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turn to Video

Introduction to Heredity

  • 0:00 - 0:00
    ---
  • 0:00 - 0:05
    우리가 DNA가 무엇인지 알기도 전에,
  • 0:05 - 0:07
    하물며 어떤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어떻게 복제되는지도 알기 전에,
  • 0:07 - 0:11
    또는 세포에서 일어나는
    감수분열을 알기도 전에
  • 0:11 - 0:15
    우리는 자손이 그들의 부모가 가지는
    몇몇 특성의 결과라는
  • 0:15 - 0:16
    일반적인 상식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 0:16 - 0:22
    만약 파란색 눈을 가진 남자가
    있다고 하면 (이 사람을
  • 0:22 - 0:27
    파란 눈을 가진 남자라고 하겠습니다)
    그리고 이 사람이 갈색 눈을 가진
  • 0:27 - 0:33
    여자와 결혼했다고 하면
    (이 사람을 갈색 눈을 가진 여자라고 하겠습니다)
  • 0:33 - 0:36
    조금 더 여자처럼 보이게
    그려야겠네요
  • 0:36 - 0:39
    이 남자가 갈색 눈을 가진
    여자와 결혼했다고 하면
  • 0:39 - 0:42
    주로, 아마 모든
    갈색 눈을 가진 경우에서
  • 0:42 - 0:45
    그들의 아이들은
  • 0:45 - 0:47
    갈색 눈을 가질 것입니다
  • 0:47 - 0:50
    여기 갈색 눈을 가진 아이가
    있다고 해 봅시다
  • 0:50 - 0:53
    ---
  • 0:53 - 0:55
    그리고 이건 그냥
    제 말은 명백히
  • 0:55 - 0:57
    인간의 수천만 세대가 있고,
    우리는
  • 0:57 - 0:58
    이것을 관찰해 왔다는 것이죠
  • 0:58 - 1:01
    우리는 아이들이 그들의 부모와
    닮았다는 것,
  • 1:01 - 1:05
    그 아이들은 몇몇 특성을
    물려받았다는 것과 어떤 특성은
  • 1:05 - 1:06
    다른 것보다 우세하다는 것을
    관찰해 왔습니다
  • 1:06 - 1:10
    이것의 한 예시는
    머리카락이나 눈동자에
  • 1:10 - 1:12
    더 어두운 색소가 있다는
    경향입니다
  • 1:12 - 1:16
    다른 부모가 밝은 색소를 가지고
    있음에도, 더 어두운 색소가
  • 1:16 - 1:18
    우세한 것처럼 보이며,
    때때로는 실제로 색소가 섞이게 됩니다
  • 1:18 - 1:20
    그리고 우리는 이러한 현상을
    우리 주위에서 봐 왔습니다
  • 1:20 - 1:23
    유전되는 것과
    어떻게 유전되는지에 관한 연구는
  • 1:23 - 1:27
    DNA의 연구보다
    훨씬 오래되었습니다
  • 1:27 - 1:30
    DNA는 우연히 발견된
    것이라고 할 수 있으며
  • 1:30 - 1:31
    그 발견은 20세기 중반의 중대한
    사건이 되었습니다
  • 1:31 - 1:33
    유전에 관한 연구는
    오랜 시간 동안 이루어졌으며
  • 1:33 - 1:37
    그러한 고전 유전학의 아버지는
  • 1:37 - 1:38
    그레고어 멘델입니다
  • 1:38 - 1:42
    ---
  • 1:42 - 1:46
    그는 실제로는 수도사였으며,
    식물을 가지고 교배하며
  • 1:46 - 1:49
    어떤 형질이 유전되며 어떤 형질이
    유전되지 않는지 관찰하였습니다
  • 1:49 - 1:51
    또한 형질이 한 세대에서
  • 1:51 - 1:56
    다른 세대로 어떻게 전해지는지
    이해하려고 했습니다
  • 1:56 - 2:02
    그래서 고전 유전학을 배울 때,
  • 2:02 - 2:05
    많은 단순화한 가정을 만들 것입니다
  • 2:05 - 2:08
    왜냐하면 이 중 대부분은 우리 유전자의
    대부분에 적용되지 않지만
  • 2:08 - 2:11
    감을 잡게 해 줄 것입니다
  • 2:11 - 2:16
    미래 세대에 무슨 일이
    일어날지를요
  • 2:16 - 2:21
    제가 설정할 첫번째 단순화한 가정은
  • 2:21 - 2:25
    몇몇 형질이 모든 특성을 가지거나
    또는 전혀 가지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 2:25 - 2:27
    그리고 우리는 많은 형질이
    그렇지 않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 2:27 - 2:29
    이 세상에 (이건 지나친
    단순화입니다)
  • 2:29 - 2:35
    눈 색깔을 예로 들어 봅시다
  • 2:35 - 2:39
    두 개의 대립 형질이 있다고 해 봅시다
  • 2:39 - 2:40
    이제 대립 형질이 무엇인지
    기억하시죠?
