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대 도시들이 어떻게 세계지도를 바꾸고 있는가?
-
0:01 - 0:06어떻게 생명이 세상에 구성돼있는지
다시 상상해 봅시다. -
0:07 - 0:11우리 몸을 우리가 살고 있는
행성이라 생각해 봅시다. -
0:12 - 0:17골격은 도로나 철도
-
0:17 - 0:20다리, 터널, 공항, 항구와
같은 교통망이고 -
0:20 - 0:23각 대륙으로 우리가 이동할 수
있게 해 줍니다. -
0:23 - 0:26몸에 힘을 불어넣는 혈관은
-
0:26 - 0:29석유, 가스 파이프와 전력망으로
-
0:29 - 0:30세상에 에너지를 분배합니다.
-
0:31 - 0:34그리고 의사소통을 위한 신경계는
-
0:34 - 0:37정보를 공유 할 수 있는
인터넷 케이블, 위성, 전화망 및 -
0:37 - 0:41데이터 센터인 것입니다.
-
0:41 - 0:46계속 확장하고 있는 사회 기반시설망은
-
0:46 - 0:51이미 6400만 km의 도로에
-
0:51 - 0:544백만 km의 철로에
-
0:54 - 0:572백만 km의 파이프라인에
-
0:57 - 1:00그리고 백만 km의
인터넷 선에 달합니다. -
1:01 - 1:04이게 반해 국경선의 길이는 어떨까요?
-
1:05 - 1:09전 세계적으로 국경선은
50만 km도 되지 않습니다. -
1:10 - 1:12더 나은 세계 지도를 그려보겠습니다.
-
1:13 - 1:16그리고 우리는 오랜 미신을 극복하는
것부터 시작해 보겠습니다. -
1:17 - 1:20역사를 공부하는 학생들에겐
익숙한 옛 격언이 있습니다. -
1:21 - 1:24"지리적 환경이 운명을 결정짓는다."
-
1:24 - 1:25너무 진지하지 않습니까?
-
1:26 - 1:28그저 운명론적인 격언일 뿐입니다.
-
1:28 - 1:33내륙국은 가난할 수 밖에 없고
-
1:33 - 1:36소국들은 주변의 대국들의
-
1:36 - 1:39광대한 영토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뜻입니다. -
1:40 - 1:43하지만 제가 세상으로 떠난
모든 여행에서 -
1:43 - 1:47더 큰 힘이 이 행성을
휩쓰는 것을 보았습니다. -
1:48 - 1:49바로 연결성 입니다.
-
1:50 - 1:54모든 형태의 글로벌 연결 혁명은 --
-
1:54 - 1:57운송, 에너지, 통신에
걸쳐서 말이죠 -- -
1:57 - 2:01우리가 지리적 거리를
생각하지 않아도 될 만큼 -
2:01 - 2:04사람, 물건, 자원, 지식의
-
2:04 - 2:08이동성에 대도약을 가능하게 했습니다.
-
2:09 - 2:13사실 저는 두 가지 힘이 합쳐지고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
2:13 - 2:15저는 이것을 "연결지리학"
(onnectography)라고 부릅니다. -
2:16 - 2:20연결지리학은
사람, 자원, 아이디어의 -
2:20 - 2:24이동성에 대한 대 도약을 나타냅니다.
-
2:24 - 2:25하지만 이것은 진화입니다.
-
2:26 - 2:32법적으로 우리가 세상을 나누는
-
2:32 - 2:35정치적 지리학에서
-
2:36 - 2:38우리가 실제로 세상을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지에 대해 -
2:38 - 2:41국가와 국경에서 사회 기반시설과
공급망에 이르는 -
2:41 - 2:45기능적 지리학으로의 진화입니다.
-
2:46 - 2:48우리의 글로벌 시스템은
진화하고 있습니다. -
2:49 - 2:5319세기의 수직적으로
통합된 제국에서부터 -
2:53 - 2:5720세기의 평등하게
상호 의존적인 나라를 거쳐 -
2:57 - 3:0221세기의 글로벌 네트워크 문명에
이르기까지 말이죠. -
3:03 - 3:07통치권이 아니라 연결성이
-
3:07 - 3:11인류의 원칙을 정립하게 된 것입니다.
