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turn to Video

한스 로즐링: 종교와 아기들

  • 0:00 - 0:04
    저는 오늘 종교에 관해서 이야기 할 겁니다.
  • 0:04 - 0:09
    종교는 너무 넓고 민감한 분야이기에,
  • 0:09 - 0:11
    저는 스스로를 제한할 겁니다.
  • 0:11 - 0:14
    제 스스로를 제한해 오직
  • 0:14 - 0:18
    종교와 성의 관계에 대해서만 이야기 하겠습니다.
  • 0:18 - 0:20
    (웃음)
  • 0:20 - 0:22
    이건 정말 진지한 것입니다.
  • 0:22 - 0:26
    그래서 제가 기억하는 가장 멋진 일에대해 이야기 하겠습니다.
  • 0:26 - 0:29
    그것은 젊은 커플이 속삭이는 겁니다
  • 0:29 - 0:32
    "오늘 밤 우리는 아이를 만들거야"
  • 0:32 - 0:37
    제 이야기의 주제는 종교가 여성 한명당
  • 0:37 - 0:41
    출산하는 아기의 수에 미치는 영향입니다.
  • 0:41 - 0:43
    이것은 정말 중요한 것입니다.
  • 0:43 - 0:44
    왜냐하면 모두가 다 알고 있습니다.
  • 0:44 - 0:47
    이 행성에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 0:47 - 0:50
    존재 할 수 있는지에는 제한 이 있다는 걸 말입니다.
  • 0:50 - 0:52
    그리고 몇몇 사람들은
  • 0:52 - 0:55
    세계의 인구는 이렇게 늘어난다고 말하죠:
  • 0:55 - 0:57
    1960년에 30억
  • 0:57 - 1:00
    작년엔 70억
  • 1:00 - 1:01
    그리고 그 수는 계속 늘어날 것이죠.
  • 1:01 - 1:05
    이는 여자가 아이를 적게 갖는 것을 막는 종교가 있기 때문에
  • 1:05 - 1:08
    이런 식으로 인구는 증가할 겁니다.
  • 1:08 - 1:11
    그럼 이 사람들이 어느 정도로 옳은 것일까요?
  • 1:11 - 1:16
    제가 태어날 때까지만 해도 세계 인구는 10억이 안되었습니다.
  • 1:16 - 1:20
    그러나 오늘날, 2000년엔 거의 20억이 되었습니다.
  • 1:20 - 1:22
    그 이후 무엇이 일어났고,
  • 1:22 - 1:25
    전문가들은 아이들의 수가 이번 세기에는
  • 1:25 - 1:27
    어떻게 변할 것이라 예측하던가요?
  • 1:27 - 1:30
    이건 퀴즈입니다.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 1:30 - 1:34
    다시 10억 인구로 줄어들거라고 생각하십니까?
  • 1:34 - 1:38
    아니면 세기말까지 똑같이 20억으로 유지될까요?
  • 1:38 - 1:41
    15년이 될때까지 매년 수가 늘어날까요?
  • 1:41 - 1:44
    아니면 빠른 속도로 계속 증가하다가
  • 1:44 - 1:46
    40억에 도달하게 될까요?
  • 1:46 - 1:50
    제 연설 끝에 대답해 드리겠습니다.
  • 1:50 - 1:55
    그러나 지금은, 종교가 그것과 무슨 상관이 있을까요?
  • 1:55 - 1:57
    '종교'를 정의하는 것은
  • 1:57 - 1:59
    여러분이 생각하는 것보다 어렵습니다.
  • 1:59 - 2:02
    위키피디아에 가서 가장 처음 발견하는 지도가 이겁니다.
  • 2:02 - 2:07
    이 지도는 세계를 아브라함계 종교와 동양계 종교로 나누지만
  • 2:07 - 2:09
    충분히 자세하지 않아요
  • 2:09 - 2:13
    그래서 위키피디아에서 더 찾아봤더니,
    이 지도를 발견했습니다.
  • 2:13 - 2:18
    그러나 이건 다시 기독교, 이슬람교, 불교를
  • 2:18 - 2:19
    많은 하위집단으로 나눴는데,
  • 2:19 - 2:21
    지나치게 상세했습니다.
