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식아주머니가 영웅인 까닭은?
-
0:01 - 0:032001년, 처음으로 어린이책을
-
0:03 - 0:04출판했을 때의 일입니다.
-
0:04 - 0:07제가 다닌 초등학교의 학생들에게
-
0:07 - 0:08작가와 일러스트레이터의
삶에 대해 -
0:08 - 0:10이야기해 줄 기회가 있었죠.
-
0:10 - 0:13저는 프로젝터를
설치하고 있었습니다. -
0:13 - 0:16식당에다가요.
-
0:16 - 0:18건너편을 보는데
-
0:19 - 0:21그 분이 계시더군요.
-
0:21 - 0:23추억의 급식 아주머니 말이예요.
-
0:23 - 0:25아주머니는 여전히 학교에서
-
0:25 - 0:27바쁘게 점심을 차리고 계셨어요.
-
0:27 - 0:29다가가 인사를 드렸죠.
-
0:29 - 0:31"지니 아주머니, 안녕하세요?"
-
0:31 - 0:33이쪽을 바라보시는데.
-
0:33 - 0:34저를 알아보시는 것 같았어요.
-
0:34 - 0:37하지만 이름은 기억이 안 나셨는지
이렇게 말씀하시더군요. -
0:37 - 0:40"스티븐 크로자스카?"
-
0:40 - 0:42제 성을
기억하신다니 놀라웠죠. -
0:42 - 0:46하지만 스티븐은 저보다
스무살 많은 삼촌의 이름이었어요. -
0:46 - 0:49삼촌이 어릴 때부터 식당에서
일을 해오신 거죠. -
0:49 - 0:51저한테 손자 얘기를 하시는데
-
0:51 - 0:54정신이 번쩍 들더라고요.
-
0:54 - 0:56손자가 있으면
-
0:56 - 0:57자식도 있다는 건데
-
0:57 - 1:00그럼 학교가 끝나고
집에도 가신단 말야? -
1:00 - 1:03아주머니는 식당에서 숟가락이랑
사는 줄 알았거든요. -
1:03 - 1:05한 번도 이런 생각을
한 적이 없었어요. -
1:05 - 1:08아주머니와의 만남은
제 상상력을 자극했습니다. -
1:08 - 1:12덕분에 '급식 아주머니'라는
그래픽 노블을 만들게 됐죠. -
1:12 - 1:14만화 속 급식 아주머니는
-
1:14 - 1:17생선 튀김으로 만든 쌍절곤을 쓰면서
-
1:17 - 1:20사악한 사이보그 대리 교사나
-
1:20 - 1:23스쿨버스 괴물, 돌연변이
수학시험 응시자를 물리치죠. -
1:23 - 1:24그리고 마지막에는 항상
-
1:24 - 1:26머리망으로 악당을 붙잡은 뒤
-
1:26 - 1:30이렇게 선언합니다
"정의의 맛이 어떠냐!" -
1:30 - 1:34(웃음)(박수)
-
1:34 - 1:36출판 뒤 놀라운 일이 이어졌어요.
-
1:36 - 1:39제 책을 아주 좋아한
어린이 독자들이 -
1:39 - 1:42멋진 편지와 카드, 그림들을
-
1:42 - 1:44보내주었거든요.
-
1:44 - 1:46그리고 학교 행사에 가면
-
1:46 - 1:49식당에서 일하는 분들이
-
1:49 - 1:51프로그램에 아주 의미있게
초대 되는것을 발견했습니다. -
1:51 - 1:53전국 어디를 가든
-
1:53 - 1:55아주머니들은
모두 이런 말씀을 하셨죠. -
1:55 - 1:59"우리와 비슷한 모습의
영웅을 만들어줘서 고마워요" -
1:59 - 2:01급식 아주머니들은
그동안 대중문화에서 -
2:01 - 2:05별로 호의적으로
그려지지 않았거든요. -
2:05 - 2:07이것은 지니 아주머니에게
가장 의미있는 작품이었습니다. -
2:07 - 2:09첫 시리즈를 출판하고 나서
-
2:09 - 2:11출판 기념회에
아주머니를 초대했습니다. -
2:11 - 2:13아주머니가 오랜 시간
손수 밥을 먹인 -
2:13 - 2:14여러 사람들 앞에서
-
2:14 - 2:17그림 한 점과 책 몇 권을
드렸습니다. -
2:17 - 2:20이 사진을 찍고 2년 뒤
-
2:20 - 2:21아주머니는 돌아가셨어요.