-
3:11 - 3:14(박수)
-
3:15 - 3:19우리는 이 글로벌 네트워크 문명을
향해 가고 있습니다. -
3:19 - 3:21말 그대로 우리가 만들고 있습니다.
-
3:22 - 3:25전 세계 국가들의 국방비를 전부 더하면
-
3:25 - 3:28연간 2조 달러에
조금 미치지 못합니다. -
3:28 - 3:31반면에, 우리의 글로벌 사회 기반시설에
-
3:31 - 3:34들어가는 비용은
10년안에 연간 9조 달러로 -
3:34 - 3:36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3:36 - 3:37그리고 응당 그래야 합니다.
-
3:37 - 3:40오늘날의 사회 기반 시설은
-
3:40 - 3:4330억 세계인구만을
수용할 수 있는 수준이며 -
3:44 - 3:47세계 인구는 70억을 넘어
80억을 향해 가고 있고 -
3:47 - 3:49결국 90억을 넘어
더 많아질 것입니다. -
3:49 - 3:51경험으로 비추어 보면,
-
3:51 - 3:58인구 10억명당 1조 원의
사회 기반 시설 투자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
3:59 - 4:02놀랄것도 없이, 아시아가
이 부분에서 앞서나가고 있습니다. -
4:03 - 4:062015년 중국정부는
-
4:06 - 4:09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의
설립을 공표 했습니다. -
4:10 - 4:13다른 국가들의 네트워크를 한데 엮어서
-
4:13 - 4:16상하이에서 리스본 까지 뻗어나가는
아이언 로드와 실크로드를 -
4:17 - 4:19건설하는데 그 목적이 있습니다.
-
4:20 - 4:24그리고 이런 모든 지형학적
엔지니어링이 전개 될 수록 -
4:24 - 4:29우리는 앞으로 40년동안
사회기반시설에 투자하고 -
4:29 - 4:33만들어 나갈 사회기반시설이
-
4:33 - 4:35지난 4천년 동안
해 온 것보다 많을 것입니다. -
4:37 - 4:39여기서 잠시 생각해 보겠습니다.
-
4:40 - 4:44전 세계 사회의 기반을
무너뜨리는 것보다 -
4:44 - 4:47짓는것에 투자하는 것은
-
4:47 - 4:50엄청난 결과를 불러올 수 있습니다.
-
4:50 - 4:53연결성은 우리가 세상에
최적의 인력과 자원을 -
4:53 - 4:55분배하는 방법입니다.
-
4:55 - 5:00이것이 인류가 하나되어
더 나은것이 되는 방법입니다. -
5:01 - 5:03저는 이것이 지금 일어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
5:05 - 5:0921세기의 연결성은
두 가지 큰 동향을 보입니다. -
5:09 - 5:11먼저 세계적인 도시화 입니다.
-
5:12 - 5:15도시는 우리를 대변하는
기반이 될 것입니다. -
5:16 - 5:192030년에는 세계 인구의 2/3이
-
5:19 - 5:20도시에 거주 할 것입니다.
-
5:20 - 5:23이것은 한낱 지도에 찍힌 점이 아닙니다.
-
5:23 - 5:27수백km에 걸쳐 우리가
살고 있는 군도를 나타냅니다. -
5:27 - 5:29여기 보시는 밴쿠버는
-
5:29 - 5:31캐스키디아 종주지형의 시작점으로
-
5:31 - 5:34미국 국경을 지나 시애틀까지
뻗어 있습니다. -
5:35 - 5:37첨단기술의 보고인 실리콘 밸리는
-
5:37 - 5:40샌프란시스코에서 시작해
남쪽으로 산호세까지 이어지며 -
5:40 - 5:42오클랜드 만을 지납니다.
-
5:42 - 5:45LA의 무질서한 발전은
이제 샌디에고를 지나 -
5:45 - 5:47맥시칸 국경의 티후아나까지 이어집니다.
-
5:47 - 5:50샌디에고와 티후아나는
이제 공항을 공유하며 -
5:50 - 5:52여러분은 각국으로 입국할 수 있습니다.