  • 2:21 - 2:24
    그러므로 우리 <갭마인더>에서는 새로운
    지도를 만들었습니다.
  • 2:24 - 2:27
    그리고 그건 이렇게 생겼습니다.
  • 2:27 - 2:30
    각 나라들은 하나의 버블로 나타냅니다.
  • 2:30 - 2:33
    사이즈는 인구를 나타내고-- 큰 중국과 큰 인도입니다
  • 2:33 - 2:38
    색은 대표 종교를 나타내죠
  • 2:38 - 2:41
    대표 종교란 절반이 넘는 사람들이 믿는다고 말하는
  • 2:41 - 2:42
    종교를 적은 겁니다.
  • 2:42 - 2:47
    인도와 중국, 그리고 그 주변 아시아 나라들은 동양계 종교입니다.
  • 2:47 - 2:49
    이슬람이 대표 종교인 지역은
  • 2:49 - 2:52
    대서양부터 중동을 지나,
  • 2:52 - 2:55
    남부유럽과 아시아를 통해
  • 2:55 - 2:57
    인도네시아까지 포함되죠.
  • 2:57 - 3:00
    이곳들이 주로 이슬람교를 믿는 곳입니다.
  • 3:00 - 3:05
    크리스트교를 주로 믿는 곳은,
    여기 파란색으로 보이는 나라들입니다.
  • 3:05 - 3:09
    거의 대부분은 미국, 유럽 국가들이고
  • 3:09 - 3:12
    아프리카의 많은 나라들 그리고 아시아에 조금 있습니다.
  • 3:12 - 3:15
    하얀색은 구분될 수 없는 나라들인데,
  • 3:15 - 3:18
    한 종교가 과반수를 넘지 않거나
  • 3:18 - 3:21
    정보의 신빙성이 부족하는 등 다른 이유가 있어서이죠
  • 3:21 - 3:23
    그래서 이런 부분엔 조심했습니다.
  • 3:23 - 3:27
    이 사진을 보실땐 간단하게 생각하시면 됩니다.
  • 3:27 - 3:29
    이건 1960년대입니다.
  • 3:29 - 3:32
    그리고 이제 여성 한명당 자녀 수를 보여드리겠습니다.
  • 3:32 - 3:35
    둘, 넷, 여섯
  • 3:35 - 3:38
    많은 자녀 수 , 적은 자녀 수
  • 3:38 - 3:41
    그리고 여기는 달러로 개인당 소득입니다.
  • 3:41 - 3:44
    이것을 기재한 이유는 많은 사람들이 먼저 부자가 되야
  • 3:44 - 3:46
    아이를 낳을 수 있다고 말하기 때문입니다.
  • 3:46 - 3:50
    그래서 여긴 낮은 수입, 저긴 높은 수입을 말합니다.
  • 3:50 - 3:51
    그리고 정말로 1960년에,
  • 3:51 - 3:54
    아이를 적게 낳으려면 돈많은 기독교인이 되어야했죠.
  • 3:54 - 3:56
    그러나 일본은 예외였습니다.
  • 3:56 - 3:59
    여기서 일본은 예외로 간주되었습니다.
  • 3:59 - 4:02
    그렇지 않으면 기독교 나라들만 예외였을 테니까요.
  • 4:02 - 4:04
    그러나 또 한편으론 기독교인 나라 중에
  • 4:04 - 4:06
    한 여성당 6~7명의 자녀를 둔 곳도 있었습니다.
  • 4:06 - 4:12
    그러나 그들은 라틴 아메리카나 아프리카에 있었습니다.
  • 4:12 - 4:16
    그리고 이슬람을 주로 믿는 국가들은,
  • 4:16 - 4:21
    대부분의 여성은 6~7명의 자녀를 두었습니다.
  • 4:21 - 4:23
    수입에 관계없이 말입니다.
  • 4:23 - 4:27
    그리고 일본을 제외한 모든 동양계 종교 국가들은
    비슷한 수준입니다.
  • 4:27 - 4:29
    이제 세계에서 그동안 무엇이 일어났는지 살펴볼까요.