  • 2:40 - 2:44
    대립 형질은 유전자의
    특정 형태를 말합니다
  • 2:44 - 2:48
    그럼 당신이 파란색 눈을 가지거나
  • 2:48 - 2:52
    갈색 눈을 가질 수 있겠죠
  • 2:52 - 2:55
    그리고 우리가 사는 세계에서는
  • 2:55 - 2:58
    눈 색깔 유전자를 두 가지
    종류만 가질 수 있습니다
  • 2:58 - 3:01
    우리는 눈 색깔이 이보다 훨씬
    복잡하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 3:01 - 3:03
    이것은 그냥 단순화입니다
  • 3:03 - 3:04
    그리고 다른 가설 하나를
    세워보죠
  • 3:04 - 3:14
    잘은 모르지만, 이빨 크기에서
  • 3:14 - 3:18
    (당신이 고전 생물학 도서에서
    찾을 수 없는 형질입니다)
  • 3:18 - 3:23
    큰 이빨 형질과
  • 3:23 - 3:28
    여기에는 작은 이빨
    대립 유전자가 있다고 해 봅시다
  • 3:28 - 3:31
    그럼 유전자와 대립 유전자를
  • 3:31 - 3:32
    확실히 구별해 봅시다
  • 3:32 - 3:35
    ---
  • 3:35 - 3:38
    제가 그레고어 멘델에 대해 얘기했는데요,
    그는 1850년대에
  • 3:38 - 3:42
    우리가 DNA에 대해 알기도 전에
    염색체가 무엇인지, DNA가
  • 3:42 - 3:49
    어떻게 전달되는지 등등을 알기도 전에
    이 일을 했지만
  • 3:49 - 3:53
    미생물학에서
  • 3:53 - 3:54
    이 차이를 알아봅시다
  • 3:54 - 3:56
    여기 염색체가 있습니다
  • 3:56 - 4:00
    염색체에 대해 말해 보면
  • 4:00 - 4:01
    여기에 염색체를 그릴게요
  • 4:01 - 4:03
    이게 어떤 염색체라고 하면
  • 4:03 - 4:05
    이 염색체가 아버지로부터
    왔다고 하겠습니다
  • 4:05 - 4:09
    이 염색체에는, 특정 위치가 있습니다
  • 4:09 - 4:12
    이 염색체의 위치를
  • 4:12 - 4:15
    눈 색깔 유전자가 위치한
    곳이라고 하겠습니다
  • 4:15 - 4:17
    이게 눈 색깔 유전자의 위치입니다
  • 4:17 - 4:19
    이제 두 개의 염색체가 있습니다
    하나는 아버지로부터
  • 4:19 - 4:22
    하나는 어머니로부터 온,
    이걸 어머니로부터 온
  • 4:22 - 4:23
    염색체라고 하겠습니다
  • 4:23 - 4:26
    ---
  • 4:26 - 4:28
    보통 세포 안에 있을 때는,
  • 4:28 - 4:30
    염색체에 있는 것처럼
    잘 배치되어있지 않습니다
  • 4:30 - 4:33
    하지만 이렇게 그린 건
    그 개념을 알게 하기 위한 것입니다
  • 4:33 - 4:36
    이 염색체가 상동 염색체여서
  • 4:36 - 4:37
    같은 유전자를 가지고 있다고 해 봅시다
  • 4:37 - 4:41
    그럼 어머니로부터 온 이 유전자의
    같은 위치에는
  • 4:41 - 4:46
    똑같이 눈 색깔 유전자가 있겠죠