-
5:52 - 5:56언젠가는 고속철도 망이 태평양 지역을
전부 연결할 지도 모릅니다. -
5:58 - 6:02미국의 북동부의
보스턴에서 뉴욕에 이르는 -
6:02 - 6:04그리고 필라델피아에서 워싱턴에
이르는 거대 도시군에는 -
6:04 - 6:065천만명 이상의 인구가 거주중이고
-
6:06 - 6:09또한 고속 철도망을 세울
계획도 있습니다. -
6:09 - 6:13하지만 아시아에서 이런 거대도시군들이
하나가 되는 것을 더 잘 보입니다. -
6:13 - 6:18도쿄에서 나고야를 거쳐 오사카로
이어지는 빛의 띠 안에는 -
6:18 - 6:208천만명 이상의 사람이 거주 중이고
-
6:20 - 6:21일본 경제의 대부분을 담당합니다.
-
6:22 - 6:25이는 세계에서
가장 큰 거대 도시군입니다. -
6:25 - 6:26지금까지는 말이죠.
-
6:27 - 6:29중국에서도 거대 도시군들이
하나가 되어 가고 있습니다. -
6:29 - 6:32도시군의 인구는 일억에 육박합니다.
-
6:32 - 6:34베이징을 감싸는 환보하이지역,
-
6:34 - 6:36상하이 주변의 장강 삼각지
-
6:36 - 6:38그리고 홍콩에서 북으로
광저우까지 이어지는 -
6:38 - 6:41주강 삼각지가 있습니다.
-
6:41 - 6:42그리고 그 가운데
-
6:42 - 6:45충칭에서 청두에 이르는 거대도시군은
-
6:45 - 6:50지리학적 크기가
오스트리아의 크기에 육박합니다. -
6:51 - 6:53이 각 거대도시군은
-
6:53 - 6:562조원에 육박하는
GDP를 가지고 있습니다. -
6:56 - 6:59이는 인도의 전체
GDP와 거의 같습니다. -
7:00 - 7:05G20와 같은 글로벌 외교기관이
-
7:05 - 7:09국가별로 대표되는 것이 아니라
-
7:09 - 7:11각 지역의 경제크기에 의해
구성된다고 상상해 보면 -
7:11 - 7:15중국 거대도시군에서
복수의 의석을 차지하고 -
7:15 - 7:19아르헨티나나 인도네시아는
참여도 못하게 될 것입니다. -
7:20 - 7:24중국의 인구수를 곧 넘어 설 것으로
보이는 인도로 넘어가 보면 -
7:24 - 7:26두 개의 거대 도시군이
형성되어 있습니다. -
7:26 - 7:30수도인 델리 지역과 뭄바이 입니다.
-
7:30 - 7:31중동에는
-
7:31 - 7:34테헤란 지역에는 1/3의 이란
인구가 거주 중입니다. -
7:34 - 7:368천만 이집트 인구의 대부분은
-
7:36 - 7:39카이로와 알렉산드리아에 이르는
종주지형에 거주하고 있습니다. -
7:39 - 7:43그리고 걸프에 목걸이 모양의
도시군을 이루고 있는 -
7:43 - 7:45바레인과 카타르 지역에서
-
7:45 - 7:48아랍에미레이트를 지나 오만의
무스카트에 이르는 지역도 있습니다. -
7:49 - 7:50그리고 라고스가 있습니다.
-
7:51 - 7:55아프리카의 최대 도시이며
나이지리아의 상업 중심지 입니다. -
7:55 - 7:57이 지역에 철도망을
설치할 계획이 있습니다. -
7:57 - 8:01이 철도망은 방대한 지중해 연안
회랑지역을 하나로 묶어 줄 것입니다. -
8:01 - 8:04배냉, 토고 그리고 가나를 지나
-
8:04 - 8:08코트디부아르의 수도인
아비장에 이르기까지 말이죠. -
8:08 - 8:11하지만 이 국가들은 라고스의
교외지역에 위치해 있습니다. -
8:12 - 8:14거대도시 세상에서는
-
8:14 - 8:17국가가 도시의
교외지역이 될 수 있습니다. -
8:19 - 8:252030년까지 세계적으로 50개의
거대도시군이 생길 것으로 예상됩니다. -
8:25 - 8:27그러면 어떤 지도가 더 자세한 것입니까?
