죠니 리 - Wii 콘트롤러를 쓰는 새로운 방식
-
0:00 - 0:05연구자로 일하다보면 복잡한 목표를 달성해야 할 일이 많이 있습니다.
-
0:05 - 0:08복잡한 목표를 달성하려면 그에 걸맞는 수단과 도구가 필요하죠.
-
0:08 - 0:10도구의 개발은 과학의 발전뿐만이 아니라 가능성으로만 남아있는
-
0:10 - 0:12미지의 영역을 개척해 나가는 데이도 필수적입니다.
-
0:12 - 0:14수단과 도구가 없어서 이룰 수 없었던 목표들은
-
0:15 - 0:17의외로 아주 아주 조그만한 것들에 의해
-
0:17 - 0:19쉽게 풀릴 수 있습니다.
-
0:19 - 0:21이게 바로 기술의 힘이죠.
-
0:21 - 0:22연구자로서 일을 하다보면 때때로
-
0:22 - 0:24'아 내가 하는 일이 참 재미있구나' 하는 때가 있습니다.
-
0:24 - 0:26어떤 가능성을 볼 때죠.
-
0:26 - 0:28상황을 극적으로 변화시키는,
-
0:28 - 0:30광범위한 사람들에게 기술이 널리 퍼질 수 있는,
-
0:30 - 0:32가능성을 제눈으로 확인할 때입니다.
-
0:32 - 0:33비디오 두 개를 보여드리겠습니다.
-
0:34 - 0:35최근들어 많은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
0:35 - 0:37제 철학과도 닿아 있습니다.
-
0:37 - 0:40그냥 닌텐도 Wii 컨트롤러인데요.
-
0:40 - 0:42이게 뭔지 잘 모르시는 분들은 그냥
-
0:42 - 0:454만원짜리 오락 조종기라 생각하심 됩니다.
-
0:45 - 0:48Wii는 동작 감지 센서로 유명하죠.
-
0:48 - 0:51그니까 테니스 라켓을 휘두른다거나, 야구공을 치는게 가능한거죠.
-
0:51 - 0:53하지만 제가 보기에 더 흥미로운 것은
-
0:53 - 0:55이 조종기 맨 끝에
-
0:55 - 0:58고성능의 적외선 카메라가 달려있 다는 것입니다.
-
0:58 - 1:02이게 왜 유용한지 두 가지 이유를 보여드리죠.
-
1:02 - 1:06여기 컴퓨터와 프로젝터가 있고..
-
1:06 - 1:08그 위에 Wii 조종기가 있습니다.
-
1:08 - 1:11예를들어 학교라고 해보죠.
-
1:11 - 1:13돈이 별로 없는 학교. 아마 대부분이 그럴텐데..
-
1:13 - 1:15아님 여러분 사무실이라 생각해도 되고요.
-
1:15 - 1:17어쨌든 거기서 전자칠판이 하나 필요하다 치면
-
1:17 - 1:20보통 200~300만원 정도 합니다.
-
1:20 - 1:22지금부터 Wii 조종기로
-
1:22 - 1:24어떻게 양방향 전자 칠판을 만들 수 있는지 보여드리죠.
-
1:24 - 1:27필요한 장비가 한가지 더 있습니다.
-
1:27 - 1:29적외선 펜인데요.
-
1:29 - 1:32근처 문방구나 전파사에 가시면
-
1:32 - 1:335천원 정도에 구할 수 있습니다.
-
1:33 - 1:36배터리도 있구요. 적외선 전구 ON/OFF 스위치가 있고..
-
1:36 - 1:38이렇게 키면.. 눈엔 안보입니다.
-
1:38 - 1:40근데 사실 버튼을 누르면 켜집니다. 안보여도요.
-
1:40 - 1:44이게 뭐냐면, 그러니까 제가 이 프로그램을 한번 돌려보죠.
-
1:44 - 1:48카메라가 적외선 점을 봅니다.
-
1:48 - 1:53그럼 우린 이제 카메라에서 화소의 위치를 따서
-
1:53 - 1:56프로젝터에 뿌리는거죠. 전자칠판이 됐네요.
-
1:56 - 1:59(박수)
-
1:59 - 2:025만원어치의 장비만 있으면 전자칠판이 하나 생기는거죠.
-
2:02 - 2:05이건 포토샵입니다.
-
2:05 - 2:11(박수)
-
2:11 - 2:12감사합니다.
-
2:12 - 2:13(웃음)
-
2:13 - 2:16포토샵에서 쓸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만들어다가 제 홈피에 공개했습니다.
-
2:16 - 2:18다 퍼가시라고요.
-
2:18 - 2:20그랬더니 3개월만에 다운로드가 50만건이 되더군요.
-
2:20 - 2:22그랬더니 3개월만에 다운로드가 50만건이 되더군요.
-
2:22 - 2:25다시말해 전세계에 있는 선생님 학생들이 이미 이걸 쓰고 있다는 겁니다.
-
2:25 - 2:26쓰고 있다는 겁니다.
-
2:26 - 2:32(박수)
-
2:32 - 2:34한가지 살짝 꼬집고 싶은건 이게 5만원짜리고 또 싸서 좋긴 하지만,
-
2:34 - 2:36아무래도 이 방식에 한계가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
2:36 - 2:38하지만 그래도 1퍼센트의 비용만으로
-
2:38 - 2:39기대했던 효과의 80퍼센트를 얻습니다.