  • 4:46 - 4:51
    그럼 같은 유전자가 있을 것이고
  • 4:51 - 4:53
    이 세상에는 이 유전자의
    종류가 두 가지밖에 없다고
  • 4:53 - 4:54
    가정하겠습니다
  • 4:54 - 4:57
    만약 이 유전자의 같은 유전자가 있다면
  • 4:57 - 4:59
    --간단히 표기하겠습니다
  • 4:59 - 5:01
    B로 표현할게요
  • 5:01 - 5:02
    다른 방식으로 써 보겠습니다
  • 5:02 - 5:04
    파란색 눈 유전자를 b로 표기하고
  • 5:04 - 5:07
    갈색 눈 유전자를 B로 표기하겠습니다
  • 5:07 - 5:11
    그럼 이 유전자는 b이고
  • 5:11 - 5:13
    이 유전자는 B가 될 수 있겠네요
  • 5:13 - 5:17
    그럼 제 유전자형을 쓸 수 있겠네요
    대립 유전자를 가지고 있죠
  • 5:17 - 5:20
    어머니로부터 온 B와
  • 5:20 - 5:24
    아버지로부터 온 b를 가지고 있죠
  • 5:24 - 5:29
    이러한 각각의 경우에, 또는 이 유전자가
  • 5:29 - 5:31
    표현되는 방식을 대립 유전자라고 합니다
  • 5:31 - 5:40
    그럼 이것은 두 개의 다른
    대립유전자가 되는 것이죠
  • 5:40 - 5:43
    이것을 같은 유전자 형태라고 쓰겠습니다
  • 5:43 - 5:46
    그리고 이처럼 다른 두 형태를 가지고 있을 때,
  • 5:46 - 5:50
    (어머니로부터 온 한 유전자,
    아버지로부터 온 한 유전자를)
  • 5:50 - 5:53
    이것을 이형 접합체라고 부르며,
  • 5:53 - 5:55
    가끔 이형 접합 유전자형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 5:55 - 5:57
    ---
  • 6:00 - 6:05
    그리고 이 유전자형이 제가 가진
    대립유전자의 정확한 형태입니다
  • 6:05 - 6:08
    제가 유전자 b를 가지고 있다고 해 봅시다
  • 6:08 - 6:12
    저는 양쪽 부모님으로부터 온 파란색
    눈 유전자를 가지고 있습니다
  • 6:12 - 6:16
    제 유전자형이 bb라고 하면,
  • 6:16 - 6:19
    저는 동일한 두 개의 대립유전자를
    가지고 있는 것입니다
  • 6:19 - 6:22
    제 부모님 모두 이 유전자의
    같은 형태를 물려주셨습니다
  • 6:22 - 6:30
    그리고 이러한 경우에, 유전자형은
    동형 접합이며, 또는 동형 접합 유전자형,
  • 6:30 - 6:34
    또는 제가 이 형질을 동형 접합체로
    가지고 있다고도 할 수 있겠죠
  • 6:34 - 6:36
    ---
  • 6:36 - 6:39
    그럼 당신이 이제 충분하다고
    말할지도 모르겠네요
  • 6:39 - 6:43
    이건 당신이 가진 형질입니다
  • 6:43 - 6:48
    저는 아마 어머니로부터 갈색, 아버지로부터
    파란색 형질을 받았겠죠
  • 6:48 - 6:51
    이러한 경우에는, 제가 부모님 모두로부터
    파란색 형질을 받은 것입니다
  • 6:51 - 6:55
    어떻게 제 눈 색깔이 갈색인지 파란색인지
    알 수 있냐고요?