-
8:27 - 8:30우리가 벽에 걸고 있는
200개의 국가가 -
8:30 - 8:32그려진 전통적인 지도입니까?
-
8:32 - 8:35아니면 50개의 거대 국가군이
그려진 도시입니까? -
8:36 - 8:39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지도가
완전한 것은 아닙니다. -
8:39 - 8:43왜냐하면 우리가 각 거대 도시간의
-
8:43 - 8:46연관성을 이해하지 않고는
이해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
8:47 - 8:49사람들은 연결되기 위해
도시로 이사합니다. -
8:49 - 8:52그리고 연결성이 도시가
커지는 이유 입니다. -
8:53 - 8:57각 거대도시들은 예를들면 상파울로,
이스탄불 혹은 모스크바같은 도시들은 -
8:57 - 9:01그 국가의 총 GDP의
1/3에 근접하거나 -
9:01 - 9:03상회하는 GDP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
9:04 - 9:06하지만 또 그만큼 중요한 것이
-
9:06 - 9:09각각의 거대도시들의 가치를
-
9:09 - 9:12사람들의 흐름, 재정,
기술의 역활과 같이 -
9:12 - 9:14도시를 번창하게 만드는 것을
이해하지 못하면 -
9:14 - 9:16계산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
9:17 - 9:19남아프리카의
가우텡(Gauteng)주를 살펴보면 -
9:19 - 9:23요하네스버그와 수도인
프리토리아가 속해 있습니다. -
9:23 - 9:26이 거대도시구 또한 남아프리카
GDP의 1/3 이상을 대표합니다. -
9:27 - 9:30하지만 그만큼 중요한 것이
이 거대 도시군에 -
9:30 - 9:33남아프리카에 투자하고 있는
-
9:33 - 9:35거의 모든 다국적기업의
본사가 있다는 것입니다. -
9:35 - 9:38그리고 이 기업들은 아프리카
대륙 전반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
9:39 - 9:42도시들은 글로벌 가치 사슬에
참여하고 싶어 합니다. -
9:42 - 9:46도시들은 글로벌 분업의
일부가 되고 싶어 합니다. -
9:46 - 9:48이것이 도시들이 생각하는 방식입니다.
-
9:49 - 9:50저는 어떤 시장도 이렇게 말하는
사람은 본 적이 없습니다. -
9:50 - 9:52"저는 제 도시가 단절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9:53 - 9:56거대도시군은
그들이 글로벌 네트워크 문명에 -
9:56 - 10:01그들의 국가만큼이나 연관되어
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
10:03 - 10:06많은 사람들이 도시화가
그들을 실망시켰다고 이야기 합니다. -
10:07 - 10:09사람들은 도시가 지구를
파괴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
10:10 - 10:11하지만 지금
-
10:11 - 10:15200개 이상의 도시간
협력 네트워크가 활성화 되어 있습니다. -
10:15 - 10:19이는 우리가 가지고 있는
정부간 국제기구의 -
10:19 - 10:20숫자에 육박합니다.
-
10:20 - 10:24그리고 이 도시간 네트워크는
한 가지 목표를 가지고 있습니다. -
10:24 - 10:2921세기 인류의 가장 우선사항인
-
10:29 - 10:31지속가능한 도시화 입니다.
-
10:33 - 10:34가능한 일일까요?
-
10:35 - 10:36기후 변화를 살펴보겠습니다.