  • 4:29 - 4:31
    시간을 돌리기 시작해볼까요? 출발!
  • 4:31 - 4:34
    1962년엔, 사람들이 점점 부유해지는것이 보이나요?
  • 4:34 - 4:37
    그런데도 여성당 자녀수는 줄어들고 있죠?
  • 4:37 - 4:39
    중국을 보세요. 그들은 상당히 빠르게 줄고있습니다.
  • 4:39 - 4:44
    그리고 소득에 관계없이 모든 무슬림 국가들도
    줄어들고있어요
  • 4:44 - 4:49
    대부분의 기독교 국가들의 중산층처럼 말입니다.
  • 4:49 - 4:51
    그리고 이 세기에 들어서게 되면,
  • 4:51 - 4:55
    인류의 절반 이상 이 아래로 내려온 걸 보실 수 있습니다.
  • 4:55 - 5:00
    2010년이 되어서는, 이제 인류의 80%가 여성당
  • 5:00 - 5:04
    자녀수가 대략 2명인 나라들에 살고 있습니다.
  • 5:04 - 5:08
    (박수)
  • 5:08 - 5:11
    그동안 일어난 변화가 꽤 놀랍지 않나요.
  • 5:11 - 5:13
    (박수)
  • 5:13 - 5:16
    그리고 이것들은 미국에서 나온건데,
  • 5:16 - 5:18
    소득은 1인당 4만 달러입니다.
  • 5:18 - 5:21
    프랑스, 러시아, 이란
  • 5:21 - 5:25
    멕시코, 터키, 알제리아
  • 5:25 - 5:27
    인도네시아, 인도
  • 5:27 - 5:30
    그리고 방글라데시와 베트남 까지
  • 5:30 - 5:34
    이 나라들은 1인당 소득이 미국의 5%이 채 안되고
  • 5:34 - 5:37
    여성당 자녀수는 같습니다.
  • 5:37 - 5:40
    저는 자신있게 모든 국가의 여성당 자녀수에 대한 데이타는
  • 5:40 - 5:42
    믿을만 하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 5:42 - 5:44
    우리는 이 정보를 인구조사에서 얻었습니다.
  • 5:44 - 5:48
    의심가는 정보들이 아닌거죠.
  • 5:48 - 5:49
    그래서 어떤 결론이 나오냐면은,
  • 5:49 - 5:52
    아이를 가지기 위해선 돈이 많을 필요는 없습니다.
  • 5:52 - 5:54
    이 현상은 전세계적으로 일어났습니다.
  • 5:54 - 5:57
    그리고 종교를 보면
  • 5:57 - 5:59
    동양계 종교를 믿는 국가들 중
  • 5:59 - 6:02
    한 나라도 동양계 종교를 주로 믿으면서 자녀가
  • 6:02 - 6:04
    세 명 이상인 것을 본 적이 없습니다.
  • 6:04 - 6:08
    반면에 이슬람과 기독교를 주로 믿는 국가들은,
  • 6:08 - 6:10
    이렇게 모든 범위에 분포되어 있습니다.
  • 6:10 - 6:12
    그러나 큰 차이가 없습니다.
  • 6:12 - 6:15
    종교들 간에는 큰 차이가 없다는 거죠.
  • 6:15 - 6:18
    그러나 소득에는 차이가 있습니다.
  • 6:18 - 6:22
    여기 여성당 자녀수가 많은 나라들은,
  • 6:22 - 6:24
    상당히 적은 소득을 가지고 있습니다.
  • 6:24 - 6:27
    그들의 대부분은 사하라 사막 이남의 아프리카에 있습니다.
  • 6:27 - 6:30
    한편 또 이런 나라들
  • 6:30 - 6:34
    과테말라나, 파푸아 뉴기니
  • 6:34 - 6:37
    예멘, 아프가니스탄 같은 나라가 있죠.
  • 6:37 - 6:40
    많은 사람들은 여기 아프카니스탄과 콩고는
  • 6:40 - 6:44
    많은 충돌을 겪었기 때문에
  • 6:44 - 6:47
    빠른 인구성장을 이루지 못한다고 생각합니다.
