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상성
-
0:00 - 0:04'Abstract(추상적이다)'에 대해 이야기하려 합니다
-
0:04 - 0:07먼저 'Abstract'의 사전적 정의를 소개하고
-
0:07 - 0:09그 의미를 직관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도록
-
0:09 - 0:12설명할 것입니다
-
0:12 - 0:14'Abstract'는 형용사가 될 수 있습니다
-
0:14 - 0:16예로, 추상적인 생각을 할 수 있습니다
-
0:16 - 0:19추상적인 작품을 소유할 수도 있지요
-
0:19 - 0:21'Abstract'는 동사도 될 수 있습니다
-
0:21 - 0:22무언가를 요약할 수 있고,
-
0:22 - 0:25다른 사람의 생각에서 본인의 생각을
끌어낼 수 있습니다 -
0:25 - 0:27'Abstract'는 명사로도 쓰입니다
-
0:27 - 0:28요약이라는 의미로 사용되지요
-
0:28 - 0:30예를 들어
-
0:30 - 0:32조사보고서의 abstract 즉 요약이라 하면
-
0:32 - 0:34조사보고서의 abstract(요약)이라 하면
-
0:34 - 0:37보고서의 핵심만을 모아놓은
-
0:37 - 0:39줄거리라고 볼 수 있습니다
-
0:39 - 0:41한 가지, 앞으로 여러분이 알게 될 점은
-
0:41 - 0:42'Abstract(추상적)'라는 단어가
-
0:42 - 0:44어떤 문맥에서 사용했느냐와 무관하게
-
0:44 - 0:47실제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에 존재하는 대상의
-
0:47 - 0:51핵심을 뜻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
0:51 - 0:54'Abstract'를 명사, 형용사, 동사 중 어떤 형태로 썼는지에
상관없이 말입니다 -
0:54 - 0:56여기에 현실 세계가 있다고 하면
-
0:56 - 0:58현실 세계가 있다고 하면
-
0:58 - 1:01이쪽에는 생각과 개념들로 이루어진
-
1:01 - 1:05세상이 있습니다
-
1:05 - 1:07'추상' 또는
-
1:07 - 1:10'추상적으로 생각한다'가 가지는 일반적인 뜻은
-
1:10 - 1:13우리가 사는 이 세상에 실재하는 무엇인가를 가져와서
-
1:13 - 1:13
-
1:13 - 1:18그것이 내포하는 개념에 더욱 초점을
맞추어 해석하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
1:18 - 1:22추상을 유형화한다는 것이 그 자체로 모순이지만
-
1:22 - 1:26추상의 개념을
-
1:26 - 1:28실제로 눈에 보이게 설명하는 방법 중 하나는
-
1:28 - 1:32기하 도형으로 인식하는 것입니다
-
1:32 - 1:35예를 들어 정육면체를 찾으라고 하면
-
1:35 - 1:37아마도 여기 이 우주선을
-
1:37 - 1:39가리킬 것입니다
-
1:39 - 1:45또는 한 쌍의 주사위를 생각할 수도 있겠군요
-
1:45 - 1:47주사위 두 개를 그려보지요
-
1:47 - 1:49정육면체를 찾아보라고 하면
-
1:49 - 1:52정육면체 모양의
-
1:52 - 1:54주사위를 가리키거나
-
1:54 - 1:56루빅큐브를 떠올릴 것입니다
-
1:56 - 1:57주위의 어떤 것이든 가능하지요
-
1:57 - 1:59정육면체 모양의 빌딩이 있을 수도 있고
-
1:59 - 2:01정육면체 모양의 빌딩이 있을 수도 있고
-
2:01 - 2:03집에 정육면체 모양의 상자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
2:03 - 2:06그런데 정육면체를 보면 그것이 정육면체라고 인식하듯
-
2:06 - 2:10여러분 마음속에 정육면체가 무엇인지에 관한
일반적인 생각이 있을 것입니다 -
2:10 - 2:12이러한 생각들의 본질만 추려서
-
2:12 - 2:14정육면체의 개념을 만드는 것이지요
-
2:14 - 2:17정육면체에 대해 가졌던 생각들은 각각 다를 것입니다
-
2:17 - 2:19이것은 한 손에 올릴 수 있는 플라스틱 물체이고
-
2:19 - 2:21여기에 이 흰 것들은
-
2:21 - 2:23기하학적으로 완벽에 가깝지 않은,
-
2:23 - 2:26모서리에 점이 있는 모습입니다
-
2:26 - 2:29이 커다란 우주선은
-
2:29 - 2:31상상 속에서만 존재하는
-
2:31 - 2:33허구입니다
-
2:33 - 2:35그렇지만 이 모두가 정육면체의 모습을 지니고 있습니다
-
2:35 - 2:38기하학에서 재미있는 사실 중
하나에 대해 이야기해봅시다 -
2:38 - 2:42실생활 속 도형들의 공통점을 면밀히 살펴보면
-
2:42 - 2:45기하학적 정의를 얻을 수 있습니다
-
2:45 - 2:49지금 이 그림처럼
-
2:49 - 2:53모든 모서리의 길이가 정확히 같은 경우가 해당됩니다
-
2:53 - 2:55지금 가리키는 이 모서리의 길이가
-
2:55 - 2:57모두 1로 동일할 것입니다.
