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al, Steam, and The Industrial Revolution: Crash Course World History #32
-
0:01 - 0:02**자막제공: SNOW.or.kr (본 자막은 SNOW 자원활동가들에 의해서 제작되었습 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존 그린입니다. -
0:02 - 0:04이것은 크래쉬코스 세계사이고,
-
0:04 - 0:05오늘은 이 스튜디오를 포함한 창고와
-
0:05 - 0:07이 스튜디오를 만드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
0:07 - 0:07여러분이
-
0:07 - 0:09크래쉬코스를 시청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
0:09 - 0:12일련의 사건들에 대해 이야기 해 보겠습니다.
-
0:12 - 0:13그런데 창고란
-
0:13 - 0:15집들이 창고를 위해 물건을 채우는 것입니다.
-
0:15 - 0:17그렇습니다. 산업혁명에 대해서
-
0:17 - 0:19이야기 할 시간입니다.
-
0:19 - 0:20산업혁명은
-
0:20 - 0:23프랑스,미국,라틴아메리카,아이티 혁명과 비슷한 시기에
-
0:23 - 0:24-1750년에서 1850년- 일어났음에도 불구하고,
-
0:24 - 0:27이것은 다른 것들 중에서도
-
0:27 - 0:28가장 혁명적인 일이었습니다.
-
0:28 - 0:29그럴리가요, 친구.
-
0:29 - 0:31다른 모든 혁명들은,
-
0:31 - 0:31예를 들면
-
0:31 - 0:34새로운 국경과 국기 같은 것들을 낳았습니다.
-
0:34 - 0:37우리는 15,000년의 역사를 저와 함께
-
0:37 - 0:38여기 크래쉬코스를 통해 공부했습니다.
-
0:38 - 0:40국경과 국기들은 수없이 바뀌어왔고,
-
0:40 - 0:41그것들은 앞으로도 계속 바뀌어 나갈 것입니다.
-
0:41 - 0:42하지만 그 모든 시간 동안,
-
0:42 - 0:43우리가 쓰레기를
-
0:43 - 0:44처리하는 방식이나
-
0:44 - 0:47식수를 찾는 방법, 옷을 만드는 방법은 거의 바뀌지 않았습니다.
-
0:47 - 0:50대부분의 사람들은 그들의 식량이 나는 곳이나 혹은 그 근처에서 살았습니다.
-
0:50 - 0:50*
-
0:50 - 0:51기대 수명이 35세를 넘지 않고 25세밑으로 떨어지지도 않고,
-
0:51 - 0:56교육이 권리가 아닌 특권이라는
-
0:56 - 0:58몇 가지의 기대들을 제외하면 말이죠.
-
0:58 - 0:59지난 수 천년 동안
-
0:59 - 1:0012명 이상의 사람들을
-
1:00 - 1:02한번에 죽이는 무기나,
-
1:02 - 1:05말보다 빠른 이동수단이 개발되지 않았습니다.
-
1:05 - 1:0615,000년 동안,
-
1:06 - 1:09대부분의 사람들은 그들의 사회 밖에서 만들어진 물건을
-
1:09 - 1:11사용하지도 소유하지도 않았습니다.
-
1:11 - 1:13사이먼 볼리버와
-
1:13 - 1:16미국의 독립선언도 그 점을 바꾸지 않았습니다.
-
1:16 - 1:17전기가 있나요?
-
1:17 - 1:18산업혁명 덕분입니다.
-
1:18 - 1:202월에 블루베리를?
-
1:20 - 1:21산업혁명 덕분입니다.
-
1:21 - 1:23농장 말고 다른 곳에서 사나요?
-
1:23 - 1:24산업혁명 덕분입니다.
-
1:24 - 1:25자동차를 운전하나요?
-
1:25 - 1:26산업혁명 덕분입니다.
-
1:26 - 1:3012년 동안 무상으로 정규 교육을 받나요?
-
1:30 - 1:31[peep the creepy teacher in the back]
-
1:31 - 1:31산업혁명 덕분입니다.
-
1:31 - 1:32당신의 침대,
-
1:32 - 1:33항생제,
-
1:33 - 1:34화장실,
-
1:34 - 1:35피임,
-
1:35 - 1:36수돗물,
-
1:36 - 1:39당신의 모든 발걸음과 수면시간:
-
1:39 - 1:40[mongol-tage footage!]