  • 6:55 - 6:57
    실제로는 매우 복잡합니다
  • 6:57 - 6:58
    모두 섞여 있는 것이니까요
  • 6:58 - 7:03
    하지만 멘델은 보여지는 것에 대해서,
  • 7:03 - 7:04
    오늘날 우성이라고 부르는 것에 대해
    연구했습니다
  • 7:04 - 7:09
    ---
  • 7:09 - 7:13
    우성은 한 형질이
  • 7:13 - 7:14
    다른 형질보다 우세하다는 것을
    말합니다
  • 7:14 - 7:17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눈 색깔이
  • 7:17 - 7:20
    특히 파란색 눈이
  • 7:20 - 7:22
    다른 형질보다 우세하다고 생각했습니다
  • 7:22 - 7:23
    여기서도 그렇게 가정할 것이지만,
  • 7:23 - 7:25
    지나치게 단순화한 것입니다
  • 7:25 - 7:34
    그럼 갈색 눈이 우성 형질이며
  • 7:34 - 7:36
    파란색 눈이 열성 형질이라고 해 봅시다
  • 7:36 - 7:39
    ---
  • 7:39 - 7:43
    파란색으로 그려야겠네요
  • 7:43 - 7:50
    파란색 눈이 열성 형질입니다
  • 7:50 - 7:52
    이런 경우에, 제가 계속해서 말했듯이
  • 7:52 - 7:56
    이건 아주 단순화시킨 것입니다
  • 7:56 - 8:01
    하지만 이런 경우라면,
    제가 이런 유전자형을 물려받았다면
  • 8:01 - 8:06
    갈색 눈 형질이 우성이기 때문에
  • 8:06 - 8:12
    제가 유전자 B가 갈색 눈을 뜻하고
    유전자 b가 열성 형질이라고 했던 것 기억하시죠
  • 8:12 - 8:17
    그럼 이러한 유전자형을 가진 사람은
  • 8:17 - 8:19
    모두 갈색 눈을 가진 것을 알 수 있을 것입니다
  • 8:19 - 8:21
    여기에 쓸게요
  • 8:21 - 8:22
    여기에 쓸게요
  • 8:22 - 8:28
    유전자형, 그리고 표현형을 쓰겠습니다
  • 8:28 - 8:31
    유전자형은 당신이 가진
    유전자의 실제 형태이며
  • 8:31 - 8:34
    표현형은 표현되는 것
  • 8:34 - 8:35
    또는 당신이 겉으로 볼 수 있는 것입니다
  • 8:35 - 8:40
    ---
  • 8:40 - 8:44
    그래서 만약 제가 아버지로부터 갈색 눈
    유전자를 받았다면 (크게 써야겠네요)
  • 8:44 - 8:46
    갈색으로 쓰겠습니다
  • 8:46 - 8:50
    여러분이 헷갈리지 않게
    갈색으로 써야겠네요
  • 8:50 - 8:54
    그래서 아버지로부터 갈색 눈 유전자를 받았고
  • 8:54 - 9:05
    어머니로부터 파란 눈 유전자를 받았다면
    갈색 눈 형질이 열성이기 때문에
  • 9:05 - 9:09
    갈색 눈 대립 유전자가 열성이고
  • 9:09 - 9:11
    제가 방금 갈색 눈 유전자라고 말했지만
  • 9:11 - 9:14
    갈색 눈 유전자 또는
  • 9:14 - 9:17
    어머니로부터 온
    파란 눈 유전자라고 해야 합니다
  • 9:17 - 9:19
    파란 눈 대립 유전자를 가진 것 말이죠
  • 9:19 - 9:22
    갈색 눈 대립 유전자가 우성이기 때문에
    이걸 여기에 썼습니다
  • 9:22 - 9:25
    갈색 눈으로 표현될 유전자를요
  • 9:25 - 9:31
    ---
  • 9:31 - 9:34
    그럼 다른 경우를 생각해 봅시다
  • 9:34 - 9:40
    제가 아버지로부터 파란 눈 유전자를 받았고
  • 9:40 - 9:42
    어머니로부터 갈색 눈 유전자를 받았다고
    가정해 봅시다
  • 9:42 - 9:42
    여기서도 똑같아요
  • 9:42 - 9:47
    표현형은 갈색 눈이 될 것입니다
  • 9:47 - 9:50
    그럼 어머니와 아버지 모두로부터
  • 9:50 - 9:52
    갈색 눈 대립 유전자를 물려받았다고
    하면 어떻게 될까요?
  • 9:52 - 9:55
    갈색으로 쓴 글자의 색이 약간 다르지만
  • 9:55 - 9:56
    같은 것을 의미합니다
  • 9:56 - 9:59
    그럼 제가 우성 갈색 눈 대립 유전자를
  • 9:59 - 10:01
    어머니와 아버지 모두로부터 받았다고
    할 수 있겠네요
  • 10:01 - 10:02
    그럼 무슨 일이 일어날까요?