-
2:57 - 2:58같기만 하다면
-
2:58 - 3:00꼭 1이 아니어도 됩니다
-
3:00 - 3:02어쨌든 지금 가리키는 이 모든 치수들이
-
3:02 - 3:04서로 같을 것입니다
-
3:04 - 3:04
-
3:04 - 3:06정육면체에 대한 정확한 정의를 전달하기 보다는
-
3:06 - 3:08정육면체가 무엇인가에 관한 순수한 생각을
-
3:08 - 3:12강조하고 있습니다
-
3:12 - 3:14
-
3:14 - 3:16실생활에서는
-
3:16 - 3:19완벽한 정육면체란 존재하지 않습니다
-
3:19 - 3:20주사위를 아주 아주 자세히 살펴보고
-
3:20 - 3:23매우 정확하게 길이를 측정하면
-
3:23 - 3:25조금씩은 다를 것입니다
-
3:25 - 3:32그러나 추상적으로 생각하면
-
3:32 - 3:35모든 모서리의 길이가
-
3:35 - 3:37정확히 같을 것입니다
-
3:37 - 3:3924세기, 25세기에는
-
3:39 - 3:41실제로 정확히 길이가
-
3:41 - 3:44같을 수도 있을 것입니다
-
3:44 - 3:49
-
3:49 - 3:52미술 분야에서 '추상적이다'라는 말을
-
3:52 - 3:54종종 들어봤을 것입니다
-
3:54 - 3:56이것이 바로 추상적인 예술작품이지요
-
3:56 - 3:58abstract란 단어를
-
3:58 - 3:59사전에서 찾아보면
-
3:59 - 4:0120개정도의 정의를 볼 수 있을 것입니다
-
4:01 - 4:04하지만 20개의 정의 모두 기본적으로
같은 의미를 가지고 있지요 -
4:04 - 4:08추상화는 실생활에 존재하는 것을
-
4:08 - 4:12그대로 나타내는 것에 의미를 두지 않습니다
-
4:12 - 4:15르네상스 시대의 작품을 살펴보면
-
4:15 - 4:17현실 세계에 존재하는 것들을
-
4:17 - 4:19있는 그대로 묘사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
4:19 - 4:20반면에 추상화를 그리는 예술가들은
-
4:20 - 4:22때때로 실생활에 존재하는
-
4:22 - 4:24그 무엇도 표현하려 하지 않습니다
-
4:24 - 4:27추상화가들은 있는 그대로의 생각을
-
4:27 - 4:31색과 질감을 꾸미지 않은채로 표현합니다
-
4:31 - 4:33이것은 미술 역사가인 Steven Zucker이 찍은
-
4:33 - 4:36Jackson Pollock의 작품입니다
-
4:36 - 4:39이 작품을 보면 무엇인가
-
4:39 - 4:42모호하다고 느낄 것입니다
-
4:42 - 4:44그는 개나 말과 같은 것을
-
4:44 - 4:47그리려고 한 것이 아닙니다
-
4:47 - 4:51그는 현실 세계에 존재하지 않을 법한
-
4:51 - 4:55그 무언가를 그려내고 있습니다
-
4:55 - 4:56
-
4:56 - 4:58추상이란 단어는
-
4:58 - 5:02순수 기하학이나 예술 분야에서만 쓰이는 것이 아닙니다
-
5:02 - 5:05추상이란 말을 일상생활에서 우리가 하는
거의 모든 것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
5:05 - 5:06우리가 어떤 주제에 대해 이야기할 때나
-
5:06 - 5:09심지어 단어 또는 상징을 사용할 때
-
5:09 - 5:11기본적으로 추상화하는 작업을
거친다고 볼 수 있습니다 -
5:11 - 5:16현실에 존재하는 것들의 본질을