-
10:36 - 10:39우리는 뉴욕에서 파리로
이어진 정상회담은 -
10:39 - 10:42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지
못 할 것이라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
10:43 - 10:46하지만 여기서 우리는
기술, 정보 그리고 제도를 -
10:46 - 10:48도시간에 공유하는 것이
-
10:49 - 10:53탄소 집약적인 우리의 경제를
바꾸는 방법이 될 것입니다. -
10:53 - 10:55서로 다른 도시들에게서
배우는 것 입니다. -
10:55 - 10:58어떻게 탄소배출제로의 건물을 짓는지
-
10:58 - 11:01어떻게 전기차 쉐어링
시스템을 운영할지 말이죠. -
11:01 - 11:02중국의 주요 도시에서는
-
11:02 - 11:05도로위의 자동차 댓수에
제한을 걸고 있습니다. -
11:05 - 11:07많은 서양의 도시에서는
-
11:07 - 11:09젊은이들이 운전하지 않으려고 합니다.
-
11:10 - 11:12도시들은 지금까지 문제를 일으켜 왔지만
-
11:12 - 11:14이제는 해결책이기도 합니다.
-
11:15 - 11:19불평등은 지속가능한 도시화를 이루는데
극복해야될 다른 장애물입니다. -
11:20 - 11:23제가 전 세계의 대도시들을 여행할 때
-
11:23 - 11:25몇 시간 혹은 몇 일씩
걸리고는 했습니다 -- -
11:26 - 11:29저는 같은 지역 안에서의
극심한 차이로 인한 -
11:29 - 11:31비극을 경험했습니다.
-
11:32 - 11:35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글로벌 금융자산은 -
11:35 - 11:37역대 가장 크며
-
11:37 - 11:40300조 달러에 이르고 있습니다.
-
11:40 - 11:44이는 전 세계의
실제 GDP의 4배입니다. -
11:45 - 11:49우리는 경제위기 이후
이런 엄청난 부채를 가지고 있습니다. -
11:49 - 11:52하지만 우리는 이를 포용적인
성장에 투자 하고 있습니까? -
11:53 - 11:55아니요, 그렇지 않습니다.
-
11:56 - 12:00우리가 충분히 저렴한
공공 주택을 지을 때 -
12:00 - 12:03우리가 수송망에 활발하게 투자할 때
-
12:03 - 12:07비로소 사람들이 물리적으로 디지털
방식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는 것입니다. -
12:07 - 12:10비로소 우리의 나뉘어진 도시들과 사회가
-
12:10 - 12:12진정으로 하나됨을
느끼게 되는 것입니다. -
12:12 - 12:14(박수)
-
12:16 - 12:19그리고 이것이 사회기반시설 개발이
-
12:19 - 12:21UN의 지속가능한 발전 목표에
포함된 이유입니다. -
12:21 - 12:24사회기반시설 발전이 다른 발전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입니다. -
12:24 - 12:26우리의 정치, 경제 지도자들은
-
12:26 - 12:29연결성이 기부활동이 아니다라는
것을 배우고 있습니다. -
12:29 - 12:30이것은 기회입니다.
-
12:31 - 12:34이것이 우리의 금융계가
-
12:34 - 12:39연결성이 왜 21세기 가장 중요한 자산인지
이해할 필요가 있는 것입니다. -
12:40 - 12:44이제 도시들은 세상을
지속 가능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
12:45 - 12:47도시들은 세상을
더 공정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
12:47 - 12:50저는 또한 도시간의 연결성이
-
12:50 - 12:52이 세상을 더 평화롭게
만들 수 있다고 믿습니다. -
12:52 - 12:56국경을 넘어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는 지역들을 보면 -
12:56 - 12:59활발한 무역과 투자가 이루어 지고
-
12:59 - 13:01더 안정되어 있습니다.