  • 6:47 - 6:48
    그러나 전혀 반대입니다.
  • 6:48 - 6:52
    오늘날 세계에선, 사망률이 가장 높은 나라들이
  • 6:52 - 6:55
    가장 인구 성장률이 높은 나라들입니다.
  • 6:55 - 6:59
    한 명의 아이가 죽은 것은
    한 아이의 출산으로 보상될 수 있기 때문이죠.
  • 6:59 - 7:01
    이 나라들은 여성당 자녀수가 6명입니다.
  • 7:01 - 7:06
    애석하게도, 아이의 사망률은 여성당 1~2명이죠.
  • 7:06 - 7:09
    그러나 30년후엔, 아프가니스탄은
    3000만에서 6000만이 될겁니다.
  • 7:09 - 7:13
    콩고는 6000만에서 1억 2000만으로 증가하겠죠.
  • 7:13 - 7:16
    이런곳들이 빠른 인구 성장률을 가진 나라들입니다.
  • 7:16 - 7:20
    그리고 많은 사람들이 이런 나라들은
    침체되어 있다고 생각하는데, 아닙니다.
  • 7:20 - 7:24
    그럼 무슬림이 많은 나라인 세네갈을
  • 7:24 - 7:26
    기독교 중심인 가나와 비교해봅시다.
  • 7:26 - 7:30
    이 둘을 시간을 거슬로 독립을 이룩했던
  • 7:30 - 7:33
    1960년대 초로 되돌아 가봅시다.
  • 7:33 - 7:35
    그들이 어떻게 변화했는지 보십시오.
  • 7:35 - 7:37
    정말 놀라운 발전입니다.
  • 7:37 - 7:39
    여성 한 명당 자녀수가 6명에서,
  • 7:39 - 7:42
    쭉- 내려와 4~5명이 되었습니다.
  • 7:42 - 7:44
    이건 정말 대단한 발전입니다.
  • 7:44 - 7:45
    그럼 무엇이 필요로 했나요?
  • 7:45 - 7:49
    우리는 이런 나라들에게 무엇이 필요한지 꽤 잘 알고 있습니다.
  • 7:49 - 7:51
    일단 살아남을 수 있는 아이가 있어야 합니다.
  • 7:51 - 7:54
    깊은 가난에서 빠져나와야 합니다.
  • 7:54 - 7:58
    그래야 아이가 주 노동력이 되지 않으니까요
  • 7:58 - 8:00
    또 가족계획을 세울 수 있있어야합니다.
  • 8:00 - 8:05
    그리고 4번째 요인이 필요한데, 이게 가장 중요합니다.
  • 8:05 - 8:08
    4번째 요인을 이제 설명해 보죠.
  • 8:08 - 8:10
    카타르를 예를 들면
  • 8:10 - 8:14
    여기에는 현재의 카타르가 있고,
    저기에는 현재의 방글라데시가 있습니다.
  • 8:14 - 8:17
    이 나라들을 각자 독립을 이루었던 때로 돌려본다면,
  • 8:17 - 8:20
    거의 비슷한 년도인데, 71년 72년
  • 8:20 - 8:24
    꽤 놀라운 발전이 일어났습니다.
  • 8:24 - 8:26
    방글라데시와 카타르를 보세요.
  • 8:26 - 8:29
    이렇게 다른 수입이지만, 여성 한 명당 자녀 수가
  • 8:29 - 8:31
    줄어드는 건 거의 비슷합니다.
  • 8:31 - 8:33
    그럼 카타르에겐 무엇이 원인일까요?
  • 8:33 - 8:35
    저는 제가 항상 하던 방식으로 분석해봤습니다
  • 8:35 - 8:39
    저는 카타르의 통계를 알 수 있는 웹페이지에 들어가서,
  • 8:39 - 8:41
    정말 잘 되어 있는 웹페이지 입니다. 추천합니다.
  • 8:41 - 8:47
    그리고 조금 뒤져봤는데,
    아 여긴 정말 재밌는 것들이 많습니다.
  • 8:47 - 8:51
    무료로 제공해주기도 하고요.
    여기서 카타르의 사회적 트랜드를 찾았습니다.
