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젠베르크 불확실성 원리란? |차드 오라즈(Chad Orzel)
-
0:07 - 0:11하이젠베르크 불확정성 원리는
양자물리학에서부터 -
0:11 - 0:15일반적인 팝컬쳐까지 이르는
난해한 개념들 중 하나입니다. -
0:15 - 0:21그건 사물의 정확한 위치와 속도를
절대로 동시에 알 수 없다고 말하죠. -
0:21 - 0:23그리고 문학 비평에서
스포츠 실황방송까지 -
0:23 - 0:26모든것은 은유적으로 나타납니다.
-
0:26 - 0:29불확정성은 흔히
측정의 결과로 나타나는데, -
0:29 - 0:35사물의 위치를 측정하는 행위는
그 속도를 바꾸고, 역(逆)도 같습니다. -
0:35 - 0:38실제 근원은
더 심오하고 더 놀랍습니다. -
0:38 - 0:42불확정성 원리는 우주의 모든것이
-
0:42 - 0:46입자와 파동이 동시에
행위하기 때문에 존재합니다. -
0:46 - 0:50양자역학에서, 사물에 대한
정확한 위치와 정확한 속도는 -
0:50 - 0:52아무런 의미가 없습니다.
-
0:52 - 0:53이것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
0:53 - 0:57입자 또는 파동처럼 행위한다는 게
무슨 의미인지 생각해야 합니다. -
0:57 - 1:02정의하자면, 입자는 같은 시간에
한 장소에 존재합니다. -
1:02 - 1:05우리는 특정한 장소에서 그 사물을
찾을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을 -
1:05 - 1:09그래프로 재현할 수 있습니다.
그건 대못 모양인데, -
1:09 - 1:14특정한 장소에서는 100%이고,
다른 모든 장소에서는 0%입니다. -
1:14 - 1:18반면에, 파동은
공간으로 퍼지는 외란인데, -
1:18 - 1:20연못의 표면을 덮는
잔물결과 같은겁니다. -
1:20 - 1:24우리는 선명히 전체적으로
파동 형태의 특징을 식별할 수 있는데, -
1:24 - 1:26가장 중요하게, 그 파장은
-
1:26 - 1:29두 인접 정점사이
-
1:29 - 1:30또는 인접 골 사이의 거리입니다.
-
1:30 - 1:33그러나 우리는 한 지점만
할당할 수는 없습니다. -
1:33 - 1:36그것은 다른 여러 장소에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
1:36 - 1:39파장은 양자 물리학에서 아주 중요한데,
-
1:39 - 1:42사물의 파장이 그것의 운동량인
'질량 X 속도'에 -
1:42 - 1:44관련되기 때문입니다.
-
1:44 - 1:47빠른 속도의 물체는 큰 운동량이 있고,
-
1:47 - 1:50그건 매우 짧은 파장을 의미합니다.
-
1:50 - 1:55무거운 물체는 그게 빨리
움직이지 않아도 큰 운동량이 있고, -
1:55 - 1:57그것은 다시 말해
짧은 파장을 의미합니다. -
1:57 - 2:01이건 우리가 날마다 사물의 파동의
본성을 알아차리지 못하는 이유입니다. -
2:01 - 2:03만약 당신이 야구공을
공중으로 높이 던지면, -
2:03 - 2:07그것의 파장은 1미터의 1조분의,
1조분의, 10억분의 1이고, -
2:07 - 2:09너무 작아서 감지하기가 어렵습니다.
-
2:09 - 2:12원자나 전자처럼 아주 작은것들은
-
2:12 - 2:16물리 실험에서 측정할 수 있는
아주 큰 파장이 있을 수 있습니다. -
2:16 - 2:19만약 순수 파장이 있으면,
그 파장을 측정할 수 있어, -
2:19 - 2:23그 운동량도 측정할 수 있지만
그건 위치가 없습니다. -
2:23 - 2:25우리는 입자 위치를
아주 잘 알 수 있지만, -
2:25 - 2:28파장이 없기 때문에
그 운동량을 알지 못합니다. -
2:28 - 2:32각 위치와 운동량 모두를 알려면,
-
2:32 - 2:34우리는 두가지의 특징을 섞어
-
2:34 - 2:37파장이 있는 그래프를 만들려면
단지 작은 영역에서만 해야 합니다. -
2:37 - 2:39어떻게 이렇게 할 수 있을까요?
