
7:01 - 7:03약간 비쌀 겁니다.
-
7:03 - 7:06내가 겪었던 것과 다르고
압박을 받기 시작하죠. -
7:06 - 7:09그리고 이것을 광범위하게 적용합니다.
-
7:09 - 7:12세 번째 1도는
두 번째 1도보다 비용이 더 나갑니다. -
7:12 - 7:14그리고 네 번째,
다섯 번째 1도도 그렇겠죠. -
7:14 - 7:16이제 해수면은 더욱 높아지고 있습니다.
-
7:16 - 7:19현재 우리가 맞닥뜨린
진정한 위험은 작물이에요. -
7:19 - 7:21생물학 다양성 한계에 대한
-
7:21 - 7:23문제를 마주칠 수 있으며
-
7:23 - 7:26우리를 먹여 살릴 능력도
점점 우려스러워지죠. -
7:26 - 7:28세 번째, 네 번째, 다섯 번째
-
7:28 - 7:311도가 오를수록
-
7:31 - 7:33그 손해나 위험에 대한 비용은
-
7:33 - 7:34올라가지만
-
7:34 - 7:37현재는 세 번째 1도에 대해서만
논란을 벌이고 있습니다. -
7:37 - 7:40첫 번째 1도에 있어서는
익숙해졌거든요. -
7:40 - 7:43우리는 두 번째 1도에 대해서도
익숙해지고 있습니다. -
7:43 - 7:46이것에 대해 인간 삶의 측면에서
바라본 결과가 있고 -
7:46 - 7:48멸종률의 측면에서 본
-
7:48 - 7:49결과가 있습니다.
-
7:49 - 7:52생태계 서비스의 측면에 따른
결과도 있죠. -
7:52 - 7:54하루하루가 지나갈수록
-
7:54 - 7:56우리가 이 문제를 다루지 않는다면
-
7:56 - 7:58문제는 더욱 심각해지고
-
7:58 - 8:02그 값이 더욱 비싸지며
곧 눈앞에 닥치게 됩니다. -
8:02 - 8:06또한 세계의 일부는
사망하는 사람들의 측면에서 봤을 때 -
8:06 - 8:07통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
8:07 - 8:09저에게 이 문제는 아주 근본적이며
-
8:09 - 8:13이렇게 늦장을 부릴 수
없는 문제입니다. -
8:13 - 8:15이건 현실과 동떨어진
문제가 아니에요. -
8:15 - 8:17그 결과가 실제로서
다가오는 겁니다. -
8:17 - 8:19이 일이 실제로
벌어지고 있다는 것을 -
8:19 - 8:22사람들이 깨달을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
8:22 - 8:23정말 심각한 문제예요.
-
8:23 - 8:26하지만 우리는 해결할 수 있습니다.
-
8:26 - 8:30이렇게 해야 하는 이유는
비용이 절약돼서가 아니라 -
8:30 - 8:31우리가 사는 행성이고
-
8:31 - 8:34우리가 사랑하는 사람들이
영향을 받기 때문입니다. -
8:34 - 8:36[음악]
- Title:
- 기후 변화의 사회적 영향
- Description:
-
기후 변화는 더 이상 우리와 동떨어진 문제가 아닙니다. 오늘날 우리는 이 문제를 해결해야만 합니다. 이 영상에서는 기후 변화가 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소개합니다. 일상 속에서 기후 변화에 의해 유발된 문제임에도 우리는 이에 대해 언급하지 않죠. 이러한 문제들은 점점 더 악화되고 시간이 갈수록 처리 비용은 늘어납니다.
구독과 좋아요, 그리고 공유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Facebook: https://www.facebook.com/theknowledgexchange
YouTube: https://www.youtube.com/c/TheKnowledgeExchange
Instagram: https://www.instagram.com/theknowledgexchange/
Twitter: https://www.twitter.com/theknowledgeX/배경 음악: "Ever Mindful" Kevin MacLeod (incompetech.com) Licensed under Creative Commons: By Attribution 3.0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3.0/
아래의 인터뷰는 edX 강좌인 "Making Sense of Climate Change Denial"에서 발췌되었습니다. 아래 링크에서 강좌를 수강하실 수 있습니다. https://www.edx.org/course/making-sense-climate-science-denial-uqx-denial101x-4.
- Video Language:
- English
- Team:
Amplifying Voices
- Project:
- Environment and Climate Change
- Duration:
- 08:48
![]() |
Minjeong Lee edited Korean subtitles for Societal Impacts of Climate Change | |
![]() |
Minjeong Lee edited Korean subtitles for Societal Impacts of Climate Change | |
![]() |
Minjeong Lee edited Korean subtitles for Societal Impacts of Climate Change | |
![]() |
Minjeong Lee edited Korean subtitles for Societal Impacts of Climate Change | |
![]() |
Minjeong Lee edited Korean subtitles for Societal Impacts of Climate Change | |
![]() |
Minjeong Lee edited Korean subtitles for Societal Impacts of Climate Change | |
![]() |
Minjeong Lee edited Korean subtitles for Societal Impacts of Climate Change | |
![]() |
Minjeong Lee edited Korean subtitles for Societal Impacts of Climate Chang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