-
13:01 - 13:03우리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유럽에 대해 알고 있습니다. -
13:03 - 13:06산업 통합이 시작되어
-
13:06 - 13:08오늘날의 평화로운 유럽 연합으로
일어날 수 있었습니다. -
13:09 - 13:12그리고 반면에 러시아를 살펴보면
-
13:12 - 13:16강대국중에 유럽연합에
가장 연결되 있지 않은 나라입니다. -
13:16 - 13:20그리고 이것이 오늘날의
긴장감을 설명해 주고 있습니다. -
13:20 - 13:23시스템이 지분이 적은 나라일수록
-
13:23 - 13:25그 지분을 간단히
포기할 수 있는 것입니다. -
13:27 - 13:30북아메리카 대륙에서는
미국-캐나다 국경이나 -
13:30 - 13:33미국 맥시코 국경을 나타내는 선들이
더는 큰 의미가 없습니다. -
13:33 - 13:37반면에 긴밀한 도로망,
철로와 파이프라인 -
13:37 - 13:40전기공급망 그리고
심지어 수로에 이르기까지 -
13:40 - 13:44통합된 북미 연합으로서
의미가 있는 것입니다. -
13:44 - 13:48북아메리카 대륙엔 국경보다
연결성이 필요합니다. -
13:48 - 13:51(박수)
-
13:56 - 14:00연결성의 진정한 장래성은
탈식민지적 세계에 있습니다. -
14:00 - 14:05국경이 있는 지역들은
역사적으로 전제왕정이나 -
14:05 - 14:07시대의 지도자들이
-
14:07 - 14:09서로 적대적인 관계를 맺어 왔습니다.
-
14:09 - 14:12하지만 이제 새로운 시대의
지도자들이 권력을 쥐었고, -
14:12 - 14:13싸움을 끝내고 있습니다.
-
14:14 - 14:17동남아시아의 경우
-
14:17 - 14:19방콕과 싱가폴을 잇는
고속 철도를 만들 계획입니다. -
14:19 - 14:22그리고 베트남과 미얀마를 잇는
교역로를 만들 계획 입니다. -
14:22 - 14:28이제 이 지역의 6억명의
인구들은 그들의 농작물과 -
14:28 - 14:29산업제품을 조정할 수 있는 것입니다.
-
14:30 - 14:34이 진화된 모습을 저는 팍스 아시아나
(Pax Asiana) 라고 부릅니다. -
14:34 - 14:37동남아 국가들 간의 평화인 것입니다.
-
14:38 - 14:41비슷한 현상이 동 아프리카에서
일어나고 있습니다. -
14:41 - 14:436개의 국가들이
-
14:43 - 14:46철도와 여러 교역로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
14:46 - 14:49그래서 내륙에 있는 국가도 시장에
참여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
14:49 - 14:52이제 이 국가들은 공공시설과
-
14:52 - 14:54투자 정책을 조정하고 있습니다.
-
14:54 - 14:58이들도 또한 팍스 아프리카나
(Pax Africana)로 진화하고 있는 것입니다. -
14:59 - 15:02이런 생각이 필요한
한 지역이 생각 나실 겁니다. -
15:02 - 15:03바로 중동입니다.
-
15:04 - 15:06아랍 연합이 끔찍하게 무너진 후
-
15:06 - 15:09고대 도시들 이외에 무엇이 남았습니까?
-
15:09 - 15:12카이로, 베이루트, 바그다드
같은 도시들 말이죠. -
15:12 - 15:17사실 4억에 가까운 아랍 인구가
-
15:17 - 15:19도시에 살고 있습니다.
-
15:19 - 15:21사회적으로, 도시적으로
-
15:21 - 15:23그들은 물이 풍부하거나
물이 부족합니다. -
15:23 - 15:25에너지가 풍부하거나,
에너지가 부족합니다. -
15:26 - 15:29그리고 이런 불평등을
없애기 위한 유일한 방법은 -
15:29 - 15:32전쟁과 국경을 통해서가 아닌
-
15:32 - 15:35파이프라인과 수로의 더 많은
연결로써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
15:36 - 15:40안타깝게도 이것은 오늘날의
중동의 지도가 아닙니다. -
15:40 - 15:41하지만 그렇게 되어야 합니다.
-
15:43 - 15:46하나된 팍스 아라비아(Pax Arabia),
-
15:47 - 15:48내부적으로 하나되고
-
15:48 - 15:53주변 이웃인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와
생산적으로 연결된 세상을 위해서 말입니다. -
15:53 - 15:56세상에서 가장 격동의
지역에서는 연결성이 -
15:56 - 15:58지금 우리가 원하는 게 아니라고
느낄 수도 있습니다. -
15:59 - 16:02하지만 우리는 역사적으로 연결성만이
-
16:02 - 16:05장기적으로 안정성을 유지해 주는
유일한 방법이란 것을 알고 있습니다. -
16:05 - 16:07왜냐하면 우리는 각 지역간의
-
16:07 - 16:10연결성이 새로운 현실이라는
것을 알기 때문입니다. -
16:10 - 16:14도시와 국가들은 더 평화롭고
-
16:14 - 16:16번영된 하나됨을 배우고 있습니다.
