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직접행동은 아나키스트의 전술을 묘사할 때 자주 사용되는 문구이다.
-
왜냐하면 직접행동은 아나키스트의 가치를
표현하는 주요 방법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
자율성, 자기조직, 상호부조 같은 것들 말이다.
-
그래서 직접행동이 뭔데?
-
직접행동은
-
특정한 목적이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
직접적인 정치적 행동의 일종이라 볼 수 있다.
-
상위의 권위를 가진 사람에게 의지하지 않고서 말이다.
-
직접행동의 이러한 넓은 정의는 많은 활동을 포함한다.
-
가령 현수막을 걸거나 탈옥에 이르기까지 말이다.
-
직접행동은 그것을 하는 사람들의 정치적 입장에 대해 말해준다기 보다는
-
그냥 하나의 전술에 가깝다.
-
즉 직접행동은 다양한 전략목표를 위한
-
특정한 투쟁방식을 의미한다.
-
직접행동이 아나키스트들만의 전유물은 아니지만
-
그것은 아나키스트와 반권위주의적 급진주의자들에게
특별한 의미를 가진다.
-
왜냐하면 적절하게 수행된 직접행동은
-
국가권력에서 큰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
대의민주주의의 사이클에 대항하여
-
희망적인 탈출구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
유명한 독일의 철학자 막스베버는
-
국가란 합법적으로 폭력을 독점하는 독립체라고 정의하였다.
-
즉 국가의 폭력은
-
그것이 정치인의 펜이든, 판사의 봉이든, 경찰의 몽둥이든
-
정당한 힘의 표현이라는 것이다.
-
그리고 국가의 역할은 이것을 통해
-
사회갈등을 가혹하게 중재하는 것이다.
-
이 중재는
-
법원에서의 분쟁이나
-
전화를 받고 출동한 경찰에 의한
-
광범위한 갈등의 해결을 포함한다.
-
그것이 제도적 불균형이든
-
아니면 자본주의나 제국주의
-
백인 우월주의, 장애인 차별과 같은 구조적 불평등이든 말이다.
-
그러나 직접행동은
-
이러한 권력자의 비호를 받고 설득하는 것이 아니라
-
사람들이 자기주장을 할 수 있도록
-
'스스로' 힘을 키우는 것을 의미한다.
-
즉 우리가 직접행동을 하는 이유는
-
국가권력의 독점적인 의사결정권를 거부하고
-
스스로의 자율성을 주장하기 위한 것이다.
-
가령 파이프라인 건설을 예로 들었을 때
-
우리는 이 건설에 반대하는 정치인에게 투표를 하거나
-
국가기관에 호소하기 보다는
-
우리 스스로 그것을 '직접' 막고 차단하고자 하는 것이다.
-
그리고 이것은 종종 매우 효과적이다.
-
따라서 직접행동은 국가권력에 의지하지 않는
-
자율적인 상호부조 네트워크를 건설할 수 있다.
-
가령 50년 전, 흑표당은 지역사회에 만연한
(* 흑표당은 미국의 흑인 좌파 조직입니다)
-
빈곤과 사회서비스의 부족에
-
주목하였다.
-
그들은 정부에 그것을 호소하거나
-
백인들의 양심에 호소하기보다는
-
그들 스스로
-
진료소를 건설하고 가난한 학생들을 위한
-
아침식사 프로그램을 조직하였다.
-
이러한 활동들은 자율적인 공동체 권력을
-
구축하기 위한 광범위한 전략의 일부였다.
-
그러나 FBI의 국장 에드거 후버는
-
이것이 국가안보에 대한 위협이라고 판단하였다.
-
왜냐하면 그것은 국가권력의 합법성과
-
그것을 지탱하는 백인우월주의를
위협하는 행동이었기 때문이다.
-
즉, 그들은 정치라는 공식적인 경로를 이용하지 않았고
-
종종 법 자체를 어기기도 했다는 것이다.
-
그렇다. 직접행동은 필연적으로
-
우리의 갈등을 국가권력의 통제 아래 놓으려고 하는
-
위계의 전술과 맞부딪히게 된다.
-
그들은 비영리 단체나 풀뿌리 민주주의 운동 등을
-
돈으로 현혹시켜 전술이나 전략을 바꾸게 유도하고
-
심한 경우 그들은
-
국가권력이나 무장조직을 이용하여
-
집단투옥시키거나 표적암살을 일삼기도 한다...
-
비록 개념 상 직접행동은
-
위계에 저항하려는 계급이 존재하는 한
-
항상 존재해왔던 것이겠지만
-
직접행동이란 용어 자체는
-
초기 노동자 운동의 전투들을 묘사하는 데 발생되었다.
-
가령 사보타주나 살쾡이파업같은 것들 말이다.
-
그들은 생산을 물리적으로 차단하고
-
억압으로부터 집단적으로 방어함으로써
-
그들의 자본가 주인나리들로부터
권리를 쟁취할 수 있었다.
-
이러한 전술의 광범위한 사용은
-
노동조합의 합법화와
-
노동운동의 급진적인 부분들을
-
국가통제에 두기 위한
-
다수의 양보로 이어졌다.
-
직접행동의 전성기 중 하나는
-
1970년대 이탈리아에서 이루어졌다.
-
자본주의 구조조정으로 촉발된
-
대규모의 주택위기에 직면한
-
수천 명의 이주민들은
-
아파트를 믈리적으로 점거하여
-
퇴거명령으로부터 가족을 지킬 수 있었다.
-
정부가 운행료와 에너지비용 인상을 시도했을 때
-
수만 명의 사람들이
-
이러한 요금의 지불을 거부했는데
-
이는 Autoreduction운동으로 알려져 있다.
(* Autoreduction은 그 물품, 서비스의 가격이 낮아질 때까지 돈을 지불하지 않는 집단적 행동을 말합니다)
-
당시 이탈리아는
-
낙태와 이혼이 모두 불법인
보수적이고 종교적인 가부장적 사회였다.
-
이러한 맥락에서 여성해방운동가들은
-
자하의 진료소 네트워크를 조직했다.
-
이들은 의사, 간호사, 그리고 수백 명의
자원봉사자로 이루어져
-
깨끗하고 안전한 낙태 기술을 갖추고 있었다.
-
이러한 직접행동은
-
낙태 합법화를 요구하는
-
대규모적, 정기적 시위로 이어졌고
-
이는 결국 성공적이었다.
-
양극화, 불확실성, 불안감이 증가하는 오늘날
-
직접행동은 공동체 권력을 구축하고
-
또 우리의 공동체를 방어하기 위한
미래를 위한 투쟁 방식을 제공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