-
1:40 - 1:40당신의 모든 발걸음과 수면시간.
-
1:40 - 1:41[Intro music]
-
1:41 - 1:43[Intro music]
-
1:43 - 1:44[Intro music]
-
1:44 - 1:45[Intro music]
-
1:45 - 1:47[Intro music]
-
1:47 - 1:48[Intro music]
-
1:48 - 1:49[Intro music]
-
1:49 - 1:52이 모든 것을 요약하는 하나의 통계가 있습니다:
-
1:52 - 1:53산업혁명 전에는
-
1:53 - 1:57전 세계 인구의 80%가 그들과
-
1:57 - 2:01나머지 20%의 굶주리는 사람들의 생계를 위해 농업에 종사했습니다.
-
2:01 - 2:02오늘날 미국에서는,
-
2:02 - 2:05인구의 1%도 되지 않는 사람들이 농업에 종사하고 있습니다.
-
2:05 - 2:05이것은
-
2:05 - 2:08우리가 꽃 조차도 농사지을 필요가 없게 되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2:08 - 2:08스탠,
-
2:08 - 2:09그런데 이것들이 진짜인가요?
-
2:09 - 2:12저는 이것들이 고무나 디지털로 만들어졌는지 알 수 없습니다.
-
2:12 - 2:13무슨 일이 일어난 걸까요?
-
2:13 - 2:13기술!
-
2:13 - 2:14이것이 저의 정의입니다:
-
2:14 - 2:17산업혁명은 기계의 사용으로 인한
-
2:17 - 2:19인한 생산의 증대입니다.
-
2:19 - 2:21그리고 새로운 에너지원의 사용이 특징입니다.
-
2:21 - 2:23이것이 곧 더욱 복잡해 질 것이지만,
-
2:23 - 2:25우리의 오늘의 목적을 위해서,
-
2:25 - 2:26산업혁명은 자본주의가 아닙니다-
-
2:26 - 2:28하지만 우리가 다음주에 보겠지만,
-
2:28 - 2:29이것은 근대 자본주의와 연결이 되어 있습니다.
-
2:29 - 2:30그리고,
-
2:30 - 2:32산업혁명은 1750년 즈음에 일어났고
-
2:32 - 2:33지구 전반에 걸쳐 일어났습니다.
-
2:33 - 2:36하지만 이것은 유럽에서, 특히 영국에서 시작되었습니다.
-
2:36 - 2:36무슨 일이 있었을까요?
-
2:36 - 2:38Thought Bubble로 가봅시다.
-
2:38 - 2:40산업혁명의 혁신들은
-
2:40 - 2:41직접적으로 상호연관이 있습니다.
-
2:41 - 2:41예를 들어,
-
2:41 - 2:44영국 섬유 산업을 봅시다:
-
2:44 - 2:481733년 스피닝 제니의 날아다니는 북의 발명은
-
2:48 - 2:50옷감을 짜는 속도를 놀랄 만큼 높였습니다.
-
2:50 - 2:52그것은 실에 대한 수요를 만들어냈고,
-
2:52 - 2:54스피닝 제니의 것과 같은 발명품들과 수력 방적기의 발명으로
-
2:54 - 2:56이어졌습니다.
-
2:56 - 2:58곧 이 과정들은 증기 기관이 날으는 북을
-
2:58 - 3:02거대한 면직 공장 안에서 정말로 날아다니게 만들기 전까지,
-
3:02 - 3:04수력을 이용하여 기계화 되었습니다.
-
3:04 - 3:05가장 성공적인 증기 기관은
-
3:05 - 3:08토마스 "그들은 내 이름을 따서 아무것도 만들이 않았다" 뉴코맨에 의해서
-
3:08 - 3:08[is that Dutch?]
-
3:08 - 3:10광산에서 물을 빼내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
3:10 - 3:12그리고 물이 이 광산들에서 빠져 나갔고,
-
3:12 - 3:15증기 기관을 가동하기 위해 더 많은 석탄이 들었고,
-
3:15 - 3:16결국에는
-
3:16 - 3:18제임스 "나에게 힘의 단위와 내 이름을 딴 대학이 있어" 와트에 의해
-
3:18 - 3:21새단장 되었습니다.