-
2:39 - 2:42다른 파장을 가진 파동을
합쳐서 할 수 있습니다. -
2:42 - 2:47그건 다른 운동량을 가질 가능성을 지닌
양자 물체를 부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
2:47 - 2:49우리가 두개의 파동을 추가시키면,
큰 파동을 만들면서 그 정점이 -
2:49 - 2:52정렬하는 곳이 있다는 것과,
-
2:52 - 2:56하나의 정점이 다른 골로 채우는 곳이
있다는 것을 알게됩니다. -
2:56 - 2:58그 결과는, 우리가 보는
-
2:58 - 3:01아무것도 없는 구간에 의해 분리된
그 파동의 구간입니다. -
3:01 - 3:03우리가 3개의 파동을 추가한다면,
-
3:03 - 3:06파동이 없어지는 구간은 더 커지고,
-
3:06 - 3:104번째 파동에서 그것들은 여전히 커지고,
더 파동하는 구간은 좁아집니다. -
3:10 - 3:13파동을 계속 추가한다면,
파동 꾸러미를 만들 수 있고, -
3:13 - 3:16작은 구간에서는
분명한 파장이 있게 됩니다. -
3:16 - 3:20그건 파동과 입자 본성을 가진
양자 물체지만, -
3:20 - 3:22이렇게 하는 데 성공하려면,
-
3:22 - 3:26위치뿐만 아니라 운동량에 대한
확실함을 포기해야만 합니다. -
3:26 - 3:28위치는 한 지점에 제한되지 않습니다.
-
3:28 - 3:31파동 꾸러미 중심의 사정거리내에서
-
3:31 - 3:33그것을 찾을 높은 가능성이 있고
-
3:33 - 3:36그들 중 어떤 하나와 일치하는
운동량을 가진 그것을 찾을 -
3:36 - 3:38몇가지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
3:38 - 3:41많은 파동을 추가함으로써
파동 꾸러미를 만듭니다. -
3:41 - 3:45위치와 운동량은 둘 다
이제 확실하지 않고, -
3:45 - 3:47불확실성은 연결됩니다.
-
3:47 - 3:49더 작은 파동 꾸러미를 만들어
위치 불확실성을 -
3:49 - 3:53감소시키길 원한다면
더 많은 파동을 추가시켜야 하는데, -
3:53 - 3:55그것은 더 큰
운동량 불확실성을 의미합니다. -
3:55 - 3:58만약 운동량에 대해 더 알기를 바라면,
더 큰 파동 꾸러미가 필요하고, -
3:58 - 4:01그것은 더 큰
위치 불확실성을 의미합니다. -
4:01 - 4:03그것이
하이젠베르크 불확실성 원리이고, -
4:03 - 4:081927년 독일 물리학자인 베르너
하이젠베르크에 의해 처음 진술되었죠. -
4:08 - 4:13이 불확실성은 측정을
잘하고 못한다는 문제가 아니라 -
4:13 - 4:17입자와 파동을 합치는 것으로의
필연적인 결과입니다. -
4:17 - 4:21불확실성 원리는 단지 측정의
현실적인 한계가 아닙니다. -
4:21 - 4:24그것은 한 물체가 가질 수 있는
어떤 성질을 제한하고, -
4:24 - 4:28우주 자체의 기본구조로
구축된 것입니다.
- Title:
- 하이젠베르크 불확실성 원리란? |차드 오라즈(Chad Orzel)
- Speaker:
- Chad Orzel
- Description:
-
전체 강의 : http://ed.ted.com/lessons/what-is-the-heisenberg-uncertainty-principle-chad-orzel
하이젠베르크 불확실성 원리는 당신이 절대로 어떤 물체의 확실한 위치와 속도를 동시에 알 수 없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왜 그럴까요? 이 세상의 모든것은 입자와 파동 성질을 동시에 가지기 때문입니다. 차드 오라즈는 양자 역학의 복잡한 컨셉을 설명합니다.
강의: 차드 오라즈 강의
영상: 헨릭 말그렌 - Video Language:
- English
- Team:
closed TED
- Project:
- TED-Ed
- Duration:
- 04:44
![]() |
Jeong-Lan Kinser edited Korean subtitles for What is the Heisenberg Uncertainty Principle? | |
![]() |
Jeong-Lan Kinser edited Korean subtitles for What is the Heisenberg Uncertainty Principle? | |
![]() |
Jeong-Lan Kinser approved Korean subtitles for What is the Heisenberg Uncertainty Principle? | |
![]() |
Jeong-Lan Kinser edited Korean subtitles for What is the Heisenberg Uncertainty Principle? | |
![]() |
Jeong-Lan Kinser edited Korean subtitles for What is the Heisenberg Uncertainty Principle? | |
![]() |
Jeong-Lan Kinser edited Korean subtitles for What is the Heisenberg Uncertainty Principle? | |
![]() |
Jeong-Lan Kinser accepted Korean subtitles for What is the Heisenberg Uncertainty Principle? | |
![]() |
Jeong-Lan Kinser edited Korean subtitles for What is the Heisenberg Uncertainty Principl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