  • 10:02 - 10:03
    아마 추측할 수 있을 것입니다
  • 10:03 - 10:08
    그래도 갈색 눈의 형질이 나타나겠죠
  • 10:08 - 10:11
    그럼 마지막 조합만이 남겠네요
  • 10:11 - 10:13
    왜냐하면 이 두 종류의 대립 유전자만이
  • 10:13 - 10:16
    사람에서 찾아볼 수 있는 것이며
    대부분의 유전자에서도
  • 10:16 - 10:17
    두 종류 이상이 있으니까요
  • 10:17 - 10:18
    혈액형을 예로 들어 봅시다
  • 10:18 - 10:21
    혈액형에는 네 종류가 있습니다
  • 10:21 - 10:26
    하지만 파란 눈 유전자를 두 개
    받는다고 하면,
  • 10:26 - 10:30
    부모님으로부터 받은 파란 눈 유전자는
    하나는 아버지, 하나는 어머니로부터 왔겠죠
  • 10:30 - 10:33
    이것은 열성 형질이지만
  • 10:33 - 10:35
    이 유전자에 대해 우세한 형질은
    없습니다
  • 10:35 - 10:39
    갑자기 파란색 눈의 표현형이
    나타납니다
  • 10:39 - 10:42
    제가 다시 말하고 싶은 것은
    이게 반드시 눈 색깔 대립 유전자가
  • 10:42 - 10:45
    작용하는 방식은 아니지만,
  • 10:45 - 10:48
    유전이 작용하는 방식을 이해하기에는
    적절한 단순화이죠
  • 10:48 - 10:52
    이런 간단한 방식으로 연구될 수 있는
    몇몇 형질이 있습니다
  • 10:52 - 10:55
    하지만 여기서 여러분께 보여드리고 싶은 것은
  • 10:55 - 10:59
    수많은 다른 유전자형이 (이건 모두 다른
    유전자형이죠)
  • 10:59 - 11:02
    같은 표현형을 나타낸다는 것입니다
  • 11:02 - 11:05
    단지 누군가의 눈 색깔을 보는 것만으로
  • 11:05 - 11:09
    당신은 그 사람이 우성 동형 접합체인지
    정확히 알지 못했을 것입니다
  • 11:09 - 11:17
    (이건 우성 동형 접합체일 것입니다)
  • 11:17 - 11:19
    아니면 이형 접합체인지를요
  • 11:19 - 11:21
    여기 있는 것은 이형 접합입니다
  • 11:21 - 11:24
    여기 있는 두 개는 이형 접합체입니다
  • 11:24 - 11:28
    ---
  • 11:28 - 11:32
    가끔 잡종이라고도 불리긴 하지만
  • 11:32 - 11:34
    잡종이라는 단어는 좀 지나친
    경향이 있습니다
  • 11:34 - 11:37
    많이 사용되는 단어이지만, 여기서는
  • 11:37 - 11:41
    이 유전자의 다른 종류의 대립 유전자를
    가진 것을 의미합니다
  • 11:41 - 11:44
    그럼 조금 더 생각해 봅시다
  • 11:44 - 11:48
    어머니와 아버지의 자손이 만들어질 때
    실제로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를요
  • 11:48 - 11:51
    ---
  • 11:51 - 11:53
    두 개의 다른 경우를 생각해 봅시다
  • 11:53 - 11:56
    ---
  • 11:56 - 11:58
    이 둘이 모두 잡종이라고 가정합시다
  • 11:58 - 12:03
    아버지는 우성 갈색 눈 유전자와
  • 12:03 - 12:08
    열성 파란 눈 유전자를 가집니다
  • 12:08 - 12:12
    어머니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럼 갈색 눈 유전자가 우성이고
  • 12:12 - 12:15
    어머니도 열성 파란 눈 대립 유전자를
    가지겠네요
  • 12:15 - 12:18
    그럼 이 두 사람에 대해 생각해 보면
  • 12:18 - 12:21
    여러분이 제 눈 색깔이 무엇인지 알기 전에,
  • 12:21 - 12:23
    이 두 사람의 유전자형을 알려드릴게요
  • 12:23 - 12:24
    이름을 붙이겠습니다
  • 12:24 - 12:26
    ---
  • 12:26 - 12:28
    이 쪽을 어머니의 유전자라고 하겠습니다
  • 12:28 - 12:30
    이게 표준이죠
  • 12:30 - 12:35
    그리고 이쪽 유전자를
    아버지의 유전자라고 하겠습니다
  • 12:35 - 12:38
    아이들은 어떤 다른
  • 12:38 - 12:38
    유전자형을 가질 수 있을까요?
  • 12:38 - 12:41
    그들의 자손이 만들어진다고 해 봅시다
  • 12:41 - 12:44
    여기 선을 조금 그려야겠네요
  • 12:44 - 12:46
    선을 그리겠습니다
  • 12:46 - 12:50
    ---
  • 12:50 - 12:56
    감수분열을 공부해서 알고 있죠?