-
3:21 - 3:22[Farnsworth's raw deal tops, even still]
-
3:22 - 3:25그의 엔진은 철도와 증기보트 뿐만 아니라
-
3:25 - 3:28그 어떤 보다 효율적인 면직 공장의 가동을 가능하게 했습니다.
-
3:28 - 3:29그리고, 처음으로,
-
3:29 - 3:31냄새 나는 소변 말고 다른 화학물이
-
3:31 - 3:32제가 농담을 하는 거면 좋겠는데,
-
3:32 - 3:35사람들이 입는 옷을 짜는 데에 사용되었습니다.
-
3:35 - 3:37첫 번째는 황산이었는데,
-
3:37 - 3:41그것은 납내장실 덕분에 대량생산 될 수 있었고,
-
3:41 - 3:431750년에 영국에서 석탄으로 돌아가는
-
3:43 - 3:47납 주조공장에서 납 생산의 엄청난 증가가 없었으면
-
3:47 - 3:49불가능했을 것입니다.
-
3:49 - 3:52그리고 이 모든 공장들은 더 빨리 돌아가고 짜지며
-
3:52 - 3:56그 어느 때 보다도 값이 싼 더 많은 실을 만들기 위해 모였습니다.
-
3:56 - 3:58이 과정은 결국에 18달러짜리
-
3:58 - 4:00크래쉬코스 몽골 셔츠에서 극에 달했습니다.
-
4:00 - 4:00no exceptions!&$%# ] [ha]
-
4:00 - 4:02DFTBA.com에서 구매하실 수 있습니다.
-
4:02 - 4:03감사해요, Thought Bubble,
-
4:03 - 4:07지금 DFTBA.com에서 구매 가능한 아름답고 고품질의 티셔츠를
-
4:07 - 4:08홍보해줘서.
-
4:08 - 4:09자, 여기에서 문제는
-
4:09 - 4:12산업혁명이 너무 깊게 상호연관되어 있어서
-
4:12 - 4:15이것이 유럽에서도 특히 영국에서 왜 일어났는지 알아내기가
-
4:15 - 4:16매우 어렵다는 것입니다.
-
4:16 - 4:17그리고 그 이유는
-
4:17 - 4:19오늘날 세계사에서 더 많은 논쟁을 초래하는 질문 중
-
4:19 - 4:20하나가 되었습니다.
-
4:20 - 4:22예를 들어, 왜 산업혁명이 유럽에서
-
4:22 - 4:25처음 발생했는가 하는 유럽중심적인 설명이 있습니다:
-
4:25 - 4:27그것은 유럽사람들이 다른 사람들 보다 더
-
4:27 - 4:30똑똑하고 잘났다고 생각하는 문화의 우월성입니다.
-
4:30 - 4:30[somebody explain Mr. Bean then]
-
4:30 - 4:32가끔은 이것이 유럽인들이 우월한 합리성을 가지고 있는 것 처럼
-
4:32 - 4:34공식화되어 있습니다.
-
4:34 - 4:35그런데, 여러분은
-
4:35 - 4:38이러한 주장을 하는 사람들이 어디 출신인지 절대 맞추지 못할 겁니다-
-
4:38 - 4:40여러분이 그들이 유럽출신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면요.
-
4:40 - 4:40그리고, 다른 사람들은
-
4:40 - 4:43유럽만이 과학과 발명의 문화를 가지고 있었고
-
4:43 - 4:46이러한 혁명적인 기술들의 탄생을 가능하게 했다고 주장합니다.
-
4:46 - 4:49또 다른 주장은 더욱 자유로운 정치적 기관들이 혁명을 도와주었고
-
4:49 - 4:52강력한 저작권이 발명자 들에게 동기부여를 했다고 합니다.
-
4:52 - 4:55그리고 마지막으로, 사람들은 종종 유럽이 인구가 적은 것을 들며
-
4:55 - 4:57적은 인구가 노동을 절약하는 발명들을 요구했다고 말합니다.
-
4:57 - 4:58오,
-
4:58 - 4:59Open Letter 시간이네요?
-
4:59 - 5:04[it's not the yellow chair he's rolling over to so I just can't bear to look.]
-
5:04 - 5:06증기 기관에게 보내는 Open Letter입니다.