-
2:21 - 2:22장례식에 갔었죠.
-
2:22 - 2:25뭘 보게 될지
상상도 하지 못했어요. -
2:25 - 2:29관 옆에는
저 그림이 놓여 있었습니다. -
2:29 - 2:32남편께서 그 그림이 아주머니에게
큰 의미가 있었다고 하시더군요. -
2:32 - 2:35아주머니의 성실함과
아주머니가 하시는 일이 -
2:35 - 2:38제 덕분에
인정받을 수 있었다고요. -
2:38 - 2:40이 얘기를 듣고
전국의 학교 식당에 -
2:40 - 2:42아주머니의 감정을
되살릴 수 있는 -
2:42 - 2:45기념일을 만들게 되었습니다.
-
2:45 - 2:46'급식 영웅의 날'
-
2:46 - 2:49아이들이 식당 직원을 위해
기발한 행사를 여는 날이죠. -
2:49 - 2:51이를 위해
'학교 영양 연합'과 제휴했습니다. -
2:51 - 2:55현재 매일 3000만명이
넘는 학생들이 -
2:55 - 2:56급식을 먹고 있습니다.
-
2:56 - 3:011년으로 환산하면
50억 끼에 이르는 양이죠. -
3:01 - 3:04급식 아주머니들의 위대함은
-
3:04 - 3:06단순히 치킨이나 몇 조각 더
올려주는 데서 -
3:06 - 3:07그치는 게 아니었습니다.
-
3:07 - 3:09캘리포니아에 있는 브렌다씨는
-
3:09 - 3:11아이들을 하나하나
유심히 지켜본 뒤 -
3:11 - 3:14조금이라도 문제가 있으면
-
3:14 - 3:15생활 교사에게 알려줍니다.
-
3:15 - 3:17켄터키의 급식 아주머니들은
-
3:17 - 3:21학생의 67%가 매일 공급되는
학교 급식에 의존하며 -
3:21 - 3:23여름 방학에는
밥을 굶는다는 걸 알게 됐습니다. -
3:23 - 3:25아주머니들은
스쿨 버스를 개조해서 -
3:25 - 3:27이동식 급식차를 만들었죠.
-
3:27 - 3:28그리고 동네를 돌아다니면서
-
3:28 - 3:31여름 방학동안 매일 500명의
아이들에게 밥을 먹였습니다. -
3:31 - 3:34아이들은 정말 기발한
아이디어들을 냈어요. -
3:34 - 3:35기대한대로였죠.
-
3:35 - 3:36아이들은 색종이를 이용해서
-
3:36 - 3:38햄버거 카드를 만들었습니다.
-
3:38 - 3:40급식 아주머니들의
사진을 찍어서 -
3:40 - 3:42'급식 아주머니' 만화에 붙인 뒤
-
3:42 - 3:44우유곽에 붙여서
-
3:44 - 3:46꽃과 함께 선물하기도 했습니다.
-
3:46 - 3:48아이들끼리 만화를
그리기도 했죠. -
3:48 - 3:50자기 학교에 있는
-
3:50 - 3:52실제 급식 아주머니가
주인공이었어요. -
3:52 - 3:54또 '땡큐 피자'도 만들었습니다.
-
3:54 - 3:56각자 색종이에 사인을 해서
-
3:56 - 3:59토핑을 올렸죠.