추상적으로 표현하는 것입니다 -
5:16 - 5:20만약 '개'라는 단어를 사용한다면
-
5:20 - 5:24마음 속에 개와 연관지을 수 있는
-
5:24 - 5:26여러가지 이미지들의 집합이 떠오릅니다
-
5:26 - 5:27우리는 각자 마음속에
-
5:27 - 5:30개에 대한 여러가지 생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
5:30 - 5:324개의 다리와 늘어진 귀를 가지고 있으며
-
5:32 - 5:35쓰다듬기에 좋은
-
5:35 - 5:37인간들의 가장 친한 친구라 할 수 있습니다
-
5:37 - 5:40이러한 특징을 가지는 동물을
-
5:40 - 5:42'개'라고 부릅니다
-
5:42 - 5:44그러나 현실에서 개들을 살펴보면
-
5:44 - 5:47모두 다르게 생겼습니다
-
5:47 - 5:48그레이트 데인과 미니 푸들이
-
5:48 - 5:52전혀 다르게 생긴 것처럼 말이죠
-
5:52 - 5:55그러나 어떠한 동물을 개라고 규정지을 수 있는
-
5:55 - 5:58공통적인 추상적 개념은 존재합니다
-
5:58 - 6:01또한 우리는 어떤 이미지를 떠올리게 하는
-
6:01 - 6:03문자 기호를 추상화하기도 합니다
-
6:03 - 6:05간단히 숫자를 쓰는 것도 해당되는데
-
6:05 - 6:08예를 들어 숫자 5는
-
6:08 - 6:12우리가 너무 자주 사용해서 명확한 것처럼 보이지만
-
6:12 - 6:14실제로는 단지 수량을 나타내는
-
6:14 - 6:16추상적인 기호에
-
6:16 - 6:17지나지 않습니다
-
6:17 - 6:19숫자 5를
-
6:19 - 6:22이렇게 다양한 방법으로
-
6:22 - 6:25상징화할 수 있습니다
-
6:25 - 6:27이렇게도 가능하겠군요
-
6:27 - 6:29이 표현들은 모두
-
6:29 - 6:32다섯 개가 존재한다는 것을 상징화한 것입니다
-
6:32 - 6:355를 손으로 가리킬 수 있고,
-
6:35 - 6:38이렇게 화살표를 그려서 나타낼 수도 있습니다
-
6:38 - 6:41여전히 이 모두가 5 라는 상징를 나타내는
-
6:41 - 6:44추상적인 표현입니다
-
6:44 - 6:47지금까지의 설명이 추상의 의미를 이해하는데
-
6:47 - 6:49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6:49 - 6:50여러분도 느꼈겠지만 추상이란 개념 자체가
-
6:50 - 6:53더 나은 말로 표현하기 어려운
-
6:53 - 6:56추상적 생각입니다
-
6:56 - 6:59
![]() |
Eunyoung Lee edited Korean subtitles for Abstract-ness | |
![]() |
Eunyoung Lee edited Korean subtitles for Abstract-ness | |
![]() |
Eunyoung Lee edited Korean subtitles for Abstract-ness | |
![]() |
eylee1917 edited Korean subtitles for Abstract-ness | |
![]() |
eylee1917 edited Korean subtitles for Abstract-ness | |
![]() |
Eunchae Cho edited Korean subtitles for Abstract-ness |