-
5:06 - 5:06하지만 먼저,
-
5:06 - 5:08이 비밀 기관에 무엇이 들어있나 보죠.
-
5:08 - 5:10오, Tardis네요.
-
5:10 - 5:13영국 산업혁명의 진정한 정점이죠.
-
5:13 - 5:14증기 기관에게,
-
5:14 - 5:15이상한 게 무엇인지 아니?
-
5:15 - 5:17너는 정말 한번도 발전된 적이 없어.
-
5:17 - 5:18아마도 증기 기관으로 움직이는,
-
5:18 - 5:20시간 여행을 가능하게 하는
-
5:20 - 5:22어떤 무언가 처럼 말이야.
-
5:22 - 5:23전 세계의 거의 모든 전기가
-
5:23 - 5:25핵 에너지나 석탄에서 나왔던 간에,
-
5:25 - 5:27그것은 단지 증기 기관일 뿐이야.
-
5:27 - 5:28이것은 여전히 물과 열기야.
-
5:28 - 5:30그리고 그것은 그 이후로 산업혁명이
-
5:30 - 5:33얼마나 혁명적이었는지 이야기해.
-
5:33 - 5:35그것은 단지 진화에 불과해.
-
5:35 - 5:36온 마음들 담아, 존 그린.
-
5:36 - 5:38자, 여러분은 유럽의 산업혁명에 대해 저것들 중
-
5:38 - 5:39어떤 이유라도 들어본 적이 있을 것입니다.
-
5:39 - 5:40아니면 다른 것들이라도요.
-
5:40 - 5:41그것들 모두의 문제는,
-
5:41 - 5:44여러분이 근본 원인에 있다고 생각 할 때마다
-
5:44 - 5:46그 근본 원인의 근본 원인이 있다는 것이 밝혀진다는 것입니다.
-
5:46 - 5:46[not unlike the show LOST]
-
5:46 - 5:48레오나르도 디타프리오와 제임스 카메론과
-
5:48 - 5:49석탄 광산 운영자들을 인용 하자면,
-
5:49 - 5:51"우리는 더 깊이 들어가야 합니다."
-
5:51 - 5:53하지만 어쨌든, 유럽중심적인 이유들의 문제는
-
5:53 - 5:57중국이나 인도의 경우에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
5:57 - 5:59그리고 1800년에 유럽이
-
5:59 - 6:01앞으로 수 백년 동안 세계에서 지배적인 제조력을 가질 것이라는 것이
-
6:01 - 6:04불분명 했다는 것을 분명히 하는 것이 아주 중요합니다.
-
6:04 - 6:04그 당시에는,
-
6:04 - 6:07중국, 인도와 유럽이 산업적 생산 측면에 있어서
-
6:07 - 6:08대략 같은 위치에 있었습니다.
-
6:08 - 6:09첫 번째로, 중국의 경우를 봅시다.
-
6:09 - 6:12중국이 공자 전부터 역사를 기록해 오고 있었고,
-
6:12 - 6:15청동과 그림들과 시가 있었으므로
-
6:15 - 6:18유럽 문화가 우월하다는 주장은 하기가 힘듭니다.
-
6:18 - 6:21또한 중국이 지폐를 발명하고
-
6:21 - 6:23비단으로 만든 모든 물건들의 수출을
-
6:23 - 6:24주도하였다는 점에서
-
6:24 - 6:28경제적으로 유럽보다 열등하다는 전반적인 주장을 하기도 어렵다고 할 수 있습니다.
-
6:28 - 6:30제 말은, 전 산업혁명 때에는
-
6:30 - 6:32인구 증가가 경제적 성공의 가장 확실한 증거였고,
-
6:32 - 6:34중국은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인구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
6:34 - 6:35[were my flowers just assaulted by educational exuberance?]
-
6:35 - 6:37제 생각에는 그것들이 디지털인지에 대한 질문에 답을 해 줄 수 있을 것 같네요.
-
6:37 - 6:37[better be in stock at thinkgeek.com, mr. green. just saying...]
-
6:37 - 6:39또한 중국이 화약, 인쇄술, 종이,
-
6:39 - 6:43논란의 여지가 있긴 하지만 나침반을 발명한 것으로 보아
-
6:43 - 6:44중국에 발명의 문화가 부족했다고 말하기도 어렵습니다.
