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turn to Video

하품은 왜 전염성이 있는가? - 클라우디아 아귀르 (Claudia Aguirre)

  • 0:07 - 0:10
    저런, 실례했습니다!
  • 0:10 - 0:11
    다른 사람이 하품을 해서
  • 0:11 - 0:13
    따라하게 된 적이 있나요?
  • 0:13 - 0:15
    특별히 피곤한 것도 아닌데
  • 0:15 - 0:18
    갑자기 입이 크게 열리면서
  • 0:18 - 0:22
    큰 하품이
  • 0:22 - 0:24
    나와버리죠.
  • 0:24 - 0:27
    이런 현상은 '전염성 하품'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0:27 - 0:29
    과학자들이 아직까지도
    그 원인을
  • 0:29 - 0:30
    다 빍히지는 못했으나
  • 0:30 - 0:33
    현재 다양한 가설들이
    검토되고 있습니다.
  • 0:33 - 0:35
    예를 들어
  • 0:35 - 0:37
    가장 대표적으로
  • 0:37 - 0:39
    생리적 가설이 두 개 있는데
  • 0:39 - 0:42
    심리적 가설에 앞서
    먼저 살펴봅시다.
  • 0:42 - 0:45
    첫번째 생리적 가설에 따르면
  • 0:45 - 0:46
    전염성 하품은
  • 0:46 - 0:49
    특정 자극에 의해
    촉발된다고 합니다.
  • 0:49 - 0:50
    즉, 최초의 하품이죠.
  • 0:50 - 0:53
    이를 '고정 행동 패턴'이라
    부릅니다.
  • 0:53 - 0:56
    반사 작용과도 같죠.
  • 0:56 - 0:59
    누가 하품하면
    따라서 하품하게 됩니다.
  • 0:59 - 1:01
    도미노 현상과도 유사한데요.
  • 1:01 - 1:02
    한 사람이 하품하면 옆 사람이
  • 1:02 - 1:05
    이를 보고 따라한다는 것이죠.
  • 1:05 - 1:07
    이러한 반사 작용이 촉발되면
  • 1:07 - 1:09
    연이어 나타납니다.
  • 1:09 - 1:10
    한번 시작한 하품을
  • 1:10 - 1:12
    멈추려 한 적 있나요?
  • 1:12 - 1:15
    불가능하죠!
  • 1:15 - 1:17
    또 다른 생리적 가설은
  • 1:17 - 1:20
    '무의식적 모방'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 1:20 - 1:22
    카멜레온 효과라고도 합니다.
  • 1:22 - 1:25
    누군가의 행동을 모방할 때
  • 1:25 - 1:26
    그걸 의식하지 못하면
  • 1:26 - 1:29
    이는 무심코 한
    모방 행위가 됩니다.
  • 1:29 - 1:31
    사람들은 상대방의 자세를
    그대로 따라합니다.
  • 1:31 - 1:33
    만약 맞은 편에 있는 사람이
  • 1:33 - 1:34
    다리를 꼰다면
  • 1:34 - 1:37
    우리도 따라 꼽니다.
  • 1:37 - 1:39
    이 가설에 따르면
  • 1:39 - 1:41
    다른 사람의 하품을
    따라하는 이유는
  • 1:41 - 1:43
    무의식적으로 그들의 행동을
  • 1:43 - 1:45
    모방하기 때문입니다.
  • 1:45 - 1:47
    과학자들은 카멜레온 효과가
  • 1:47 - 1:50
    특정 신경 세포 때문에
    나타난다고 하는데
  • 1:50 - 1:52
    이를 '거울 신경 세포'라고 합니다.
  • 1:53 - 1:56
    거울 신경 세포는
    뇌 세포의 일종으로
  • 1:56 - 1:58
    우리가 특정 행동을 하면
    반응을 합니다.
  • 1:58 - 2:00
    다른 사람이 똑같은
    행동을 할 때에도
  • 2:00 - 2:02
    동일하게 반응합니다.
  • 2:02 - 2:03
    이 신경 세포는
  • 2:03 - 2:05
    학습과 자기 인식에
    중요합니다.
  • 2:05 - 2:08
    가령, 다른 사람이 하는
    행동을 관찰하다보면
  • 2:08 - 2:10
    즉, 뜨개질이나
  • 2:10 - 2:11
    립스틱 바르기와 같은
  • 2:11 - 2:15
    행위를 정확하게
    하도록 도와줍니다.
  • 2:15 - 2:17
    신경 영상학은
    fMRI로 연구를 하는데
  • 2:17 - 2:20
    즉, 기능성 자기 공명 영상법이죠.
  • 2:20 - 2:22
    이에 따르면
    누군가 하품하는 걸 보게 되면
  • 2:22 - 2:24
    또는 듣게 되면
  • 2:24 - 2:26
    뇌의 특정 부위가
  • 2:26 - 2:27
    거울 신경 세포를 관장하여
  • 2:27 - 2:29
    활성화됩니다.
  • 2:29 - 2:31
    그 결과 하품을
  • 2:31 - 2:34