-
16:18 - 16:20하지만 진정한 문제는
아시아가 될 것입니다. -
16:21 - 16:24연결성이 극동지방의 강대국간의
-
16:24 - 16:27대립구도를 이겨낼 수 있을까요?
-
16:27 - 16:31결국 제3차 세계대전이 일어난다면
이곳에서 일어날 것입니다. -
16:32 - 16:35냉전이 끝나고 25년동안
-
16:35 - 16:38적어도 6개의 큰 전쟁이 이 지역에서
일어날 거란 예측이 있었습니다. -
16:38 - 16:40하지만 전쟁은 단 한 번도
일어나지 않았습니다. -
16:41 - 16:43중국과 대만을 살펴보겠습니다.
-
16:44 - 16:4890년대 사람들은 두 국가의 갈등이
제3차 세계대전을 일으킬 거라 했습니다. -
16:48 - 16:50하지만 그때부터
-
16:50 - 16:54두 국가간 무역과 투자가 해협을 건너
이루어지고 긴밀해 졌습니다. -
16:54 - 16:55그리고 작년 11월
-
16:55 - 16:58각 국의 정상들이 역사적인 회담을 갖고
-
16:58 - 17:01평화적인 통일에 대해
토의를 가졌습니다. -
17:02 - 17:05그리고 심지어 대만 국민당의 선거에서
-
17:05 - 17:08대만 국민당은 올해초 독립을 지지했는데
-
17:08 - 17:10선거 결과도 본질적인 기반을
약화시키지 않았습니다. -
17:11 - 17:14중국과 일본은 심지어 더 긴
대립 구도의 역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
17:14 - 17:17심지어 공군과 해군을 배치해
-
17:17 - 17:19섬 분쟁에서 군사력을
과시하기도 했습니다. -
17:20 - 17:25하지만 최근에 일본은 중국에 역대
가장 큰 해외 투자를 했습니다. -
17:25 - 17:28일본 자동차는 중국에서
기록적인 판매를 하고있습니다. -
17:28 - 17:31그리고 지금 일본에 사는 외국인 중
-
17:31 - 17:34가장 많은 사람들의 국적이
어디인지 아십니까? -
17:34 - 17:36예상 하시다시피, 중국입니다.
-
17:38 - 17:39중국과 인도는 세 차례의
국경 다툼을 벌이며 -
17:39 - 17:41전쟁을 해 왔습니다.
-
17:42 - 17:44하지만 오늘날 인도는
아시아 인프라 투자은행의 -
17:44 - 17:46두 번째로 큰 주주입니다.
-
17:46 - 17:50이들은 인도 북동지역에서
-
17:50 - 17:54미안마와 방글라데시를 거쳐 남 중국으로
이어지는 교역로를 만들고 있습니다. -
17:54 - 17:58그들의 거래규모는
10년전 200억 달러 에서 -
17:58 - 18:00오늘날 800억 달러로 늘어났습니다.
-
18:01 - 18:04핵무장한 인도와 파키스탄은
세 번의 전쟁을 치뤘습니다. -
18:04 - 18:06그리고 카슈미르 지역에선
계속 다투고 있습니다. -
18:06 - 18:09하지만 그들은 최혜국
무역협정을 맺기로 합의하고 -
18:09 - 18:11파이프 라인 건설을
-
18:11 - 18:15이란에서 파키스탄을 통해
인도로 하기로 했습니다. -
18:15 - 18:17이란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
18:18 - 18:21이란과의 전쟁이 불가피해 보이던 것이
불과 2년전 이야기 아니였습니까? -
18:22 - 18:26그러면 왜 오늘날 강대국들이 앞다투어
이란에 사업을 하려고 하는 것입니까? -
18:29 - 18:30여러분,
-
18:30 - 18:34저는 제3차 세계대전이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확신할 수는 없습니다. -
18:35 - 18:38하지만 여태 일어나지 않은 이유는
확실히 볼 수 있었습니다. -
18:39 - 18:42비록 아시아는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군대가 늘어나는 지역이지만 -
18:42 - 18:46이 국가들이 또한 수십억 달러를
-
18:46 - 18:49각국의 기반시설과
공급망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
18:49 - 18:53이 국가들은 정치적 지리보다
-
18:53 - 18:55기능적 지리에 더 관심을 갖고 있습니다.