-
6:44 - 6:46그리고 송 시대에 중국은 세계의 어느 곳 보다도
-
6:46 - 6:48많은 자유 기업체제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
6:48 - 6:49몇몇 사람들은 중국이 독점을 강요했던 긴 역사가 있기 때문에
-
6:49 - 6:52소금과 철과 같은 품목들에 대해서는 자유 기업체제를
-
6:52 - 6:54가지지 못했을 것이라고 말합니다.
-
6:54 - 6:54그리고 그것은 사실입니다.
-
6:54 - 6:56하지만 그 독점체제들을 강요했다는 점에서는
-
6:56 - 6:58또한 기나긴 실패의 역사가 있습니다.
-
6:58 - 6:59그래서 정말로, 많은 점에서
-
6:59 - 7:02중국은 최소한 영국이 그랬던 것 만큼은 우월했습니다.
-
7:02 - 7:04그런데 왜 산업혁명이 일어나지 않았을까요?
-
7:04 - 7:05음, 유럽인들-
-
7:05 - 7:06특히 영국인들-은
-
7:06 - 7:08두 가지 커다란 이점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
7:08 - 7:09첫 번째, 석탄입니다.
-
7:09 - 7:12여러분이 향상된 교통수단이나 의사소통
-
7:12 - 7:13혹은 산업적인 효율성,
-
7:13 - 7:15더 나은 화학물 제조의 이야기를 추적해 보신다면
-
7:15 - 7:17그것은 언제나 석탄으로 돌아옵니다.
-
7:17 - 7:20왜냐하면 산업혁명은 전부 생산을 자동화 시키기 위해서
-
7:20 - 7:22다른 형태의 에너지를 사용한 것에 관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
7:22 - 7:22그리고,
-
7:22 - 7:25영국은 땅 표면 근처에 많은 석탄공급처가 있었고
-
7:25 - 7:26그것은 석탄을 캐내는 것이 비싸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7:26 - 7:30그래서 석탄은 요리나 난방 등에서 빠르게 나무를 대신 하였습니다.
-
7:30 - 7:32그래서, 그것은 영국인들에게 더 많은 석탄을 찾도록 부추겼습니다.
-
7:32 - 7:33석탄 광산의 단 한가지 문제점은,
-
7:33 - 7:34그것이 생명에
-
7:34 - 7:34치명적인 것처럼
-
7:34 - 7:35보인다는 것을 제외하고,
-
7:35 - 7:37석탄 광산에는 언제나 홍수가 난다는 것이었습니다.
-
7:37 - 7:39제 생각에 석탄 광산은 또한 조금 문제가 있습니다. 예를 들면,
-
7:39 - 7:39건강 상의,
-
7:39 - 7:40아시잖아요, 이 행성의.
-
7:40 - 7:41["Nudge, nudge, wink, wink. Know what I mean?"]
-
7:41 - 7:41하지만,
-
7:41 - 7:44더 많은 석탄을 땅 밖으로 꺼내는 것에 대한 보상이 있었기 때문에,
-
7:44 - 7:47증기 기관들은 광산에서 물을 빼내기 위해 발명되었습니다.
-
7:47 - 7:49그리고 초기의 증기 기관이 정말 비효율적이었기 때문에,
-
7:49 - 7:53사람들은 일을 하기 위해 더 싸고 풍부한 연료의 원천이 필요했습니다-
-
7:53 - 7:53다시말해, 석탄이요.
-
7:53 - 7:56그것은 석탄이 다른 누구에게 보다도 영국인들에게 유용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7:56 - 8:00그래서 증기 기관들은 영국의 석탄을 싸게 유지 하기 위해 값이 싼 석탄을 사용했습니다.
-
8:00 - 8:02그리고 값이 싼 석탄은 산업혁명의 수 많은 다른 것들 처럼,
-
8:02 - 8:04철도에서 철까지 모든 것을
-
8:04 - 8:07만들어 내는 기회를,
-
8:07 - 8:09긍적적인 피드백 회로를 만들어 냈습니다.
-
8:09 - 8:11그것들이 선로 위에서 달리기 때문에 철도는 철이 필요했습니다.
-
8:11 - 8:13그리고 철이 무거웠기 때문에,
-
8:13 - 8:14철은 철도가 필요했습니다.