    따라하게 되는 거죠.
  • 2:34 - 2:37
    심리적 가설도
  • 2:37 - 2:39
    거울 신경 세포를 근거로 합니다.
  • 2:39 - 2:42
    이를 '공감 하품'이라고 해보죠.
  • 2:42 - 2:44
    공감이란 다른 사람의 감정을
  • 2:44 - 2:45
    이해할 수 있는 능력으로
  • 2:45 - 2:47
    그들의 감정을
    공유하는 것입니다.
  • 2:47 - 2:50
    사회적 동물인 우리에게
    필수적인 자질이죠.
  • 2:50 - 2:52
    최근, 신경과학자들에 따르면
  • 2:52 - 2:54
    거울 신경 세포의 아류 세포가
  • 2:54 - 2:56
    심층적인 단계에서
    다른 사람의 감정에
  • 2:56 - 2:58
    공감하도록 해준다고 합니다.
  • 2:58 - 2:59
    과학자들은
  • 2:59 - 3:02
    하품의 '공감적 반응'을
    발견했는데요.
  • 3:02 - 3:03
    첫째 가설 검증에서
    알아냈습니다.
  • 3:03 - 3:05
    즉, 고정 행동 패턴이죠.
  • 3:05 - 3:07
    이 연구의 목적은
  • 3:07 - 3:09
    개들도 '반응 하품'을
    하는지 알아보는 것입니다.
  • 3:09 - 3:12
    사람의 하품 소리를
    들으면 말이죠.
  • 3:12 - 3:15
    연구 결과는 이 사실을
    입증했는데
  • 3:15 - 3:17
    다른 점도 발견했습니다.
  • 3:17 - 3:20
    개들은 친숙한 하품 소리에
    쉽게 반응한다는 것입니다.
  • 3:20 - 3:21
    주인 하품처럼요
  • 3:21 - 3:24
    낯선 하품 소리보다 말이죠.
  • 3:24 - 3:25
    이 연구에 따라
  • 3:25 - 3:27
    인간과 영장류에 관한
    다른 연구도
  • 3:27 - 3:29
    '전염 하품'이 자주 발생하는
  • 3:29 - 3:33
    경우는 타인보다 친구
    사이라고 합니다.
  • 3:33 - 3:36
    전염 하품이
    시작되는 시기는
  • 3:36 - 3:39
    4-5세 경인데요.
  • 3:39 - 3:39
    이때
  • 3:39 - 3:43
    타인의 감정을
    인지하기 시작합니다.
  • 3:43 - 3:46
    최신 연구들은
  • 3:46 - 3:47
    전염 하품이 공감 능력에
  • 3:47 - 3:49
    따른 것임을
    증명하려 하는데
  • 3:49 - 3:51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 3:51 - 3:53
    정확한 원인을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3:53 - 3:55
    어쩌면 이에 대한 해답이
  • 3:55 - 3:57
    또다른 가설에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 3:57 - 3:59
    다음에 또 하품을 하게 되면
  • 3:59 - 4:01
    방금 일어난 일을
    곰곰이 생각해보세요.
  • 4:03 - 4:05
    하품 생각을 하고 있었나요?
  • 4:05 - 4:07
    근처에 누가 하품을 했나요?
  • 4:07 - 4:10
    타인이었나요, 지인이었나요?
  • 4:11 - 4:14
    혹시 지금 하품하고 계신가요?
Title:
하품은 왜 전염성이 있는가? - 클라우디아 아귀르 (Claudia Aguirre)
Speaker:
Claudia Aguirre
Description:

전체 강연 보기: http://ed.ted.com/lessons/why-is-yawning-contagious-claudia-aguirre

*하~~~~~품* 이 단어를 읽기만 해도 하품이 나오나요? 전염성 하품으로 알려진 이 현상은 생리적 및 심리적 요인에 기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아동의 경우 4세부터 나타나며 심지어 개들에게도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클라우디아 아귀르가 흥미로운 이론을 통해 전염성 하품에 대해 설명합니다.

강연: 클라우디아 아귀르,
동영상: TED-Ed.

more » « less
Video Language:
English
Team:
closed TED
Project:
TED-Ed
Duration:
04:30
  • 안녕하세요? 대부분 사소한 수정이었지만 단 한 가지 매우 조심해주셔야 할 부분이 구두법입니다. 마침표가 빠진 곳이 여러 곳있었는데, 다음부터는 꼭 빠트리지 말아주시길 바랍니다. 수고하셨습니다.

  • 수고하셨습니다. 특히 리뷰어께서 구둣점을 바로잡아 주신 점이 좋았습니다.

Korean subtitles

Revisions Compare revis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