-
2:39 - 2:42한가지 더 멋진 건, 카메라가 이제 여러 점을 동시에 본단 겁니다.
-
2:42 - 2:43그래서 이렇게
-
2:43 - 2:45멀티터치 전자칠판이 되는거죠.
-
2:45 - 2:48(박수)
-
2:48 - 2:50두번째로 보여드릴 것은, Wii 조종기가
-
2:50 - 2:51앞으로 TV를 대체할 거란 겁니다.
-
2:52 - 2:53화면을 가리키고 있다기보다는,
-
2:53 - 2:56화면 너머를 가리키고 있죠.
-
2:56 - 2:58이게 훌륭한 이유는
-
2:58 - 3:02예를들어 적외선 점이 두개 찍힌 안경을 쓰면,
-
3:02 - 3:04그런 안전용 고글을 쓰면,
-
3:04 - 3:06이 안보이는 점이 여러분 시선의 방향을
-
3:06 - 3:09컴퓨터에게 알려준다는 겁니다.
-
3:09 - 3:10이게 놀라운 이유는
-
3:10 - 3:13이렇게 컴퓨터 모니터에 프로그램이 있다고 했을 때,
-
3:13 - 3:163D로 된 방이 있고 그 안에 공이 몇개 있는데 있는데,
-
3:16 - 3:19그냥 보면 3D같긴 한데..
-
3:19 - 3:223D 게임 같기도 한데
-
3:22 - 3:24사실은 그냥 평평하네요.
-
3:24 - 3:26화면의 표면에 갇혀있죠.
-
3:26 - 3:31하지만 이렇게 헤드 트래킹을 키면..
-
3:31 - 3:33컴퓨터가 이렇게 화면의 각도를 바꾸는 겁니다.
-
3:33 - 3:36머리의 움직임에 반응해서요.
-
3:36 - 3:38뒤로 가볼까요..
-
3:38 - 3:42(웃음)
-
3:42 - 3:52(박수)
-
3:52 - 3:55게임개발자들 사이에서는 이게
-
3:55 - 3:56제법 놀랍고 흥미로운 사례로 회자되고 있습니다.
-
3:56 - 3:58(웃음)
-
3:58 - 4:01만원짜리 장비 하나만 있으면 되기 때문이죠.
-
4:01 - 4:03닌텐도 Wii만 있으면 되니까요.
-
4:03 - 4:05언젠가 이게 실제로 게임에 적용되는 걸 꼭 보고싶네요.
-
4:05 - 4:08요 앞에 루이스 캐슬씨도 계시는데,
-
4:08 - 4:09가장 큰 게임 퍼블리셔중에 하나인 EA가
-
4:09 - 4:135월에 게임 하나를 발표한다죠.
-
4:13 - 4:14그안에 작은 Easter egg(게임 안에 숨겨진 기능)이 있다네요.
-
4:14 - 4:16이런 헤드 트래킹을 활용한걸로 말입니다.
-
4:17 - 4:19그래서.. 이게 5개월도 안걸렸어요.
-
4:19 - 4:22제 랩에 프로토타입이 실제로 상용화 되기까지 말입니다.
-
4:22 - 4:28(박수)
-
4:28 - 4:31감사합니다.
-
4:31 - 4:33근데 제가보기에 지금 말씀드린 이 두가지 아이디어보다
-
4:33 - 4:35훨씬 놀라운 게 있습니다.
-
4:35 - 4:37바로 사람들이 이런걸 찾아내는 방식이죠.
-
4:37 - 4:41유튜브가 정말 세상을 바꾸고 있는거죠 세상이 바뀌는 속도가 바뀌었어요.
-
4:41 - 4:42한사람의 개인이 자기 아이디어를
-
4:42 - 4:44말 그대로 전세계에 퍼뜨릴 수 있으니까요.
-
4:44 - 4:47저는 요즘 비디오 카메라를 이용한 연구를 하고 있는데요,
-
4:47 - 4:50이걸 본 사람이 1주일만에 100만명이 되더군요.
-
4:51 - 4:54문자 그대로 며칠만에 전세계의 기술자, 선생님, 학생들이
-
4:54 - 4:58자기가 이 기술을 어떻게 활용하는지 어떻게 개선했는지를
-
4:58 - 5:00유튜브에 올리기 시작하더군요.
-
5:00 - 5:03앞으로 이런 일이 더 많이 생기길 기대합니다.
-
5:03 - 5:05연구자 사회에서부터 동영상 공유를 활용하고
-
5:05 - 5:07또 잘 키워줄 수 있었음 하고 바래봅니다.
-
5:07 - 5:08감사합니다.
-
5:08 - 5:16(박수)
- Title:
- 죠니 리 - Wii 콘트롤러를 쓰는 새로운 방식
- Speaker:
- Johnny Lee
- Description:
-
한국계 죠니 리가 보여줍니다. 값싼 도구를 가지고 어떻게 복잡한 교육도구를 만들 수 있는지. 4만원짜리 Wii 컨트롤러가 칠판으로 변합니다. 터치스크린으로 변합니다. 머리에 쓰고 보는 3D 뷰워로 변합니다.
- Video Language:
- English
- Team:
closed TED
- Project:
- TEDTalks
- Duration:
- 0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