-
8:14 - 8:16두 번째로, 임금이 있습니다.
-
8:16 - 8:17영국은
-
8:17 - 8:2118세기 초에 세계에서 가장 높은 임금 수준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
8:21 - 8:241725년에 런던의 임금은 하루에 11그램의
-
8:24 - 8:25은이었습니다.
-
8:25 - 8:26암스테르담에서는 9그램이었습니다.
-
8:26 - 8:29베이징, 베니스, 플로란스에서는 4그램도 되지 않았습니다.
-
8:29 - 8:31그리고 델리에서는 2그램도 되지 않았습니다.
-
8:31 - 8:33왜 임금이 영국에서 그렇게 놓았는지 확실하지는 않습니다.
-
8:33 - 8:33예를 들면,
-
8:33 - 8:36하나의 주장은 흑사병이 인구수를 너무 줄여서
-
8:36 - 8:37노동 시장을 압박했다는 것입니다.
-
8:37 - 8:40하지만 이것은 전염병으로 황폐해진 이탈리아의 임금은 낮은 수준으로 유지되었는지
-
8:40 - 8:41설명하지 못합니다.
-
8:41 - 8:43주로, 높은 임금과 싼 연료비의 조합은
-
8:43 - 8:47제조업자들에게 생산비용을 낮추는 수단으로 기계를 고려하는 것이
-
8:47 - 8:48경제적으로 효율적이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8:48 - 8:50역사가인 로버트 알랜의 말을 인용하자면,
-
8:50 - 8:55"임금은 비쌌고 에너지는 쌌다. 그 가격은 기업들에게 노동을 위한 자본과
-
8:55 - 9:00석탄을 대체할 수 있는 기술의 발명에 대한 강력한 보상을 줌으로써
-
9:00 - 9:01바로 산업혁명으로 이어졌다."
-
9:01 - 9:02스탠,
-
9:02 - 9:05저는 사람들이 저를 유럽중심주의로 고소할 까봐 조금 걱정이 되는데요.
-
9:05 - 9:05물론,
-
9:05 - 9:08다른 사람들은 저를 반 유럽 성향으로 고소할 것입니다.
-
9:08 - 9:09저는 유럽에 대한 편견이 없습니다.
-
9:09 - 9:10저는 유럽을 사랑합니다.
-
9:10 - 9:12유럽은 제가 가장 좋아하는 많은 치즈들과
-
9:12 - 9:14크로스 컨트리 스키,
-
9:14 - 9:15오늘날 Danica 드로잉에게
-
9:15 - 9:18영감을 준 찰리 채플린을 주었습니다.
-
9:18 - 9:20영국에서 석탄이 표층 가까이에 있었다는 사실 때문에
-
9:20 - 9:22영국 문화의 우월성을 주장할 수는 없습니다.
-
9:22 - 9:24하지만 임금에 관한 문제는 좀 다른데, 왜냐하면
-
9:24 - 9:27그것이 오직 유럽인들은 높은 임금을 지불할 만큼 똑똑했다는 것처럼 들리기 때문입니다.
-
9:27 - 9:29하지만 우리가 고려해야 할 마지막 사항이 있습니다:
-
9:29 - 9:32인도는 전 세계에서 가장 낮은 수준의 임금을 지불하였다는 점에도 불구하고
-
9:32 - 9:34세계에서 가장 큰 면 섬유 생산자였습니다.
-
9:34 - 9:37인도 농업은 정말 생산적이어서 노동자들이 아주 낮은 값에도
-
9:37 - 9:38충분히 보상받을 수 있었습니다.
-
9:38 - 9:40그리고 많은 인구와 더불어
-
9:40 - 9:42그것은 섬유 제조업이 기계를 사용하지 않고도
-
9:42 - 9:44아주 생산적일 수 있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9:44 - 9:46그래서 그들은 산업화를 할 필요가 없었습니다.
-
9:46 - 9:47하지만 우리의 관점에서 더욱 중요하게,
-
9:47 - 9:48인도 면 섬유 생산이
-
9:48 - 9:52영국 산업화를 자극하는 데에 도움을 주었다는 강한 주장이 있습니다.
-
9:52 - 9:55초기 산업혁명을 주도한 것은 면 섬유였습니다.