  • 8:51 - 8:54
    정말 흥미롭죠, 읽을거리가 무척 많습니다.
  • 8:54 - 8:58
    총 출산률을 보았고, 여성 한명당 출산률도 보았습니다.
  • 8:58 - 9:02
    카타르의 정부기관의 학자와 전문가들의 말에 따르면
  • 9:02 - 9:05
    출산률 변화에 가장 중요한 요인은:
  • 9:05 - 9:06
    초혼의 연령이 상승한것과
  • 9:06 - 9:10
    카타르 여성의 개선된 교육 수준과
  • 9:10 - 9:13
    노동 인구에 여성들이 더 많이 포함된 것 입니다.
  • 9:13 - 9:17
    저는 이에 물론 동의 합니다.
    과학도 물론 동의하겠죠.
  • 9:17 - 9:19
    이 나라는 실로 정말 정말 놀라운
  • 9:19 - 9:23
    현대화를 겪은 나라인 것입니다.
  • 9:23 - 9:25
    그래서 최종 요인은 이 4가지를 말합니다:
  • 9:25 - 9:28
    아이들은 살아남아야하고, 아이들은 노동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 9:28 - 9:31
    여성들은 교육을 받고 일을 할 수 있어야하며,
  • 9:31 - 9:33
    가족 계획을 할 수 있어야 합니다.
  • 9:33 - 9:37
    이제 이걸 다시 한번 봐주십시오.
  • 9:37 - 9:39
    세계의 평균 아이들의 수는
  • 9:39 - 9:43
    콜롬비아아의 수치와 같습니다. 현재 2.4명입니다.
  • 9:43 - 9:46
    여기 이곳에 있는 나라들 같이 가난한 나라도 있습니다.
  • 9:46 - 9:50
    그리고 이곳에서 가족계획이 필요하고,
    아이들의 생존률을 높여야 합니다.
  • 9:50 - 9:53
    저는 멜린다 게이츠의
    마지막 ted 강연을 강력하게 추천합니다.
  • 9:53 - 9:59
    그리고 여기 이 밑엔, 여성당 자녀수가
    2명이 안되는 나라들이 많이 있습니다.
  • 9:59 - 10:02
    그래서 제가 이제 돌아가서 퀴즈에 대한 대답을 해준다면,
  • 10:02 - 10:04
    답은 2입니다.
  • 10:04 - 10:07
    우리는 이제 출생률의 최고점에 이르렀습니다.
  • 10:07 - 10:09
    이제 세계의 출생수는 늘어나지 않습니다.
  • 10:09 - 10:11
    석유생산의 정점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쟁을 벌이지만,
  • 10:11 - 10:14
    확실히 출산률은 정점에 도착했습니다.
  • 10:14 - 10:17
    그리고 세계의 인구도 더이상 증가하지 않을 겁니다.
  • 10:17 - 10:19
    미국 인구국은 말했습니다.
  • 10:19 - 10:22
    100억인구에서 멈출거라고.
  • 10:22 - 10:26
    그럼 아이들의 수는 늘어나지 않는데 왜 전체 수는 늘어날까요?
  • 10:26 - 10:28
    여기서 보여드리겠습니다.
  • 10:28 - 10:32
    저는 여러분의 공책이 나온 이 카드 박스를 이용할 겁니다.
  • 10:32 - 10:36
    교육상 꽤 유용하더군요.
  • 10:36 - 10:39
    각 카드박스를 10억 인구로 생각해봅시다.
  • 10:39 - 10:41
    세계엔 20억의 인구가 있죠.
  • 10:41 - 10:48
    15세와 30세 사이의 젊은 사람들은 20억입니다.
  • 10:48 - 10:50
    이는 반올림 한 수치입니다.
  • 10:50 - 10:55
    그리고 30세와 45세 사이에 10억이 있고
  • 10:55 - 10:58
    45세와 60세 사이엔 거의 10억이 있습니다.
  • 10:58 - 11:00
    그리고 이건 제 박스 입니다.
  • 11:00 - 11:02
    제 겁니다. 60세 이상--
  • 11:02 - 11:04
    우리는 최정상에 있죠.