  • 12:56 - 13:00
    어머니는 이 유전자를 가집니다
    (이 유전자를 다시 그리겠습니다)
  • 13:00 - 13:02
    그럼 상동 염색체가 생기죠?
  • 13:02 - 13:05
    여기 있는 건 염색체입니다
  • 13:05 - 13:07
    이 쪽에 있는 건 다른 염색체입니다
  • 13:07 - 13:10
    이 상동염색체 쌍의 한 염색체에,
  • 13:10 - 13:17
    아마 눈 색깔 유전자가 위치한 곳이 있을 것이고
    이건 갈색 눈 유전자입니다
  • 13:17 - 13:19
    이쪽 염색체의 눈 색깔 유전자가 위치한 곳에는
  • 13:19 - 13:21
    파란 눈 유전자가 있습니다
  • 13:21 - 13:25
    비슷하게 아버지의 유전자에서도,
    그 세포의 같은 염색체를 볼 때
  • 13:25 - 13:28
    이렇게 써 보겠습니다
  • 13:28 - 13:31
    여기 한 염색체가 있고
  • 13:31 - 13:33
    여기에는 다른 염색체가 있습니다
  • 13:33 - 13:35
    여러분이 이 염색체의 유전자 자리를 볼 때
  • 13:35 - 13:38
    이 염색체는 갈색 눈 대립 유전자를 가지며
  • 13:38 - 13:40
    이 염색체는 파란 눈
  • 13:40 - 13:42
    대립 유전자를 가집니다
  • 13:42 - 13:45
    그리고 여러분이 감수분열에서 배운
    염색체가 (일단 분열하면,
  • 13:45 - 13:48
    염색체는 두 개의
  • 13:48 - 13:48
    염색 분체를 가집니다)
  • 13:48 - 13:52
    하지만 감수분열 중기에
    염색체는 일자로 정렬합니다
  • 13:52 - 13:53
    그리고 어떤 방식으로 정렬되는지는
    모릅니다
  • 13:53 - 13:57
    예를 들어, 아버지에게서 이 염색체를
    받았을 수도 있고
  • 13:57 - 13:58
    이 염색체를 받았을 수도 있습니다
  • 13:58 - 14:00
    아니면 어머니로부터 이 염색체를
    받았을 수도 있고
  • 14:00 - 14:01
    이 염색체를 받았을 수도 있습니다
  • 14:01 - 14:03
    그럼 어떤 조합이든 가질 수 있겠죠
  • 14:03 - 14:07
    그래서, 예를 들어 어머니로부터
    이 염색체를 받았고
  • 14:07 - 14:10
    아버지로부터 이 염색체를 받았다면
  • 14:10 - 14:11
    눈 색깔의 유전자형은 무엇이 될까요?
  • 14:11 - 14:17
    그럼 BB가 되겠죠
  • 14:17 - 14:22
    이 염색체를 어머니로부터 받았고
    이 염색체를
  • 14:22 - 14:23
    아버지로부터 받았다면,
    어떻게 될까요?
  • 14:23 - 14:28
    아버지로부터 유전자 B를 받았고
  • 14:28 - 14:31
    어머니로부터 유전자 b를 받았습니다
  • 14:31 - 14:33
    이건 또 다른 경우이죠
  • 14:33 - 14:36
    자, 어머니로부터 갈색 눈 유전자를 받고
  • 14:36 - 14:42
    아버지로부터 파란 눈 유전자를 받은
  • 14:42 - 14:44
    다른 경우입니다
  • 14:44 - 14:47
    그러면 아버지로부터 이 염색체를 받고,
  • 14:47 - 14:51
    어머니로부터 이 염색체를 받은
  • 14:51 - 14:54
    이러한 상황이겠네요
  • 14:54 - 14:56
    그럼 표현형은 어떻게 될까요?
  • 14:56 - 14:58
    이미 여기 있는 경우에서는
  • 14:58 - 15:03
    갈색 눈이 된다는 것을 확인했고, 여기에서는
    갈색 눈, 여기에서도 갈색 눈이 되지만
  • 15:03 - 15:06
    이 경우에서는 파란색 눈이 됩니다
  • 15:06 - 15:08
    이미 여러분께 보여드렸죠
  • 15:08 - 15:10
    아까 말했다면,
  • 15:10 - 15:11
    여기 두 사람이 있습니다
  • 15:11 - 15:14
    모두 잡종이고, 또는 눈 색깔이
  • 15:14 - 15:17
    이형 접합체라고 할 수 있겠죠
  • 15:17 - 15:18
    눈 색깔은 열성, 우성 형질을 가집니다
  • 15:18 - 15:23
    그리고 두 사람 모두
    갈색 눈 대립 유전자 하나와
  • 15:23 - 15:25
    파란색 눈 대립 유전자 하나를 가지며
    그들의 아이가 태어난다면
  • 15:25 - 15:26
    그 아이가 갈색 눈을 가질 확률은 무엇일까요?