-
9:55 - 9:58그리고 영국인들이 면을 생산하는 데에 그렇게 열을 올렸던 주된 이유가
-
9:58 - 10:00바로 수요가 엄청나게 증가했기 때문입니다.
-
10:00 - 10:01면 섬유는 울보다 더 편했고,
-
10:01 - 10:02또한 더욱 저렴했습니다.
-
10:02 - 10:05왜냐하면 면은 인도에서 그렇게 싼 가격에 수입되었기 때문이죠.
-
10:05 - 10:06자,
-
10:06 - 10:07인도 면이 시장을 생성하고
-
10:07 - 10:10영국의 제조업자들이 인도와 경쟁 할 수 있도록
-
10:10 - 10:12(and imported Indian know-how)
-
10:12 - 10:15생산을 증가시키기 위해 기계에 투자했다는 것입니다.
-
10:15 - 10:17그리고 이것은 유럽 산업혁명이 세계적인 현상이 될 수 있었던
-
10:17 - 10:19최소한 한 가지의 방법입니다.
-
10:19 - 10:22이렇게 아주 논란의 여지가 많고
-
10:22 - 10:25곤란한 문화적 역사적 토론을 즐기는 분들을 위해서,
-
10:25 - 10:25다음주는,
-
10:25 - 10:26우리는 자본주의에 관하여 이야기를 나누겠습니다.
-
10:26 - 10:27[can't wait to read the comments section for that one. yes i can]
-
10:27 - 10:29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때 만나요.
-
10:29 - 10:30크래쉬코스는
-
10:30 - 10:31스탠 뮐러에 의해 제작되고 기획되었습니다.
-
10:31 - 10:33우리의 대본 감독관은 다니카 존슨입니다.
-
10:33 - 10:35이 쇼는 저의 고등학교 역사 선생님 라울 메이여와
-
10:35 - 10:36저에 의해서 쓰여졌습니다
-
10:36 - 10:38*
-
10:38 - 10:41그리고 우리의 그래픽 팀은 Thought Bubble입니다.
-
10:41 - 10:42지난주의 한 주의 문장은
-
10:42 - 10:43"새로운 영국 혁명"이었습니다.
-
10:43 - 10:47만약 여러분이 미래의 한 주의 문장을 제안하고 싶으시다면,
-
10:47 - 10:48댓글로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
10:48 - 10:49댓글로 지난주의 한 주의 문장을 맞추실 수도 있고
-
10:49 - 10:50오늘 영상에 대해 질문을 하실 수도 있으며
-
10:50 - 10:53그 질문에 대한 답은 우리 팀의 역사가들이 해줄 것입니다.
-
10:53 - 10:53크래쉬코스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10:53 - 10:54우리의 유일한 밀리언 셀러 예술가 시청자인 루프 피아스코를 위한 특별한 shout-out.
-
10:54 - 10:54*
-
10:54 - 10:54그리고 우리가 고향에서 말 하는 것처럼,
-
10:54 - 10:58나의 철학은 컬러 텔레비전처럼, 흑백 화면에 전부 다 있다는 것을 잊지 마세요.
- Title:
- Coal, Steam, and The Industrial Revolution: Crash Course World History #32
- Description:
-
Mongols Shirts and Crash Course Posters! http://www.dftba.com/crashcourse
In which John Green wraps up revolutions month with what is arguably the most revolutionary of modern revolutions, the Industrial Revolution. While very few leaders were beheaded in the course of this one, it changed the lives of more people more dramatically than any of the political revolutions we've discussed. So, why did the Industrial Revolution happen around 1750 in the United Kingdom? Coal. Easily accessible coal, it turns out. All this, plus you'll finally learn the difference between James Watt and Thomas Newcomen, and will never again be caught telling people that your blender has a 900 Newcomen motor.
Follow us!
@thecrashcourse
@realjohngreen
@raoulmeyer
@crashcoursestan
@saysdanica
@thoughtbubblerLike us! http://www.facebook.com/youtubecrashcourse
Follow us again! http://thecrashcourse.tumblr.com - Video Language:
- English
- Duration:
- 11:05
![]() |
hjfabulous edited Korean subtitles for Coal, Steam, and The Industrial Revolution: Crash Course World History #32 | |
![]() |
hjfabulous added a transl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