-
18:55 - 19:00이것이 각 국가의 지도자들이
한 발짝 물러나 다시 생각해 보고 -
19:00 - 19:05영토분쟁보다 경제적 유대에
집중해야하는 이유입니다. -
19:06 - 19:09때때로 세상이 무너져
내릴것 처럼 보입니다. -
19:10 - 19:12하지만 연결성을 구축하는 것이
-
19:12 - 19:15이 조각들을 다시 하나로
만드는 방법이 될 것입니다. -
19:15 - 19:17전보다 더 단단하게 말이죠.
-
19:18 - 19:19그리고 전 세계를
-
19:19 - 19:23원활한 물리적, 디지털
연결성으로 엮음으로써 -
19:23 - 19:25사람들이 지리적 제약을 넘어 서는
-
19:25 - 19:28세계로 진화 할 것 입니다.
-
19:29 - 19:32우리가 혈액과 혈관으로서
-
19:32 - 19:35이 글로벌 연결망을 통해
고동치는 것입니다. -
19:35 - 19:39매일 수억명의 사람들이
온라인에 접속합니다. -
19:39 - 19:42그리고 만나보지도 못한
사람들과 같이 일을 합니다. -
19:42 - 19:45매년 10억명 이상의 사람들이
국경을 넘나들고 있습니다. -
19:45 - 19:49그리고 앞으로 10년 안에 30억으로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
19:50 - 19:53우리는 단지 연결성을 만들고
있는 것이 아닙니다. -
19:53 - 19:54우리가 바로 연결성이고,
-
19:55 - 19:58우리가 글로벌 네트워크 문명입니다.
-
19:58 - 20:00그리고 이것이 우리의 지도입니다.
-
20:01 - 20:06이 지도의 세상은 더 이상
지리학적 운명에 매달리지 않고 -
20:07 - 20:11새롭고 희망찬 이념을 갖습니다.
-
20:11 - 20:13연결은 운명입니다.
-
20:14 - 20:15감사합니다.
-
20:15 - 20:22(박수)
- Title:
- 거대 도시들이 어떻게 세계지도를 바꾸고 있는가?
- Speaker:
- 파라그 카나(Parag Khanna)
- Description:
-
"삶이 지구에서 어떻게 구성되고 있는지 다시 상상해보십시오" 라고 글로벌 전략가인 파라그 카나는 말합니다. 커져가는 도시들은 교통, 에너지 그리고 통신망을 통해 더 연결되고 성장합니다. 지리학은 그가 말하는 "connectography"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이 떠오르는 글로벌 네트워크 문명은 오염과 불평등을 줄이고 그리고 심지어 지정학적 대립을 극복할 약속입니다. 이 강연에서 카나는 미래를 위한 이 격언을 받아 들이기를 묻습니다. "연결은 운명입니다."
- Video Language:
- English
- Team:
closed TED
- Project:
- TEDTalks
- Duration:
- 20:34
![]() |
Jihyeon J. Kim approved Korean subtitles for How megacities are changing the map of the world | |
![]() |
Jihyeon J. Ki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How megacities are changing the map of the world | |
![]() |
Jihyeon J. Ki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How megacities are changing the map of the world | |
![]() |
Jihyeon J. Ki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How megacities are changing the map of the world | |
![]() |
Jihyeon J. Ki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How megacities are changing the map of the world | |
![]() |
Jihyeon J. Ki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How megacities are changing the map of the world | |
![]() |
Jihyeon J. Ki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How megacities are changing the map of the world | |
![]() |
Jihyeon J. Ki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How megacities are changing the map of the worl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