  • 15:29 - 15:36
    ---
  • 15:36 - 15:37
    확률이 무엇일까요?
  • 15:37 - 15:41
    이 각각의 사건은 동일하게 일어날 수 있죠?
  • 15:41 - 15:42
    네 사건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 15:42 - 15:44
    이것을 분모에 쓰겠습니다
  • 15:44 - 15:46
    동일한 네 개의 사건입니다
  • 15:46 - 15:48
    그럼 갈색 눈이 나타날
  • 15:48 - 15:50
    확률은 무엇일까요?
  • 15:50 - 15:52
    하나, 둘, 세 개 입니다
  • 15:52 - 15:59
    그래서 확률은 4분의 3이며,
    75%의 확률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 15:59 - 16:02
    같은 논리로, 이 부모가
  • 16:02 - 16:05
    파란 눈을 가진 자손을 낳을
    확률은 무엇일까요?
  • 16:05 - 16:07
    동등하게 일어날 수 있는 네 가지 사건 중
    오직 한 번만 일어나므로
  • 16:07 - 16:16
    파란색 눈은 25%의 확률로
    나타납니다
  • 16:16 - 16:19
    그럼 이형 접합체 자손을 낳을
    확률은
  • 16:19 - 16:20
    무엇일까요?
  • 16:20 - 16:23
    이형 접합체 자손을 낳을 확률은
  • 16:23 - 16:24
    무엇일까요?
  • 16:24 - 16:27
    ---
  • 16:27 - 16:29
    이젠 더 이상 표현형을 따지지 않습니다
  • 16:29 - 16:31
    유전자형만 따지고 있어요
  • 16:31 - 16:34
    이러한 조합에서,
    어떤 것이 이형 접합체이죠?
  • 16:34 - 16:37
    이 경우는 혼합되어 있기 때문에
  • 16:37 - 16:37
    잡종입니다
  • 16:37 - 16:39
    두 대립 유전자가 혼합되어있죠
  • 16:39 - 16:41
    이것도 마찬가지입니다
  • 16:41 - 16:42
    그럼 확률은 무엇일까요?
  • 16:42 - 16:45
    네 개의 다른 조합이 있습니다
  • 16:45 - 16:48
    이들 모두는 동등하게 일어나며,
    이 중 두 개는
  • 16:48 - 16:49
    이형 접합체입니다
  • 16:49 - 16:55
    그럼 확률은 4분의 2, 즉 2분의 1
    또는 50%라고도 할 수 있겠네요
  • 16:55 - 16:57
    그럼 퍼네트 사각형을 이용해서,
  • 16:57 - 17:00
    유전자에 대해 많은 생각을 해 볼 수 있겠고
  • 17:00 - 17:02
    (어떤 것이 우성이며
    어떤 것이 열성인지에 대해서요)
  • 17:02 - 17:04
    다른 결과에 대한 가능성을
  • 17:04 - 17:06
    예측해 볼 수 있습니다
  • 17:06 - 17:07
    그리고 나중에 볼 비디오에서 알게 되듯이,
  • 17:07 - 17:08
    더 되돌아가는 것일 수도 있습니다
  • 17:08 - 17:11
    갈색 눈을 가진 다섯 명의 아이들이 있는
  • 17:11 - 17:14
    부부에게서, 부부 모두가
  • 17:14 - 17:15
    이형 접합체일 확률 같은 것 말이죠
  • 17:16 - 17:19
    그래서 이것은
    약간 지나친 단순화이긴 해도
  • 17:19 - 17:20
    아주 흥미로운 분야입니다
  • 17:20 - 17:24
    하지만 많은 형질은, 특히 그레고어 멘델이
  • 17:24 - 17:27
    연구했던 몇몇 형질은 이런 방식으로
    연구될 수 있습니다
Title:
Introduction to Heredity
Description:

more » « less
Video Language:
English
Duration:
17:27

Korean subtitles

Revis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