-
3:59 - 4:02저는 급식 아주머니들의 호응에
-
4:02 - 4:04큰 감동을 받았습니다.
-
4:04 - 4:06어떤 분은 이렇게 말씀하셨죠.
-
4:06 - 4:11"지금까지 이학교에서 나는 마치
지구 끝자락에 있는것 같았어요" -
4:11 - 4:14"누구도 우리를 주목하지
않는다고 생각했죠" -
4:14 - 4:15이렇게 얘기한 분도 있었습니다.
-
4:15 - 4:18"덕분에 내가 하는 일이
-
4:18 - 4:21중요하다는 걸 알게 됐어요"
-
4:21 - 4:23더 말해 뭐하겠습니까.
-
4:23 - 4:25그 분들이 하는 일
모두가 중요합니다. -
4:25 - 4:29매일 우리 아이들에게
밥을 먹이는 분들이니까요. -
4:29 - 4:31배움이라는 것도
-
4:31 - 4:34배가 든든해야 되는 거잖아요.
-
4:34 - 4:36급식실에 계신 분들은
-
4:36 - 4:37지혜로운 사회를 만들기 위해
-
4:37 - 4:40최전방에서 노력하는 분들입니다.
-
4:40 - 4:44저는 여러분들이 '급식 영웅의 날'이
될때까지 기다리지말고 -
4:44 - 4:47지금 그 분들께 감사의 마음을
전하기 희망합니다. -
4:47 - 4:48감사하다는 말 한 마디가
-
4:48 - 4:51얼마나 강력한 것인지
기억하시길 바랍니다. -
4:51 - 4:53그 말 한 마디가
인생을 바꿀 수 있습니다. -
4:53 - 4:57감사의 말을
듣는 사람은 물론이고 -
4:57 - 4:59감사의 말을
표현하는 사람의 인생도 -
4:59 - 5:01바꿀 수 있습니다.
-
5:01 - 5:02감사합니다.
-
5:02 - 5:07(박수)
- Title:
- 급식아주머니가 영웅인 까닭은?
- Speaker:
- 자렛 크로자스카
- Description:
-
어린이책 작가 자렛 크로자스카가 <급식 아주머니> 만화를 그리게 된 계기를 설명한다. <급식 아주머니>는 비밀 요원으로 일하는 급식 아주머니가 정의를 지키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크로자스카는 자신이 만든 '급식 영웅의 날' 캠페인을 설명하며 식당이 얼마나 중요한 곳인지, 고맙다는 말 한 마디가 얼마나 다른 사람을 감동시킬 수 있는지 이야기한다.
- Video Language:
- English
- Team:
closed TED
- Project:
- TEDTalks
- Duration:
- 05:24
![]() |
Kyungheon Bae commented on Korean subtitles for Why lunch ladies are heroes | |
![]() |
Jeong-Lan Kinser commented on Korean subtitles for Why lunch ladies are heroes | |
![]() |
Kyungheon Bae commented on Korean subtitles for Why lunch ladies are heroes | |
![]() |
Jeong-Lan Kinser approved Korean subtitles for Why lunch ladies are heroes | |
![]() |
Jeong-Lan Kinser edited Korean subtitles for Why lunch ladies are heroes | |
![]() |
Jeong-Lan Kinser edited Korean subtitles for Why lunch ladies are heroes | |
![]() |
Jeong-Lan Kinser edited Korean subtitles for Why lunch ladies are heroes | |
![]() |
Wooran Lee accepted Korean subtitles for Why lunch ladies are heroes |
Wooran Lee
수고하셨습니다. 싱크 조절과 의역보다 직역이 더 이해하기 좋을것 같은 표현 몇가지 수정하였습니다
Jeong-Lan Kinser
네, 리뷰 수고하셨습니다.
21자가 넘는 줄이 좀 보이구요, 마침표가 찍어져 있지 않는데, 수정부탁드립니다. 아마라지침에는 마침표를 찍는 것으로 되어 있거든요.