  • 11:04 - 11:10
    이제 우리가 "빈 공간 채우기"라는 일이 벌어집니다
  • 11:10 - 11:13
    여기서 30억의 인구가 모자라는 것을 볼 수 있는데
  • 11:13 - 11:17
    그들은 죽어서 모자란 것이 아니라
    아직 출생하지 않은 거죠.
  • 11:17 - 11:21
    왜냐하면 1980년 전엔 최근 30년동안 보다
  • 11:21 - 11:24
    훨씬 적은 사람이 태어났기 때문입니다.
  • 11:24 - 11:27
    그래서 지금 일어나려고 하는 것은 좀 직설적인 겁니다.
  • 11:27 - 11:30
    늙은 사람들은 애석하게도 결국 죽을 겁니다.
  • 11:30 - 11:34
    나머지 사람들은, 더욱더 늙어서 20억의 아이를 가질 겁니다.
  • 11:34 - 11:37
    그리고 또 늙은 사람들은 죽습니다.
  • 11:37 - 11:41
    나머지 사람들은 나이가 들고 20억의 아이를 갖습니다.
  • 11:41 - 11:47
    그리고 또 다시 늙은 사람들은 죽고 여러분들은 20억의 아이를 갖게 됩니다.
  • 11:47 - 11:49
    (박수)
  • 11:49 - 11:53
    이것이 바로 "빈 공간 채우기"이죠.
  • 11:53 - 11:55
    이건 불가피하죠.
  • 11:55 - 11:58
    그리고 이 증가가 수명이 늘지도 않았고
  • 11:58 - 12:03
    출산률이 늘지도 않았는데 일어난 것을 보았나요?
  • 12:03 - 12:08
    종교는 여성 한명당 자녀 수와 거의 관련이 없습니다.
  • 12:08 - 12:11
    세계의 모든 종교는 그들의 가치를 지키고
  • 12:11 - 12:16
    새로운 세상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이 있습니다.
  • 12:16 - 12:21
    그리고 우리는 100억인구가 될 겁니다.
  • 12:21 - 12:25
    만약 가장 가난한 사람들이 가난에서 벗어나고,
  • 12:25 - 12:28
    그들의 아이들이 살아남고,
    가족 계획이 전달이 되면 말입니다.
  • 12:28 - 12:30
    그것이 필수죠.
  • 12:30 - 12:36
    그러나 인구가 20~30억 더 늘어날 거라는 것은 불가피합니다.
  • 12:36 - 12:39
    그래서 만약 여러분이 미래에 필요한
  • 12:39 - 12:42
    자원과 에너지에 대해 토론하고 계획한다면,
  • 12:42 - 12:45
    이 지구상의 인간들을 위해서는
  • 12:45 - 12:47
    100억 인구를 목표로 잡아야 합니다.
  • 12:47 - 12:49
    감사합니다.
  • 12:49 - 12:55
    (박수)
Title:
한스 로즐링: 종교와 아기들
Speaker:
Hans Rosling
Description:

한스 로즐링에겐 궁금한점이 있었습니다: 과연 특정 종교들은 다른 종교들에 비해 높은 출산률을 가지고 있을까? 그리고 이것이 어떻게 세계 인구 성장에 영향을 미칠까? 카타르 도하의 TED 강연에서 그는 종교들 사이의 시간변화에 따른 그래프 자료를 보여줍니다. 그의 트래이드마크인 유머와 날카로운 직관력으로 한스는 세계 출산률의 있어서 매우 놀라운 결론을 내립니다.

more » « less
Video Language:
English
Team:
closed TED
Project:
TEDTalks
Duration:
13:20
Dimitra Papageorgiou approved Korean subtitles for Religions and babies
Sang Hun Song accepted Korean subtitles for Religions and babies
Sang Hun Song commented on Korean subtitles for Religions and babies
Sang Hun Song edited Korean subtitles for Religions and babies
Sang Hun Song edited Korean subtitles for Religions and babies
Sang Hun Song edited Korean subtitles for Religions and babies
Sang Hun Song edited Korean subtitles for Religions and babies
Sang Hun Song edited Korean subtitles for Religions and babies
Show all

Korean subtitles

Revis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