TED Guidelines
**Don’t start a review task until you have translated/transcribed 90 minutes of talks.**
Reviewer’s checklist:
✓ Spelling, punctuation, grammar
✓ Subtitle length: no longer than 84 characters
✓ Line length: subtitles over 42 (21Korean) characters are broken into two lines
✓ Reading speed: maximum of 21 characters/second (10 in Chinese/Japanese)
✓ Don’t split grammatical units (e.g. don’t end a line or subtitle after “the”)
✓ Follow TED’s style guidelines:
http://www.ted.com/participate/translate/guidelines#h2--ted-style
After making edits, re-watch the talk with the subtitles on to make sure everything is correct.
✓ Communicate your edits to the translator by leaving notes in the subtitling interface or sending a direct message.
When giving feedback...
• Be constructive and positive
• Be specific about how the translation can be improved
Consider sending back tasks which contain a lot of errors the translator/transcriber can easily fix (eg. typos). Include a note explaining what needs to be fixed.
More guidelines:
http://www.ted.com/participate/translate/guidelines
Show All Guidelines ▶
Jeong-Lan Kinser
리뷰 감사드립니다. 문장이 끝나는 곳에는 마침표 찍는걸로 되어있습니다. 수정해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Kyungheon Bae
제가 여기 글을 남기면 여기 코멘트를 남기신 분들께 알림이 가는지 잘 모르겠네요.
리뷰가 끝나고 온라인에 올라간 뒤로는 아마라에 따로 접속하지 않아서 세 달이 지난 이제야 메시지를 확인했습니다.
남기신 말씀들은 잘 봤습니다.
그런데, 사실 저 같은 경우는 물론 자원활동의 의미도 있지만 인증된 크레딧이 필요해서 번역을 맡은 부분도 있는데요.
테드 시스템이 이상해서 마지막 번역 에디터와 리뷰어에게만 크레딧이 남고(홈페이지에 표기가 되고) 원 번역자에게는 크레딧이 뜨지 않는 것 같네요.(제가 못 찾았나요?)
일부러 그러신 건 아니겠지만 사실 별로 기분이 좋지는 않은데...
리뷰까지 끝난 작업은 고치더라도 어쨌든 번역 당사자가 고치는 게 맞지 않나 싶습니다.
Jeong-Lan Kinser
네, 맞습니다. 번역이나 리뷰를 하다가 포기하거나, 그만 두시는 분들이 많고, 방치해 두어 제한된 기간 (30일)이 넘어 강연이 일반 번역자들에게 다시 넘어가게 되면, 인지하셨듯, 맨 마지막에 작업한 두사람만이 크레딧을 받게 됨을 숙지하시기 바랍니다 . 이 점은 저희들이 결정하는 게 아니가 아마라측에서 그렇게 한다는 것도 알아주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Kyungheon Bae
이미 지난 일이고 어떻게 할 수도 없는 마당에 이러는 게 저도 좀 우습기는 합니다만,
수정된 번역본을 비교해 보니 최종 리뷰된 부분에서 구두점을 찍으신 정도인 것 같은데요.
우선 아마라 지침이라고 올리신 부분에는 구두점을 찍으라는 표현이 없는 것 같네요.
링크된 부분을 봐도 번역어의 구두법을 사용하라고 적혀 있을 뿐 구두점을 찍으라고는 적혀 있지 않은 것 같습니다.(제가 찾지 못했다면 알려주시고요.)
더군다나 영상번역에서는, 적어도 국내 방송과 영화에서는 예외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구두점을 찍지 않는 게
원칙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제가 번역을 마친 뒤에 여기에 다시 들어왔다면 더 좋았겠지만
어쨌든 제 입장에서는 지금 봐도 제가 "방치"했다는 생각은 들지 않고요,
솔직히 크레딧만 날아갔다는 생각을 떨치기가 어렵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